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740U -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740U
KR20000007740U KR2019980019222U KR19980019222U KR20000007740U KR 20000007740 U KR20000007740 U KR 20000007740U KR 2019980019222 U KR2019980019222 U KR 2019980019222U KR 19980019222 U KR19980019222 U KR 19980019222U KR 20000007740 U KR20000007740 U KR 200000077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vehicle
steering
switch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준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19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740U/ko
Publication of KR20000007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740U/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컬럼(13) 상에 조향방향을 검출하는 스티어링 센서(15)가 장착되고, 스티어링 휘일(14) 상에 경적음의 발생을 지시하는 호온 스위치(16)가 장착되고, 변속기구(17) 상에 후진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8)가 장착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전방으로 경적음을 송출하도록 자동차의 전방에 장착되고, 서보모터(25) 및 전동기구(26)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는 전방호온(11); 후방으로 경적음을 송출하도록 자동차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호온(12); 그리고 상기 호온 스위치(16)가 소정의 시간이상 온되면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각각 후방호온(12) 또는 전방호온(11)을 작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경적을 사용할 때 경적음의 방향을 주행방향과 연동시켜 제어함으로써 긴급상황 등에 대한 대처능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본 고안은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경적을 사용할 때 경적음의 방향을 주행방향과 연동시켜 제어함으로써 긴급상황 등에 대한 대처능력을 향상하는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경적장치는 스티어링 휘일에 장착되는 스위치를 누르면 배터리의 전원이 호온(horn)에 인가되어 경적음을 발생하는 구성을 지니고,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있는 사람 등에게 경보하여 운전자가 예기치 못한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의 경적장치에서 호온은 고정식 구조이고 전방으로 경적음을 발산하기 때문에 곡선로에서 주행하거나 후진하는 경우 경적음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안전운행에 영향을 끼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경적을 사용할 때 경적음의 방향을 주행방향과 연동시켜 제어함으로써 긴급상황 등에 대한 대처능력을 향상하는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를 부분 절개하여 장치의 요부 상세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제어회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전방호온 12: 후방호온
13: 스티어링 컬럼 14: 스티어링 휘일
15: 스티어링 센서 16: 호온 스위치
17: 변속기구 18: 마이크로 스위치
19: 그릴 20: 제어기
21: 마이콤 22: 입력부
23: 구동부 24: 스위칭부
25: 서보모터 26: 전동기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는, 스티어링 컬럼(13) 상에 조향방향을 검출하는 스티어링 센서(15)가 장착되고, 스티어링 휘일(14) 상에 경적음의 발생을 지시하는 호온 스위치(16)가 장착되고, 변속기구(17) 상에 후진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8)가 장착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전방으로 경적음을 송출하도록 자동차의 전방에 장착되고, 서보모터(25) 및 전동기구(26)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는 전방호온(11); 후방으로 경적음을 송출하도록 자동차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호온(12); 그리고 상기 호온 스위치(16)가 소정의 시간이상 온되면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각각 후방호온(12) 또는 전방호온(11)을 작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를 부분 절개하여 장치의 요부 상세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은 스티어링 컬럼(13) 상에 조향방향을 검출하는 스티어링 센서(15)가 장착되고, 스티어링 휘일(14) 상에 경적음의 발생을 지시하는 호온 스위치(16)가 장착되고, 변속기구(17) 상에 후진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8)가 장착되는 자동차에 관련된다. 스티어링 센서(15)는 조향각 센서라고도 하며 통상 포토 인터럽터를 사용하여 스티어링 컬럼(13)의 중립위치 및 조향작동시 회전각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 호온 스위치(16)는 배터리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단순한 a접점 스위치 방식을 의미한다. 마이크로 스위치(18)는 후진등을 작동하기 위해 변속기구(17)의 변속레버에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서보모터(25) 및 전동기구(26)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는 전방호온(11)이 전방으로 경적음을 송출하도록 자동차의 전방에 장착된다. 전방호온(11)은 공기식이든 전기식이든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후방으로 연결되는 전동기구(26)와 함께 부호 26a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한다. 전동기구(26)는 반원형의 섹터기어인 워엄휠과, 워엄휠에 맞물리는 워엄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보모터(25)는 피드백 제어를 위해 위치검출센서를 지니는 방식을 택하는데, 서보모터(25) 대신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후방으로 경적음을 송출하도록 자동차의 후방에 후방호온(12)을 장착한다. 후방호온(12)도 공기식이나 전기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트렁크 또는 범퍼에 설치한다. 자동차의 후진시 속도가 그다지 높지 않으므로 전방호온(11)과 같이 서보모터(25) 및 전동기구(26)를 사용하여 회동시키는 구성을 택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호온 스위치(16)가 소정의 시간이상 온되면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각각 후방호온(12) 또는 전방호온(11)을 작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20)를 사용한다. 제어기(20)는 자동차의 일반적인 엔진제어 유니트(ECU)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마이콤 회로로 구성하는 것이 리얼타임 제어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제어회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된다.
