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200A - 차동회로용 분포장치 - Google Patents
차동회로용 분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5200A KR20000005200A KR1019980707876A KR19980707876A KR20000005200A KR 20000005200 A KR20000005200 A KR 20000005200A KR 1019980707876 A KR1019980707876 A KR 1019980707876A KR 19980707876 A KR19980707876 A KR 19980707876A KR 20000005200 A KR20000005200 A KR 200000052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line
- differential
- substrate
- circuit
- intermediate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1 indu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1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841—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strip line resonator
- H03B5/184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strip line resonator the active element in the amplifier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선택가능한 유도값을 지닌 유도부품은 차동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 유도부품은 전송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도부품의 유도값은 유도부품을 차동회로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전송선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변경된다.
Description
전자기술의 발달로 인해 1기가바이트에 접근하는 그리고 이를 초과하는 고주파로 작동하는 전자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되어 오고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이러한 고주파에서 작동하는 전자장치의 예이다. 이러한 고주파에서 작동하는 회로부품은 저주파로 작동하는 전자장치의 해당 회로부품과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상당히 크다.
예를들면, 종래의 집중 부품, 즉, 이산부품은 고주파에서 작동하는 전자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없다. 고주파에서, 기생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가 중요하게 되어 이산 회로부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수행성과 작동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대신, 마이크로스트립 또는 스트립 라인과 같은 송신선으로 형성된 분포 회로부품은 회로부품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유도, 용량성 및 저항부품은 송신선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적절히 형성되어 구성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어느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고주파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주파의 전자 신호를 전송하는 데에는 고주파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송신기가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러한 고주파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고주파 전자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신호를 발생하기위해, 정보신호를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여 전자 신호를 형성한다. 예를들어, 무선 송신기는 정보신호를 변조신호와 혼합하는 믹서회로를 포함한다. 이 믹서회로는 다단계의 믹싱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고주파 전자신호를 수신하기위해 작동하는 무선 수신기는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하향변환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를 하향변환하도록 무선 수신기에서 작동하는 믹싱회로를 포함한다. 다시 믹서회로는 다단계의 믹싱부품을 포함하는 다단계로 형성되어 있다.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의 믹서회로에 적용된 변조신호는 일반적으로 발진회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발진회로는 발진신호를 발생하고 이 발진신호는 믹서에 적용된 믹싱신호를 발생하는데 이용된다. 발진회로에 의해 발생된 발진신호는 무선 송신기 또는 무선 수신기의 적절한 작동을 보장하기위해 정밀한 주파수을 지녀야한다.
발진회로는 공진회로에 연결되거나 이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공진회로는 흔히 유도부품을 포함한다. 고정밀의 고정값 유도부품은 허용가능하게 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유도부품은 일반적으로 선택 가능한 유도 값을 가진 가변 유도기를 포함한다. 가변 유도기의 유도값을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은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를 변경한다. 즉, 유도부품의 유도값을 변경함으로써, 공진부품이 동조되어 제조 공차를 극복한다.
특히, 고주파로 작동할 때 어느 발진회로는 차동신호를 발생한다. 차동신호를 발생하는 발진회로를 차동발진기라고 하고 이러한 차동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차동신호는 서로에 대한 위상이 차동적으로 오프셋된다.
차동회로의 공진회로는 그러나 차동회로와의 균형이 유지된다. 진공회로의 유도부품은 차동회로와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기타의 회로는 자연적으로 차동적으로 구성되거나 차동입력신호를 수신하거나 차동 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타의 회로는 유도기 또는 차동회로와 균형되게 유지되는 유도기를 포함하는 차동 공진기를 이용해야 한다.
상술했듯이, 고주파로 작동하는 회로는 분포 유도부품과 같은 분포회로를 일반적으로 이용한다. 분포 유도부품의 유도값은 부품을 트림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트리밍 절차에서, 전송선의 부분이 제고되거나 트림된다.
