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845U -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845U
KR20000006845U KR2019980018101U KR19980018101U KR20000006845U KR 20000006845 U KR20000006845 U KR 20000006845U KR 2019980018101 U KR2019980018101 U KR 2019980018101U KR 19980018101 U KR19980018101 U KR 19980018101U KR 20000006845 U KR20000006845 U KR 200000068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unction
function key
u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8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845U/ko
Publication of KR200000068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845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에게 제품의 각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기능과 그러한 기능의 사용 방법을 쉽게 알리고, 제품의 각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기능설명을 사용자가 원할 때 쉽고 간편하게 제공한다.
다. 그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전기.전자 제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기능수행을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 기능키부와, 제품의 여러 동작 모드에서의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설명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현재 동작 모드를 확인하며, 현재 동작 모드에서의 기능키의 입력시 메모리에 저장된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을 표시부에 표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기능키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Description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본 고안은 화면 표시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전기·전자 제품에서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사용자에게 설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전기 제품(이하 제품이라 칭함)의 기능이 점점 다양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제품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품이 갖고 있는 다양한 기능과 그러한 기능의 이용 방법을 사용자에게 설명하는 작업(이하 기능설명이라 함)이 점차 중요해 지고 있다.
그러므로 제품마다 제품에 따른 기능과 여러 기능키를 이용하여 제품이 그러한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방법 등을 설명한 매뉴얼을 제품마다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화면 표시 장치가 구비된 제품들은 각 기능키에 대한 설명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기능설명을 한다.
그런데 제품의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매뉴얼에 기록된 기능설명만으로는 사용자가 그 기능 및 기능수행 방법을 이해하기가 어렵고, 또한 제품을 사용할 때 일일이 매뉴얼을 참조하며 사용하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매뉴얼의 분실 등의 경우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제품 사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화면 표시 장치를 통해 제품의 기능설명을 하더라도 제품 기능의 복잡 다양화에 의해 그러한 기능설명의 분량이 점차 많아져서 상세히 설명하기가 어려워지고, 또한 문자로 설명하기 어려운 복잡 다양한 기능이 점차 많아져서,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사용자가 그러한 제품의 사용방법을 일시적으로 대부분 익혔다 하더라도, 자주 제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까다로운 사용방법을 잊게되어 다시 매뉴얼을 찾아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캠코더(camcorder)의 경우를 예를 들어보면, 모든 제품이 그러하듯이 캠코더는 소형화와 다기능화 되어 가는 추세이고, 또한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종 기능의 수행을 위한 기능키들을 최소로 마련하고 사용자가 간단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캠코더에 구비되는 기능키들은 카메라모드와 PTR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2중 기능키와, 각 모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독립키 및 특수효과를 위한 특수키로 구분되는데, 그런 경우에도 통상 캠코더에 구비된 기능키들은 그 수가 상당히 많아서 사용자가 각 기능키들에 따른 동작을 아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제품의 각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기능과 그러한 기능의 사용 방법을 쉽게 알릴 수 있는 동작 설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각 기능키 입력에 따른 기능설명을 사용자가 원할 때 쉽고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동작 설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 전자 제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기능수행을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 기능키부와, 제품의 여러 동작 모드에서의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설명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현재 동작 모드를 확인하며, 현재 동작 모드에서의 기능키의 입력시 메모리에 저장된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을 표시부에 표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캠코더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 흐름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제품 동작 모드와 기능키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 기능키부와, 제품의 여러 동작 모드에서의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설명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현재 동작 모드를 확인하며, 현재 동작 모드에서의 기능키부의 입력 키데이터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을 표시부에 표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져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캠코더에 적용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캠코더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갖고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하기 까다로운 제품 중하나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캠코더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캠코더는 렌즈부 10, 렌즈구동부 12, 프로세서부 14, 신호처리부 18, 기록/재생부 20, 표시부 16, 메모리부 24, 제어부 22 및 키입력부 2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캠코더에서 상기 표시부 16, 메모리부 24, 제어부 22 및 키입력부 26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장치이며,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캠코더의 상기 각 기능부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구동부 12는 제어부 22의 제어하에 렌즈부 10을 포커스(focus) 및 줌(zoom) 구동시키고, 렌즈부 10의 렌즈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의 화상을 입력받은 프로세서부 14는 화상을 CCD로 처리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 18에 인가하며, 신호처리부 18은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부 16, 또는 외부출력단 28을 통해 외부(예를 들면, TV)로 출력하거나 기록/재생부 20내의 기록용 테이프에 정보를 녹화한다.
제어부 22는 아날로그/디지털, 혹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하는 컨버터를 통하여 캠코더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그에 따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 24는 제어부 22의 제어하에 신호처리부 18을 통하여 표시부 16으로 표시하는 OSD(On Screen Display) 정보 등을 저장한다. 표시부 16은 통상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된다. 키입력부 26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사용자는 키입력부 26에 구비된 여러 기능키들을 통하여 캠코더에 원하는 작업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 24에는 키입력부 26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키의 캠코더의 여러 동작 모드에서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 22는 현재 캠코더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며, 현재 동작 모드에서의 키입력부 26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 24에 저장된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 16에 표시토록 제어하는 동작 프로그램이 부가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캠코더의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은 키입력부 26에 구비된 임의의 기능키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을 경우에 수행된다.
