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203U -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203U
KR20000008203U KR2019980019825U KR19980019825U KR20000008203U KR 20000008203 U KR20000008203 U KR 20000008203U KR 2019980019825 U KR2019980019825 U KR 2019980019825U KR 19980019825 U KR19980019825 U KR 19980019825U KR 20000008203 U KR20000008203 U KR 200000082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eat
driver
passenger sea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영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19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203U/ko
Publication of KR20000008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203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에 관하여 개시하는 것으로서,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에 의해 충돌을 감지하여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 탑승한 사람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을 지니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는 탑승자가 착석하지 않았을 때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에 의한 전원회로를 차단하여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검출센서(24)(25)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도 탑승자가 없는 상태라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하여 고가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교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본 고안은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도 탑승자가 없는 상태라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하여 고가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교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자동차의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 탑승한 사람을 충돌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스티어링 휘일(12)에는 운전석 에어백(22)이 설치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13)에는 조수석 에어백(23)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은 인플레이터, 에어백, 패드커버 등을 일체로 조립하여 에어백 모듈을 형성하는 구성에 있어 동일성을 지닌다.
좀더 구체적으로 인플레이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내부의 작약·점화제·가스 발생제 순으로 점화가 진행되어 고압의 가스(통상 질소)를 발생한다. 에어백은 다단으로 접혀진 상태로 인플레이터 상부에 거치된다. 패드커버는 에어백이 정확한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유도한다.
이 외에도 자동차 엔진룸(11)에서 좌우측으로는 충격에 따른 관성력으로 내부의 접점을 연결하는 G센서인 전방 충격센서(21)가 사용되고, 세이핑 충격센서(26)를 지니고 에어백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진단 유니트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자동차 충돌시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가 인플레이터의 전원회로를 연결하여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약 0.04초 이내에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이 동시에 팽창, 전개된다.
그런데 에어백 모듈은 자동차에 있어서 그 작동의 신뢰성만큼이나 고가 부품으로 제작되고 있어 일반화되지 못하는 실정인데, 조수석(15)에 탑승자가 없는 상태에서 작동되거나 운전자가 운전석(14)을 잠시 떠난 상태에서 작동된다면 신품 교체에 따른 비용부담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도 탑승자가 없는 상태라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하여 고가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교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엔진룸 12: 스티어링 휘일
13: 인스트루먼트 패널 14: 운전석
15: 조수석 16: 키스위치
21: 전방 충격센서 22: 운전석 에어백
23: 조수석 에어백 24, 25: 검출센서
26: 세이핑 충격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는,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에 의해 충돌을 감지하여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 탑승한 사람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을 지니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는 탑승자가 착석하지 않았을 때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에 의한 전원회로를 차단하여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검출센서(24)(25)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검출센서(24)(25)는 탑승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동안만 전원회로를 연결하는 접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은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에 의해 충돌을 감지하여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 탑승한 사람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을 지니는 자동차에 관련된다. 통상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은 동일한 전방 충격센서(21)와 세이핑 충격센서(26)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므로 본 고안이 하나의 에어백 모듈, 즉 운전석 에어백(22)만 설치되는 자동차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는 탑승자가 착석하지 않았을 때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에 의한 전원회로를 차단하여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검출센서(24)(25)가 각각 설치된다.
검출센서(24)(25)는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서 시트백이나 쿠션 부분에 설치하는데, 탑승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하중을 전달받기 용이한 쿠션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센서(24)(25)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탑승자 신체와의 접촉을 보장할 수 있는 크기가 확보되어야 한다. 전방 충격센서(21), 세이핑 충격센서(26) 등을 사용하는 구성이나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 자체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회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검출센서(24)(25)는 탑승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동안만 전원회로를 단락하는 접점을 지닌다. 즉 푸시버튼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며 이 경우 노멀 오픈되는 a접점 형식을 택한다. 탑승자가 자리를 이탈하면 즉시 회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도 2에서 부호 B는 배터리를 나타내고 부호 16은 키스위치를 나타내는 바, 키스위치(16)에 병렬로 연결되는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은 각각의 검출센서(24)(25)와 직렬로 연결되고, 병렬 연결되는 한 쌍의 전방 충격센서(21)가 다시 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운전석(14)과 조수석(15)에 탑승자가 있으면 검출센서(24)(25)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자동차 충돌시 세이핑 충격센서(26) 및 전방 충격센서(21)가 작동하면 운전석 에어백(22)과 조수석 에어백(23)이 모두 전개된다. 그러나 운전석(14)이나 조수석(15) 중 어느 하나에, 예컨대 조수석(15)에 탑승자가 없는 상태라면 부호 25의 검출센서는 오픈되고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가 작동하더라도 조수석 에어백(23)은 전개되지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ECU와 같은 마이콤 회로를 이용하여 에어백 모듈을 제어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검출센서(24)(25)는 ECU에서 운전석 에어백(22) 또는 조수석 에어백(23)의 작동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으로 사용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운전석(14)과 조수석(15)에 검출센서(24)(25)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후방 탑승자를 위한 에어백 모듈을 지니는 자동차에서는 후방의 시트에도 동일한 구성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는 자동차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도 탑승자가 없는 상태라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하여 고가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교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에 의해 충돌을 감지하여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 탑승한 사람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을 지니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14) 및 조수석(15)에는 탑승자가 착석하지 않았을 때 전방 충격센서(21) 및 세이핑 충격센서(26)에 의한 전원회로를 차단하여 운전석 에어백(22) 및 조수석 에어백(23)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검출센서(24)(25)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24)(25)는 탑승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동안만 전원회로를 연결하는 접점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KR2019980019825U 1998-10-16 1998-10-16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KR200000082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25U KR20000008203U (ko) 1998-10-16 1998-10-16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25U KR20000008203U (ko) 1998-10-16 1998-10-16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03U true KR20000008203U (ko) 2000-05-15

Family

ID=6951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825U KR20000008203U (ko) 1998-10-16 1998-10-16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20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592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衝突センサシステム
EP0531989B2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KR20050110301A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US6209910B1 (en) Ignition control system for a passive safety device
JP2003025945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00008203U (ko) 에어백의 선택적 전개장치
JPH02293234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ク装置
JP2515080Y2 (ja) 車用エアバッグ安全装置
KR0118505Y1 (ko) 차량 충돌시의 화재예방을 위한 에어백 회로장치
JPH0834310A (ja) 車両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WO200103247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trol system
KR0167624B1 (ko) 자동차용 탑승자 탈출장치
KR100517705B1 (ko) 무릎보호용 에어백 시스템
JPH09109825A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19980025958U (ko) 운전자 전신 보호용 에어백 시스템
KR0113359Y1 (ko) 에어백 정비시의 쇼트방지 장치
KR100197240B1 (ko) 승용차 사고시 뒷좌석 보호장치
KR100224245B1 (ko) 측면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00369546B1 (ko) 차량상태에따른조수석의에어백제어방법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KR19980056389A (ko)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KR19990052706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제어장치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9980049939U (ko) 엔진보기류 차내 침입 방지용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