종래의 분포 유도부품이 차동회로에 연결되는 경우, 트리밍 처리에 의한 유도부품의 특성의 변화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유도기가 트림할 때 유도기가 균형을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매우 어렵게 성취된다. 예를들면, 이러한 유도기를 포함하는 차동공진기가 차동발진기에 연결될 때, 차동공진기는 두 개의 위치에서 차동발진기에 연결된다. 이러한 공진기의 유도부품은 차동발진기가 적절히 작동하고 적절히 동조하게 하기위해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기존의 유도기가 트림되어 균형을 이루는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기준의 유도기의 이러한 트리밍은 조립라인과 같은 공정에서의 전자장치 조립과 같은 대용량의 처리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없다.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동공진기의 부분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유도기 및 이러한 부품의 특성을 변경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분포 회로부품에 관한 정보가 개량된 차동회로와 함께 이용된다.
본 발명은 분포 유도부품 또는 이 유도부품을 포함하는 공진기와 같은 분포회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동회로용 분포 유도부품 또는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 유도부품은 선택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차동회로에 연결되는 경우, 이러한 특성은 차동회로와의 유도부품을 차동균형으로 유지하는 동안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
분포 유도부품이 차동 공진기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유도부품의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가 동조될 수 있다. 차동 전압 제어 발진기와 같은 차동회로에 접속될 때, 공진기는 차동회로와 공진기를 차동균형으로 유지하는 동안 동조될 수 있다. 유도부품의 특성이 변경되어 유도부품의 부분을 멀리 트림하지만 차동회로와 유도부품과 공진기를 균형있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공진기를 동조한다. 유도부품의 특성이 레이저 트리밍 과정과 같은 트리밍에 의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유도부품의 특성의 변경과 차동 공진기의 동조가 이러한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회로조립시에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도부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의 유도부품으로부터 택한 평면도.
도 3은 전도부품 아래로부터 택한 도 2에 도시된 유도부품과 유사한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도부품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유도부품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유도부품 아래에서 택한 평면도.
도 6은 차동 발진회로에 정속된 부분을 형성하도록 연결된 선행도면중 어느것에 도시된 유도부품의 개략도.
도 7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회로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회로와 도 6은 도시된 유도부품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유도부품을 포함하는 사시도.
본 발명은 차동회로에 연결된 유도부품과 같은 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도부품의 유도값은 유도부품의 부분을 형성하는 전송선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변경된다. 전송선은 부품이 연결된 차동회로와 유도부품을 균형있게 유지함과 동시에 트림될수 있다.
유도부품이 차동공진기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현될 때, 유도부품의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공진기의 공진주파수가 변경된다. 차동 전압 제어 발진기와 같은 차동회로에 연결될 때, 공진기는 공진기를 차동회로와 균형있게 유지하는 동안 동조될 수 있다. 유도부품의 특성이 변경되어 유도부품의 부분을 트림하지만 유도부품과 공진기를 차동회로와 균형있게 유지하는 방법에 의해 공진기를 동조시킨다. 유도부품의 특성이 유도부품을 차동회로와 균형있게 유지하는 동안 유도부품의 부분을 트림하므로써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유도부품의 특성의 변경이 이러한 유도부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회로 조립동안 실행될 수 있다.
또 다른 태양에서, 유도부품은 선택가능한 유도값을 지닌다. 한쌍의 전송선이 상부 표면을 지닌 기한에 형성된다. 한쌍의 전송선은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을 포함한다.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은 내측부와 외측부를 형성한다. 중간 전송선이 기판위에 형성되어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 사이에 연장한다. 중간 전송선은 중앙 동조 부분을 포함한다. 한쌍의 전송선과 중간 전송선은 함께 유도부품을 형성한다. 유도부품의 유도값은 중간 전송선의 중앙 동조부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선택가능하다.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는 수반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도부품(10)이 도시되어 있다. 유도부품(10)은 고주파신호가 적용되는 경우, 유도기로써의 역할을하도록 작동하는 분포 회로부품을 포함한다. 유도부품은 3개의 전송선(12, 14, 16)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송선(12-16)은 종래의 방식대로 인쇄되어 있다.
전송선(12, 14)은 기판(22) 및 표면(24)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서로 일치되게 위치되어있다. 전송선(12, 16)은 기판(22)의 측면(24) 주위와 기판의 바닥면(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연장하여 단말 패드를 형성한다.
