KR20000012630A -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630A
KR20000012630A KR1019990058016A KR19990058016A KR20000012630A KR 20000012630 A KR20000012630 A KR 20000012630A KR 1019990058016 A KR1019990058016 A KR 1019990058016A KR 19990058016 A KR19990058016 A KR 19990058016A KR 20000012630 A KR20000012630 A KR 2000001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oil
connector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985B1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1999005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985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에 관한 것으로, 연속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 벽체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다수 연결구에 핀으로 보강재를 걸어 지그재그 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고 옹벽 벽체 후부에서 보강재 위에 보강토 뒷채움재를 다져 옹벽을 지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벽체(20)의 인접하는 연결구(30)양측에 걸린 띠형 보강재(10)가 늘어짐 없이 연결구에 걸리도록 2개의 물림기구(100)로 각각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측이 고정된 띠형 보강재(10)의 중간부 후단에서 당김기구(200)를 사용하여 양측을 균일한 장력으로 당겨 임시고정핀(60)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2개의 물림기구중 하나를 해체하고 이를 다시 당김작업이 요구되는 다음의 연결구측에 걸어 보강재를 고정시킨 후 당김기구를 옮겨 다음의 보강재 당김작업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물림기구에 의해 보강재가 접혀지는 부위에서 느즈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당김기구에 의해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혼자서도 신속하게 균일한 인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줄 수 있도록 하며, 옹벽벽체의 지지력향상을 위해 보강재의 후단에 지압방식의 앵커를 장착한 보강재 시공방법과 이의 시공에 적합한 물림기구와 당김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Methods and tools for Constructing Reinforcement of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에 관한 것으로, 연속 띠형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종전 여러사람이 손으로 잡아당기던 원시적인 방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이 개발된 당김기구와 물림기구를 한조로 사용하여 혼자서도 힘들이지 않고 신속·간편하게 균일한 힘으로 팽팽히 당겨줄 수 있으며, 현장에 주어진 흙이 마찰각이 작아 보강토 뒷채움재료로서 부적합한 점성토 이거나 장애물로 인해 짧은 보강토체 거리를 갖는 시공현장에서 보강재의 후단에 지압방식의 앵커를 장착하여 옹벽의 지지저항력을 향상시켜 보단 견고한 구조를 갖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수직벽면을 구축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는 여러가닥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폴리에틸렌으로 피복성형된 보강재(1)가 100~150미터 정도로 길게 롤(roll)상태로 감겨져 있어 보강재(1)의 설치작업시 보강토체 전방인 보강토 옹벽 벽체(2)에 부착된 연결구(3)와 연속하여 핀(4)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느슨하게 결속시켜야 했었으므로, 이때 발생되는 보강재 선단 및 후단의 접힌 부분의 느즈러짐이 크게 되었으며, 이 부분의 느즈러짐을 펴주기 위해 보강토체 후방부에 전방의 옹벽 벽체(2)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철근으로 된 임시고정바(5)를 45센티미터이상의 임시고정핀(6)을 보강토체에 박아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한쪽에서 여러 사람이 보강재(1)를 한가닥씩 손으로 감싸잡고 당기는 작업을 반복해야 했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보강재 자체가 일정한 경도를 갖고 있어 앞,뒤의 느슨하게 접힌 부분 및 보강토체 위에 펼쳐진 보강재 자체에 발생되는 느즈러짐의 크기와 상대적으로 보강재의 접혀진 부분의 느즈러짐을 손으로 감싸잡고 당겨서 펼 수 있는 정도는 보강재의 폭 및 두께와 함수관계가 있으므로 보강재를 힘을 가해 손으로 감싸잡고 당길 수 있는 크기 이상의 보강재 두께 및 폭 증대는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고점착 폴리에틸렌에 유착피복되어 보강재의 인장강도를 결정하는 내부의 섬유질 폴리에스테르의 두께와 양의 증대는 제한을 받을수 밖에 없었고, 또한 보강재 내부의 섬유질 보호 및 각종 생화학적 침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 외형을 이루어 보강토체와의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표면피복재인 폴리에틸렌의 두께 및 폭의 증대와 자유로운 형태로의 성형도 일정한 제한을 받게 되었다.
