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997A - 활성 핀 - Google Patents

활성 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997A
KR20000010997A KR1019980709146A KR19980709146A KR20000010997A KR 20000010997 A KR20000010997 A KR 20000010997A KR 1019980709146 A KR1019980709146 A KR 1019980709146A KR 19980709146 A KR19980709146 A KR 19980709146A KR 20000010997 A KR20000010997 A KR 2000001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ston
active
drilling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 블롬 니콜라스 반
Original Assignee
데 블롬 니콜라스 반
엔브이비 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4397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109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K9600168U external-priority patent/DK9600168U3/da
Priority claimed from DK9600180U external-priority patent/DK9600180U3/da
Priority claimed from DK9600227U external-priority patent/DK9600227U3/da
Application filed by 데 블롬 니콜라스 반, 엔브이비 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데 블롬 니콜라스 반
Publication of KR2000001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3584Inflatable article [e.g., tire filling chuck and/or 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3584Inflatable article [e.g., tire filling chuck and/or stem]
    • Y10T137/36With pressure-responsive pressure-contro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8054Direct response normally closed valve limits direction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Check Valv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mpressor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 Earth Drill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피스톤 막대(302)를 가지는 피스톤(301)으로서 만들어진, 밸브 연결기를 위한 활성 핀을 수단으로, 활성 핀이 중심 드릴링(303)을 가지는 밸브 연결기의 커플링 영역에서 움직이고 피스톤 밸브(304)는 탄성력에 의해 닫힌 채로 유지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이 높고, 경제적이며 낮은 공기역학적 항력을 가져서 펌핑을 위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펌핑 시간을 가능한 한 단축하는 활성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조립된 활성 핀에서 피스톤 막대(302) 및 피스톤 밸브 막대(322)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303,321)이 한정되고 채널(303,321)은 활성 핀의 중심선(337)에 대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그것의 횡단면은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헌정되며, 두 개의 모듈 매개변수 푸리에 급수 팽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데, 하나는 각 좌표 함수(A)를 위한 것으로, 여기서 (a),(b), 0 ≤x ≤2π, x∈R, p ≥0, p ∈ N, cp=f(x)의 cos-가감 평균값; dp = f(x)의 sin-가감 평균값; p는 삼각함수의 계수.

Description

활성 핀
공지 기술 WO/96/10903에 따르면 커플링 영역에서 활성 핀은 피스톤 막대와 적절한 씨일(seal)을 장착한 피스톤으로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실린더형 커플링 영역에서 미끄럼 운동할 수 있고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실린더 밸브에 대해 종방향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밸브 연결기를 위치설정한 후 피스톤의 미끄럼 운동은 압력원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수단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피스톤이 내부 밸브를 열어주는 곳에서, 밸브 근위의 피스톤은 공기 통로를 밸브로 열어주며, 밸브 원위에서 피스톤은 실린더 벽에 대해 100% 이하로 죄어준다.
도 14(WO 96/10903)는 피스톤 제어부에 대해 밀폐되어야 하는 밸브(360)를 나타낸다. 이것의 단점은, 전술한 두 씨일이 일정한 미끄럼 영역에서 작동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실린더 벽과 피스톤 운동을 아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 또, 피스톤은 정확하게 한정된 개방 영역을 가지므로 펌프 밸브의 최소 오차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9,10,14,15(WO 96/10903)는 중심 블라인드 드릴링 또는 중심 드릴링 및, 측부 드릴링과 직각을 이루는 바닥에서 V형 밀링(milling)을 장착한 다양한 활성 핀을 나타낸다. 이 효과에 의해 특히 빠른 공기속도로 펌핑 작용을 할 때 필요한 것보다 더 큰 힘이 적용되어야 한다.
도 9(WO 96/10903)에 활성 핀이 나타나 있는데 이 활성 핀은 중심 드릴링과 측부 드릴링 및 바닥에 V형 밀링을 가진다. 커플링이 예를 들어 일체형 체크 밸브를 가지는 고압 펌프에 연결될 때, Schrader밸브를 분리한 후 스프링은 활성 핀의 밸브를 닫힌 위치에서 유지한다. Sclaverand 밸브를 가지는 타이어가 즉시 펌프 작용을 받는다면, 활성 핀을 미끄럼 운동시켜서 Sclaverand 밸브의 내부 밸브를 열기 위해서 큰 힘을 적용한다. 공기는 배출되고 타이어가 부분적으로 펌프 작용을 받는다면 펌핑 시간은 더 길어질 것이다. 도 10, 15(WO 96/1090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전술한 문제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브 연결기를 위한 활성 핀에 관련되는데, 이 활성 핀은 피스톤 막대를 가지는 피스톤으로서 만들어지고, 밸브 연결기의 커플링 영역으로 움직이는데 여기에서 활성 핀은 중심 드릴링과 피스톤 밸브를 탄성력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선호되는 실시예를 이용해 상세히 설명되는데 이 실시예의 주요 구성 성분은 도면에 나타나 있다:
도 1A 는 두 개의 모듈 매개변수 푸리에 급수 팽창에 의해 정의된 채널의 곡선을 나타낸 도면.
도 1B 는 "꽃-모양"의 횡단면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밸브로 압착될 수 있는 밸브 연결기에서 압력원과 이격된 위치에서 나타낸 제 1 실시예에 따른 활성 핀의 도면.
도 2A 는 도 2에 따른 피스톤 밸브의 확대도. 파선은 열린 상태의 밸브를 나타낸다.
도 2B 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가림 드릴링과 피스톤 막대에서 이격되어 배치된 사이드 드릴링을 나타낸 도면.
도 3A 는 제 2 실시예를 개선한 활성 핀의 확대도인데 활성 핀에서 밸브는 편심 밸브 레버에 의해 작동된다.
도 3B 는 도 3A에 따른 활성 핀을 나타낸 도면인데 활성 핀에서 밸브는 공압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3C 는 도 3A의 A-A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3D 는 도 3A에 따른 위쪽에서 본 활성 핀의 밸브와 피스톤 상부를 나타낸 도면(X축을 따라서 본 도면).
도 4 는 밸브로 압착될 수 있는 밸브 연결기에서 압력원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활성 핀을 나타낸 도면.
도 5A 는 도 4에 따른 활성 핀의 확대도. 활성 핀의 밸브는 편심 밸브 레버에 의해 작동된다.
도 5B 는 밸브가 공압에 의해 닫혀지는 곳에서 도 5A에 따른 활성 핀을 나타낸 도면.
도 5C 는 도 5A의 B-B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5D 는 활성 핀의 피스톤에서 자유 운동할 수 있는 편심 밸브 레버를 나타낸 도면.
도 6A 는 편심 밸브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식 피스톤 밸브를 가지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활성 핀을 나타낸 도면.
