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872U - 가스 누출 경보기 - Google Patents

가스 누출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872U
KR20000011872U KR2019980024602U KR19980024602U KR20000011872U KR 20000011872 U KR20000011872 U KR 20000011872U KR 2019980024602 U KR2019980024602 U KR 2019980024602U KR 19980024602 U KR19980024602 U KR 19980024602U KR 20000011872 U KR20000011872 U KR 20000011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power
gas
unit
gas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2019980024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1872U/ko
Publication of KR20000011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872U/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 누출 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공급부(AC),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가스감지부(GS), 상기입력되는 전원 및 가스누출정보를 제어하여 통상의 경보수단인 버저(BZ)와 경보램프(AL)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중앙제어부(CPU) 등으로 이루어진 가스 누출 경보기에있어서, 휴대 사용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전원으로 연결 구비되는 배터리전원부(B), 상기 배터리전원부(B)와 상기 교류전원공급부(AC)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자동전원교체기능을 구비한 중앙제어부(CPU), 상기 중앙제어부(CPU)와 연결되며 음성경보수단으로써 구비되는 스피커(SP) 및 이러한 스피커(SP) 작동을 제어하는 음성버저제어부(C),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원의 공급을 연결하는 시간적제어모드단자(T)와 계속적인 전원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항시제어모드단자(A)를 선택하도록하는 제어스위치(SW1) 및 이러한 제어스위치(SW1)의 시간적제어모드단자(T) 선택하에서 경보기 휴대사용시 사용자가 가스누출장소에 대고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수동체크스위치(M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고안은 일반적인 교류전원은 물론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성이 향상되며, 사용자가 휴대하여 임의의 장소에 대한 가스누출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음성경보가 추가되어 더욱 확실한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누출 경보기
본 고안은 가스 누출 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로 사용자에게 경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킨 가스 누출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스중독에 의한 사고나 프로판가스·도시가스에 의한 폭발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인간은 위험 가스가 존재하면 후각이나 호흡기 계통에서 냄새나 불쾌감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는 미흡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가스사고에 대한 방지책으로 가스 누출 경보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스 누출 경보기는 누출되는 가스를 검지하여 이를 알려주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스검지부, 지시경보부 및 이들 사이에 접속하는 전기도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되는 각종 가스 및 이를 검지 하는 센서에 따라 반도체식, 접촉연소식, 열전도식 등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주로 접촉연소식과 반도체식이 사용되지만 일부에는 열전도식의 것도 있다. 공업용에는 접촉연소식이 비교적 많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스 누출 경보기의 가스검지부로 사용되는 가스감지센서에는 산화물 반도체의 감가스성을 이용한 것과 직접 연소에 의한 온도변화를 이용한 것 등의 종류가 있으며 각각 일장일단이 있다.
이러한 가스감지센서는 계속적으로 개량되어 왔으나 아직 불안정한 요소가남아있다. 특히 검지해야 하는 가스의 선택성이 불충분하고 불필요한 가스, 예를 들면 알코올이나 담배연기 등에 감응하여 잘못된 경보를 내서 경보의 신뢰성을 잃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항시 200∼300℃ 등의 고온으로 가열해 두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 면, 안정성 면에서 문제를 남기고 있다.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가스 누출 경보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예시도로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11), 가스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가스감지부(12), 입력 신호에 따라 이를 제어하고 경보부(14)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보부(14)는 통상의 버저(Buzzer) 또는 경보램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 누출 경보기는 가스 누출의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유사시 상기 가스감지부(12)에 누출된 가스가 감지되면 중앙제어부(13)에서 이러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경보부(14)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경보부(14), 즉 청각적인 버저신호와 시각적인 경보램프신호로 이를 인지하고 대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 누출 경보기는 일반적인 교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설치 위치에 한정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가스 누출 위치의 판단에 있어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경보하도록 하는 가스 누출 경보기에 있어서,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 및 휴대 사용이 가능하도록 일반 교류 전원은 물론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위험을 알리는 음성경보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확실한 경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스 누출 경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가스 누출 경보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S ; 가스감지부 CPU ; 중앙제어부