또, 종래의 보강재 시공방법은 보강재 설치시 보강재를 지그재그로 깔아 당겨주는 작업을 한쪽 방향이나 한 곳에서 밖에 할 수 없는 문제점과 아울러 옹벽 벽체마다 연결된 보강재의 느즈러짐을 펴주기 위한 당김작업시 순수인력에 의존하여 당겨야 함으로써 작업자의 과다한 피로와 인건비의 과다소요 및 당김작업후의 느즈러짐 잔류분과 또한 보강재마다 일정한 장력을 가해 똑같이 당기지 못하는 문제가 남아 시공완료후 옹벽 벽체의 변형 및 부분적인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보강재의 느즈러짐을 펴주기 위한 방편으로 보강토체의 중간부분을 움푹 파내고 그 위에 보강재를 깔아 놓은 후 파여진 보강토체 위에 흙을 부어 이 흙의 자중에 의해 보강재가 움푹파여진 웅덩이에 파뭍히면서 늘어진 보강재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보강토체에 웅덩이를 파는 작업이 요구되어 다져진 보강토체를 다시 파내는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었고, 각 부위의 보강재가 일정하게 인장되지 못하여 시공후 옹벽 벽체의 횡방향 변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보강재는 보강토체와의 마찰력에만 의존하여 옹벽 벽체를 지지했었으므로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하기 위하여는 그 뒷길이가 길어져야 했었고, 보강토체의 재료도 마찰각이 큰 사질토만을 사용했었으므로 흙의 운반에 필요한 물류비의 상승을 초래하였고, 암반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장애물이 보강토체 다짐구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철거하지 않는 이상 보강재의 길이가 단축될 수 밖에 없어 충분한 지지저항력을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암반에 세트앵커를 고정시켜 보강재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상 요구로 하는 구조적인 탄력성이 저하되어 충격흡수력이 떨어짐으로써 지진 등의 발생시 이에 의한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불시파괴가 일어나 붕괴되는 현상 등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내구성 내지는 충격흡수력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위와 같은 순수인력에 의존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보다 더 간편하고 균일하게 보강재의 각 접힌 부분을 포함한 보강재의 느즈러짐을 당김기구를 사용하여 균일한 인장력이 되도록 팽팽하게 효과적으로 당겨준 후 보강토체를 다져줌으로써 보강토 옹벽의 횡방향변형을 최소화하여 안정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강토 조립식 옹벽의 시공에 소요되는 노무비의 절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간편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보강재가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한 지지력과 더불어 지압방식의 지지저항력 발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조립식 옹벽구조를 갖는 보강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음과 아울러, 보강토체 뒷채움재의 사용범위를 마찰각이 큰 사질토 외에도 시공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점성토 등도 활용가능하며,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유용하게 쓰이는 적합한 도구 즉, 보강재를 간편하게 균일한 인장력이 되도록 팽팽하게 당겨줄 수 있는 당김기구와, 보강재를 당길 때 보강재 선단의 접힌 부분을 펴서 고정시키기 위한 물림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재와 보강토체간의 마찰력과 더불어 보강재의 후단에 장착하여 옹벽의 지지저항력을 높여줄 수 있는 지압방식의 수동식 앵커를 사용하여암반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장애물이 보강토체 다짐구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이고 변형이 없도록 효과적으로 옹벽시공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 벽체의 내측면에 부착된 다수 연결구에 핀으로 띠형 보강재를 걸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고 옹벽 벽체 후부에서 보강재 위에 보강토 뒷채움재를 다져 옹벽을 지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벽체의 인접하는 연결구 양측에 걸린 띠형 보강재가 늘어짐 없이 연결구에 걸리도록 2개의 물림기구로 각각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측이 고정된 띠형 보강재의 중간부 후단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당김기구로 걸어당겨 임시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2개의 물림기구중 하나를 해체하고 이를 다시 당김작업이 요구되는 다음의 연결구측에 걸어 보강재를 물어 고정시킨 후 당김기구를 옮겨 다음의 보강재 당김작업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물림기구에 의해 보강재가 접혀지는 부위에서 느즈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당김기구에 의해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혼자서도 신속하게 균일한 인장력으로 팽팽히 당겨줄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물림기구는 옹벽에 부착된 연결구 내측에 결합된 보강재를 걸어주는 핀이 연결구의 후방으로 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재가 핀의 외측에 밀착가능하도록 하여 이 부분에서 보강재의 느즈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된 플라이어(plier)방식의 기구로서, 이 물림기구는 옹벽에 부착된 연결구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핀과 보강재를 밀착시켜 당겨줄 수 있는 플라이어 상,하의 죠오(jaw)구조에 특징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당김기구는 균일한 보강재를 균일한 인장력으로 팽팽히 당겨줄 수 있도록 장력계가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물림기구에 의해 옹벽의 연결구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단의 중간부를 당겨줄 수 있도록 물림기구 선단의 걸림부가 