또한, 전송선(14)이 기판(22)의 상면(24)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3개의 전송선(12, 14, 16)의 내측부는 함께 연결되어 있고 전송선(12-16)의 특성은 전송선이 형성된 유도부품의 유도값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송선(14)의 외측부는 기판(22)의 측면주위와 바닥면(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연장되어 단말 패드를 형성한다.
전송선(14)은 축선(28) 주위에 대칭인 기판(22)의 상면(24)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송선(14)은 전송선(12)과 전송선(16) 사이에 중앙에 위치되어 있고 전송선(12, 16)은 축방향주위에서 균형이 유지되어 있다.
전송선(14)의 내측부는 중앙 동조부(32)를 포함한다. 중앙 동조부(32)는 또한 축선(28)에 대칭이다.
3개의 전송선으로 형성된 유도부품(10)의 유도값은 중앙 동조부(32)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변경된다. 중앙 동조부의 트림은 종래의 방식대로 레이저 트림처리에 의해 실행된다. 중앙 동조부(32)의 부분이 트림되기 때문에, 전송선(12, 16)의 길이가 선(34, 36)으로 표시되어 있듯이 길어진다. 또한 전송선(14)의 길이는 감소한다. 이에따라, 전송선(12, 16)의 특성임피던스와 전송선(14)의 임피던스가 변경된다.
중앙 동조부(32)의 증가량을 트림함으로써, 유도부품(10)의 유도값이 증가한다. 중앙 동조부(32)가 부분을 형성하는 유도부품(10)과 중앙 동조부(32) 모드가 축선(28)에 대칭이기 때문에, 유도부품(10)의 대칭측이 중앙 동조부(32)가 트림될 때 균형을 유지한다.
따라서, 유도부품(10)은 차동회로에 전송선(12, 16)의 외측부에 형성된 단말 통로를 연결함으로써 차동회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유도부품(10)의 대칭측은 중앙동조부(32)가 유도부품의 유도값을 변경하기위해 트림될지라도 차동회로와 균형이 유지된다.
일실시예에서, 유도부품(10)은 공진회로의 동조 유도기를 형성하고 여자력을 수용하기위해 적절히 연결될 때, 유도부품(10)은 진공 모듈(38)을 형성한다.
도 2는 전송선(12, 14, 16)으로 형성된 유도부품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은 전송선의 특성에 의해 형성된 유도값을 지닌 유도부품(10)을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다. 유도부품(10)의 유도값은 축선(28) 주위로 대칭인 유도부품의 부분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동안 중앙 동조부(32)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변경된다.
도 3은 유도부품(10)이 부분을 형성하는 공진기 모듈(38)과 유도부품(10)을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기판(22)의 바닥면(46)상의 전송선(12, 16)의 외측부에 형성된 단말 패드(42, 44)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 패드, 여기서, 패드(48)는 전송선(14)의 외측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단말 패드(42, 44)는 예를들면, 유도부품을 차동회로에 접속시키기위해 전송선(12, 16)을 연결시키는 접속단자를 형성한다. 단말(48)은 유도부품(10)을 바이어스원에 연결하기위해 접속단자를 형성한다. 인쇄부분(52)은 단말 패드(42, 44, 48)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바닥면(46)위에 형성되어 있다. 인쇄부분(52)은 예를들어 접지면에 연결될 수 있어서 단말 패드를 전기적인 접지면에 용량적으로 연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유도부품(100)을 도시한다. 도 1에서 전에 도시된 유도부품(10)의 부분에 대응하는 유도부품(100)의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여져 있다.
유도부품(100)은 기판(22)에 형성된 전송선(12, 14, 16)을 형성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유도부품(100)의 전송선(12-16)의 형상은 도 1-도 3에 도시된 유도부품(10)의 대응하는 전송선과 다르다. 여기서, 다시, 3개의 전송선의 내측부가 함께 접속되는 동안 유도부품은 형상이 W인 반면 유도부품(10)은 T자 형상을 한다.
또한, 유도부품(100)은 축선(28) 주위에서 대칭이고 중앙 동조부(342)를 포함 한다. 중앙 동조부(32)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유도부품(100)의 유도값은 축선 주위로 유도부품(100)의 부분을 대칭으로 유지하면서 변경된다.
