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032A - 벽 또는 벌크헤드 와이어링 피드스로우를 밀봉하는 조립체 및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벽 또는 벌크헤드 와이어링 피드스로우를 밀봉하는 조립체 및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032A
KR20000005032A KR1019980707653A KR19980707653A KR20000005032A KR 20000005032 A KR20000005032 A KR 20000005032A KR 1019980707653 A KR1019980707653 A KR 1019980707653A KR 19980707653 A KR19980707653 A KR 19980707653A KR 20000005032 A KR20000005032 A KR 20000005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sleeve
tape
assembl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릭 시드니 콜렛
마크 데이비드 소이어
알란 바랫
데이비드 크로프츠
Original Assignee
안토니 윌리암 제이
레이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606393.8A external-priority patent/GB9606393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611111.7A external-priority patent/GB9611111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613580.1A external-priority patent/GB9613580D0/en
Application filed by 안토니 윌리암 제이, 레이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안토니 윌리암 제이
Publication of KR2000000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0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동차 벌크헤드 와이어링 피드스로우상에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케이블 블록킹 방법, 물질 및 방법은 저 회복비와 접착제 밀봉부를 가지는 랩어라운드 슬리브/테이프와, 테이퍼진 및/또는 가변 피치 유도 가열 코일과, 저-프로파일의 "밀리피드" 블록킹 접착성 테이프(도 5)와 다른 블록킹 테이프 포맷, 및 와이어 다발(60) 사이의 삽입용 직립한 돌출부(52)를 갖는 기저부(50)를 갖고, 블록킹 테이프의 삽입용 와이어 다발을 세분하도록 베이스(50)의 평면에서 회전하는 종래의 장치(도 4a)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벽 또는 벌크헤드 와이어링 피드스로우를 밀봉하는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면은 와이어링 다발 벌크헤드 피드스로우를 밀봉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Ⅰ) 다발의 일부를 둘러싸는 적어도 두 개의 힌지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된 피이스로 된, 실질적으로 강체인 칼라 조립체와, (Ⅱ) 상기 일부에 인접한 다발의 일부와 상기 칼라 조리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서 파지하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테이프 또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칼라와 클램핑 부재에 대한 물질과 구성 기술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슬리브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일반적인 변형으로 종래와 같이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상부는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1) 슬리브가 열 수축성 플라스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며 칼라 조립체와 와이어링 다발의 부분적인 일부를 파지하도록 열 수축되고, (2) 칼라 조립체는 와이어링 다발이 사용시 연장되는 벌크헤드에 대하여 면 대 면이 고정되기에 적합한 일반적으로 판상인 부분을 포함하며, (3) 칼라 조립체는 (a) 와이어링 다발이 사용시 연장되는 벌크헤드에 대하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에 및/또는 (b) 조립된 칼라 조립체 부품의 상호 접촉하는 표면 사이의 밀봉을 형성하는 위치에 밀봉재 물질을 가지며, (4) 하나 또는 그 이상(바람직하게는 모두)의 위치의 칼라 조립체에 함유되는 밀봉제 물질은 겔이며, (5) 슬리브 또는 테이프는 