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918A -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 Google Patents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918A
KR20000009918A KR1019980030596A KR19980030596A KR20000009918A KR 20000009918 A KR20000009918 A KR 20000009918A KR 1019980030596 A KR1019980030596 A KR 1019980030596A KR 19980030596 A KR19980030596 A KR 19980030596A KR 20000009918 A KR20000009918 A KR 20000009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thermoplastic
sheet
materials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프 헨리히
Original Assignee
로베포름 쿤스트슈토페 게엠베하 운트 컴퍼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포름 쿤스트슈토페 게엠베하 운트 컴퍼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로베포름 쿤스트슈토페 게엠베하 운트 컴퍼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1998003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918A/ko
Publication of KR2000000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재료 및 고무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본 발명은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이런 재료로 만들어진 쉬트(sheet)와 같은 건축 재료 및 성형 제품, 및 건축 재료 및 성형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76 년에 공고된 독일 특허 No. 21 59 735 는 분쇄에 의해 이온 교환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고무 분말("고무 밀(meal)") 및/또는 거친 고무 분말("성긴 고무 밀")로 변형되는, 노후 차량 타이어의 용도를 기재한다.
독일 공고 No. 1086437 은 방향족 모노비닐 화합물 및 지방족 공액 디엔 화합물 25 내지 70 % 를 함유하는 혼합 중합체를 필름형 막으로 형성하고, 이 막을 고리화 또는 가황에 의해 불용성이 되고 그 다음 염소아실화 및 마지막으로 활성화하는 음이온 선택막(격막)의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독일 특허 No. 21 59 735 에서는 독일 특허 No. 1 086 437 의 방법에 있어서 정의된 화합물, 즉 방향족 및 지방족 부분으로 이루어진 임의 혼합 중합체가 출발 재료인 반면, 독일 특허 No. 21 59 735 에 있어서 고무 분말 및/또는 거친 고무 분말이 탄소(검댕) 충진 가황고무임을 언급한다.
독일 특허 No. 21 59 735 에서는 독일 특허 No. 1086473 에 따른 종래 기술로부터의 추가 차이는 독일 특허 No. 1086473 이 막의 제조를 기재하는 반면, 특허 21 59 735 의 생성물에서는, 정의된 형태가 없다는 사실을 추가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무 분말("고무밀") 또는 거친 고무 분말("성긴 고무밀")의 함량 정의의 관계에서, 정의가 독일 특허 No. 21 59 735 에 사용된 것들과 동일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독일 특허 No. 21 59 735 에 기재된 다른 종래 기술이 또한 여기에서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한 관점으로부터의 고찰에서 본 발명은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를 제공하고, 여기에서 상기 재료는 열가소성 재료 및 고무 재료의 용융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관점으로부터의 고찰에서 본 발명은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을 형성하는 용융용 혼합물을 제공하고, 상기 혼합물은 고무 재료와 혼합된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초는 고무 및 열가소성 재료의 혼합물이 쉬트형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예컨대 압출, 특히 고온에서 압출에 의해 건축 재료로 성형변형되기 매우 쉽다는 놀라운 사실이다.
아마 이들 출발 재료와 또는 인레이(inlay)된 재료형 유리 필라멘트 및/또는 금속 필라멘트와 함께 고무 분말 및/또는 성긴 고무 분말과 분말형이거나 분리된 입자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결국 부가 혼합 충진제 및/또는 인레이된 재료를 지닌 혼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특정 생성물 또는 제품의 형태로 고무 재료 및 열가소성 재료를 기계적으로 및/또는 가열에 의해 및/또는 압력에 의해 및/또는 조사에 의해 함께 결합한다.
또다른 관점으로부터의 고찰에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재료와 고무 재료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가열시켜 용융 혼합물을 형성시키며 이 용융 혼합물을 필요한 형태의 상기 건축 재료 또는 상기 성형 제품으로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압출 장치를 이용한후 과립 형태로 출발 재료를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원하는 형태, 예컨대 쉬트의 형태를 달성하는데 있다.