도 5는 기판(22)의 바닥면(46)상의 전송선(12, 16)의 외측부에 형성된 단말 패드(42, 44)를 도시한다. 도 5는 바닥면(46)상의 전송선이 외측부에 형성된 단말 패드(48)를 도시한다. 단말(42, 44, 48)과 분리된 인쇄 부분(52)은 기판(22)의 바닥면(46)에 인쇄되어 있다. 단말 패드(42, 44, 48)는 인쇄 부분(52)과 같이 도 1-도 3의 전의 설명한 방식으로 접수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4-5에 도시된 유도부품(10, 100)은 축선 주위로 대칭인 유도부품이 형성할 수 있는 많은 상이한 구성중 두 개만을 도시했다. 유도부품의 특정 형상과 크기를 바람직하게 선택함으로써, 바람직한 특성의 유도부품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동조부분을 트림함으로써, 유도부품의 유도값이 정확히 선택될 수 있다.
도 6은 차동회로(110), 여기서는 전압제어 발진기에 연결된 공진기 모듈을 도시한다. 유도부품(10)이 균형된 동조 유도기(114, 116)로 도시되어 있다. 유도부품의 단말 패드(42, 44)는 공진기 모듈(38)을 전기회로(110)에 접수한다. 단말 패드(48)는 공진기 모듈(38)을 바이어스원에 연결하고 이 모듈을 접지면에 용량적으로 접수한다. 공진기 모듈(38)은 여기서 공진회로의 부분을 형성한다.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공진회로의 부가적인 부분이 전기회로(110)와 함께 위치되어 있다. 유도부품(10)의 유도값을 변경함으로써, 공진회로는 선택된 공진주파수로 공진되도록 동조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차동회로(110)를 형성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는 하나의 예이다. 즉, 차동회로는 물론 또다른 형태의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압제어회로는 전송선(176)에 의해 전기회로(110)에 적용된다. 차동회로(110)가 배치된 회로기판을 따라 연장한 선은 모듈(38)을 전기회로(110)에 연결하는데 이는 전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절히 함께 접속될 때, 공진 모듈은 차동회로의 부분을 형성한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유도부품(10)의 유도값은 유도부품(10)이 연결된 차동회로와 유도부품의 균형을 유지하는 동한 변경될 수 있다. 유도부품(10)의 유도값이 공진모듈(38)이 부분을 형성하는 공진회로를 동조하도록 변경되어 공진회로가 선택된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여 차동회로(110)를 형성하는 차동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한다. 유도부품(10)의 중앙 동조부분(32)의 부분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레이저 트림처리와 같은 종래의 방법 및 차동회로(110)에 의해 발생된 차동신호에 대한 트림처리의 효과를 검출함으로써 트림된다.
도 7은 인쇄회로기판(194)에 실장된 차동회로(110)를 도시한다. 회로통로(196, 198)가 회로기판(194)에 형성되어 진공모듈(38)이 인쇄회로기판(194)에 적절히 위치할 때, 회로(110)를 진공모듈(38)의 단말 패드(42, 44)를 접속한다. 모듈(38)이 적절히 회로기판(194)에 위치되어 이에 접속될 때, 리플로워(reflow) 용접처리에 의해 중앙 동조부(32)의 트리밍이 수행된다. 중앙 동조부(32)를 트림하므로써, 유도부품(10)의 유도값이 바람직하게 변경된다.
도 7에 도시된 회로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화와 같은 전자장치의 조립은 픽 앤드 프래이스(pick and place)에서와 같은 조립선 처리로 수행될 수 있다. 유도부품 또는 이러한 유도부품을 포함하는 공진자의 공진 주파수의 특성변경은 유도부품을 차동회로(110)와 균형을 이루면서 조립과정중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인쇄회로기판(194)에 실장된 차동회로(11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 기판(194)은 전송선(12, 14, 16)이 형성된 기판을 형성한다. 전송선으로 형성된 유도부품이 유도값의 변경은 중앙 동조부분(32)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실행된다.
앞의 도면에서 설명했듯이, 유도부품의 유도값은 유도부품을 차동회로와 균형을 유지하는 동안 변경될 수 있다. 분포 유도부품이 차동공진기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현될 때, 진공자의 진공주파수는 유도부품의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동조될수 있다. 차동회로에 연결될 때, 공진기는 공진기를 차동회로와 균형을 유지하는 동안 동조될 수 있다. 유도부품의 특성이 변경되어 유도부품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공진기를 동조시킨다. 그러나, 유도부품이 차동회로와 균형을 유지한다. 유도부품의 특성이 부품을 차동회로와 균형을 유지하는 동안 유도부품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유도부품의 특성의 변경이 이러한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회로조립동안 실행될 수 있다.
