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182A - 튜브 등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등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182A
KR20000005182A KR1019980707854A KR19980707854A KR20000005182A KR 20000005182 A KR20000005182 A KR 20000005182A KR 1019980707854 A KR1019980707854 A KR 1019980707854A KR 19980707854 A KR19980707854 A KR 19980707854A KR 20000005182 A KR20000005182 A KR 2000000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ves
tube
top plate
support
clam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556B1 (ko
Inventor
아일리프 엘페가르트
Original Assignee
아일리프 엘페가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일리프 엘페가르트 filed Critical 아일리프 엘페가르트
Publication of KR2000000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two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서포트에 적어도 하나의 튜브 등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장치는, 튜브(6) 등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4, 5), 베이스부재의 서포트(7)로부터 멀리 향하는 쪽에 알맞은 상단판(14), 및 상단판과 베이스부재 내의 상호 정렬된 구멍(15, 10, 11; 16, 12, 13)을 통해 놓여있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나사(8; 9)로 구성되어 있다. 잠금나사는 느슨한 부분 없이 조립된 유니트로서 함께 클램프장치의 구성요소를 유지하기 위해, 일단에 헤드(17; 18)를 그리고 타단에 너트(21; 22)를 가지고 있으며, 나사의 헤드(17; 18)는 서포트 내의 긴 구멍(19; 20)을 통해 놓여있도록 배열되고 너트를 조이므로서 잠금된다. 베이스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절반부(3)가 튜브(6)를 받아 클램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5)를 가지는 2개의 절반부(2, 3)로 이루어져 있고, 그리고 절반부(2, 3)를 통한 구멍(10, 11, 12, 13)은 그 길이 전체에 걸쳐 방사상 확장부(24)를 가져서, 결합되는 잠금나사의 헤드가 절반부의 제한된 상대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그리고 오목부(4, 5) 내로의 튜브(6)의 측방향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서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3)내로 또는 이 절반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의 절반부(2) 내로 부분적으로 통과될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 등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장치
상기된 클램프장치는 노르웨이 특허 제 174 402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클램프장치는 복수의 느슨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장착 또는 분해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종래의 클램프장치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장점들은 제조, 유지보수, 부품의 주문, 장착/분해 시간 및 총비용에 대하여 성취된다. 이러한 클램프는 어떠한 종류의 느슨한 부분 없이, 모든 부분이 완벽하게 조립되고, 바로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단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구성요소의 부분들 중 어느 하나도 장착되기 전에 클램프장치로부터 분리되거나 분해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클램프는 분해 후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되어, 한번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공지된 클램프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재는 단일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그 외향개방 오목부에는 오목부 내의 제위치에 측방향으로 도입되어 가압되는 튜브를 파지하여 유지하기 위한 압축부위가 그 개구에 형성된다. 이것은 베이스부재가 도입된 튜브에 제한된 클램핑작용을 발휘할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타입의 클램프는 연결부에 높은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의 꽤 작은 튜브의 클램핑에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은, 튜브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향개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상인 오목부를 가지는 베이스부재, 서포트로부터 멀리 향하는 쪽에서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인접되는 적절한 상단판, 및 적절한 상단판과 베이스부재 내의 상호 정렬된 구멍을 통해 놓여있는 잠금나사의 형상이고, 그리고 일단의 헤드 및 타단의 너트에 의하여 느슨한 부분 없이 완벽하게 사전조립된 바로 장착될 수 있는 유니트로서 함께 클램프장치의 구성요소를 유지하는 타입인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나사의 헤드는 서포트에 고정되는 단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헤드에 적합되는 서포트 내의 구멍 또는 홈을 통해 놓여지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너트의 조임에 의해 잠금되는, 하나 이상의 튜브 등을 서포트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클램핑될 튜브의 도입을 준비하는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상단판이 바우(bow) 또는 스트랩으로 형성되는 실시예인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도 5는 클램프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클램프장치의 제3 실시예의 정면도,
도 7은 클램핑될 튜브의 도입을 준비하는 도 6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클램프장치의 제4 실시예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하부 베이스 절반부를 밑으로부터 본 도면,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그러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클램프장치의 제5 실시예의 정면도,
도 12는 도 1에 대응하는 클램프장치의 실시예의, 그러나 양 오목부가 튜브 주위에서 파지하는 실시예의 정면도,
도 13은 절반부들이 함께 이동하는 도 12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14는 클램프장치의 제6 실시예의 정면도,
도 15는 도 1 내지 3 및 도 6 내지 8에 따른 실시예에 형성된 바와 같은, 상단판의 평면도,
도 16은 추가 클램프 증설용 분리 상단판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분리 상단판 및 증설된 추가 클램프장치를 가지는 클램프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타입의 클램프장치의 상기 장점들이 유지되는 동시에, 클램프장치가 장착될 때 튜브의 효과적인 클램핑이 얻어지는, 보다 큰 치수의 튜브의 클램핑에도 적합한 클램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베이스부재는 절반부들이 서로에 대하여 가압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절반부가 절반부 사이에서 클램핑 방식으로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가지는 2개의 절반부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절반부를 통하는 구멍에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방사상 확장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잠금나사의 헤드는, 절반부의 제한된 상대이동을 허용하도록 그리고 오목부 내로의 튜브의 측방향 도입을 허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포트에 가장 근접한 절반부 내로 또는 이러한 절반부를 통하여 다른 절반부 내로 부분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상기된 타입의 클램프장치를 이루는 것이다.