개방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보강재의 당김작업시 당김기구가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판에 전방 하부로 굴곡된 저항판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당김기구는 보강재의 후단에 앵커를 장착한 상태에서 앵커에 걸어 당겨줄 수 있고 당겨진 앵커를 임시고정핀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물림기구 선단의 걸림부를 앵커에 걸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보강토체의 전후 폭 즉, 옹벽 벽체 배면의 보강영역이 부족한 장소, 예를 들면 암반(巖盤)이나 콘크리트 박스 등 철거하기 곤란한 장애물로 인해 보강영역이 짧은 시공현장이나 점성토를 보강토체 뒷채움재로 사용할 경우 지지저항력을 효과적으로 높여줄 수 있도록 보강재의 후단에 별도의 지지앵커를 끼운 상태에서 당김기구로 당겨주고 이를 임시고정핀으로 고정시켜 보강토체에 매립함으로써 이 앵커에 의해 지압방식의 지지저항력이 발생하여 보강영역이 짧은 거리이거나 마찰각이 작은 점성토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지지저항력을 갖도록 하여 옹벽시공의 경제성 및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띠형 보강재 시공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보강재 시공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물림기구의 물림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의한 보강재 당김기구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보강재 당김기구 선단의 걸림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강재 시공방법의 평면도로서,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시공현장 양쪽에서 동시에 실시하는 상태도,
도 6a는 마찰각이 큰 사질토를 뒷채움재로 사용한 경우의 시공단면도,
도 6b는 마찰각이 작은 점성토를 뒷채움재로 사용한 경우의 시공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보강재 시공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보강재 후단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보강재 당김기구의 사시도,
도 9는 도 2 및 도 7의 실시예를 조합한 시공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강재 12 : 후단
20 : 옹벽 벽체 30 : 연결구
40 : 핀 50 : 보강토 뒷채움재
60 : 임시고정핀 70 : 고정 철근
90 : 앵커 92 : 핀구멍
95 : 핀 100 : 물림기구
110 : 상부 죠오 120 : 하부 죠오
200 : 당김기구 210 : 걸림부
220 : 발판 230 : 장력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적합한 기구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보강재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물림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물림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제 1실시예에 사용하기 적합한 당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걸림부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옹벽 벽체(20)의 내측면으로 돌출 부착된 다수의 연결구(30)에 핀(40)으로 띠형 보강재(10)를 걸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고 옹벽 벽체(20) 후부에서 보강토 뒷채움재(50)를 다져 옹벽 벽체(20)를 지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벽체(20)후부의 인접하는 연결구(30)양측에 걸린 띠형 보강재(10)가 늘어짐 없이 연결구(30)에 걸리도록 2개의 물림기구(100)로 각각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측이 물림기구(100)로 고정된 띠형 보강재(10)의 중간부 후단(12)에 앵커(90)를 철근을 일정길이로 절단한 핀(95)으로 걸어준 상태에서 이 앵커(90)를 당김기구(200)로 당겨 임시고정핀(60)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2개의 물림기구(100)중 1개를 해체하고 이를 다시 당김작업이 요구되는 다음의 연결구(30)측에 걸어 보강재(10)를 물어 고정시킨 후 상기 당김기구(200)를 옮겨 다음의 보강재 당김작업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물림기구(100)에 의해 보강재(10)가 접혀지는 부위 즉, 선·후단부에서 느즈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당김기구(200)에 의해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혼자서도 신속하게 균일한 인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줄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종전의 시공방법에서는 롤 상태로 감겨진 보강재를 풀어가면서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재 시공방법에서는 종래의 보강재 뿐만 아니라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특허출원 제99-17317호의 개량된 보강재 등을 사용함으로써 보강재를 일정한 길이가 되게 그 선,후단을 접어 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구멍에 나사를 끼워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있으므로 보강재의 현장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재 시공방법에서는 당김작업이 완료된 부분의 보강재 (10)에는 상기 구멍에 일정간격으로 임시고정핀(60)을 다져진 보강토체(50)에 박아줌으로써 보강토 뒷채움재를 타설하여 다지는 작업중 보강재(10)가 들뜨거나 다시 느즈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물림기구(100)는 옹벽 벽체(20)에 부착된 연결구(30)내측에 결합된 보강재(10)를 걸어주는 핀(40)이 연결구(30)의 후방으로 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재 (10)가 핀(40)의 외측에 밀착가능하도록 하여 이 부분에서 보강재의 느즈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된 플라이어(plier)방식의 기구로서, 이 물림기구(100)는 옹벽 벽체(20)에 부착된 양측 연결구(30)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핀(40)과 보강재(10)를 밀착시켜 후방으로 당겨줄 수 있는 플라이어 상,하의 죠오(jaw; 110,120)구조에 특징을 갖는다.