거친 고무 분말이 고무 출발 재료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내용물에 대한 출발 재료로서, 분말 형태의 폴리에틸렌이 특히 적당하고, 이에 의해 예컨대 폴리에틸렌 병 클로저(closures)의 재활용에 의해 제조된 노후 폴리에틸렌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는 루핑(roofing) 목적을 위한 쉬트로 특히 제조될 수 있고 우수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이들 쉬트는 대단히 내후(식)성 및 내열성이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쉬팅(sheeting)을 이용하는 시험 루프(roofs)에 대한 측정은 쉬팅이 임의 손상 없이 -20 ℃ 내지 +80 ℃ 의 온도를 견딜 수 있다.
쉬트의 추가 이점은 이들의 극저 인화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쉬트 및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성형 재료를 바닥 성분 또는 방음 성분으로 종래 공지된 방식에서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을 목적 생성물로 그 다음 추가로 가공될 수 있는 소위 용융 혼합물로서 또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의 용도의 추가 분야는 임의 용적에서 절연 쉬트 및/또는 루핑 언더레이(underlay) 쉬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 혼합물의 열가소성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 이외에,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비닐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로 제조된 쉬트의 파단곡(breaking strain)은 190 내지 200 % 의 구역이다.
비중은 1,2 내지 1,3 의 구역에 있다.
경도는 바람직하게 90 ∼ 100 의 구역, 즉 쇼어(Shore) A 경도이다.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재료가 부가 재료(첨가제) 및/또는 충진제, 예컨대 폐쇄셀(cells) 및/또는 개방셀(예컨대 폴리스티렌 과립)의 발포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더욱이, 필라멘트 예컨대 유리 필라멘트 및/또는 금속 필라멘트 및/또는 탄소 섬유를 혼입할 수 있다.
광택제로서 안료, 예컨대 이산화티탄을 혼입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재료에 조사 시험을 실행하여, 이들 재료가 예를 들어 높은 내자외선성을 또한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기재될 것이다.
실시예
입자 크기 3 mm 의 폴리에틸렌 분말 25 kg 및 입자 크기 1 mm 의 거친 고무 분말 20 kg 을 10 분 동안 180 ℃ 의 온도에서 혼합시킨다.
원한다면, 그 자체로 공지된 추가 첨가제를 열가소성 혼합물로 첨가할 수 있다.
혼합기 속의 내용물의 일부를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재과립화시킨다. 제조된 과립은 시판용 재료를 형성한다.
생성 혼합물의 내용물의 다른 부분을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흡인에 의해 압출기로 이동시키고 쉬트의 형태로 건축 재료로 압출시킨다.
이런 식으로 -20 ℃ 내지 +85 ℃ 의 내열성인 방음 재료를 제조한다. 더욱이, 쉬트는 방수이고 내마모성이며 파괴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재료를 슬레이트 대신 루핑용 타일로서 및 추가로 구두창, 석고컵 및 소위 "악어형"(코끼리 피부), 즉 두께 약 5 mm 이하의 쉬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쉬트의 사용 및 조작성을 임의로 공지 방법, 예컨대 컷팅 및 플래닝(planing)에 의해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임의 원하는 형태로의 형성은 가열에 의해 가능하며; 추가로 이 재료를 쉽게 융합(용접)할 수 있다.
그래서 재료는 추가로 가공되기 전에 쉬트형일 수 있다.
고무 분말 또는 거친 고무 분말과 별개로 열가소성 성분으로서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비닐화합물, 예컨대 폴리스티렌이 적합하다.
재료의 내용물의 결합은 소위 반데르 발스 결합에 의해 특히 영향을 받고, 이것은 압력(용융 압력) 및/또는 열 및/또는 조사에 의해 유발된 결과, 소위 용융 혼합물을 만들어 낸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고무 재료 뿐만 아니라 열가소성 재료는 분말 형태이다.
예로써, 열가소성 및 고무 재료의 분말형 혼합물의 용융 압출후 냉각에 의해 제조된 쉬트의 시험받는 물리적 특성은 하기와 같다:
1. 밀도(비중), 표준 DIN 53497 은 1.23 g/cm3이다.
2. 220 ℃ 및 250 바(bar)에서 타격 굴곡 강도 예비압출. 표준: 샤르피(Charpy) 배열, 결과: 파괴 없음.