제어기(20)는 마이콤(21), 입력부(22), 구동부(23), 스위칭부(24) 등으로 구성된다. 입력부(22)는 스티어링 센서(15) 및 마이크로 스위치(18)와 연결되고, 구동부(23)는 정역구동회로로서 서보모터(25)와 연결된다. 호온 스위치(16)는 제어기(20)의 스위칭부(24)를 통하여 전방호온(11) 및 후방호온(12)과 연결된다. 스위칭부(24)는 마이콤(21)의 출력에 따라 호온 스위치(16)가 전방호온(11) 또는 후방호온(12)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기(20)는 전방호온(11)이 소정의 시간이상 온되면 오프시까지 스티어링 센서(15)의 입력신호에 비례하는 출력신호를 서보모터(25)에 보내어 경적음의 송출방향을 변동한다. 전방호온(11)이 소정의 시간이상(예컨대 1초) 온되기를 기다리는 이유는 비교적 짧고 가벼운 경보를 발생하는 경우에 서보모터(25)를 작동하여 전방호온(11)의 송출방향을 변동하는 조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자동차가 시동되어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단계 ST11에서 호온 스위치(16)가 소정의 시간이상 온되는지 판단하여 yes이면 단계 ST12로 가서 마이크로 스위치(18)가 온되는지 판단한다. 만일 yes이면 후진상태이므로 단계 ST15에 가서 후방호온(12)을 작동하고, 만일 no이면 전진상태이므로 단계 ST13으로 가서 전방호온(11)을 작동한 다음 단계 ST14로 가서 조향방향으로 호온의 회전위치를 계속적으로 변경한다.
단계 ST14 또는 단계 ST15를 거치면서 전방호온(11) 또는 후방호온(12)의 작동을 유지한 상태에서 단계 ST11로 복귀하는데, 이때 호온 스위치(16)를 오프시킨 상태라면 단계 ST16에서 호온을 오프하고 단계 ST17에서 호온의 위치도 원점복귀한 다음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전방호온(11)의 원점복귀는 제어기(20)의 마이콤(21)이 스티어링 센서(15)의 중립위치 신호와 서보모터(25)에 내장되는 위치검출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는 자동차의 경적을 사용할 때 경적음의 방향을 주행방향과 연동시켜 제어함으로써 긴급상황 등에 대한 대처능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스티어링 컬럼(13) 상에 조향방향을 검출하는 스티어링 센서(15)가 장착되고, 스티어링 휘일(14) 상에 경적음의 발생을 지시하는 호온 스위치(16)가 장착되고, 변속기구(17) 상에 후진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8)가 장착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전방으로 경적음을 송출하도록 자동차의 전방에 장착되고, 서보모터(25) 및 전동기구(26)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는 전방호온(11);
    후방으로 경적음을 송출하도록 자동차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호온(12); 그리고
    상기 호온 스위치(16)가 소정의 시간이상 온되면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각각 후방호온(12) 또는 전방호온(11)을 작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0)는 전방호온(11)이 소정의 시간이상 온되면 오프시까지 스티어링 센서(15)의 입력신호에 비례하는 출력신호를 서보모터(25)에 보내어 경적음의 송출방향을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KR2019980019222U 1998-10-08 1998-10-08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KR200000077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222U KR20000007740U (ko) 1998-10-08 1998-10-08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222U KR20000007740U (ko) 1998-10-08 1998-10-08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740U true KR20000007740U (ko) 2000-05-06

Family

ID=6970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222U KR20000007740U (ko) 1998-10-08 1998-10-08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7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268A (ko) * 2003-05-14 2004-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혼의 좌우 회전각도 조절장치
KR101017735B1 (ko) * 2010-11-02 2011-02-28 박승흠 초음파스피커를 이용한 차량 경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268A (ko) * 2003-05-14 2004-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혼의 좌우 회전각도 조절장치
KR101017735B1 (ko) * 2010-11-02 2011-02-28 박승흠 초음파스피커를 이용한 차량 경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59837A (ja) 車両の電動調節ペダル誤作動防止装置及び方法
JP2002229656A (ja) 車両の運転操作装置
KR20000007740U (ko) 가변형 자동차 경적 장치
JPH1170833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JP352618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4057954B2 (ja) 車両の自動操舵装置
JP2002002370A (ja) へッドランプ制御装置
JPH06127409A (ja)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378476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チルト制御装置
JP2772540B2 (ja) ホイール式ショベルの走行制御装置
JPH0366188B2 (ko)
JPH0891159A (ja) 車両用接触事故防止装置
JPS61135866A (ja) 四輪操舵装置
KR100231575B1 (ko) 전자제어 조향장치
KR960004741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JPH09163512A (ja) 小型電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H06265017A (ja) 無段変速装置の操作構造
KR0171812B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각도 조절장치
JPH0597039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00192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202035A (ja) ワイパスイッチ装置
KR19980055870A (ko) 자동차용 룸미러
JPH02102872A (ja) 車両用動力操舵装置の制御装置
JPH09182473A (ja) モータ制御装置
JPH07251646A (ja) 自動車用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