즉, 상부 죠오(110)는 그 양단이 연결구에 걸리지 않도록 짧게 형성되고 중간부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연결구(3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가능한 형태 즉 철(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 죠오(120)는 상기 상부 죠오(110)와 반대의 형상으로 즉, 양단이 연결구(30)의 후방 외측에 밀착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부는 보강재(10)가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는 형태인 요(凹)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하부 죠오(110,120)는 안쪽으로 굴곡되어 핀(40)을 당겨주고 연결구(30)외측에 밀착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강재(10)에 상,하로 끼워지는 나사(S)의 끝부분이 상부 죠오(20)의 내측에 걸려 보강재(10)의 물림과 동시에 보강재가 핀(40)과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당김기구는 도 4a의 사시도 및 도 4b의 저면도에서와 같이, 보강재(10)를 직접 물고 당기는 방식이 아닌 보강재(10)의 후단에 철근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만든 핀(95)으로 장착한 앵커(90)를 걸어 당길 수 있도록 원통체 형상의 걸림부(210)에 앵커(90)의 구부러진 각도와 일치되게 걸림홈(212)(214)을 형성한 것이고, 이 원통체 형상의 걸림부(210)중간에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공(216)에는 당김작업을 완료한 앵커(90)의 내측에 임시고정핀(60)을 박아 앵커(90)를 보강토체위에 임시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원통체 형상의 걸림부(210)를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앵커(90)가 보강토체에 절반정도 박히도록 하면 임시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당김기구(200)의 발판(220)또한 보강재의 당김작업시 지면과의 마찰저항력을 높여 앞으로 끌려나가지 않도록 스파이크(222)외에도 발판(220)의 전 후면을 전방 하부로 굴곡시킨 저항판(224)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재를 일정한 장력으로 균일하게 당겨주기 위한 장력계(230)가 설치되어 있으며, 당김기구의 기본구조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1000호의 그것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한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앵커(90)는 도 4a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양 측부에는 보강재(10)와의 결합을 위한 핀(95)을 끼우기 위한 핀구멍(92)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보강재 시공방법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본 도면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 보강재(10)의 당김작업을 양측에서 동시에 시작하여 중앙으로 작업이 가능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중간에서 시작하여 양쪽으로 분리작업하는 방식도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종전과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가능했던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동시에 다중으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로 한층 배가시킬 수 있어 시공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단면시공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는 마찰각이 큰 사질토를 보강토체(50)용 뒷채움재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보강재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보강재의 후단에 앵커(90)을 장착함으로써 이 앵커(90)의 지압지지력에 의해 옹벽의 지지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b는 마찰각이 비교적 작은 점성토체를 사용한 경우의 시공상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보강재(10)의 후단에 장착된 앵커(90)의 지지저항력에 의해 보강재 (10)와 보강토체(5)와의 마찰력이 다소 작더라도 앵커(90)의 지지저항력이 이를 충분히 보상하여 줌으로써 안정적인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이 가능하며, 배수성이 떨어지는 점성토를 사용한 보강토체(50)내부에 스며든 물의 배수를 위한 골재 배수층(55)을 보강토체 형성시 일정높이마다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a는 제 2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7 및 도 7a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당김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의 〈 형 앵커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당김기구(200)로 당겨진 보강재(10)의 후단에 일정길이의 임시고정철근(65)을 임시고정못(67)으로 고정시켜 보강재를 임시고정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보강토체 다짐작업을 실시하는 경우(도 7)와, 당겨진 보강재(10)의 후단(12)을 L자형 앵커(90)의 삽입구(94)에 끼운 상태에서 임시고정철근(65)을 끼우고 이를 임시고정못(67)로 고정시킨 경우(도 7a)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보강재 물림 및 당김작업순서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단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형 걸림부(210)를 갖는 당김기구(200)를 보강재(10)의 중간부 후단(12)에 직접 걸어 당김작업을 하는 차이점이 있다.