3. -40 ℃ 의 냉조건에서 충격 굴곡 굽힘 강도. 제조 및 시험 조건이 시험 번호 2 에서와 동일. 결과: 파괴 없음.
4. 표준 온도에서 충격 굴곡 굽힘 강도. 제조 및 시험 조건은 시험 번호 3 에서와 동일하다. 결과: 파괴 없음.
5. 인장강도, 제조 및 시험 조건은 시험 번호 2 에서와 동일, 시험 표준 DIN 53455/3/3. 결과: 인장강도가 8.7 MPa 이다.
6. 재료가 장력이 없을 때의 왜곡, 재료 및 시험 조건은 시험 번호 5 에서와 동일하다. DIN 53455/3/3 결과, 이 왜곡은 100 % 초과이다.
7. 쇼어 A 경도: 95
본 발명의 열가소성 재료 및 고무 재료는 고온에서 압출에 의해 건축 재료로 성형변형되기 매우 쉬워,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을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Claims (15)

  1. 열가소성 재료 및 고무 재료의 용융혼합물을 함유하는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고무 재료 및 열가소성 재료가 기계적으로 및/또는 가열에 의해 및/또는 조사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이산 입자로 존재하는 재료.
  3. 제 2 항에 있어서, 용융 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재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재료가 거친 고무 분말로 이루어진 재료.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재료가 분말 형태인 재료.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진제를 함유하는 재료.
  7. 제 6 항에 있어서, 충진제가 개방셀(cells)의 발포 재료 및/또는 폐쇄셀의 발포 재료 및/또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재료.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쉬트형태인 재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건축 재료.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 제품.
  11. 열가소성 재료와 고무 재료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가열시켜 용융 혼합물을 형성시키며 이 용융 혼합물을 필요한 형태의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으로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 방법.
  12. 열가소성 재료 및 고무 재료의 물리적 화합물을 포함하는 쉬트 재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충진제, 특히 취입 충진제를 포함하는 쉬트 재료.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용융 압출에 의해 형성된 쉬트 재료.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루핑 언더레이(roofing underlay) 쉬트인 쉬트 재료.
KR1019980030596A 1998-07-29 1998-07-29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KR20000009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596A KR20000009918A (ko) 1998-07-29 1998-07-29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596A KR20000009918A (ko) 1998-07-29 1998-07-29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918A true KR20000009918A (ko) 2000-02-15

Family

ID=1954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596A KR20000009918A (ko) 1998-07-29 1998-07-29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9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56B1 (ko) * 2002-04-30 2004-08-09 주식회사 신양테크 건물 층간 소음방지용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56B1 (ko) * 2002-04-30 2004-08-09 주식회사 신양테크 건물 층간 소음방지용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84641B (en) Process of reacting a poly(sulfonyl azide) coupling agent with a starting material, composition, process of preparing shaped polymer articles, and article
US3213071A (en) Foamed olefin polymer process
CN109476139B (zh) 叠层体
US5397825A (en) Rubber recycling process and product
EP3430066B1 (en) Process for preparing foamed articles made from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s
EP3201265B9 (en) High frequency weldable eth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s with good flame retardancy
KR20150068295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CA2267402A1 (en) Expandable synthetic resin composition, synthetic resin foam,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foam
US6255391B1 (en)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building materials or shaped articles
CA3033920C (en) Method and composition of making polymer products
US3947388A (en) Foamed plastic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000009918A (ko) 건축 재료 또는 성형 제품의 제조용 재료
Kowalska et al. Use of post-life waste and production waste i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KR20010009382A (ko) 발포용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H10259268A (ja) 架橋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AU3428900A (en) Foam material
KR101831529B1 (ko)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3226775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およびその発泡成形体
EP2868453A1 (en) Composite material of rubber granulates from recycled used tires in a polymer matrix
KR10174065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3912874B (zh) 回收pet塑料瓶再制pet复合材料母粒及制法与发泡鞋材的应用
JPH01272602A (ja) 塩素化ゴム
JPH03192133A (ja) エラストマー発泡体の製造方法
KR20020086037A (ko) 목재 합판 대체용 재활용 플라스틱판재의 제조 방법 및 그판재
KR830001467B1 (ko) 열가소성 합성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