먼저 30단계에서 제어부 22는 동작설명키의 상태를 확인한다. 동작설명키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키입력부 26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동작설명키의 온/오프(on/off) 상태에 따라 기능키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각 기능키의 입력에 대한 동작 설명을 보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동작설명키를 온상태로 해두고 캠코더의 여러 동작모드에서 각 기능키를 입력해 보는 것으로서 동작 설명을 표시부 16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작설명키가 온 상태이면 제어부 22는 이를 22단계에서 판단하여 34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동작 설명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오프 상태이면 40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기능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34단계에서는 현재 캠코더의 동작모드를 확인하게 된다. 캠코더에는 다양한 기능이 있으며 그에 따라 같은 기능키라도 각 기능의 수행모드에서는 다른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22는 먼저 입력된 기능키에 따른 동작 설명을 하기 전에 현재 캠코더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후 36단계에서 제어부 22는 현재 동작모드에서의 입력된 기능키에 따른 동작설명을 표시부 16으로 디스플레이하게 제어한다. 현재 동작모드에서의 각 기능키에 따른 동작 설명의 메시지는 미리 메모리부 24에 저장되어 진다. 제어부 22는 현재 동작모드와 입력된 기능키를 확인하여 메모리부 24에 저장된 메시지 중 해당 메시지를 표시부 16으로 표시하게 제어한다. 이때에는 OSD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캠코더의 모드가 카메라모드이며, 입력된 기능키가 "FADE"라면, 이에 따른 메모리부 24에 미리 저장되어 표시부 16에 출력되는 메시지는 "화면을 점점 어둡게 하거나 점점 밝게 한다"일 수 있다.
상기한 메시지의 표시는 사용자가 숙지할 수 있을 정도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되게 제어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키를 재입력할 때까지 출력되게 제어된다.
입력된 기능키의 재입력은 38단계에서 확인하여 이후 40단계에서 제어부 22는 입력된 기능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조작의 미숙 등에 의해 상기 36단계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보고 그러한 기능을 캠코더에 수행시키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럴 경우에 입력한 기능키외의 다른 기능키를 입력하면 제어부 22는 이를 38단계에서 확인하여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동작 설명이 단순히 동작을 설명하는 메시지의 출력으로 이루어지데 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 그래픽이나 음성의 출력 등에 의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전자 제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기능수행을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 기능키부와, 제품의 여러 동작 모드에서의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설명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현재 동작 모드를 확인하며, 현재 동작 모드에서의 기능키의 입력시 메모리에 저장된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을 표시부에 표시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짐으로 사용자에게 제품의 각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기능과 그러한 기능의 사용 방법을 쉽게 알리고, 제품의 각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기능설명을 사용자가 원할 때 쉽고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기능 수행을 지시 받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 전기.전자 제품의 상기 기능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에게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능키의 각 입력에 따른 상기 제품의 동작 설명에 대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기능키의 입력시 입력된 기능키에 따른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 캠코더 상기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을 사용자에게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코더의 여러 동작 모드에서의 다수의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각각의 동작 설명에 대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기능키의 입력시 현재 캠코더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입력된 기능키에 따른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해당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제어는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기능키의 재입력이 있을 시에 해당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해당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제어는 상기 입력된 기능키의 재입력시까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그래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19980018101U 1998-09-22 1998-09-22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KR200000068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101U KR20000006845U (ko) 1998-09-22 1998-09-22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101U KR20000006845U (ko) 1998-09-22 1998-09-22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45U true KR20000006845U (ko) 2000-04-25

Family

ID=6952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101U KR20000006845U (ko) 1998-09-22 1998-09-22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8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1024A (zh) * 2020-03-05 2020-06-26 广州宏算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充电桩共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1024A (zh) * 2020-03-05 2020-06-26 广州宏算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充电桩共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076A (en) Terminal system having video telephone equipment cooperating with computer system
JPH1173290A (ja) メニュー表示装置
US20040252237A1 (en) Method for making label of external AV apparatu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7107529B2 (en) Method for displaying manual of video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KR20000006845U (ko) 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설명 장치
US200600921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ing
KR100924776B1 (ko) 우선순위 조정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기기 및 그 사용자인터페이스방법
JP4059400B2 (ja) 複数動作モードを有するデジタル撮像装置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および装置
KR100261599B1 (ko) 카메라기능을자동으로알려주는카메라장치및그제어방법
KR0183113B1 (ko)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이전화면 복귀방법
KR200181757Y1 (ko) 버튼기능을임의로설정할수있는카메라
KR100728677B1 (ko) 메모입력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9990017522A (ko) 메뉴화면 디스플레이방법
JP4607468B2 (ja) 表示装置
KR19990024344U (ko) 액정캠코더의 타이틀 표시 장치
JP2001238123A (ja) 撮像装置
JP2001035073A (ja) 電子機器
JPH0468641A (ja) 通信装置
KR100197370B1 (ko) 영상 기기의 배경색 선택 장치 및 그 방법
KR0121385Y1 (ko) 영상 기록 및 재생 기기의 문자 출력 제어회로
JPH07175449A (ja) Ohp用表示装置
JPH089285A (ja) オーディオ・ビデオ機器装置
KR19990034045A (ko) 문자정보 변경방법
KR20080067246A (ko) 디지털 tv osd 처리방법
KR20020096625A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