도 9는 보강토체의 전후 폭 즉, 옹벽 벽체 배면의 보강영역이 부족한 장소, 예를 들면 암반(巖盤)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 철거하기 곤란한 장애물로 인해 보강영역이 짧은 시공현장 등에서 보강재의 지지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를 조합한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강토체(50)의 다짐구역 후방 하부에 암반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장애물(R)이 있어 보강영역이 짧은 경우, 제 1실시예에 도시된 앵커(90)를 보강재(10)의 후단에 결합하여 시공하고, 그렇지 않은 위치에서는 제 2실시예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한 것으로, 어떠한 지형이나 장애물이 있더라도 앵커방식을 조합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보강토체의 안정적인 형성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옹벽의 변형이나 붕괴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옹벽 벽체의 인접하는 연결구 양측에 걸린 띠형 보강재가 늘어짐 없이 연결구에 걸리도록 2개의 물림기구로 각각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측이 고정된 띠형 보강재의 중간부 후단에서 당김기구를 사용하여 균일한 장력으로 당겨 임시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2개의 물림기구중 하나를 해체하고 이를 다시 당김작업이 요구되는 다음의 연결구측에 걸어 보강재를 물어 고정시킨 후 당김기구를 옮겨 다음의 보강재 당김작업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물림기구에 의해 보강재가 접혀지는 부위에서 느즈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당김기구에 의해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혼자서도 신속하게 모두 균일한 인장력으로 당겨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강재의 후단에 앵커를 장착한 상태에서 당겨주고 임시고정시켜 보강토체 내에 매몰시킴으로써 옹벽의 지지력이 보강재와 보강토체와의 마찰력뿐만 아니라 앵커의 지지저항력의 합력에 의하여 보다 향상되므로 시공완료후 옹벽의 횡방향으로의 변형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가토 뒷채움재를 마찰각이 작은 흙도 사용할 수 있어 시공현장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점성토를 유용할 수 있어 뒷채움재의 구입 및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으며, 암반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장매울이 존재하는 경우 보강영역이 짧은 거리에서도 앵커의 지지저항력에 의해 충분한 옹벽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어 어떠한 시공현장에서도 안정적인 옹벽이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연속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 벽체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다수 연결구에 핀으로 띠형 보강재를 걸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고 옹벽 벽체 후부에서 보강토 뒷채움재를 다져 옹벽을 지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벽체(20)의 인접하는 연결구(30)양측에 걸린 띠형 보강재(10)를 늘어짐 없이 연결구(30)에 걸리도록 물림기구(100)로 각각 고정시키는 단계와;
    선단 양측이 연결구(30)에 걸린 상태로 고정된 띠형 보강재(10)의 중간부 후단(12)에서 당김기구(200)로 당겨 보강재(10)를 보강토체(50)위에 임시고정핀(60)으로 임시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0)의 후단에는 임시고정철근(65)이 끼워지고 이 임시고정철근 (65)은 임시고정핀(67)으로 보강토체(50)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0)의 후단에는 앵커(90)가 핀(95)으로 연결되고, 당김기구 (200)를 이 앵커(90)에 걸어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4. 옹벽 벽체(20)에 부착된 양측 연결구에 핀(40)과 보강재(10)를 밀착시켜 후방으로 당겨줄 수 있는 상,하부 죠오(110,120)를 갖는 것으로, 상부 죠오(110)는 그 양단이 연결구에 걸리지 않도록 짧게 형성되고 중간부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연결구(3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철(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죠오(120)는 양단이 연결구(30)의 후방 외측에 밀착되도록 연장형성되고 그 중간부는 보강재(10)가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요(凹)형상으로 이루어지며,상기 상,하부 죠오(110,120)는 내측으로 굴곡되어 핀(40)을 당겨주고 연결구(30)외측에 밀착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물림기구.