전문의 설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 크레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9)
- 선택가능한 유도값을 지닌 분포 유도부품에 있어서,상부 표면을 지닌 기판과;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측부와 외측부를 형성하는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을 포함하는 한쌍의 전송선과;상기 한쌍의 전송선과 상기 중간 전송선이 함께 유도값을 형성하고 이 유도값은 상기 중간 전송선의 중앙 동조부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변경되어 선택가능한 유도값을 선택하며,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 사이에 형성되어 중앙 동조부를 포함하는 중간 전송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 유도부품.
- 유도값을 지닌 분포 유도부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내측부분과 외측부분을 형성하는 제1전송선을 기판의 상면에 형성하는 단계와;내측부분과 외측부분을 형성하는 제2전송선을 기판에 형성하는 단계와;제1전송선, 제2전송선 및 중간 전송선이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 사이를 연장하도록 형성된 중간 전송선을 형성하는 단계와;중간 전송선의 선택된 부분을 트림하여 유도부품의 유도값을 선택하여 공진회로의 선택된 공진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유도부품을 형성하는 방법.
- 상면을 지닌 기판과;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내측부와 외측부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전송선을 포함하는 한쌍의 전송선과;한쌍의 전송선과 상기 중간 전송선은 진공주파수로 유도부품을 진송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공진 주파수는 상기 중간 전송선의 중앙 동조부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선택 가능하며,상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 사이에 연장하여 중앙 동조 부를 포함하는 중간 전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3항에 있어서, 공진주파수는 차동회로를 동조하기위해 선택되고 한쌍의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의 외측부는 차동회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 회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차동회로의 최소부분은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차동회로의 부분은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 기판상에 실장 가능한 바닥면을 포함하고 중앙 동조부분은 차동신호의 공진주파수를 선택하기위해 트림된 다음 상기 기판을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4항에 있어서, 차동회로는 차동 전압 제어 발진회로를 포함하고 중앙 동조부분이 트림되는 선택은 전압 제어 발진회로의 동작 특성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의 중앙 동조부의 부분은 레이저 트림 장치에 의해 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이 상기 중간 전송선주위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송선은 내측부외 외측부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 전송선의 내측부는 상기 한쌍의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 사이에 연장하고 중앙 동조부분은 상기 중간 전송선의 내측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송선은 전기 접지면에 용량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송선은 외부측부분에 형성된 전력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이 전력 접속단자는 바이어스 전압을 받아들이기위해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
- 내측부와 외측부를 형성하는 제1전송선을 기판의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와;내측부와 외측부를 형성하는 제2전송선을 기판에 형성하는 단계와;제1전송선, 제2전송선 및 중간 전송선은 특성유도값의 공진 유도부품을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 사이를 연장하도록 형성된 중간 전송선을 기판에 형성하는 단계와;중간 전송선의 선택된 부분을 트림하여 공진 유도부품의 특성 유도값을 변경하여 공진회로의 선택된 공진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된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는 차동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중간 전송선과 함께 제1 및 제2전송선으로 형성된 공진 유도부품을 바이어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트림하는 상기 단계는 중간 전송선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중앙선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트림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공진회로를 형성하는 방법.
- 차동회로에 있어서, 선택가능한 공진 특성을 지닌 공진회로에 있어서,상면을 지닌 기판과;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내측부와 외측부를 형성하는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을 포함하는 한쌍의 전송선과;상기 한쌍의 전송선과 상기 중간 전송선이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는 유도부품을 함께 형성하고 공진 주파수는 상기 중간 전송선의 중앙 동조부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선택되며,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 사이에 연장하여 중앙 동조부분을 포함하는 중간 전송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기.