도 6B 는 피스톤 밸브가 공압에 의해 닫혀지는 곳에서, 도 6A에 따른 활성 핀을 나타낸 도면.
도 6C 는 도 6A 의 Z축을 따라서 본 도면.
도 6D 는 도 6B의 C-C선을 따라서 본 횡단면도.
도 7 은 밸브로 압착될 수 있는 밸브 연결기에서 압력원과 이격된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는 활성 핀에서 밸브가 작동하는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확대도.
도 8B 는 도 8A는 D-D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8C 는 활성 핀에서 밸브가 스프링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확대도.
도 8D 는 다른 밀폐면을 가지는, 도 8C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는 밸브로 압착될 수 있는 밸브 연결기에서 압력원과 이격된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A 는 활성 핀에서 밸브가 닫힌 위치에 있거나 작동 위치(파선)에 있는 도 9의 실시예를 확대한 도면.
도 10B 는 스프링 현가 장치 및 흡입 장치를 가지는 도 10A에 따른 활성 핀의 상측면도(Y축).
도 10C 는 도 10A에서 E-E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0D 는 도 10A에서 F-F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1A 는 다른 밀폐면을 가지는, 도 10A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B 는 도 11A의 실시예에 나타낸 밀폐면의 확대도.
본 발명의 목적은, 경제적이고 낮은 공기역학적 항력을 가져서 펌핑을 위해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최단 허용 펌핑 시간을 제공하는 신뢰할 만한 활성 핀을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에 기술된 바에 따라 해소되는데 청구항 1항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은 조립된 활성 핀에서 피스톤 막대 및 피스톤 밸브 막대에 의해 한정되고 채널은 활성 핀의 중심축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 채널의 횡단면은 하나 이상의 폐곡선에 의해 한정되고, 두 개의 모듈 매개변수 푸리에 급수 신장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각 좌표 함수에 대해 하나는 큰 흐름 횡단면을 유도한다.
여기서
0≤x≤2π,x∈R
p≥0,p∈N
cp=f(x) 의 cos-가감 평균치.
dp=f(x) 의 sin-가감 평균치.
p= 삼각함수 계수
모든 종류의 폐곡선은 수학식 1, 즉 C-곡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 곡선의 특징은, 섹션 평면에 놓인 수리 극으로부터 직선이 유도될 때 1회 이상 곡선을 칠 것이다. 수리 극을 통하여 섹션 평면에 놓인 하나 이상의 직선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영역과 결합한 규칙적인 곡선은 단일 푸리에 급수 신장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0≤x≤2π,x∈R
p≥0,p∈N
cp=f(x) 의 가감 평균값.
p= 삼각함수 계수
직선이 수리 극으로부터 유도될 때 이것은 항상 1회에 한행에서 곡선을 칠 것이다. 공기역학적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채널은 활성 핀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곡선이 다음 공식에 따라 정의될 때 채널의 횡단면은 일정한 주어진 횡단면에 의해 최적화된다: 즉 이 섹션은 층류와 결합하고 중심 피스톤 밸브 막대를 안내할 수 있다. 그 후에 Schrader 밸브 코어를 위한 접촉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브릿지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 곡선은 "꽃-모양"이다.
여기서
0≤x≤2π,x∈R
p≥0,p∈N
cp=f(x) 의 가감 평균치.
p= 삼각함수 계수
여기서 극선 좌표에서 횡단면은 수학식 4로 나타낸다:
여기서 r0≥0,
a≥0,
m≥0,m∈R,
n≤0,n∈R,
0≤ ;≤2π
여기서
r = 활성 핀의 원형 횡단면에서 "화판" 한계값,
r0 = 활성 핀의 축 둘레에서 원형 횡단면의 반지름,
a = "화판" 길이에 대한 스케일 계수,
rmax = r0+a
m = "화판" 너비를 정의하기 위한 매개변수
n = "화판" 수를 정의하기 위한 매개변수.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 핀은 넓은 흐름 횡단면을 보장하는데 이 횡단면은 방사상 핀을 수단으로 흐르는 동안 감소된 압력 강하에 기여하는 층류를 발생시킨다. 이와 비슷하게, 방사상 핀은 공기 이동을 막지 않으면서 중심에 위치설정된 밸브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피스톤 막대는 활성 핀의 양쪽 단부에서 활성 핀까지 뻗어있는 중심축과 평행한 두 개의 블라인드 드릴링과 탄성재로 만들어진 동심 밸브, 즉 Dunlop-Woods 밸브에서 사용되고 압력원 근위의 레이디얼 드릴링을 덮는 상하부 사이의 피스톤 막대로 압착되는 측부로부터 이동할 때 공기 흐름 방향에서 본 피스톤 중심축에 대해 90°이상의 방위각 α을 가진다. 또, 원위 레이디얼 드릴링은 압력원의 측부로부터 흐르는 공기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피스톤의 원위 중심 드릴링에 대해 90° 이상의 방위각 β를 가진다. Schrader-밸브에서 피스톤과 내부 밸브 사이의 상호작용을 보장하도록, 원위 블라인드 드릴리에서 반경 r0는 중심 드릴링 근위부의 반경 r0보다 짧다. 바이-패스를 측정하도록 배치되므로, 피스톤 제어부는 종방향 공기 덕트를 장착하거나 보다 긴 지름을 가진다. 그리고, 피스톤의 측부에 홈이 형성된다. 만일 일체형 체크-밸브를 가지는 펌프와 연결된다면 연결기는 에어링(airing) 밸브를 구비해야 하고, 펌핑 시간을 최대한 단축한다. 이것은 피스톤 제어 피팅(fitting)과 펌프 밸브의 공차에 독립적으로 핀 밸브가 작동하므로 활성 핀의 신뢰성을 높인다. 낮은 공기역학적 항력을 가지는 핀은 쉽게 펌핑할 수 있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를 개선시킨 것으로, 커플링은 일체형 비귀환성 밸브를 가지는 고압 펌프에 연결된다. 편심 위치에서 피스톤을 통과하는 밸브 레버와 압축 공기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탄성력은 펌핑 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단축시킨다. 편심 밸브 레버에 의해, 활성 핀과 펌프의 비귀환 밸브 사이의 공간에서 기압은 주위 압력과 동일하게 되고 이 때 Schrader-밸브가 분리된다면 밸브 레버는 상기 공간을 개방한다. 그러므로 타이어로부터 공기를 배출하지 않으면서 Sclaverand-밸브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연결기가 밸브에 연결되거나 활성 핀이 Schrader 밸브의 중심에 닿을 때 항상 닫혀있는 에어링 밸브는 상기 공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에어링이 활성 핀의 가압면에서 좁은 채널로서 성형된다면 실행될 수 있다. 편심 밸브 레버는 피스톤 밸브 내에 통합되는데 이것은 활성 핀의 생산을 경제적으로 만들어준다. 이 핀은 피스톤 제어 피트와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제 3 실시예는, 핀이 중심 드릴링을 가진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2 실시예와 유사하다. 