이 클램프장치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복수개 이웃하여, 튜브, 케이블 등을 클램핑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 클램프장치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절반부는 각각의 튜브를 받기 위한 상호 마주하며 합체되는 적어도 한 쌍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합체된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는 오목부 내로 도입되는 튜브의 파지 및 유지를 위하여 그 개구에 압축부위를 가지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클램프가 작용하는 튜브가 유니트로서 장착위치로 운송될 수 있도록 바람직한 개수의 클램프장치는 튜브 상에서 죄어진다. 클램프가 튜브 상에 사전장착될 수 있다는 특성은 많은 경우에 있어서 큰 설치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복수의 실시예와 관련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대응 또는 유사부재는 상이한 도면에서도 동일한 부재번호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장치의 실시예는, 적절한 치수의 튜브 또는 파이프(6)를 받기 위한 2개의 상호 마주하며, 합체되는 오목부(4, 5) 중 각각의 하나를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절반부(2, 3)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재(1)로 구성된다. 오목부(4, 5)는 부분적으로 원통형상이며, 오목부 내에 위치되는 튜브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을 가진다. 또한, 이 오목부는 베이스 절반부(2, 3)가 서로에 대하여 가압될 때 클램핑 방식으로 수용되는 튜브에 대하여 그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오목부는, 오목부(및 튜브)의 세로축선에 수직인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일부원형 윤곽을 가진다. 하부 오목부(5)의 단면 윤곽은 반원보다는 다소 크고, 그 개구에서의 오목부는 대향 압축부위(7)를 가지고(도 3 참조), 그 개구에서의 오목부는 튜브의 외경보다 좁아 오목부 내의 제위치에 측방향으로 도입되어 가압되는 튜브를 파지하여 유지하도록 한다. 오목부(5) 내로의 튜브(6)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또한 나머지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절반부는 플라스틱과 같은 적절한 탄성재로 만들어진다. 그렇지만, 압축된 개방부위를 갖춘 오목부를 가지는 베이스 절반부가 또한 적절한 크기의 개조물로서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부 오목부(4)는 반원보다 다소 작은 단면 윤곽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그리고 또 다른 오목부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향표면이 완전히 서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절반부들이 서로에 대하여 가압될 때 베이스 절반부가 오목부 내에 위치되는 튜브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는 단면형상에 있어서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오목부는 위치된 튜브를 파지하여 유지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변경예에 따라, 이 튜브는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절반부 사이의 거리가 먼 상태로 서로에 대하여 가압되는 베이스 절반부에 의하여 클램핑되도록 양 오목부는 반원보다 작은 단면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오목부 중 어느 하나도 오목부 내에 위치되는 튜브를 그 자신 위에 유지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베이스 절반부(2, 3)는 오목부(4, 5)의 어느 한 쪽에서의 베이스 절반부를 통하여 그 세로축선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각각의 상호 정렬된 구멍(10, 11 및 12, 13)을 통해 놓여 있는 2개의 고정나사(8, 9)에 의하여 기초 또는 서포트(7)에 고정된다. 상단판(14)은 상부 베이스 절반부(2)의 위쪽에 위치되고, 고정나사(8, 9)는 이 상단판 내의 각각의 구멍(15, 16)을 통해 놓여 있고, 이들 구멍은 베이스 절반부(2, 3) 내의 각각의 구멍(10, 11 및 12, 13)과 정렬된다. 상단판은 클램프의 베이스 절반부가 연소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사용위치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화재시의 튜브가 붕괴되지 않도록 금속재로 만들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클램프장치의 실시예가 분리 상단판의 사용에 기초할지라도, 특히 상단판이 화재와 같은 안전상의 이유로 사용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 클램프장치는 그러한 (금속)상단판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다. 명백한 바와 같이, 베이스 절반부들, 또는 적어도 상부 베이스 절반부가 금속과 같은 비연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에서도 상단판은 불필요하다. 상부 베이스 절반부가 오목부를 구비하지 않은(도 14), 그리고 특히 금속이나 다른 비연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실시예에서, 역시 명백한 바와 같이, 상단판은 불필요하다.
클램프장치의 고정나사는 느슨한 부분 없이 사전조립되고 바로 장착할 수 있는 유니트로서 함께 클램프의 구성요소, 즉 구성부품을 유지하는 헤드 나사로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나사는 서포트에 고정될 단부에서 서포트 내의 적절한 구멍 또는 홈을 통해 놓여질 수 있고, 그리고 나사의 다른 단부에서 나삿니에 나사결합되는 잠금너트를 조이므로서 서포트에 대하여 잠금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나사(8, 9)는 T형나사로 지칭되는 공지되고 상업적으로 유용한 타입의 잠금나사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나사는 각각 서포트(7) 내의 적절한 직사각형 구멍(19, 20)을 통해 놓여 있고, 그리고 헤드 아래에 한 쌍의 멈춤돌기(도시 생략)를 가지는 T자형 헤드(17, 18)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나사의 90°회전으로, 하나의 돌기는, 잠금너트 타입으로 되어 각각 헤드의 잠금위치 및 풀림위치로의 나사의 회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나사에서 완만하게 안착되는 나사의 결합너트(21, 22)를 조이므로써 구멍 내에서의 연속적인 회전에 대항하여 이러한 나사를 잠금시킨다. (다른 하나의 돌기는 문제의 너트를 풀 때 나사의 회전을 방지한다.) 서포트 내의 구멍은 이하 설명되는 도 16에서의 분리 상단판에 도시된 구멍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된 T형나사의 변경예로서, 고정나사는 서포트 내의 열쇠구멍형 구멍을 통해 놓여 있어 "열쇠구멍"의 좁은 부위 내로 도입될 때, 회전에 대항하여 나사를 잠금시켜, 그 너트가 조여질 수 있도록 하는 헤드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통상 직사각형 단면의, 헤드 아래에 형성된 쇼울더를 가지고 있는 잠금나사일 수 있다(본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실제로 잠금나사의 길이는 서포트의 두께에 알맞게 되어, 클램프장치의 잠금나사가 의도된 구멍 내의 제위치로 이동되고 잠금너트가 적절한 스패너로 조여질 때 요구되는 잠금은 즉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장치 내로의 튜브의 측방향 도입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 또는 튜브로부터 장착된 클램프장치를 제거할 수 있기 위해서, 베이스 절반부는 그러한 도입 또는 제거를 허용하도록 서로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지게 이동될 수 있어야 하는 동시에, 잠금나사는 도입 또는 분해개구로부터 멀리 당겨질 수 있어야 하며, 클램프장치의 구성요소는 언제나 느슨한 부분 없이 유니트로서 함께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 베이스 절반부를 통하는 구멍에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방사상 연장 또는 확장부가 형성되어, 결합 잠금나사의 헤드는 서포트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이 절반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의 절반부 내로 부분적으로 통과될 수 있다. 절반부의 제한된 상대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그리고 오목부 내로의 튜브 등의 측방향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서,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나사의 필수적인 자유이동을 얻을 수 있다.