슬리브와 칼라 조립체 사이 및/또는 슬리브와 그에 의해서 파지되는 와이어링 다발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는 밀봉재 물질을 함유하며, (6) 밀봉재 물질은 실질적으로 와이어링 다발의 와이어 사이의 간극을 블록킹하며, (7) 상기 슬리브에 의해서 함유되고 및/또는 상기 간극을 실질적으로 블록킹하는 밀봉재 물질은 열 활성 접착제 물질이며, 바람직하게는 고온 용융되는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이며, (8) 슬리브에 의해서 함유되고 및/또는 상기 간극을 실질적으로 블록킹하는 열 활성 접착제 물질은 유도 가열가능한 입자를 함유하며 유도 가열되어서 상기 슬리브 밀봉을 형성하며 및/또는 상기 간극을 실질적으로 충전하고; (9) 상기 간극을 실질적으로 블록킹하는 적어도 열 활성 접착제 물질은 그 자체가 충분히 유도 가열가능하지 않으며 와이어링 다발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유도 가열로부터 유도되는 열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되며; (10) 칼라 조립체로부터 다발까지 슬리브의 점진적인 변형부를 제공하도록 칼라 조립체로부터 상기 와이어링 다발의 상기 파지부를 향하여 연장되는(바람직하게는 일체적인) 테이퍼링 성형부, 가요성 핑거를 포함하며, (11) (Ⅰ) 와이어링 다발을 둘러싸는 칼라 조립체와 (Ⅱ) 슬리브의 열 수축전에, 상기 칼라 조립체와 다발의 인접부를 둘러싸는 슬리브;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칼라 조립체와 슬리브를 포함하는 부품의 키트,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사이의 간극을 실질적으로 블록킹하기 위해서 상기 와이어링 다발내의 와이어 사이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밀봉제 물질을 가능한 더 포함하며, 전술한 와이어링 다발 벌크헤드 피드스로우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와이어링 다발 주위의 상기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와, (b) 상기 슬리브를 둥글게 배치하는 단계와, (c) 슬리브가 칼라 조립체와 와이어링 다발의 인접부분을 파지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d) 전술한 유도 가열에 의해서 조립체에 있는 열 활성 접착제 물질을 활성하는 단계와 및/또는 (e) 와이어링 다발이 연장되는 벌크헤드에 대하여 칼라 조립체를 고정하는(및 바람직하게는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칼라 조립체로부터 상기 와이어링 다발의 슬리브 파지부를 향하여 연장되고(및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게다가 칼라 조립체로부터 다발까지 슬리브의 점진적인 변형과 변형 안정성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테이퍼링 형상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핑거는 더 돌출되고, 덜 테이퍼진 변형부와 비교하여 피드스로우의 방음 특성이 바람직하게 향상되었음이 발견되었다.
칼라 조립체로부터 수축 슬리브의 "밀크 오프(milk-off)" 저항 면에서, 칼라 조립체는 수축된 슬리브와 연결하는 릿지 또는 그루브 또는 다른 성형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모든 청구항에 개시되거나 이에 따르는 조립체, 키트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슬리브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테이프 또는 랩어라운드(wraparound)된 슬릿 슬리브로 형성되거나 조립체의 상술한 구성요소를 랩어라운드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랩어라운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또는 슬릿 슬리브가 접착제 결합, 바람직하게는 오버랩 접착제 결합에 의해서 랩핑된 구조로 고정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접착제 결합이 사용될 때, 상기 테이프 또는 슬릿 슬리브가 그 수축방향에 대해서 수축전 길이의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이상으로 랩핑 방향으로 수축가능(바람직하게는 열 수축성)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수축정도는 밀봉제를 와이어링 다발에 밀어넣어 와이어링 다발을 블록킹하는 것을 보조하기에 바람직하며, 사용시, 중간 또는 저 수축정도가 접착제 결합 능력을 향상시켜서 수축과정을 유지할 수 있다. 랩어라운드를 고정하는 다른 수단이 경우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클램프, 스테이플 및 스티칭을 들 수 있다.