각각의 단부에서 중심 드릴링은 원형 횡단면에 의해 점진적으로 팽창하고 활성 핀의 중심 축에 대해 각각 γ또는 δ의 각을 가지며 각각은 0도보다 크고 20도 사이인데, 보통 6도와 12도 사이이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활성 핀의 피스톤 상부는 밸브(304)를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이것은 편심 밸브 레버의 작은 운동에 의해 넓은 개방 영역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편심 밸브 레버는 피스톤에서 느슨한 상태로 놓이고 스톱 장치는 그 운동을 위해 사용되며 스톱 장치는 일체구성되고 탄성을 가지는 피스톤 밸브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제안된다. 피스톤 밸브 막대는 "꽃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고 원형인 피스톤 막대는 공기 채널(321)을 형성한다. 상기 활성 핀은 생산하기에 신뢰성이 높고 경제적이다. 밸브 연결기에서 공기 흐름은 거의 층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낮은 공기역학적 항력을 보장하여서 통합된 비귀환 밸브 없이 저압 펌프만으로 쉽게 펌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WO 96/10903)에 나타낸 활성 핀은 펌핑력과 펌핑 시간을 줄이는데 초점을 맞춘다.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에 대체되는 것으로서, 만일 편심 밸브 레버에 의해 작동된다면, 피스톤의 상부에 대해 피스톤 밸브는 각 θ로 회전한다. 이 회전은 스톱 장치로 제한된다. 피스톤 막대의 횡단면은 특정 방식에 따라 두 가지 주요한 형태를 취한다: 다른 매개변수를 가지는 "꽃-모양"의 횡단면은 거의 층류를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반경 r0은 Schrader의 중심 반경보다 짧고, 공기는 "꽃 모양"의 횡단면의 원위부를 통하여 이동한다. 편심 밸브 레버는 도 5D에 나타낸 느슨한 형태로, 상부가 둥글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모델의 특징은 제 3 실시예의 특징과 거의 유사하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 활성 핀은 실린더형 커플링 영역에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 막대를 가지는 피스톤으로서 만들어지는데 활성 핀은 스프링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중심 드릴링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밸브와 중심 드릴링을 가지고 활성 핀의 중심 드릴링은 "꽃 모양"의 횡단면(D-D, 도 8B)을 가지고 피스톤 밸브 막대의 원형부는 신뢰할 수 있게 제어하고 공기 이동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며 각각의 단부에서 중심 드릴링은 원형 횡단면에 의해 점차적으로 팽창한다. 점증 팽창 벽은 0도와 20 사이에서 각 ρ또는 φ를 형성한다. 중심 드릴링의 피스톤 부분에 의한 점증 팽창 벽은 밸브의 밀폐면을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밸브의 밀폐면은 스프링, 예를 들어, 탄성 띠에 의해 정정된 위치로 눌러진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밀폐면은, 압력원의 측부로부터 흐를 때 공기 이동 방향으로 보았을 때, 약 90-150도의 중심축에 대한 각 ψ을 가지는 소영역이 있는데, 이것은 밀폐 기능을 향상시킨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밸브는 핀이나 유사 장치를 구비하고 이것은 Dunlop-Woods 내부 밸브 가장자리의 상부에 끼워맞추어진다. 이것은, 활성핀처럼, 중심 상부에 끼워맞추지 않고서도, Schrader-밸브의 중심 상부에 끼워맞추어지거나 Schrader-밸브의 브릿지에 끼워맞추어진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핀은 핀과 직교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중심 드릴링은, 피스톤의 핀(fin) 둘레 영역에서 유리한 이동을 부여하도록 형성된다. 만약 일체형 체크-밸브와 펌프가 결합된다면 연결기와 체크-밸브 사이의 공간은 에어링 또는 유사 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이 활성 핀은, 그것이 피스톤 막대 및 펌프 밸브의 공차에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신뢰성이 높다. 이것은 생산하기에 경제적이고 체크-밸브없이도 펌프와 낮은 펌프력을 부여한다. 이것은 피스톤 제어 피트 및 펌프 밸브 오차에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서, 활성 핀은 드릴링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고 스프링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밸브를 가지는 중심 축방향 드릴링을 가진다. 밸브와 스프링은 변형재로 일체성형된다.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밸브와 스프링은 정상 각도(2ε)를 가지는 원뿔 섹션에 의해 일부 형성되고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실린더형 섹션에 의해 일부 형성된다. 이 스프링은 고정 장치를 수단으로 활성 핀의 피스톤 부분에 부착된다. 만일 활성 핀에서 중심 드릴링의 벽이 점증적으로 확장되고, 활성 핀의 중심 축에 대해 0도 이상, 20도 이하(일반적으로 6도 내지 12도 사이)의 각 η와 ν를 가진다.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중심 드릴링의 벽은 밸브의 밀폐면을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이 밸브는 스프링에 의해 꽉 죄어지는 위치로 당겨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스톤은 Schrader의 중심 상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하나 이상의 핀(fin) 또는 유사 장치를 구비한다. 활성 핀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미끄럼 밸브는 서로에 대해 위치설정된 두 개의 원뿔형 부분을 가진다. 이것은 밸브 둘레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을 그루브에서 층류로 전환한다. 피스톤 밸브 막대와 피스톤 막대는 예를 들어 실린더형 공기 채널을 한정하고, 나머지 피스톤 막대 부분은 "꽃 모양"의 횡단면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 따른 흐름은 낮은 공기역학적 항력을 보장하므로 통합된 비귀환 밸브없이 저압 펌프를 가지고 쉽게 펌핑 작용을 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경제적이다. 이것은 피스톤 제어 피트와 펌프 밸브 공차에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뿔형의 밀폐면은, 압력원의 측부로부터 흐를 때 공기 이동 방향에서 본 중심축에 대해 90도 -150도의 각도 ξ를 가지는 소영역이고, 밀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와 체크 밸브를 가지는 펌프를 결합하는 경우에, 연결기와 체크-밸브 사이의 공간은 에어링 등을 장착할 필요가 없다. 공기 대신에, 기체 및 모든 종류의 액체가 활성화되어서 활성 핀을 통과하여 둘레에서 흐른다. 본 발명은, 모든 압력원에 결합될 수 있는 연결기에서 결합 방법 및 결합구의 수에 관계없이, 스프링으로 작동되는 코어를 가지는 Schrader 밸브 및 다른 밸브가 결합되는 곳에서, 모든 유형의 밸브 연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명세서에 나타낸 실시예를 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당해업자들은 본원에서 설명하고 나타낸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도 1A는 채널(802)과 피스톤 막대(801)의 횡단면도이다. 이 곡선은 두 가지 모듈 매개변수 푸리에 급수 신장에 의해 정의된다.