C ; 음성버저제어부 SP ; 스피커
BZ ; 버저 AL ; 경보램프
AC ; 교류전원공급부 B ; 배터리전원부
RS ; 리셋스위치 MS ; 수동체크스위치
SW1 ; 제어스위치 A ; 항시제어모드단자
T ; 시간적제어모드단자 SW2 ; 선택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공급부(AC),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가스감지부(GS), 상기 입력되는 전원 및 가스누출정보를 제어하여 통상의 경보수단인 버저(BZ)와 경보램프(AL)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중앙제어부(CPU) 등으로 이루어진 가스 누출 경보기에 있어서,
휴대 사용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전원으로 연결 구비되는 배터리전원부(B);
상기 배터리전원부(B)와 상기 교류전원공급부(AC)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자동전원교체기능을 구비한 중앙제어부(CPU) ;
상기 중앙제어부(CPU)와 연결 구비되며 음성경보수단으로써 구비되는 스피커(SP) 및 이러한 스피커(SP) 작동을 제어하는 음성버저제어부(C);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원의 공급을 연결하는 시간적제어모드단자(T)와 계속적인 전원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항시제어모드단자(A)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어스위치(SW1);
상기 제어스위치(SW1)의 시간적제어모드단자(T) 선택하에서 경보기 휴대사용시 사용자가 가스누출장소에 대고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수동체크스위치(M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출 경보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교류전원공급부(AC),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가스감지부(GS),상기 입력되는 전원 및 가스누출정보를 제어하여 통상의 경보수단인 버저(BZ; Buzzer)와 경보램프(AL)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중앙제어부(CPU) 등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구성에 배터리(Battery)를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배터리전원부(B), 음성경보수단으로써 스피커(SP) 및 이러한 스피커(SP) 작동을 제어하는 음성버저제어부(C)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중앙제어부(CPU)는 교류전원공급부(AC) 및 배터리전원부(B)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전원교체기능이 구비된다. 즉 교류전원공급부(AC)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교류전원공급부(AC)의 전원이 단락 되면 배터리전원부(B)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전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CPU)에는 의심되는 가스누출 장소를 탐지할 때 선택적으로 경보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체크스위치(MS)가 구비되는 바, 이는 푸시스위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CPU)는 단자의 시간적 제어(Time Control)와 항시제어(All Control)를 수행하도록 시간적제어모드단자(T) 및 항시제어모드단자(A)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어스위치(SW1)가 구비되는 바, 이러한 제어스위치(SW1)로 항시제어모드단자(A)를 선택하면 항시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기가 작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상기 시간적제어단자모드(T)를 선택하면 상기 수동체크스위치(MS)의 작동시에만 전원을 연결 하여 경보기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RS"는 통상의 리셋스위치로서 경보기 작동시 다시 세팅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음성신호용 스피커(SP)는 상기 중앙제어부(CPU)와 연결되며 상기 버저(BZ)와 스피커(SP) 작동을 제어하는 음성버저제어부(C)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성버저제어부(C)에는 음성신호 또는 경보음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SW2)가 구비된다. 이러한 선택스위치(SW2)는 양 신호를 동시에 설정하거나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가스감지부(GS)의 히터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백금저항이 일정치를 유지하다가 가스가 누출되면, 누출되는 가스로 인하여 상기 가스감지부(GS)의 가스센서에 저항변화가 발생되고 이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가스누출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 누출신호는 중앙제어부(CPU)에 입력되고, 중앙제어부(CPU)에 서 경보램프(AL)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음성버저제어부(C)를 통해 버저(BZ) 작동 및 스피커(SP)를 통한 음성경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각 신호, 즉 경보램프신호 외에 음성신호, 버저신호는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으며, 선택스위치(SW2)로 선택적인 작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경보를 인지하고 상기 각 신호를 멈추고자 할 때는 리셋스위치(RS)를 작동시킨다.