잠금나사(8, 9)가 측방향 돌출 헤드부위(23)를 가지는 소위 T형나사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방사상 연장 또는 확장부는 돌출 헤드부위(23)용 공간 및 통로를 만들기 위해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공간(24)으로 이루어진다.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24)의 형상으로 나사구멍의 방사상 확장부를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9에 또한 도시된다.
도 1 내지 3에 따른 실시예에서, 2개의 베이스 절반부(2, 3)는 절반부의 한쪽 에지에 위치되고 그리고 오목부(4, 5)의 세로축선에 평행한 힌지축선을 가지는 힌지부위(25)에서 서로 연결된다. 또, 잠금나사(8, 9)용 구멍은, 절반부(2, 3) 내의 두 쌍의 정렬된 구멍(10, 11 및 12, 13)의 각각의 방사상 연장부(24)가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3)를 통하여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절반부(2) 내로 제한된 거리만큼 연장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잠금나사의 헤드는 베이스 절반부(3) 내의 구멍을 통하여 자유롭게 통과될 수 있고, 힌지부위는 베이스 절반부를 함께 유지할 수 있다.
클램핑될 튜브가 도 1 내지 3에 따른 클램프장치 내로 삽입될 때, 잠금나사(8, 9)와 함께 상단판(14)은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들어 올려진다. 그 후에 상부 절반부(2)는 힌지(25) 주위에서 선회되어, 튜브(6)의 측방향 도입용 자유개구가 제공되도록 한다. 튜브가 오목부(5) 상에 위치될 때, 베이스 절반부(3)는 튜브 상의 제위치에서 가압된다. 그 후에 상부 베이스 절반부(2)는 튜브로 피봇선회되고, 잠금나사(8, 9)는 하부 절반부(3) 내의 구멍 및 서포트 내의 구멍을 통해 놓여지는 동시에 상단판(14)은 상부 베이스 절반부 상으로 이동된다. 그 후에 너트(21, 22)는 조여질 수 있어, 클램프장치는 서포트에 고정된다.
베이스 절반부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때, 사용 위치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화재시 설치된 튜브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클램프 주위에 강철 바우 또는 스트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클램프의 상단판을 동시에 구성하는 스트랩(26)을 구비하고 있는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나머지 관점에서 이 실시예는 도 1 내지 3에 따른 실시예에 대응된다. 그러한 스트랩 실시예 또는 유사한 실시예는 예시된 모든 클램프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오목부(4, 5)의 한 쪽에서 상단판(32) 및 베이스 절반부(33, 34) 내의 각각의 정렬된 구멍(29, 30, 31)을 통하여 연장되는 단일의 잠금나사(28)로 구성되는 클램프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베이스 절반부(33, 34)는 도 1 내지 3에 따른 실시예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힌지부위(35)에서 서로 힌지된다. 베이스 절반부(33, 34) 내의 한 쌍의 정렬된 구멍(30, 31)의 방사상 확장부는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34) 전체 및 다른 하나의 절반부(33) 내로의 제한된 거리를 통해 뻗어있다. 따라서, 클램프장치는 도 3에 관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튜브 도입을 위해 개구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 내지 3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한 클램프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실시예는 힌지부위(38)에서 서로 힌지되는 2개의 베이스 절반부(36, 37)와, 오목부(43, 44)의 어느 한 쪽에서 상단판(14) 및 베이스 절반부 내의 각각의 정렬된 구멍(15, 39, 40 및 16, 41, 42)을 통해 뻗어있는 2개의 잠금나사(8, 9)로 구성된다. 대체로 도 1 내지 3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가 하나 이상의 튜브, 케이블 등을 수용하도록 한 쌍 이상의 합체 오목부(4, 5)를 가지는 것에 반하여, 도 6의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베이스 절반부는 각각 단일의 오목부(43, 44)를 가지며, 각각의 오목부는 또한 절반부의 힌지부위(38)에 마주하여 위치되는 쪽에 각각 측방향 진출부위(45, 46)를 가져, 튜브용의 측방향 도입개구가 형성되도록 한다. 측방향 진출부위(45, 46)에서 한 쌍의 정렬된 구멍(39, 40)은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37) 전체와 다른 하나의 절반부(36) 내로의 제한된 거리를 통해 뻗어 있으며, 반면에 정렬된 구멍(41, 42)의 다른 쌍은 그러한 방사상 확장부 없이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것은 단지 클램핑될 튜브의 도입을 위한 공간을 만들도록 하나의 잠금나사(8)를 들어올리는 것뿐이고, 베이스 절반부(36, 37)를 통하는 잠금나사(9)와 구멍(41) 사이의 간극에 의하여 허용되는 것보다 큰 힌지(38)에서의 이동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클램프장치의 본 실시예는 튜브가 오목부 내의 제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서포트(7)에 하나의 나사(9)로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종종 설치시 큰 장점을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힌지부위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 한 쌍의 분리 베이스 절반부(47, 48)와, 오목부(4, 5)의 양쪽에서 상단판(14) 및 베이스 절반부 내의 각각의 정렬된 구멍(15, 49, 50 및 16, 51, 52)을 통해 뻗어있는 한 쌍의 잠금나사(8, 9)로 구성된다. 한 쌍의 정렬된 구멍(49, 50)의 방사상 확장부(도 2에서의 24)는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베이스 절반부(48) 전체와 다른 하나의 절반부(47) 내로의 제한된 거리에 걸쳐서 뻗어있는 반면에, 정렬된 구멍(51, 52)의 제2 쌍의 방사상 확장부는 서포트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48) 내로의 선택거리 만큼만 뻗어있다.