슬릿 슬리브 또는 테이프는 상기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출원서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며 일반적으로 열 수축성 제품으로 공지된 밀봉제 또는 접착제로 만들어 질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PVC 테이프는 온도와 다른 물리적 성능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환경에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명세서의 모든 청구범위에 개시되고 이에 따르는 조립체, 키트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칼라 또는 칼라 조립체 및/또는 상기 테이퍼링 형상부가 있다면 구브러져있거나 또는 각이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시 조립체를 통해서 연장되는 와이어링 다발의 방향에 있어서 변화를 야기하거나 방향 변화에 따른다. 따라서 테이프 또는 슬리브는 방향과 동일하게 변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벌크헤드 피드스로우를 바람직하게는 육상 차량의 엔진 격실과 승객 격실 사이에 형성하는 전술한 조립체, 키트 및 방법의 용도를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고로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밀봉벽 또는 벌크헤드 와이어링 피드스로우(bulkhead wiring feedthrough)용 제품, 물질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컨데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영국 특허 출원 제 9603629.8 호(RK552 GB1), 영국 특허 출원 제 9606393.8 호(GB2), 영국 특허 출원 제 9611111.7 호(GB3), 영국 특허 출원 제 9613580.1 호(GB4) 및 대응하는 국제 출원 제 PCT/GB97/00476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다발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조립된 (ⅰ) 적어도 두 개의 힌지결합되거나 독립한 피스, (ⅱ) 상기 부분에 인접한 다발의 일부와 칼라 조립체의 일부를 둘러싸서 파지하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슬리브를 포함하고, (ⅲ) 상기 칼라 조립체는 사용시 벽 또는 벌크헤드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일체형의 실질적으로 강체인 클램핑부를 가지거나 또는 칼라와 클램핑 부재 사이에 있는 슬리브의 일부를 둘러싸서 파지하는 (ⅲ) 적어도 두 개의 힌지결합 또는 독립한 부품으로 된, 간단히 적용가능한 분리형의 실질적으로 강체인 클램핑 부재와 조립되는, 실질적으로 강체인 칼라 조립체를 포함할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차량의 벌크헤드의 사이드 엔트리 엑세스 슬롯을 블록킹하는 성형 플라스틱 칼라 조립체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e는 와이어링 다발 방향의 변화를 야기하거나 이 변화에 따라 구브러지거나 각을 이루는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와이어링 다발을 많은 하부 다발로 분할하는 전술한 장치중 하나의 형태의 평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초기에 와이어링 다발에 삽입되고 결과적인 하부-다발로 분할되도록 계속해서 회전되는 바와 같은 도 3a와 도 3b의 장치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그 양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렬 돌출부(전술한 소위 "밀리피드 테이프") 블록킹 접착제 테이프의 바람직한 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그 각각의 표면(소위 "센티피드 테이프")로부터 돌출되는 엇갈려있는 돌출부를 갖는 볼록킹 접착제 테이프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블록킹 접착제 테이프(소위 "사인파 테이프")의 물결 형상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두 개의 분리된 부품으로 형성된 고무를 씌운 강철 또는 유리를 충전한 나일론 칼라 조립체(14)가 와이어링 다발(12)의 주위에 조립되어 다발을 따라 돌출되는 칼라 보스(16)를 형성한다. 공지의 열 수축성 물질로 된 유도 가열성의 나선으로 감은 접착제 피복 테이프(20)가 가열시 약 10% 내지 20% 수축할 수 있으며, 그 내면에 유도 가열성 접착제(도시안함)을 함유하여 와이어링 다발(12) 주위의 슬리브와 돌출 칼라 보스(16) 둘레에 슬리브를 형성하도록 감싸며 전술한 바와 같이 다발의 와이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모든 블록킹 접착제 삽입물(도시안함)을 겹쳐 덮는 랩식 슬리브(20)와 결합되는 접착제 오버랩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 조립체는 슬리브를 수축하고 다발내 와이어 사이의 블록킹 접착을 유도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유도 가열받기 쉽게 밀봉된 조립체를 제조한다. 칼라 조립체(16)는 일체형 테이퍼링 핑거(17)를 가져서 칼라 조립체아 와이어 다발(12) 사이의 합성 랩식 슬리브의 약간의 변형 안정성과 더 완곡한 변형을 제공한다. 횡방향 연장부(18)는 벌크헤드(22)내의 블록킹 사이드-엔트리 액세스 슬롯(24)으로 나타내지며 슬롯의 대향 에지의 밀봉을 방해하는 가능한 횡방향 운동을 감소 또는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전술한 목적을 위해서 만곡되거나 비스듬하게 한 테이퍼진 핑거형 성형 플라스틱 칼라의 가능한 3개의 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칼라는 도 1b의 돌출 칼라 보스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d는 와이어링 다발 둘레를 둘러쌀 수 있고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당한 슬리브로 덮여질 수 있는 힌지결합된 2 부품의 만곡형 칼라를 도시한다.