도 1B는 알맞은 근사값을 부여하는 "꽃-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수학적 모델을 나타낸다. 이 횡단면에 대해 일반적인 수학식은 위에서 알 수 있다. 나타낸 모델에서:
r0=0.4rmax, m=4이고 n=6이다.
중심 드릴링(303,410,533,653)으로부터 원형 단면의 팽창부(312,313,411,412,538,539,658)까지 변화는 다른 매개 변수를 유지하면서,
r0 →rmax로 수학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밸브로 압착될 수 있는 밸브 연결기에서 압력원과 이격된 위치에서 피스톤(121)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피스톤(121)은 피스톤 막대(122)를 가지고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드릴링(124)으로 뻗어있는 중심 블라인드 드릴링(123)을 구비한다. 두 개의 블라인드 드릴링(123,128)은 "꽃-모양"의 횡단면을 가지고, 블라인드 드릴링(123)의 반지름 r0는 블라인드 드릴링(128)의 반지름 r0보다 길다. 드릴링(123)의 근위부와 드릴링(128)의 원위부는 압력원에서 보았을 때, 점진적으로 팽창한다.
도 2A는 피스톤(121)의 중심축(125)에 대해 방위각 α을 가지는 레이디얼 드릴링(124)을 나타낸다. 이 각 α은 90도보다 크다. 레이디얼 드릴링(124)은 밸브(126)의 하면으로 통한다. 밸브(126)는 파선(126a)에 의해 열린 위치에서 나타나 있다. 밸브(126)는 피스톤 막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압착됨으로써 고정된다.
도 2B는 블라인드 드릴링(128)에 대해 각 β로 열려있는 레이디얼 드릴링(127)을 나타낸다. 각 β는 90도보다 크다. 레이디얼 드릴링(127)은 피스톤 막대(122)에서 이격되어 중심 블라인드 드릴링(128)으로 연결된다.
도 3A는 도 2의 활성 핀을 발전시킨 실시예를 나타내었는데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밸브(225)는 피스톤 밸브(225)에 통합된 편심 밸브 레버(226)에 의해 작동 위치에 있고 피스톤 밸브 막대(227)는 단부에 위치한 밀폐 표면(228)을 가지므로 피스톤 밸브는 열려서 Schrader-밸브가 분리되었을 때, 펌프와 활성 핀의 비귀환 밸브 사이 공간에서 둘레까지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 피스톤 막대(223)는 밀폐면(230)을 가지는 씨일링(229)을 포함한다. 피스톤 밸브(225)는 밀폐면(239)을 가지는 씨일링(238)을 포함하고 피스톤(222)의 상부에 밀폐면(240)이 만들어진다. 드릴링(248)의 반경 r0은 드릴링(224)의 반경 r0보다 짧다. 공기는 "꽃-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중심 드릴링(224)을 통하여 피스톤 막대(227) 둘레로 이동하는데 상기 피스톤 막대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공기 채널(234)(단면 A-A)은 중심 드릴링(224)을 형성한다. 스톱 장치(231)는, 핀이 피스톤 막대(223)를 칠 때 피스톤 밸브가 활성 핀 밖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피스톤 밸브는 압력원 가까이에 점진적인 팽창부를 가진다.
도 3B는 도 3A에 따른 활성 핀을 나타내는데 피스톤 밸브(225)는 공압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밸브 기능은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씨일링(236)에 의해 실행된다. 스톱 장치(231)는 정지면(232)을 가지고 피스톤 막대(223)는 정지면(233)을 가진다.
도 3C는 피스톤 밸브 막대(227)를 신뢰성있게 안내할 때 섹션을 통하여 적절히 흐를 수 있도록 공기 채널(234)에서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피스톤 밸브 막대(227)와 "꽃-모양의" 섹션을 가지는 피스톤 밸브(223)의 단면 A-A를 나타낸다.
도 3D는 피스톤 밸브 막대(227)가 연결 고리(235)에 걸려있는 활성 핀의 상부를 X축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또, 도면은 피스톤 밸브(225)에 통합되고 실린더 표면의 일부분인 편심 밸브 레버(226)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적절한 실시예에서 밸브 레버는 활성 핀의 중심 축(237) 둘레에서 회전 대칭형으로 배치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레그를 수단으로 만들어진다. 도 3D에 나타낸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타이어 밸브로 압착될 수 있는 밸브 연결기의 커플링 영역에서 압력원과 이격되어 피스톤(301)을 가지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활성 핀을 나타낸다. 이 피스톤(301)은 피스톤 막대(302)와 중심 드릴링(303)을 가진다. 활성 핀은 피스톤 밸브(304) 및 편심 밸브 레버(305)를 가진다. 중심축(337).
도 5A는 도 4의 활성핀을 확대한 도면인데,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밸브(304)는 편심 밸브 레버(305)에 의해 작동 위치에 있고 이것은 밀폐면(307)과 씨일링(306)을 포함한다. 피스톤(301)은 밀폐면(309)을 가진다. 공기는 "꽃-모양"의 섹션을 가지는 중심 드릴링(303)의 근위 점진 팽창부(310)를 통하여 원위 점진 팽창부(311)까지 이동한다. 벽(312,313)은 중심 드릴링(303)의 중심축(337)에 대해 각 γ,δ를 이루고 이 각도는 0도 이상, 20도 이하이며 보통 6도와 12도 사이에 있다. 두 팽창부(310,311)는 거의 원형 단면을 가진다. "꽃-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피스톤 밸브 막대(322)와 함께 공기 채널(321)이 한정되는데 그 중 4개는 공기 층 흐름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스톱(315)은, 비귀환 밸브 없이 커플링이 피스톤 펌프에 연결되는 경우에 피스톤 밸브(304)가 활성 핀 밖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톱(315)은 피스톤 밸브 막대(322)의 바닥에서 바아(316)에 의해 탄성 장착된다. 상기 활성 핀은 공기 흐름이라는 관점에서 최적으로 성형된 하나 이상의 핀(fin) 또는 연결고리(318)를 가진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활성 핀을 나타내는데 피스톤 밸브(304)는 공압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스톱 장치(315)는 정지면(319)을 가지고 정지면(320)은 피스톤 막대(302)의 일부분을 이룬다.
도 5C는 섹션을 통하여 알맞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공기채널(311)의 단면 B-B를 나타낸다. 또, 스톱 장치(315)와 핀(318)이 나타나 있다.