도 9는, 잠금나사(8, 9)의 헤드(17, 18)의 돌출부위(23; 도 1)를 수용하기 위한 반경방향으로 마주하는,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된 방사상 확장부(24)를 관찰 가능하도록, 도 8의 하부 베이스 절반부(48)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대응하지만, 문제의 베이스 절반부를 통한 구멍의 방사상 확장부가 일정한 유격 또는 간극으로서 잠금나사의 헤드(17, 18)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직경을 가지는 각각의 원통형 확장부, 즉 확장 또는 연장된 구멍(54, 55)으로 이루어지는 변경 실시예의 바닥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방사상 확장부는 상기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축선방향 홈과 정렬되는 나사헤드의 돌출부위의 위치결정을 위하여, 클램프장치의 분해시 잠금나사의 일정한 회전방향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는 연장되고, 큰 구멍을 수용하기 위해서 다소 큰 베이스 절반부를 요구한다.
도 11은 베이스 절반부(56, 57)가 도 8에서와 같이 분리되지만, 도 5에서와 같이, 클램프장치가 단일의 잠금나사(28)로 구성되는 클램프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절반부가 오목부(4, 5) 내로의 튜브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 서로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정렬된 구멍(58, 59)의 방사상 연장부(24; 도 2 및 도 9)는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베이스 절반부(57) 내로 선택된 거리만큼만(도 5) 뻗어있다.
도 1, 5, 8 및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절반부 중 하나의 오목부는 클램핑될 튜브 "주위를 파지"하기 위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오목부는 함께 클램핑될 튜브 주위를 파지하여, 클램프가 서포트에 최종 장착되기 전에 튜브에 죄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한 쌍의 힌지식 베이스부재(60, 61)를 가지는 변경 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베이스 절반부 내의 양 오목부(62, 63)는 클램핑될 튜브 주위를 부분적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된 실시예에서의 오목부(5)와 마찬가지로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서 각각의 오목부는 반원보다 다소 큰 단면 윤곽을 가진다. 도 13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의 오목부는 베이스 절반부가 함께 이동될 때 다른 오목부의 튜브 파지부위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그 길이의 절반에 걸친 단차부위(64, 65)를 가진다.
도 14는 클램프장치의 제6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장치의 베이스 절반부(66, 67)는 2개의 튜브의 클램핑을 위하여 오목부(4, 5)를 합체하도록 2 쌍이 구비된다. 베이스 절반부는 힌지부위(68) 내에서 서로 힌지되고, 그리고 상단판(69)은 도 4의 실시예와 대응하는 방식으로 U자형상 바우 또는 스트랩으로서 형성된다. 클램프장치는 2 쌍의 오목부 사이에서 베이스 절반부의 정렬된 구멍(71, 72)을 통해 뻗어있는 단일의 잠금나사(70)를 가진다. 구멍의 방사상 확장부(24; 도 2)는 도 1 또는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절반부(66)의 오목부(4)는 상대적으로 작거나 얕게 되도록 도시된다. 오목부의 개구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오목부는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완전하게 생략될 수 있다. 단지 하나, 즉 하부 베이스 절반부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제공되는 그러한 실시예는, 상이한 치수로 튜브를 클램핑하기에 적합하며, 적합한 바와 같이, 일부 원통형 부싱 또는 라이닝은 베이스 절반부(67) 내의 오목부(5)에 적합한 것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는 대응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 6, 8 및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단판(14)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단판에는 클램프장치의 베이스부재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리고 추가적인, 대응 클램프장치의 결합 잠금나사의 도입 및 잠금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홈을 구비하는 부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일체형 돌출부위를 가지는 상단판 대신에, 이미 장착된 클램프장치의 상단에 추가 클램프를 설치하고자 할 때 분리 상단판 또는 증설판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한 분리 상단판의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다. 이러한 상단판(73)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 축선과 평행하게 클램프장치의 상단판(14) 아래에 도입된다. 이 상단판은 대응적으로 위치된 잠금나사(8, 9; 도 1)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외측으로 개구된 절취부 또는 슬롯(74)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장착위치에서 베이스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추가적인 대응 클램프장치 내의 각각의 잠금나사의 도입 및 잠금을 위한 한 쌍의 구멍 또는 홈(76)을 구비하는 부위(75)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판(73)은 밑에 있는 클램프장치의 측면에 대하여 인접되기 위한 아래쪽으로 돌출된 측플랜지(77)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판은 일단에서 이미 장착된 클램프장치 상에서 상단판(14)에 대하여 인접부를 안내하기 위한 위쪽으로 돌출된 플랜지(78)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타단에서 추가 클램프의 전방에지에 대하여 인접되기 위한 위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79)를 가지고 있다.