  5. 조립식 보강토 옹벽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당길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0)의 후단에 장착된 앵커(90)의 구부러진 각도와 일치되게 걸림홈(212)(214)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당김작업을 완료한 앵커(90)를 임시고정핀(60)으로 보강토체(50)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공(216)이 형성된 원통체 형상의 걸림부(210)가 선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당김기구.
KR1019990058016A 1999-11-12 1999-12-15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KR10034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016A KR100349985B1 (ko) 1999-11-12 1999-12-15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50078 1999-11-12
KR1019990050078 1999-11-12
KR1019990058016A KR100349985B1 (ko) 1999-11-12 1999-12-15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30A true KR20000012630A (ko) 2000-03-06
KR100349985B1 KR100349985B1 (ko) 2002-08-28

Family

ID=2663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016A KR100349985B1 (ko) 1999-11-12 1999-12-15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9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8872A1 (en) * 2000-11-08 2002-05-16 Jeung Su Lee Placementing method of reinforcing strips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and pulling-up device of reinforcing strips
KR100499715B1 (ko) * 2000-04-10 2005-07-07 쿄오까도엔지니어링가부시기가이샤 보강토구조, 그 보강재, 벽면재와 보강재의 연결부 및 그 시공방법
KR100660356B1 (ko) *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JP2015517614A (ja) * 2012-05-22 2015-06-22 ファウ・エス・エル・インターナツイオナー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補強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882B1 (ko) * 2002-06-20 2004-10-20 보강기술주식회사 보강 밴드의 인장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715B1 (ko) * 2000-04-10 2005-07-07 쿄오까도엔지니어링가부시기가이샤 보강토구조, 그 보강재, 벽면재와 보강재의 연결부 및 그 시공방법
WO2002038872A1 (en) * 2000-11-08 2002-05-16 Jeung Su Lee Placementing method of reinforcing strips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and pulling-up device of reinforcing strips
US6848674B2 (en) 2000-11-08 2005-02-01 Jeung Su Lee Placementing method of reinforcing strips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and pulling-up device of reinforcing strips
KR100660356B1 (ko) *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JP2015517614A (ja) * 2012-05-22 2015-06-22 ファウ・エス・エル・インターナツイオナー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補強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9985B1 (ko)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772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band type fiber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ed-soil retaining-wall
KR100349985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KR200427946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 설치구조
KR20000015749A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및 그 기구
KR100874961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KR101015619B1 (ko) 보강토 옹벽의 시공에 사용하는 조절가능한 고정기구
KR101080815B1 (ko) 인발저항력이 향상된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전면블록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160053430A (ko) 말뚝 조립체를 이용한 주열식 흙막이 공법
KR100824180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KR20180101986A (ko)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218722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CN209568447U (zh) 一种刚性出土平台基坑内支撑结构
KR100794669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JPH10317381A (ja) 擁壁による法面の保護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H045308A (ja) 鉄筋かご
CN207846441U (zh) 土工格栅施工结构
JP2007063790A (ja) 盛土補強構造
KR20100027434A (ko) 변형 시트파일 및 그 설치방법
KR200286396Y1 (ko) 보강토 옹벽 결합 구조
KR102607850B1 (ko) 인장력 전달성이 향상된 자립식 흙막이 시공용 브래킷 조립체
JP3580410B2 (ja) 壁面材強化型補強土工法
KR100404128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보강재 당김기구
KR102586027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연결방법
KR102607848B1 (ko) 인장력 전달성이 향상된 자립식 흙막이 시공방법
JP3974753B2 (ja) 擁壁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