벽 또는 벌크헤드 피드스로 GB3
칼라 조립체는 다양한 물질 예컨대 유리-충전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및 ABS 제어 플라스틱과 같은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성형가능한 물질로 만들 수 있어서 바람직한 클램핑 강성과 방음 특성, 및 유연하게 테이퍼링 성형할 수 있는 보다 가용성이 큰 플라스틱 재료를 제공하여 다양한 와이어링 다발 크기로 유연하게 조정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슬리브 전체의 하아네스(harness)를 제어할 필요없이 길고, 여러갈래로 분기된 와이어링 하아네스상에 케이블-블록킹 열 수축성 드라이버 슬리브를 위치설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열 수축성 드라이버를 사이드-엔트리(side-entry)["랩어라운드(wrap-around)"] 슬리브를 사용해서 제조함으로써 달성된다. 사이드-엔트리의 개념은 그 자체로는 공지되어 있으며 시도된 많은 장치들이 슬리브를 함께 고정하도록 기계적 클립, 접착제 베이킹, 및 접착제 테이프의 개별 피이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피드스로우 목적으로, 기계 고정 기술은 사이드 엔트리 피드스로우에 대한 밀봉 형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못하다. 통상의 고온 공기, 화염 및 IR에 의해 가열하여 슬리브를 열 수축할 때 접착제에 의해 상호 결합된 슬리브 에지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의 접착제 밀봉 기술은 통상 실패하였다.
앞서 언급된 바람직한 유도 가열 기술은 열이 밀봉될 다발안에 발생되고 슬리브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유동하는 만큼 문제에 대한 간단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게다가, 자기장의 세기와 플럭스 밀도 양자가 가열 싸이클과 마찬가지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는 자기장에 의해서 편리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사이드-엔트리 솔레노이드 코일(예컨대, U자형 코일 또는 소위 "대합 껍질" 형상)로 코일의 직경과 권취 코일의 절연을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피드스로우 어셈블리의 칼라 둘레의 저 레벨 가열은 직경이 더 큰 코일을 사용하여 전기장의 세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며, 코일의 직경은 칼라의 테이퍼형 단면을 따라서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밀봉재 블록이 하아네스안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 영역의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킨다. 끝으로, 하아네스의 블록킹 영역 이외의 슬리브의 부분을 둘러싸는 코일의 마지막 단면에서, 각 권취 코일 사이의 공간은 자기장의 세기를 감소시키도록 증가될 것이다. 따라서, 슬리브의 길이 전체의 온도 프로파일은 각 부품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도록 디자인될 수 있으며 모든 위치에서의 가열량은 정밀하게 제어 및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은 블록킹 밀봉제(예컨대, 고온 용융 접착제)를 용융 및 유동을 야기하는 온도가 다발 내측에서 달성되고 외부 슬리브 둘레의 랩이 접착제 밀폐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저온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슬리브 둘레의 랩을 고정하기에 적절한 접착제를 용이하게 선택하게 한다.