도 17 및 도 18은 각각 서포트(7) 상에 장착되는 클램프장치(80) 및 분리 상단판(73)에 의하여 제1 클램프 상에 증설되는 추가적인 대응 클램프장치(81)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추가 클램프장치(81)를 장착할 때, 잠금나사의 너트는 우선 분리 상단판의 적합단부가 조립된 상단판(14) 아래로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이미 장착된 클램프장치(80)에서 느슨하게 되며, 잠금나사가 슬롯(74) 내로 삽입되고 난 후, 너트는 다시 조여진다.
추가 클램프장치의 증설을 위한 분리 상단판이 의도되는 목적, 예를 들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 하나의 잠금나사를 가지는 클램프장치의 증설과 같은 목적에 따라, 많은 상이한 방식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한 분리 상단판은 도 4의 스트랩형 판(26)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서포트에 대해 아래로 완전히 돌출되는 측플랜지를 가질 수도 있다. 단지 하나의 잠금나사를 가지는 클램프장치에 관한 또 다른 변경예로서, 분리 상단판은 U자형 단면을 가지는 브래킷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U자의 다리부는 이미 장착된 클램프장치의 위아래에서 각각 도입되는 상부 및 하부 수평플랜지를 형성한다. 잠금나사의 너트를 조이므로서, 하부 플랜지는 서포트와 클램프 사이에 클램핑되고, 그리고 상부 플랜지는 클램프의 상단판에 의하여 클램핑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장착을 위한 서포트에 관하여는, 잠금나사의 타입을 수용하기 위해 표준화된 관통패턴을 가질 수 있다. 클램프장치의 나사헤드에 알맞은 홈을 가지는 케이블 선로, 케이블 준설 및 프로필/레일과 같은 표준화된 요소 또는 강철 서포트에 용접되거나 나사결합되기 위해 적절한 구멍을 가지는 사전조립된 브래킷을 사용하는 것은 유용하다. 그러한 요소는 장착되는 위치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Claims (14)

  1. 튜브(6)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향개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상인 오목부(4, 5)를 가지는 베이스부재(1),
    서포트(7)로부터 멀리 향하는 쪽에서 베이스부재(1)에 대하여 인접되는 적절한 상단판(14), 및
    적절한 상단판(14)과 베이스부재(1) 내의 상호 정렬된 구멍(15, 10, 11; 16, 12, 13)을 통해 놓여있는 잠금나사(8; 9)의 형상이고, 그리고 일단의 헤드(17; 18) 및 타단의 너트(21; 22)에 의하여 느슨한 부분 없이 완벽하게 사전조립된 바로 장착될 수 있는 유니트로서 함께 클램프장치의 구성요소를 유지하는 타입인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나사의 헤드(17; 18)는 서포트(7)에 고정되는 단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헤드에 적합되는 서포트(7) 내의 구멍(19; 20) 또는 홈을 통해 놓여지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너트(21; 22)의 조임에 의해 잠금되는, 하나 이상의 튜브 등을 서포트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재는 절반부들이 서로에 대하여 가압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절반부(3)가 절반부(2, 3) 사이에서 클램핑 방식으로 튜브(6)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5)를 가지는 2개의 절반부(2, 3)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절반부(2, 3)를 통하는 구멍(10, 11, 12, 13)에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방사상 확장부(24)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잠금나사(8; 9)의 헤드(17; 18)는 절반부의 제한된 상대이동을 허용하도록 그리고 오목부(4, 5) 내로의 튜브(6)의 측방향 도입을 허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포트(7)에 가장 근접한 절반부(3) 내로 또는 이러한 절반부를 통하여 다른 절반부(2) 내로 부분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절반부(2, 3)는 각각의 튜브(6)를 받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서로 마주하고 합체되는 오목부(4, 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2개의 합체되는 오목부(4, 5) 중 적어도 하나(5)는 그 개구에서 오목부 내로 삽입되는 튜브(6)를 파지 및 유지하기 위한 압축부위(7)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오목부(4, 5)의 양쪽에서 상단판(14) 및 베이스 절반부(2, 3) 내의 각각의 정렬된 구멍(15, 10, 11; 16, 12, 13)을 통해 뻗어있는 2개의 잠금나사(8, 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오목부(4, 5)의 한쪽에서 상단판(32) 및 베이스 절반부(33, 34) 내의 각각의 정렬된 구멍(29, 30, 31)을 통해 뻗어있는 단일의 잠금나사(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의 2개의 절반부(2, 3; 33, 34; 36, 37)는 절반부의 한쪽 에지에 위치되고 그리고 오목부(4, 5; 43, 44)의 세로축선과 평행한 힌지축선을 가지는 힌지부위(25; 35; 38)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2개의 절반부(47, 48) 내의 한 쌍의 정렬된 구멍(49, 50)의 방사상 확장부(24)는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48) 전체와 다른 하나의 절반부(47) 내로의 제한된 거리를 통해 뻗어있는 한편, 다른 한 쌍의 정렬된 구멍(51, 52)의 방사상 확장부(24)는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48) 내로의 선택된 거리만큼만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2개의 절반부(56, 57) 내의 한 쌍의 정렬된 구멍(58, 59)의 방사상 확장부(24)는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57) 내로의 선택된 거리만큼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9.