한편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스위치(SW1)를 이용하여 항시제어모드단자(A)를 선택하면 항시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기가 작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는 통상의 교류전원공급부(AC)로부터의 전원을 이용하며 고정설치시 주로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스위치(SW1)를 이용하여 시간적제어단자모드(T)를 선택하면 경보기는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가스누출이 의심되는 임의의 장소에서 상기 수동체크스위치(MS)를 작동시키면 배터리 전원으로 경보기를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본 고안의 경보기를 휴대하고 가스누출장소를 탐지할 때 의심되는 위치에서만 사용자 임의대로 작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수동체크스위치(MS)를 작동시킬 때만 전원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가스누출이 의심되는 위치에 대한 검지에 있어서 배터리 전원으로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가스 누출 경보기는 교류전원공급부(AC)를 통해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장소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배터리(B)를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경보기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를 휴대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의심되는 가스누출장소에 경보기를 대고 푸시버튼식의 상기 수동체크스위치(MS)를 누르면 경보기가 작동되어 이를 탐지할 수 있게 되어 탐지가 용이하고 이는 선택적으로 전원을 사용하게 되므로 절전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사용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경보에 있어서도 버저와 램프 이외에 음성신호로 경보함으로써 더욱 확실한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2)

  1.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공급부(AC),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가스감지부(GS), 상기 입력되는 전원 및 가스누출정보를 제어하여 통상의 경보수단인 버저(BZ)와 경보램프(AL)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중앙제어부(CPU) 등으로 이루어진 가스 누출 경보기에 있어서,
    휴대 사용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전원으로 연결 구비되는 배터리전원부(B);
    상기 배터리전원부(B)와 상기 교류전원공급부(AC)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자동전원교체기능을 구비한 중앙제어부(CPU);
    상기 중앙제어부(CPU)와 연결 구비되며 음성경보수단으로써 구비되는 스피커(SP) 및 이러한 스피커(SP) 작동을 제어하는 음성버저제어부(C);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원의 공급을 연결하는 시간적제어모드단자(T)와 계속적인 전원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항시제어모드단자(A)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어스위치(SW1);
    상기 제어스위치(SW1)의 시간적제어모드단자(T) 선택하에서 경보기 휴대사용시 사용자가 가스누출장소에 대고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수동체크스위치(M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출 경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버저제어부(C)에는 음성신호 및 버저신호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선택스위치(SW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출 경보기.
KR2019980024602U 1998-12-10 1998-12-10 가스 누출 경보기 KR200000118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602U KR20000011872U (ko) 1998-12-10 1998-12-10 가스 누출 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602U KR20000011872U (ko) 1998-12-10 1998-12-10 가스 누출 경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872U true KR20000011872U (ko) 2000-07-05

Family

ID=6950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602U KR20000011872U (ko) 1998-12-10 1998-12-10 가스 누출 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18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077A (ko) * 2002-11-22 2004-06-01 (주) 라이테크 가스 경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077A (ko) * 2002-11-22 2004-06-01 (주) 라이테크 가스 경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020A (ko) 콘센트 및 연장코드
US4185491A (en) Gas monitors
WO2010002504A1 (en) Air quality sensor/interruptor
US6348872B1 (en) Gas detector-alarm employing hot-wire gas sensor
KR20000011872U (ko) 가스 누출 경보기
JP3405031B2 (ja) 防災システム
WO2007064963A2 (en) Clothes dryer fire alarm
JP4956392B2 (ja) ガス漏洩検知システム
US11189146B2 (en) Fire detector having reset function linked with lamp and fire warning method using same
JP4092266B2 (ja) 警報器点検回路
JP4789318B2 (ja) 火災警報装置及びガス火災感知器
JP3284324B2 (ja) 火災感知器
JP2008210062A (ja) 火災警報器
JP3651542B2 (ja) 火災感知器
KR100382627B1 (ko) 화재경보 시스템
KR19980029676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가스 누설 탐지방법, 그 탐지장치 및 그 경보장치
JP3151494B2 (ja) 動作試験機能を有した熱感知器
JP3549322B2 (ja) ガス検知方法及びガス検知装置
JP2005309927A (ja) 炎検出器
KR100309217B1 (ko) 가스누설경보장치
JP2001101540A (ja) 火災感知器
KR200198310Y1 (ko) 가스 누설 경보기용 검출 센서의 감시장치
RU20257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утечки горючего газа
KR100360170B1 (ko) 가스 누설 경보기용 검출 센서의 감시 방법 및 장치
JPS5828319Y2 (ja) 火災感知器の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