이 슬리브 둘레의 랩식 밀폐를 달성하는 일 기술은 열 수축성 사출성형된 튜빙, 바람직하게는 유도 가열성 입자가 포함된 고온 용융 접착제의 라이너와 합성된 저온 EVA로 제조된(이미 공지된 바와같이) 슬릿 튜브를 사용한다. 튜빙은 바람직하게는 칼라로부터 하아네스 표면까지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3:1 수축비를 가진다. 예를들어, 이 튜빙은 그 직경이 35㎜인 칼라 둘레에 위치되어 열수축성 관은 하아네스 영역이 블록킹되는 동안 형성된다. 공지의 고온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의 스트립이 슬릿 튜브를 함께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유도 가열 싸이클동안 슬릿 튜브는 사이드-엔트리 피드스로우의 칼라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그리고 케이블이 블록킹되게 수축된다. 이 슬리브안의 열은 수축력이 최대가 되는 칼라에 제공된 자기장에 의해서 제어된다. 랩핑과 같은 기계적 특징은 회복전의 위치에 슬릿 튜브를 고정하고 가열 과정과 회복 과정중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케이블이 블록킹되고, 즉 블록킹 밀봉제가 와이어상에 또는 둘레에 위치되는 영역에 자기장을 집중시킴으로써 열 발생은 최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냉각 후 싸이클의 종료시에 접착제 테이프는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기술은 약 50%의 종방향 수축율을 가지는 테이프를 사용하는데, 이 테이프는 자기장에서 가열 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유도 가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유도 가열성 고온 용융 접착제 피막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도 가열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가열은 자기장의 세기와 밀도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코일의 형상을 국부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 테이프는 감압성 고온 용융제나 또는 보조 위치에 감압성 접착제의 스트립을 가지는 고온 용융 접착제 피막으로 피복될 수 있을 것이다. 적당한 테이프가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이것은 종방향 수축의 대부분이 단지 25% 내지 50% 잔부를 남기고 멈추게 되도록 전자 빔의 가교 결합전에 사출성형되거나 배향될 수 있으며 일정량의 비임이 주사될 수 있다. 이 테이프는 칼라둘레에 둘러싸일 수 있으며 블록킹 밀봉제를 함유하고 케이블 표면상에서 종료하는 케이블의 부분을 지나, 케이블상의 핑거 아래에 나선형으로 둘러싸일 수도 있다. 유도 가열 공정중, 열이 칼라 또는 케이블 표면상에서 테이프가 이동하거나 미끄러지게 하는 과도한 수축력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두 단부에서 블록킹되고 최소화되도록 하는 케이블 일부의 코일 디자인에 의해서 집중될 수 있을 것이다. 이 테이프는 길이를 짧게 하도록 의도될 수 있으므로 아래의 구성요소에 일치하게 압축되며, 접착제 피막은 랩식으로 테이프를 서로 밀봉할 수 있을 것이며 테이프가 칼라의 내부 그리고 케이블 다발에 밀봉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테이프가 비교적 적은 수축율을 갖는 경우의 부가의 장점은 공정중에 케이블의 블록킹 부분에 제공되는 힘이 비교적 작아서 열에 민감한 와이어 절연을 깰 위험성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이 시스템이 가장 효과적인 경우에, 수축 과정전에 슬리브 내부에 블록 접착제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만큼 넓이가 넓게 접착제의 블록킹 외곽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킹 접착제 몸체가 서로 적층되어서 소망의 블록킹 밀봉제 체적을 달성할 때, 총 스택의 높이는 케이블의 직경보다 훨씬 클 것이며, 테이프에 대해 필요한 소망 수축비보다 더 큰 수축비를 필요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블록킹 밀봉제를 단일층으로 사용함으로써 피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밀봉제 테이프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프로파일을 가지거나 또는 와이어["밀리피드 테이프(millipede tape)"] 사이에 끼이도록 다수의 돌출부를 가지는데 이것의 폭은 블록의 최적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스택형의 더 작은 블록 밀봉제 몸체와 비교하여 외관이 적게 예컨대 7㎜ 폭을 가진다. 또한 단일 프로파일은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공정을 더 간단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랩어라운드 슬리브의 고정에 관한 것으로, 예컨데 전술한 것이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접착제 오버랩 결합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 또는 키트를 제공하며, 상기 슬리브는 랩어라운드된 시이트 또는 종방향 슬릿을 갖는 슬리브로 형성되며, 랩어라운드되기에 적합하고, 특히 유도 가열이 계속해서 제공될 때, 와이어링 다발과 칼라 또는 칼라 조립체, 및 고정 수단이 감압 접착제 테이프 또는 타이 랩의 형태로 제공되어 랩핑된 슬리브가 제 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전술한 시이트 또는 슬릿 슬리브와 같이 단일 랩핑된 밀봉제가 접착제 테이프 또는 오버랩 접착제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었고, 예를들어 감압성 접착제가 놀랍게 잘 작용하며, 전술한 본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출원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의 유도 가열에 의해서 랩핑된 슬리브가 열 수축될 때, 타이 랩 또는 테이프를 부가 고정해도 되고 고정안해도 된다. 조립체의 내측으로부터 수축열을 발생시키는 유도 가열 때문일 수 있는 이 열 수축성 슬리브에 대한 접착제의 랩어라운드 밀봉부의 기대하지 않았던 성공은 접착제의 랩어라운드 밀봉부를 과거에 실패하게 하였던 고온 공기 또는 화염을 외부 인가하는 것과 첨예하게 대조적이다.