도 5D는 편심 밸브 레버(350)와 작동 위치에서 활성 핀을 나타내는데 상기 레버는 활성 핀의 피스톤(301)에서 자유 운동할 수 있고 피스톤 밸브(353)는 상부(351)를 누른다. 이 스톱 장치(352)는, 밸브 레버가 피스톤(301)을 통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보장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실시예에서 밸브 레버는 활성 핀의 중심축(337) 둘레에서 회전 대칭형으로 위치설정된 둘 이상의 레그를 가진다. 밸브 레버는 도 3A에 나타낸 밸브 레버(226)로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5D에 나타낸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도 6A는, 피스톤 밸브(401)가 활성화된 편심 밸브 레버(402)에 의해 열려지는 위치에서, 제 3 실시예와 유사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활성 핀을 나타낸다. 상기 피스톤 밸브(401)는 활성화 핀의 중심축(403)으로부터 각 θ로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중심축(403)과 직각을 이루는 축(404) 둘레에서 회전한다. 피스톤 밸브(401)의 회전은 스톱 장치(405)에 의해 제한된다. 피스톤 밸브(401)는 밀폐면(406)을 가지는 씨일링을 포함하고, 피스톤(407)은 밀폐면(408)을 포함한다. 둥근 상부(421)를 가지는 도 5D의 편심 밸브 레버(402)와 피스톤 막대(420)를 제외하고는, 도 5A에 나타낸 활성 핀과 유사하다.
도 6B는 피스톤 밸브(401)가 닫혀있는 도 6A와 유사한 활성 핀을 나타낸다. 피스톤 막대(409)는 중심 드릴링(418)의 "꽃-모양"의 횡단면에 대해 다른 매개변수를 가진다. 또 도 5A에 나타낸 특징을 가지는, 즉 중심축(403)에 대해 각 μ,κ를 이루는 두 개의 점증 팽창부(410,412) 및 벽(411,412)을 포함한다. Schrader-밸브를 가지는 활성 핀의 접촉면(413)은 원뿔형을 취한다. r0가 Schrader 밸브의 지름보다 짧기 때문에, 어떠한 브릿지도 필요하지 않다.
도 6C는 핀(fin)(415)과 오우프닝(416)을 가지는 도 6A의 Z축을 따라서 본 단면이다.
도 6D는 공기 채널(417)을 한정하는 꽃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피스톤 막대(409)를 가지는 도 6B의 C-C를 따라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밸브로 압착될 수 있는 밸브 연결기의 커플링 영역에서 압력원과 이격된 피스톤(531)을 가지는 제 5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피스톤(531)은 피스톤 막대(532)를 가지고 중심 드릴링(533)을 구비하고 있다.
도 8A는,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밸브(534)가 밀폐면(535)을 가지는 작동 위치에서 활성 핀을 나타낸다. 공기는 중심 드릴링(533)의 근위 점진 팽창부(536)를 통하여 원위 점진 팽창부(537)까지 이동한다. 벽(538,539)은 중심 드릴링(533)의 벽(540)과 각 ρ, φ을 이룬다. 이 각은 0도 이상 20도 이하이고, 일반적으로 6도 내지 12도이다. 두 팽창부(536,537)는 중심 드릴링(533)의 연결부에서 떨어져 원형 횡단면을 가진다. 중심축(543). 피스톤 밸브 막대(544).
도 8B는 도 8A의 D-D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인데 공기 채널(533)은 꽃-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피스톤 막대(532) 및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밸브 막대(544)에 의해 한정된다. 또, 핀(fin)(542)이 나타나 있다.
도 8C는 닫힌 밸브를 가지는 활성 핀을 나타낸다. 피스톤(531)에 고정된 스프링(541)은, 밸브의 밀폐면(535)이 팽창부(536)의 벽(538)에 대해 눌러지도록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밸브(534)를 아래로 누르는 탄성 밴드이다. 상기 밀폐면(535)은 도 11A,11B에 나타낸 것처럼 벽(538)을 가지는 씨일링과 유사하다.
도 8D는 개선된 씨일링 표면 배치를 나타낸다. 표면(551)을 가지는 씨일링(550)과 밀폐면(552)을 가지는 피스톤 막대(553). 90도 내지 150도 사이의 각도 ψ.
도 9는 밸브로 압착될 수 있는 밸브 연결기의 커플링 영역에서 이격된 제 6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651)을 나타낸다. 이 피스톤(651)은 피스톤 막대(652)를 포함하고 중심 드릴링(653)을 구비한다.
도 10A는 닫힌 위치와 작동 위치(파선)에서 활성 핀을 나타내는데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밸브(654)는 밀폐면(655)을 가진다. 공기는 중심 드릴링(653)의 팽창부(656)를 통하여 "꽃-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피스톤 막대의 원위 점진 팽창부(657)까지 이동한다. 벽(658,659)은 중심 드릴링(653)의 벽(660)과 각도 η 또는 ν를 이룬다. 이 각도는 0도 이상 20도 이하이고 보통 6도와 12도 사이에 있다. 두 팽창부(656,657)는 원형 횡단면을 가진다. 밸브(654)는 브레이스(662)에 고정된 스프링(661)을 포함한다. 원위에서, 활성 핀은 하나 이상의 핀 또는 브레이스(663)을 가진다. 또, 원뿔형 부분(664)이 나타나 있다.
도 10B는 세 개의 팽창부(656) 및 브레이스(662)와 도 10A에 나타낸 활성 핀의 상부를 Y축 방향으로 나타낸다. 이 브레이스는 밸브 스프링을 위한 고정 장치로서 사용되고 팽창부(656)는 적절한 흐름 횡단면을 보장한다.
도 10C는 도 10A의 E-E선을 따라서 본 실린더형 공기 채널(653)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알맞은 흐름 횡단면이 보장된다.
도 10D는 도 10A의 F-F 단면을 나타낸다. 내부에서, 피스톤 막대(652)의 단면은 "꽃-모양"으로서 적절한 흐름 횡단면을 보장한다. 그리고, 브레이스(663)로 만들어진 핀이 나타나 있다.
도 11A는, 원뿔형 부분(702)의 밀폐면(704)과 피스톤 막대(701)를 위한 대응하는 표면(703)은 압력원으로부터 흐르는 공기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심 축(665)에 대해 90도 이상, 150도 이하의 각도 ξ를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활성 핀을 나타낸다.