- 차동회로에서, 선택가능한 값을 지닌 개량된 유도부품에 있어서,상면을 지닌 기판과;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내측부분과 외측부분을 형성하는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을 포함하는 한쌍의 전송선과;상기 한쌍의 전송선과 상기 중간 전송선은 유도값을 함께 형성하고 유도값은 중간 전송선의 중앙 동조 부분의 부분을 트림함으로써 변경가능하여 선택가능한 유도값을 선택하며,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제1전송선과 제2전송선사이에 연장하고 중앙 동조 부분을 포함하는 중간 전송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8/628,029 | 1996-04-04 | ||
US08/628,029 US5734307A (en) | 1996-04-04 | 1996-04-04 | Distributed device for differential circu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5200A true KR20000005200A (ko) | 2000-01-25 |
KR100470416B1 KR100470416B1 (ko) | 2005-07-07 |
Family
ID=2451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7876A KR100470416B1 (ko) | 1996-04-04 | 1997-04-04 | 차동회로용분포장치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5734307A (ko) |
EP (1) | EP0891626B1 (ko) |
JP (1) | JP3833261B2 (ko) |
KR (1) | KR100470416B1 (ko) |
CN (1) | CN1143328C (ko) |
AU (1) | AU712280B2 (ko) |
BR (1) | BR9708599A (ko) |
DE (1) | DE69714029T2 (ko) |
EE (1) | EE04029B1 (ko) |
WO (1) | WO199703842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53260B1 (en) * | 1999-09-15 | 2005-02-08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Tunable, distributed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
US7037298B2 (en) * | 2001-12-20 | 2006-05-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aised circumferential bank |
US7362192B1 (en) * | 2005-11-18 | 2008-04-22 | Marvell International Ltd. | Low nois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19452A (en) * | 1952-05-08 | 1958-01-07 | Itt | Microwave filters |
US4063201A (en) * | 1973-06-16 | 1977-12-13 | Sony Corporation | Printed circuit with inductively coupled printed coil elements and a printed element forming a mutual inductance therewith |
DE2334570B1 (de) * | 1973-07-07 | 1975-03-06 | Philips Patentverwaltung | Abstimmbare Hochfrequenz-Eingangsschaltungsanordnung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
US3947934A (en) * | 1973-07-20 | 1976-04-06 | Rca Corporation | Method of tuning a tunable microelectronic LC circuit |
US4035695A (en) * | 1974-08-05 | 1977-07-12 | Motorola, Inc. | Microelectronic variable inductor |
DE2460762B1 (de) * | 1974-12-21 | 1976-04-22 | Philips Patentverwaltung | Schaltungsanordnung fuer einen HF-Oszillator |
US4157517A (en) * | 1977-12-19 | 1979-06-05 | Motorola, Inc. | Adjustable transmission line filt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
FR2451110A1 (fr) * | 1979-03-06 | 1980-10-03 | Labo Electronique Physique | Filtre de reflexion de frequence image en hyperfrequence |
JPS5623002A (en) * | 1979-08-03 | 1981-03-04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Microwave strip line |
US4288530A (en) * | 1979-10-15 | 1981-09-08 | Motorola, Inc. | Method of tuning apparatus by low power laser beam removal |
US4418324A (en) * | 1981-12-31 | 1983-11-29 | Motorola, Inc. | Implementation of a tunable transmission zero on transmission line filters |
JPS6019302A (ja) * | 1983-07-13 | 1985-01-31 | Murata Mfg Co Ltd | 誘電体基板を用いたロ−パスフイルタ |
US4800348A (en) * | 1987-08-03 | 1989-01-24 | Motorola, Inc. | Adjustable electronic filter and method of tuning same |
US4963843A (en) * | 1988-10-31 | 1990-10-16 | Motorola, Inc. | Stripline filter with combline resonators |
US5015976A (en) * | 1988-11-11 | 1991-05-14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Microwave filter |
JPH02146801A (ja) * | 1988-11-28 | 1990-06-06 | Fujitsu Ltd | 中心周波数可変帯域通過フィルタ |
US4905358A (en) * | 1989-01-18 | 1990-03-06 | Motorola, Inc. | Thin film active trimmable capacitor/inductor |
JP2829352B2 (ja) * | 1989-08-31 | 1998-11-25 |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 三導体構造フィルタの帯域幅調整法 |
US5017897A (en) * | 1990-08-06 | 1991-05-21 | Motorola, Inc. | Split ring resonator bandpass filter with differential output |
JPH04180401A (ja) * | 1990-11-15 | 1992-06-26 | Hitachi Ltd | 高周波伝送線路 |