접착제-밀폐 사이드-엔트리("랩어라운드") 열 수축성 슬리브의 이러한 유도 열 수축은 따라서 그 자체로서 본 발명으로 여겨질 수 있을 것이다. 유도 열은 유도 가열할 수 있는 물질(예를들어 슬리브, 바람직하게는 그 내면상이나 그 근처에 의해 함유되거나; 피막상 또는 피막, 예컨대 고온 용융 접착제 피막, 슬리브의 내면에 함유되거나; 또는 와이어링 다발내의 간극을 밀봉할 목적을 가질 수 있는, 와이어링 다발상이나 내부의 밀봉제 물질을 함유하는 입자)에 의해서 또는 다발내의 와이어의 금속 전도체에 의해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된 바와 같은 영국 특허 출원 제 9603629.8 호의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영국 특허 출원 제 9606393.8 호의 제 1 항 내지 제 14 항과 제 18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하나에 따르른 조립체 또는 키트를 제공하며,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의 모든 열 수축전에, 사용시 와이어링 다발의 표면을 향하여 상기 칼라 조립체로부터 테어퍼지게 배열될 수 있는 테이퍼링 형태로 제공된다.
이 방식으로의 테이퍼형 튜브 또는 테이퍼형 슬릿 슬리브의 사용은 테이퍼형 칼라 또는 조립체에 적용될 때 직선 관형 슬리브에 발생될 수도 있는 미해결의 수축성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해결은 상기 테이퍼링 슬리브를 형성하도록 전술한 나선형 랩식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슬리브의 전술한 테이퍼진 형상은 상기 칼라 또는 칼라 조립체의 대응하는 테이퍼진 부분을 둘러싸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테이프의 둘 또는 그 이상의 랩으로 감싸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프가 바람직하게 열 활성 밀봉제 또는 접착제 물질을 함유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체를 제공한다.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유도 가열성 밀봉제 피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앞서 및/또는 전술한 영국 특허 출원에 개시한 바와 같은데, 개시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하였다. 바람직하게, 테이프는 테이퍼링 칼라 또는 조립체의 좁은 단부를 넘어 더 넓은 단부까지 와이어링 다발의 표면으로부터의 경로 전체에 나선형으로 감싸여 있을 수 있으며, 연속적인 나선형 랩이 가능한 누출 경로를 최소화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특징은 유도 가열에 의해서 와이어링 다발의 벌크헤드 피드스로우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조립체를 형성하는데, 여기서 (ⅰ) 유도 가열은 대응하는 테이퍼진 코일에 의해서 테이퍼링 형성을 효과적이게 하며 및/또는 (ⅱ) 사용시 코일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자기장을 변화시키도록 유도 가열은 권취된 인접 코일 사이의 공간을 변환시킴으로써 효과적이다. 조립체의 테이퍼를 따라 다소 테이퍼져서 유도 가열될 수 있는 유도 코일의 사용은 조립체에 유도 가열 자기장을 더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게 한다. 테이퍼형 또는 가변 공간에 따른 유도 코일 자체는 당연히 본 발명의 특징부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링 다발 벌크헤드 피드스로우 조립체를 유도 가열하기에 적절한 코일을 구비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유도 가열가능한 물질을 갖는 열 수축성 플라스틱 물질의 랩어라운드 시이트 또는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이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그 랩처리된 위치에 시이트 또는 슬리브를 고정하도록, 감압성 접착제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물질을 수축하도록 유도 가열전에, 오버랩 접착제 결합에 의해서 사용시 내향으로 대면할 수 있도록 시이트 또는 슬리브의 표면상의 피복안에 있을 수 있다. 이런 종류의 랩어라운드 유도 열 수축가능한 슬리브는 조립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유도 가열 코일이 사용시 코일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내부의 정밀하게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가열하도록 구성요소를 위치시키는 위치설정 요소와 결합되거나 관련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자동차의 하아네스 숍과 같은 조립 라인 공정의 각각 연속되어야 하는 유도 가열 작업에 대해서, 이러한 위치설정 수단은 예를들어 전술한 칼라 조립체의 적절하게 형성된 부분과 꼭맞도록 지그상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그것을 통과하는 각각의 와이어링 다발이 계속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벽 또는 벌크헤드 피드스로우 GB4