Claims (45)

  1. 피스톤 막대(122,223,302,409,420,532,652,701)를 가지는 피스톤(121,222,301,407,531,651)으로 만들어지고, 밸브 연결기의 커플링 영역으로 움직이며 활성 핀은 중심 드릴링(123,128,224,234,303,418,533,653)과 피스톤 밸브(126,225,304,353,401,534,654,702)를 탄성력에 의해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밸브 연결기를 위한 활성 핀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123,128,224,234,303,321,417,418,533,653,657)은 활성핀이 조립된 상태에서 피스톤 막대(122,223,302,409,420,532,652,701) 및/ 피스톤 밸브 막대(227,322,544,661)에 의해 한정되는데 채널(123,128,224,234,303,321,417,418,533,653,657)은 활성 핀의 중심축(125,237,337,403,543,665)에 대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그것의 횡단면은 하나 이상의 폐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두 개의 모듈 매개변수 푸리에 급수 신장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데, 각 좌표 함수 중 하나는 수학식 1임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 제 1 항에 있어서, 곡선은 단일 푸리에 급수 신장, 수학식 2에 따라 정의될 수 있고 수리 극을 통하여 섹션 평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선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영역의 경계를 정하는 하나 이상의 규칙 곡선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곡선은 수학식 3에 의해 한정되고 극 좌표에서 횡단면은 수학식 4를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4.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채널(123,128,224,234,303,321,417,418,533,653,657)은 활성 핀의 중심선(125,237,337,403,543,665)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5.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중심 드릴링(123,128)은 알맞은 레이디얼 드릴링(124,127)에 의해 연결된 활성 핀의 양 단부에서 활성 핀으로 뻗어있는 중심축(125)과 평행을 이루는, 두 개의 블라인드 드릴링으로서 만들어지는데, 압력원과 근위의 근위 레이디얼 드릴링(124)은 압력원으로부터 이동하는 공기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피스톤(121)의 중심축(125)과 90도 이상의 방위각을 가지며, 피스톤 막대(122)는 사이드 드릴링(124)을 덮는 피스톤 막대(122)로 압축되는 탄성재로 만들어진 동심 밸브(1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6. 제 5 항에 있어서, 원위 레이디얼 드릴링(127)은 압력원으로부터 이동하는 공기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피스톤 막대(122)의 중심 블라인드 드릴링(128)에 대해 90도 이상의 방위각(β)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7. 제 6 항에 있어서, 원위 중심 블라인드 드릴링(128)의 반지름 r0은 중심 드릴링(123)의 근위부의 반지름 r0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8.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탄성력은 피스톤(222,301,407)을 편심 통과하는, 밸브 레버(226,305,402) 및 가압 공기 결합부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9. 제 8 항에 있어서, 피스톤 밸브(225,304)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0. 제 8 항에 있어서, 피스톤 밸브(225,304)는 스톱 장치(231,31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1.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피스톤 막대(223)에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드릴링(244,247) 및, 탄성재로 만들어진 동심 밸브(236)가 장착되며, 이 동심 밸브는 피스톤 막대(223)로 압착되고 레이디얼 드릴링(244)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2. 제 11 항에 있어서, 레이디얼 드릴링(244)은 압력원으로부터 이동하는 공기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피스톤(223)의 중심축(237)과 90도 이상의 방위각(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3. 레이디얼 드릴링(247)이 중심 드릴링(248)을 가지는 피스톤 막대(223)의 원위에 배치된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레이디얼 드릴링(247)은 피스톤 막대(223) 중심 드릴링(248)의 중심축(237)과 90도 이상의 방위각(β)를 이루는데 여기에서 레이디얼 드릴링(247)은 중심 드릴링(248)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4. 제 9 항에 있어서, 피스톤 밸브 막대(227)는 고정 장치(235)에 의해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5. 제 8 항에 있어서, 각 단부에서 중심 드릴링(303,418)은 원형 횡단면 부분(310,311,410,419)으로 점진적으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6. 제 15 항에 있어서, 팽창 벽은 활성 핀의 중심축(337,403)에 대해 각(γ,μ) 또는 (σ,κ)를 이루는데 이 각은 0도 이상 20도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γ,μ) 또는 (σ,κ)는 6도 내지 12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8. 제 8 항에 있어서, 중심 드릴링(224,303)에서 활성 핀의 피스톤(222,301,407)의 상부(240,309,408)는 피스톤 밸브(225,304,401)의 씨일링 부재(238,36,414)를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19. 제 8 항에 있어서, 피스톤 밸브 막대(227)의 바닥(228)은 중심 드릴링(224)의 바닥에서 씨일링 부재(229)를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0. 제 8 항에 있어서, 밸브 레버(350)는 상부면(351)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자유 운동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운동은 스톱 장치(352)를 통하여 피스톤(301) 및 피스톤 밸브(353)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1.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밸브 레버(226,305)에 둘 이상의 레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2. 제 21 항에 있어서, 밸브 레버(226,305)의 레그는 중심축(237,337) 둘레에서 회전 대칭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3. 제 22 항에 있어서, 밸브 레버(226)는 실린더형 표면의 일부분인 피스톤 밸브(225)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4. 제 8 항에 있어서, 피스톤 막대(302,420)는 하나 이상의 핀(fin)(318)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5. 제 8 항에 있어서, 피스톤 밸브(401)는 중심축(403)과 직각을 이루는 축(404)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6. 제 8 항에 있어서, 피스톤 밸브(401)의 회전은 스톱 장치(405)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7. 제 8 항에 있어서, 밸브 레버(402)는 축 방향으로 자유 운동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운동은 상부면(351)을 통하여 피스톤 밸브(401) 및 스톱 장치(352)를 통하여 피스톤(407)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8. 제 25 항에 있어서, 중심 드릴링(418)의 반지름 r0은 Schrader-밸브 접촉면(413)의 중심 지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29.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중심 드릴링(533)은 전체 피스톤 막대(532)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0.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피스톤 밸브 막대(544,553)는 피스톤에 의해 제어되고 밸브 스프링 장치(541)는 탄성 밴드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1. 제 30 항에 있어서, 피스톤 막대(532,553)의 각 단부에서 중심 드릴링의 벽(538,539)은 점진적으로 넓어져서 각 단부에서 원형 횡단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점증 팽창부(536,537)의 벽(538,539)은 중심축에 대해 각 ρ, φ을 이루는데, 이 각은 0도 이상, 20도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3. 제 31 항에 있어서, 각 ρ, φ은 6도 내지 12도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4. 제 31 항에 있어서, 중심 드릴링(533)의 피스톤 부분에 의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부분(536)의 벽(528)은 피스톤 밸브(534)의 밀폐면(535)을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5. 제 29 항에 있어서, 피스톤 밸브(534)는 하나 이상의 핀(fin)(54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6. 제 34 항에 있어서, 씨일링(550)의 밀폐면(551)은 압력원의 측부로부터 이동하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보았을 때 활성 핀의 중심축(543)에 대해 90도 이상 150 이하의 각도 ψ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7. 제 29 항에 있어서, 피스톤 밸브(654)와 스프링(661)은 적절한 탄성 계수를 가지는 변형재로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8. 제 37 항에 있어서, 미끄럼 밸브(654)와 스프링(661)은 정점 각(2ε)을 가지는 원뿔면과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실린더형 면으로 구성되고, 스프링(661)은 고정 장치(662)에 의해 활성 핀의 피스톤 부분(65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39. 제 38 항에 있어서, 활성 핀에서 중심 드릴링(653)의 벽(658,659)은 활성 핀의 중심축(665)에 대해 각 η,ν을 이루며 점진적으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40. 제 39 항에 있어서, 활성 핀의 중심축(665)에 대해 각 η,ν은 0도 이상, 20도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41. 제 39 항에 있어서, 각 η,ν은 6도 내지 12도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42. 제 39 항에 있어서, 중심 드릴링(653)의 점증 팽창부(657)의 벽(659)은 밸브(654)의 밀폐면(655)을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43. 제 37 항에 있어서, 미끄럼 밸브(654)의 원뿔면은 서로에 대해 배치된 두 개의 원뿔형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44. 제 35 항에 있어서, 핀(542)은 핀과 직각을 이루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45. 제 39 항에 있어서, 원뿔형 부분(702)의 밀폐면(704)은 압력원으로부터 이동하는 공기 흐름 방향에서 본 활성 핀의 중심축(665)에 대해 90도 이상, 150도 이하의 각도 ξ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핀.