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2개의 절반부(2, 3) 내의 2 쌍의 정렬된 구멍(10, 11; 12, 13)의 각각의 방사상 연장부(24)는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3) 전체와 다른 하나의 절반부(2) 내로의 제한된 거리를 통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2개의 절반부(33, 34) 내의 한 쌍의 정렬된 구멍(30, 31)의 방사상 확장부(24)는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34) 전체와 다른 하나의 절반부(33) 내로의 제한된 거리를 통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11.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절반부(36, 37)는 단일의 오목부(43; 44)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오목부는 또한 튜브(6)용의 측방향 도입개구가 형성되도록 절반부의 힌지부위(38)에 마주하여 위치되는 쪽에 측방향 진출부위(45; 46)를 가지고 있으며, 측방향 진출부위(45, 56)에서의 한 쌍의 정렬된 구멍(39, 40)의 방사상 확장부(24)는 서포트(7)에 가장 가까운 절반부(37) 전체와 다른 하나의 절반부(38) 내로의 제한된 거리를 통해 뻗어있는 한편, 다른 한 쌍의 정렬된 구멍(41, 42)은 그러한 방사상 확장부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나사(8, 9)는 측방향 돌출 헤드부위(23)를 가지는 T형나사이고, 방사상 확장부는 돌출 헤드부위(23)용의 공간 및 통로를 만들기 위해 직경방향으로 마주하고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공간(2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판은 금속이고 그리고 클램핑된 튜브(6)의 각각의 측부 상에서 클램프 절반부(2, 3; 66, 67)의 마주하는 측부를 따라 서포트(7)에 대해 아래로 돌출되는 다리부를 가지는 스트랩(26; 69)과 같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목부 축선과 평행한 클램프장치(80)의 상단판(14) 아래에 삽입되는 분리 상단판(73)으로 구성되며, 분리 상단판(73)은 대응적으로 위치되는 잠금나사(8, 9)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외측으로 개구되는 절취부(74)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단판(73)의 장착부위에서 베이스부재(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추가적인 대응 클램프장치(81) 상에서의 각각의 잠금나사의 도입 및 잠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홈(76)을 구비하는 부위(75)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장치.
KR10-1998-0707854A 1996-04-01 1997-03-25 튜브등을클램핑하기위한클램프장치 KR100448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61327 1996-04-01
NO961327A NO305334B1 (no) 1996-04-01 1996-04-01 Klammeranordning for fastspenning av r°r 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182A true KR20000005182A (ko) 2000-01-25
KR100448556B1 KR100448556B1 (ko) 2005-01-15

Family

ID=1989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854A KR100448556B1 (ko) 1996-04-01 1997-03-25 튜브등을클램핑하기위한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173926B1 (ko)
EP (1) EP0890052B1 (ko)
JP (1) JP3682978B2 (ko)
KR (1) KR100448556B1 (ko)
CN (1) CN1084452C (ko)
AU (1) AU718407B2 (ko)
CA (1) CA2250521C (ko)
DE (1) DE69704936T2 (ko)
DK (1) DK0890052T3 (ko)
ES (1) ES2159396T3 (ko)
HK (1) HK1020606A1 (ko)
NO (1) NO305334B1 (ko)
PL (1) PL184290B1 (ko)
WO (1) WO19970371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854B1 (ko) * 1999-09-08 2001-09-24 이태원 파이프 클램프의 베이스 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0136A1 (de) * 1998-09-03 2000-03-09 Volkswagen Ag Halterungselement und Halterung für starre Leitungen in einem Fahrzeug
US6378813B1 (en) * 1999-06-10 2002-04-30 Arlington Industries, Inc. Cable support
NL1013358C2 (nl) * 1999-10-21 2001-04-24 Emje Man Support B V Werkwijze voor het flu´dumdicht verbinden van een flexibele slang met een leiding alsmede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US6431502B1 (en) 2000-03-11 2002-08-13 All-Points Equipment Co., L.P. Cable clamp
JP3935357B2 (ja) * 2001-02-05 2007-06-2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超音波流量計
AT5294U1 (de) * 2001-07-19 2002-05-27 Avl List Gmbh Einrichtung zur flexiblen befestigung eines thermisch beanspruchten bauteiles
US6889944B2 (en) * 2001-11-15 2005-05-10 Michael Brandzel Cable to frame fastener system
ES2242554T3 (es) * 2002-09-25 2008-07-01 Pma Ag Abrazadera de union para tubos.