전술한 블록킹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에, 다발의 외측부에 접착제 몸체를 인가하는 것 대신에 또는 이에 부가하여 다발내의 와이어 사이에 블록킹 접착제를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와이어링 다발을 절개하는 것이 통상 바람직하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더 작은 하부 다발로 기다란 가요성 물체(예를들어 전술한 와이어링 다발)의 다발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는 따라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더 작은 하부 다발로 기다란 가용성 물체의 다발을 분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지지체로부터 직립한 적어도 둘개의 돌출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강체)의 열(raw)을 가지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돌출부는 다발에 끼일 수 있어서(바람직하게는 연장됨) 돌출부가 다발로의 도입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일렬의 각운동이 하부 다발 사이의 횡방향 공간을 증가시키는 배치로 돌출부가 상기 다발을 상기 하부 다발로 분할한다.
지지체와 돌출부의 다른 형상과 배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그 평면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수직한 돌출부를 갖는 평편한 지지체가 이 개념의 간단한 실시예로서 바람직할 것이다. 돌출부의 다발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돌출부 각각은 상기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기다란 단면 형상을 가지며 돌출부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기다란 형상으로 정렬되어서 기다란 단면 형상이 모두 상기 각운동전에 다발을 따라 위치하게 돌출부가 모두 다발로 끼워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형상은 실질적으로 직선의 열로 정렬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돌출부가 삽입되는 다발의 직경보다 더 큰 총길이의 열을 갖는 이러한 돌출부의 열은 다발의 종방향 축에 대해 90。 이하의 각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다발을 다발의 원직경내의 또는 원직경에 근사한 열 단부로 세분한다. 단지 두 개의 이러한 돌출부의 열이 단지 두 개의 하부 다발이 요구되는 다발의 중심축상에 정렬된 돌출부에 끼워질 수 있으며,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돌출부의 렬이 3개 또는 그 이상의 하부 다발이 소망되면 축을 가로지르는 전술한 둥근 각으로 바람직하게 끼워질 것이다. 돌출부의 삽입열이 돌출부의 끼움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으로 회전되어 열을 종방향 다발 축에 90。의 각도를 향하게 하며, 열의 길이는 다발의 원직경 이상으로 점진적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돌출부가 점진적으로 하부 다발을 서로 분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또한 둘 또는 그 이상의 더 작은 하부 다발로 기다란 가요성 물체의 다발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전술한 장치의 돌출부의 열을 다발에 끼워서 이것을 상기 하부 다발로 분할하는 단계와 하부 다발 사이의 횡방향 공간을 증가시키도록 열의 각운동을 효과적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원래의 다발을 절개하는 이 방법은 특히 전술한 방법에 의해서 전술한 분할 장치를 사용하는 기다란 물체의 다발내의 간극을 블록킹하고, 분할된 하부 다발 사이에 블록킹 물질을 삽입하고 분할 장치를 제거하여 바람직하게 하부 다발을 삽입된 블록킹 물체 둘레를 밀폐하도록 하는 방법에 적합하다. 블록킹 물질 둘레에 밀접한 하부 다발의 정도는 제한적이 것이 아니다. 외부 압력이 경우에 따라서 블록킹 물질 주위에 하부 다발을 서로 밀접하게 팩처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블록킹 물질은 전술한 영국 특허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열 활성(바람직하게는 유도 가열성) 밀봉제 물질이며 가열되어 이것이 다발안의 간극에 흘러들어가 막도록 한다.