KR1019980709146A 1996-05-14 1997-05-14 활성 핀 KR200000109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9600168 1996-05-14
DK9600168U DK9600168U3 (da) 1996-05-14 1996-05-14 Ventilkobling
DK9600180 1996-05-24
DK9600180U DK9600180U3 (da) 1996-05-14 1996-05-24 Ventilkobling
DK9600227 1996-06-28
DK9600227U DK9600227U3 (da) 1996-05-24 1996-06-28 Ventilkobling
DK9700048U DK9700048U3 (da) 1996-05-14 1997-01-31 aktiveringspind til ventilkobling
DK9700048 1997-01-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153A Division KR100613121B1 (ko) 1996-05-14 1997-05-14 활성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997A true KR20000010997A (ko) 2000-02-25

Family

ID=274397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146A KR20000010997A (ko) 1996-05-14 1997-05-14 활성 핀
KR1020027006153A KR100613121B1 (ko) 1996-05-14 1997-05-14 활성 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153A KR100613121B1 (ko) 1996-05-14 1997-05-14 활성 핀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6378547B1 (ko)
EP (2) EP0906529B1 (ko)
JP (1) JP2000514527A (ko)
KR (2) KR20000010997A (ko)
CN (2) CN1119542C (ko)
AP (1) AP9801413A0 (ko)
AT (1) ATE259954T1 (ko)
AU (2) AU739666B2 (ko)
BR (1) BR9709242A (ko)
CA (1) CA2254964A1 (ko)
CY (1) CY2467B1 (ko)
DE (1) DE69727678T2 (ko)
DK (2) DK9700048U3 (ko)
EA (1) EA000511B1 (ko)
ES (1) ES2218678T3 (ko)
HK (1) HK1019918A1 (ko)
HU (1) HUP9904704A3 (ko)
NO (2) NO985269L (ko)
NZ (2) NZ505701A (ko)
OA (1) OA10923A (ko)
PL (1) PL184214B1 (ko)
PT (1) PT906529E (ko)
RO (1) RO119137B1 (ko)
SI (1) SI0906529T1 (ko)
SK (1) SK155998A3 (ko)
TW (2) TW363924B (ko)
UA (1) UA73068C2 (ko)
WO (1) WO1997043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2936A (ja) * 1995-02-03 1998-12-08 エヌブイビ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バルブコネクター
TW363924B (en) 1996-05-14 1999-07-11 Nvb Int Activation pin for valve connector providing a reliable activation pin which is inexpensive, has low air-power resistance, and is therefore suitable for use as pump
US6648005B2 (en) 1998-11-13 2003-11-18 Nvb International Activation pin
KR20030096290A (ko) 2001-03-27 2003-12-24 엔브이비 컴포지츠 인터내셔널 에이/에스 챔버와 피스톤의 조합체, 및 이 조합체를 결합한 펌프,모터, 완충기 및 변환기
TW201207237A (en) * 2010-08-03 2012-02-16 Shu-Mu Wu Air pump head
TW201235565A (en) 2011-02-25 2012-09-01 Nvb Composites Internat Uk Ltd Piston-chamber combination vanderblom motor
AU2012299891A1 (en) 2011-07-01 2014-02-20 Nvb Composites International Uk Ltd Piston-chamber combination - Vanderblom Motor
US9328834B2 (en) * 2014-04-30 2016-05-03 Beto Engineering & Marketing Co., Ltd. Air valve connecting device
CN104595537B (zh) * 2014-12-24 2017-01-18 宁波五马实业有限公司 一种快速安装的气嘴接头
TWI632317B (zh) * 2017-09-12 2018-08-11 雙餘實業股份有限公司 Inflatable joint
WO2019193744A1 (ja) * 2018-04-06 2019-10-10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タイヤバルブ
TWI665401B (zh) * 2018-08-21 2019-07-11 許龍國 氣嘴接頭具自動止氣結構
CN112005035B (zh) * 2019-03-26 2022-07-29 太平洋工业株式会社 阀门
US11168678B2 (en) * 2020-03-05 2021-11-09 Scott Wu Inflation pump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2838A (en) 1917-11-26 1924-05-06 Lloyd W Dilweg Device for transmitting compressed air to automob ile tires
GB231992A (en) 1924-02-29 1925-04-16 Dunlop Rubber Co An improved connection for fitment to valves of pneumatic tyres
US1850111A (en) 1928-09-10 1932-03-22 Paul C Swole Combined air gauge and self closing outlet fitting
US2025067A (en) 1934-12-17 1935-12-24 Thomas S Miller Tank filling device
US2257498A (en) 1939-10-10 1941-09-30 Clarence K Hansen Tire inflation apparatus
US2489397A (en) * 1944-05-05 1949-11-29 Brummer Henry Tire valve operating device
US2716998A (en) 1949-03-02 1955-09-06 Joseph J Knasko Combined tire inflating chuck, deflator and blow gun
US2685906A (en) 1952-01-19 1954-08-10 Scovill Manufacturing Co Running inflation and deflation system
GB872246A (en) 1956-08-03 1961-07-05 Walters & Dobs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yre valve connectors
US2976906A (en) 1958-09-10 1961-03-28 Wunibald I E Kamm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GB977139A (en) 1962-10-15 1964-12-02 Walters & Dobs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yre valve connectors
US3249144A (en) 1964-09-23 1966-05-03 Berg Mfg & Sales Co Tire pressure system and valve
FR2180164A5 (ko) 1972-04-11 1973-11-23 Poutrait Morin
US3911988A (en) * 1974-02-21 1975-10-14 Eaton Corp Pressurization control device
DE2544555A1 (de) * 1975-10-04 1977-04-07 Magirus Deutz Ag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luftdruckes im reifen eines fahrzeuges
IT1056460B (it) * 1976-02-04 1982-01-30 Dante B Corpo valvolare per valvole per pneumatici
US4088147A (en) 1976-07-09 1978-05-09 Control Devices, Incorported Air chuck
GB1599304A (en) 1977-09-23 1981-09-30 Scovill Inc Inflation valve connectors
US4165760A (en) 1977-10-17 1979-08-28 Guenther Manfred H Air chuck
US4489855A (en) 1982-08-27 1984-12-25 Code Manufacturing, Inc. Instant tire inflator
DE3478136D1 (en) 1983-01-27 1989-06-15 Precision Valve Corp Tire valve connector
FR2552851B1 (fr) 1983-09-30 1986-08-14 Poutrait Morin Embouts destines a etre fixes aux extremites d'un conduit flexible, pour constituer un raccord utilisable sur une pompe portative pour le gonflage de pneumatiques, et raccord comportant de tels embouts
DE8602739U1 (ko) * 1986-02-03 1987-10-01 Alligator Ventilfabrik Gmbh, 7928 Giengen, De
US4662412A (en) 1986-05-13 1987-05-05 Peter Bergmann Inflating device for use single-handed
US4712812A (en) 1986-09-02 1987-12-15 Weir Iii Joseph W Universal fittings
DE3729327A1 (de) * 1987-09-02 1989-03-16 Bosch Gmbh Robert Reifendruck-steuerventil iii
DE3819771A1 (de) 1987-12-18 1989-07-06 Karl Scheffer Klute Gmbh & Co Handluftpumpe fuer zweiradreifen
US4901747A (en) * 1988-06-29 1990-02-20 David Moliver Tire inflation valve with pressure indicator
US4938272A (en) 1989-01-26 1990-07-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lve actuator for tire pressure management
US4932451A (en) 1989-01-26 1990-06-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wheel end assembly with air passage
FR2653523B3 (fr) 1989-10-19 1991-10-04 Hernandez Manuel Raccord d'adaptation d'une bonbonne de gaz comprime a une valve de gonflage de pneu.