US20040089828A1 (en) * 2002-10-18 2004-05-13 Werth Albert A. Conduit clamp
US20050167547A1 (en) * 2004-02-02 2005-08-04 Mclellan Robin S. Magnetized mounting bracket
CA2513960A1 (en) * 2004-07-28 2006-01-28 Greenlee Textron Inc. Device for stacking wires or cables
US7434779B2 (en) * 2005-01-28 2008-10-14 Twin Bay Medical, Inc. Conduit clamp
DE102005011131B4 (de) * 2005-03-10 2007-07-26 Airbus Deutschland Gmbh Halterungssystem zur Führung und Befestigung eines oder mehrerer Rohre oder ähnlich geformter Körper
US7347401B1 (en) 2005-10-12 2008-03-25 Arlington Industries, Inc. Stackable cable support
US20070120023A1 (en) * 2005-11-29 2007-05-31 Cnh America Llc Hydraulic hose retention device
CN101179183B (zh) * 2006-11-08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线夹
JP5011985B2 (ja) * 2006-12-01 2012-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ガス配管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搭載車両
US20080196981A1 (en) * 2007-02-16 2008-08-21 David Liland Dampening device for compensating cables
US8985531B2 (en) * 2007-03-27 2015-03-24 The Boeing Company Methods for system component installation utilizing direct manufactured components
US8328458B2 (en) 2007-07-20 2012-12-11 Twin Bay Medical, Inc. Sanitary clamp
US8328457B2 (en) * 2007-07-20 2012-12-11 Twin Bay Medical, Inc. Sanitary clamp
TWI347824B (en) * 2007-09-13 2011-08-21 Fujitsu Ltd Liquid cooling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7922012B2 (en) * 2008-07-24 2011-04-12 Power Bus Way Ltd. Cable tray
US8049522B2 (en) * 2008-08-26 2011-11-01 Evapco, Inc. Ice thickness probe, ice thickness probe assembly and ice thickness monitoring apparatus
US8973889B2 (en) * 2009-03-13 2015-03-10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Tube clamp
US9605782B2 (en) * 2009-04-02 2017-03-2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anitary retainer
USD614947S1 (en) * 2009-06-26 2010-05-04 Syntiro Dynamics Llc Wedge pipe hanger
US8226052B2 (en) * 2009-07-09 2012-07-24 Hancock Daniel J Insulated clamp
US8151785B2 (en) * 2009-10-05 2012-04-10 Qi Dang Adjustable height stove guard
FR2959538B1 (fr) * 2010-04-28 2012-06-08 Cita Production Dispositif de fixation reglable notamment pour tuyauterie.
CN102275145A (zh) * 2010-06-09 2011-12-14 张明亮 光轴夹持器
USD715744S1 (en) 2011-03-11 2014-10-21 Roxtec Ab Cable and pipe penetration seal
US9000299B2 (en) * 2011-07-18 2015-04-07 Prysmian Power Cables And Systems Usa, Llc Cable clamp having winged flanges
US9971120B2 (en) * 2012-10-31 2018-05-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Anchoring cables to rack with cable clamp arrangements
CN103231347A (zh) * 2013-05-14 2013-08-07 厦门力鼎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监控镜头压盖的拆装工具
US9142946B2 (en) * 2013-06-27 2015-09-22 Caterpillar Inc. Cable retention system
CN103605156A (zh) * 2013-11-14 2014-02-26 西南科技大学 一种适用于土介质的爆破振动传感器安装夹具
FR3018332B1 (fr) * 2014-03-05 2016-12-09 Snecma Systeme de maintien de tuyaux
CN103994282A (zh) * 2014-06-06 2014-08-20 山东中川液压有限公司 一种可调式液压管路固定管夹
CN104493398A (zh) * 2014-11-14 2015-04-08 合肥常青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可延长汽车圆形管梁夹紧装置
CN104500848B (zh) * 2014-12-17 2016-08-31 余祥艮 一种管件固定座
GB2522337A (en) * 2014-12-18 2015-07-22 Daimler Ag Holding device for holding at least one tube
US10443644B2 (en) * 2015-02-09 2019-10-15 Syntiro Dynamics Llc Anchor sealing hygienic bracket
US9670949B1 (en) * 2015-08-03 2017-06-06 James C. White Company, Inc. Keyhole weld-down fastener base
CN105297627A (zh) * 2015-10-28 2016-02-03 柳州欧维姆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钢丝绳抱紧的锚固装置
CN105333231A (zh) * 2015-12-04 2016-02-17 四川海搏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管夹持工装
CN105449598B (zh) * 2015-12-30 2017-11-14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伸缩式线卡、其调整模块及使用该线卡的车辆
WO2017123971A1 (en) * 2016-01-15 2017-07-20 Claudius Jaeger Dual control lateral air manifold assembly
US10221994B2 (en) * 2016-07-19 2019-03-05 Steven Marc Baiera Modular mounting system
USD803674S1 (en) * 2016-08-04 2017-11-28 National Products, Inc. Mounting device
CN106481885B (zh) * 2016-12-20 2019-08-02 上海华林工业气体有限公司 一种液态气体输送用低温金属软管固定装置
US20200149662A1 (en) * 2017-03-17 2020-05-14 Meggitt Safety Systems, Inc. High temperature clamp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610184A4 (en) * 2017-04-13 2020-12-23 Hunting Titan, Inc. FIXING COLLAR FOR DRILL CABLE LUBRICATOR
US10155306B1 (en) 2017-06-02 2018-12-18 National Products, Inc. Handle with mounting track for receiving a mount assembly
US10527219B2 (en) 2017-06-02 2020-01-07 National Products, Inc. Mounting track for retaining a mount assembly
US10982807B2 (en) 2017-06-02 2021-04-20 National Products, Inc. Handle with mounting track for receiving a mount assembly
US11085579B2 (en) 2017-06-02 2021-08-10 National Products, Inc. Mounting track for retaining a mount assembly
US10429002B2 (en) 2017-06-19 2019-10-01 National Products, Inc. Top-loading mounting track for receiving a mount assembly
US10378690B2 (en) 2017-07-14 2019-08-13 National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mounts for receiving objects and coupling to surfaces