JP2502824B2 (ja) * | 1991-03-13 | 1996-05-2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平面型誘電体フィルタ |
US5291162A (en) * | 1991-05-15 | 1994-03-01 | Ngk Spark Plug Co., Ltd. | Method of adjusting frequency response in a microwave strip-line filter device |
US5160906A (en) * | 1991-06-24 | 1992-11-03 | Motorola, Inc. | Microstripe filter having edge flared structures |
JPH05183306A (ja) * | 1991-12-27 | 1993-07-23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トリプレート構造の誘電体基板 |
US5400002A (en) * | 1992-06-12 | 1995-03-21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trip dual mode filter in which a resonance width of a microwave is adjusted and dual mode multistage filter in which the strip dual mode filters are arranged in series |
-
1996
- 1996-04-04 US US08/628,029 patent/US5734307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
- 1997-04-04 CN CNB971952825A patent/CN114332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4-04 EP EP97920140A patent/EP089162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4-04 WO PCT/US1997/005639 patent/WO1997038427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7-04-04 AU AU24406/97A patent/AU712280B2/en not_active Ceased
- 1997-04-04 JP JP53636297A patent/JP383326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4-04 DE DE69714029T patent/DE69714029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4-04 KR KR10-1998-0707876A patent/KR1004704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4-04 BR BR9708599A patent/BR9708599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4-04 EE EE9800338A patent/EE04029B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712280B2 (en) | 1999-11-04 |
EE04029B1 (et) | 2003-04-15 |
JP3833261B2 (ja) | 2006-10-11 |
WO1997038427A1 (en) | 1997-10-16 |
CN1143328C (zh) | 2004-03-24 |
DE69714029T2 (de) | 2003-02-06 |
JP2000508489A (ja) | 2000-07-04 |
EE9800338A (et) | 1999-04-15 |
BR9708599A (pt) | 1999-08-03 |
EP0891626A1 (en) | 1999-01-20 |
KR100470416B1 (ko) | 2005-07-07 |
DE69714029D1 (de) | 2002-08-22 |
CN1221514A (zh) | 1999-06-30 |
US5734307A (en) | 1998-03-31 |
EP0891626B1 (en) | 2002-07-17 |
AU2440697A (en) | 1997-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133799B1 (en) | Tuning system on dielectric substrates | |
EP1783893B1 (en) | User-definable, low cost, low phase hit and spectrally pure tunable oscillartor | |
EP0785616B1 (en) | A balanced integrated semiconductor device operating with a parallel resonator circuit | |
EP1376851B1 (en) | Oscillator and communications device | |
US5045815A (en) | Amplitude and phase balanced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 |
KR20000005200A (ko) | 차동회로용 분포장치 | |
EP0799505B1 (en) | Resonator resonant frequency tuning | |
US6724274B2 (en) | Frequency-switching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CA2260453C (en) | High-frequency module | |
EP1099297A1 (en) | Balanced oscillator having a short circuited quarter-wave paired line | |
US20020109555A1 (en) | Voltage-controlled variable tuning circuit for switching an oscillation frequency band o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
JP2002506303A (ja) | 金属蓋開口選択により同調する電圧制御発振器 | |
JPH1141031A (ja) | 電圧制御発振器 | |
US4625183A (en) | Low-cost VCO using lumped elements in microwave band | |
EP1120905B1 (en) | Output amplifier for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
EP0938185B1 (en) |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nd method for adjusting frequency shift amount thereof | |
JP2003101344A (ja) | 周波数シフト型高周波電圧制御型発振回路 | |
EP1235343A2 (en) | Microwave oscillator having improved phase noise of oscillation signal | |
JPH11312925A (ja) | 電圧制御型発振回路 | |
JP2003101343A (ja) | 周波数シフト型高周波電圧制御発振回路 | |
JP2003078350A (ja) | 高周波電圧制御型発振回路 | |
JPH10242760A (ja) | 電圧制御型高周波発振装置 | |
JP2003101345A (ja) | 周波数シフト型電圧制御発振回路 | |
JPH10270938A (ja) | 発振回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2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