US5012954A (en) 1990-02-08 1991-05-07 Will Conrad A Tire inflation system
DE4120188C1 (ko) 1991-06-19 1992-09-17 Cramer Gmbh & Co Kg, 5750 Menden, De
US5094263A (en) * 1991-08-02 1992-03-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Tire pressure management actuator with bypass leakage prevention
JPH10512936A (ja) * 1995-02-03 1998-12-08 エヌブイビ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バルブコネクター
US5778923A (en) * 1995-10-25 1998-07-14 Marston; Philip William Anti-seepage self-gauging inflation valve system
DE19601952A1 (de) 1996-01-09 1997-07-10 Gruener Uko Picasso Luftdruckrohr-Flasche mit Ventil
US5762095A (en) * 1996-04-22 1998-06-09 Schwinn Cycling & Fitness Inc. Combination pump head
TW363924B (en) 1996-05-14 1999-07-11 Nvb Int Activation pin for valve connector providing a reliable activation pin which is inexpensive, has low air-power resistance, and is therefore suitable for use as pump
US5785076A (en) * 1996-05-20 1998-07-28 You; Bae-Jou Inflating assembly for tire
US5819781A (en) * 1997-07-28 1998-10-13 Wu; Scott Pumping device with a pivotal lever for various val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K155998A3 (en) 1999-04-13
PL329876A1 (en) 1999-04-12
NO985269D0 (no) 1998-11-11
SI0906529T1 (en) 2004-08-31
CA2254964A1 (en) 1997-11-20
RO119137B1 (ro) 2004-04-30
HUP9904704A2 (hu) 2000-09-28
WO1997043570A1 (en) 1997-11-20
TW487654B (en) 2002-05-21
NO985269L (no) 1999-01-12
AU2764897A (en) 1997-12-05
DE69727678T2 (de) 2005-01-13
DE69727678D1 (de) 2004-03-25
KR20030097594A (ko) 2003-12-31
EA199801014A1 (ru) 1999-06-24
DK9700048U3 (da) 1997-05-09
KR100613121B1 (ko) 2006-08-17
ES2218678T3 (es) 2004-11-16
US6378547B1 (en) 2002-04-30
JP2000514527A (ja) 2000-10-31
CN1119542C (zh) 2003-08-27
DK0906529T3 (da) 2004-06-21
HUP9904704A3 (en) 2001-11-28
CN1487226A (zh) 2004-04-07
AU739666B2 (en) 2001-10-18
NZ333327A (en) 2000-08-25
ATE259954T1 (de) 2004-03-15
OA10923A (en) 2003-02-21
NZ505701A (en) 2002-06-28
EP1437540A2 (en) 2004-07-14
CN100353104C (zh) 2007-12-05
AP9801413A0 (en) 1998-12-31
TW363924B (en) 1999-07-11
CY2467B1 (en) 2005-06-03
PT906529E (pt) 2004-07-30
CN1219227A (zh) 1999-06-09
AU2005202130A1 (en) 2005-06-09
EP1437540A3 (en) 2004-07-28
PL184214B1 (pl) 2002-09-30
BR9709242A (pt) 1999-08-10
EP0906529A1 (en) 1999-04-07
NO20045378L (no) 1999-01-12
EA000511B1 (ru) 1999-10-28
EP0906529B1 (en) 2004-02-18
UA73068C2 (en) 2005-06-15
HK1019918A1 (en) 200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0997A (ko) 활성 핀
US5158270A (en) Enclosed hydraulic cylinder acting as a tension-buffer
IT201700011606A1 (it) Sistema di apertura / chiusura automatica mediante una porta, anta o similare di tipo scorrevole
US10302218B2 (en) Drill stem safety valve actuator
AU2002308385B2 (en) A combination of a chamber and a piston, a pump, a motor, a shock absorber and a transducer incorporating the combination
JP2010535095A5 (ko)
KR101653932B1 (ko) 체크 밸브
RU2007104047A (ru) Выдачной кран с двухкаскадным клапаном
US6648005B2 (en) Activation pin
SE522311C2 (sv) Hydraulisk radialkolvmotor
DE50100240D1 (de) Zweistufiges Ventil
DE602004000901D1 (de) Hydraulisch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IT202000005674A1 (it) Valvola di controllo idrodinamica
IT201700011597A1 (it) Attuatore lineare, nonche’ sistema di apertura / chiusura che include tale attuatore
IT201700011628A1 (it) Unita’ di controllo per un attuatore, nonche’ attuatore che include tale unita’ di controllo
AU2008201059A1 (en) Activating pin
JPH01169103A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WO2020118464A1 (es) Manga para una válvula de tipo pinch
AU1192702A (en) Activating pin
KR19990036203U (ko) 피스톤 체크 밸브
WO2008140320A3 (en) Constant flow valve
JPS6148002B2 (ko)
JPH06323304A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CZ365598A3 (cs) Aktivační hrot
ATE340954T1 (de) Druckmittelzyl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