US10448626B2 (en) 2017-07-14 2019-10-22 National Products, Inc. Fishing rod holder with a top mount receptacle for receiving a device mount
US10556170B2 (en) * 2017-09-26 2020-02-11 Evelio Aleman Clamp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a skateboard or longboard
US10473150B2 (en) 2018-04-17 2019-11-12 National Products, Inc. Mounting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device socke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JP7085890B2 (ja) * 2018-05-11 2022-06-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接続線支持装置
CN108789995A (zh) * 2018-05-15 2018-11-13 芜湖君如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管道发泡过程用工装
CN108916542B (zh) * 2018-07-09 2020-06-16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计算机主机放置座的安装结构
CN108857175A (zh) * 2018-07-23 2018-11-23 张健 一种自来水管的焊接辅助设备
WO2020128918A1 (en) * 2018-12-18 2020-06-25 Saint-Augustin Canada Electric Inc. Clamping devices
USD891905S1 (en) 2019-01-07 2020-08-04 National Products, Inc. Mounting device with ball
USD891906S1 (en) 2019-01-07 2020-08-04 National Products, Inc. Mounting device
USD899222S1 (en) 2019-01-07 2020-10-20 National Products, Inc. Mounting device with attached ball
NL2022434B1 (en) * 2019-01-22 2020-08-18 Coxgeelen B V A pipe clip for attaching a pipe or a similar object to a support
US11092261B2 (en) * 2019-06-06 2021-08-17 Caterpillar Inc. Bracket assembly for securing conduits of a machine
US11255467B2 (en) * 2019-08-28 2022-02-22 Deere & Company Hose retainer
JP7339095B2 (ja) * 2019-09-24 2023-09-0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線条体支持装置
US11536397B2 (en) * 2020-02-24 2022-12-27 Payten Belt Anti-kinking device
US11635155B2 (en) 2020-05-08 2023-04-25 National Products, Inc. Adapter for attachment to a track or other surface or for receiving devices having different shaft spline arrangements
CN113309902B (zh) * 2021-07-12 2022-12-13 陈秀球 一种石油管道稳定支撑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1943A (en) * 1942-01-23 1944-11-07 Adel Prec Products Corp Conduit supporting and bonding block
US2362124A (en) * 1942-08-18 1944-11-07 Adel Prec Products Corp Conduit support
US2761714A (en) * 1950-08-12 1956-09-04 Chrysler Corp Mounting device
US2674772A (en) * 1951-09-19 1954-04-13 Baldwin Lima Hamilton Corp Clamp
US2937835A (en) * 1957-05-02 1960-05-24 Csmereka John Universal cable clamp
US2890848A (en) * 1957-06-25 1959-06-16 Jr Robert A Johnson Magnetized clamp for conduit
US2998217A (en) 1959-07-06 1961-08-29 T A Mfg Corp Quick-opening line supporting clamp
US3216683A (en) * 1964-03-10 1965-11-09 Donald A Girard Tube clamps for multiple tube layers
US3856244A (en) * 1972-07-26 1974-12-24 A Menshen Clamping apparatus
US4037810A (en) * 1976-01-12 1977-07-26 Indian Head Inc. Pipe bracket and clamp
US4172578A (en) * 1978-03-16 1979-10-30 Indian Head Inc. Device for clamping conduit
DE7825626U1 (de) * 1978-08-29 1978-12-07 Unima, Maschinenbau Gmbh, 6603 Sulzbach Rohrschelle
US5887832A (en) * 1991-07-12 1999-03-30 Elvegaard; Eilif Clamping device for the clamping of a tube to a base
NO174402C (no) * 1991-07-12 1994-04-27 Eilif Elvegaard Klammeranordning for fastspenning av rör e.l. til et underl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854B1 (ko) * 1999-09-08 2001-09-24 이태원 파이프 클램프의 베이스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8407B2 (en) 2000-04-13
DE69704936D1 (de) 2001-06-28
AU2413697A (en) 1997-10-22
CA2250521A1 (en) 1997-10-09
PL329193A1 (en) 1999-03-15
JP2000507671A (ja) 2000-06-20
DE69704936T2 (de) 2002-03-28
US6173926B1 (en) 2001-01-16
HK1020606A1 (en) 2000-05-12
EP0890052A1 (en) 1999-01-13
CN1084452C (zh) 2002-05-08
NO961327L (no) 1997-10-02
ES2159396T3 (es) 2001-10-01
DK0890052T3 (da) 2001-09-17
CN1218549A (zh) 1999-06-02
JP3682978B2 (ja) 2005-08-17
NO961327D0 (no) 1996-04-01
KR100448556B1 (ko) 2005-01-15
PL184290B1 (pl) 2002-09-30
NO305334B1 (no) 1999-05-10
WO1997037164A1 (en) 1997-10-09
CA2250521C (en) 2006-10-03
EP0890052B1 (en) 200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556B1 (ko) 튜브등을클램핑하기위한클램프장치
EP2758617B1 (en) Pipe-to-pipe brace assembly
US8480041B2 (en) Beam clamp
US7543788B2 (en) Mounting fastening
KR102245409B1 (ko) 지중 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US5040916A (en) Scaffold fitting
US46496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 of flanged exhaust connections
US4046344A (en) Conduit clamping device
US7360973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drill on a pipe
US20080011908A1 (en) Hanger clamp with hanger strap
US5887832A (en) Clamping device for the clamping of a tube to a base
US20090200435A1 (en) Hanger rod stiffening clip
WO2008143501A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CA2113157C (en) A clamping device for the clamping of a tube or the like to a base
GB2227785A (en) Scaffolding component
GB2112445A (en) Scaffold support structure
US11719009B2 (en) Guardrail mounting bracket
GB2195700A (en) Clip
JPH07139166A (ja) 締結補助具
KR200213639Y1 (ko) 클램프의 파지클립 구조
WO1995034402A1 (en) Mounting system for pipe welding
WO2022113032A2 (en) Bracing assembly and support system
JP3472785B2 (ja) 配線・配管材の支持材及びワッシャー
JP2022089512A (ja) 器具共架型ケーブルラック
WO2002059488A1 (en) Support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