이 다발 분할 장치와 방법은 당연히 발명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청구되지만, 특히 전술한 와이어링 다발 벌크헤드 피드스로우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하부 다발 사이를 잇거나 및/또는 주 다발의 외측을 둘러싸는 블록킹 물질의 바람직한 테이프 형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그 자체로 밀봉제 물질의 기다란 테이프를 제공하거나 또는 조립 키트에 사용되거나 또는 전술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 주 테이프 표면중 하나 또는 양쪽으로부터 돌출되는 밀봉제 물질의 횡방향 연장 융기부를 가지거나 이 테이프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횡방향 돌출부를 가지는데, 이 융기부는 바람직하게 테이프를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범위내의 간격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 범위내의 간격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의 높이는 제한적이지 않지만, 돌출부는 통상 테이프의 양측부상에 2㎜ 내지 5㎜의 높이를 가질 것이며 돌출부의 정점으로부터 골까지의 총 높이는 통상 4㎜ 내지 10㎜일 수 있다. 돌출 테이프의 바람직한 형태는 이 주 테이프 표면의 양쪽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표면중 하나상의 돌출부가 다른 표면상의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다른 표면상의 돌출부 사이의 거의 중앙에 서로 엇갈려져 있게 한다. 이들 접착제를 유도 가열하는 적절한 열 활성 접착제 물질과 유도 가열성 금속 입자가 국제 특허 공개 제 9424837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성형 테이프는 예를들어 적당히 돌출된 몰드안에 간격을 두고 물질을 성형함으로써 또는 작동할 수 있는 동안 돌출 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하는 것과 같은 세이핑 수단을 계속해서 통과하여 돌출된 특히 바람직하게 물결 모양의 형태인 테이프를 제조하는 평면 테이프의 연속적인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이들 특징의 특정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a와 도 3c는 그로부터 거의 수직하게 상승되는 돌출부(54)를 갖는 평편한 지지체(50)를 포함하는 다발 분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돌출부는 지지체의 더 긴변과 거의 정렬되는 기다란 단면 형상을 가지며, 지지체 위에서 돌출부는 더 긴변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져 있는 엇긋난 열로 정렬된다. 이 장치는 금속 또는 충분히 강체 제어되는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a에서 지지체(50)는 와이어링 다발(60)로 들씌워지며, 경사돌출부(52)는 지지체를 통해서 다발을 세분하도록 삽입되었으며, 도시된 돌출부의 열은 와이어링 다발(60)의 종방향 축에 대해 90。 이하의 각으로 경사져 있다. 도 4b에서, 지지체(50)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였기 때문에 돌출부(52)의 열을 와이어링 다발(60)의 종축에 대해 90。에 더 근접하게 된다. 돌출부 열의 총 길이는 와이어링 다발의 원직경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이 회전은 하부 다발의 간격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가지며, 이 효과는 둥근 돌출부가 사용되는 경우에 생길 수 있는 것보다는 더 멀리 하부 다발을 유지하도록 종방향 다발 축을 횡단하여 대면하는 돌출부의 도시된 기다란 형상에 의해서 증진된다. 와이어링 다발을 하부 분할하는 이 장치와 방법의 간단함은 시간이 중요한 자동차 하아네싱 숍과 같은 조립 라인에서 편리하다.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다발 사이의 삽입용 유도 가열성 블록킹 접착제 테이프의 바람직한 일 형태를 도시한다. 이 형태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의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출원서에 개시된 물질로 제조된 테이프(70)는 그 하부 표면(도시됨)상의 대응하는 돌출부(74)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상부 표면(도시됨)에 돌출부(72)로 형성된다. 인접 돌출부 사이의 공간(a)(바람직하게는 규칙적인 공간)은 2.5㎜일 수 있고 이 실시예에서 돌출부의 높이(b)는 또한 약 2.5㎜이다.
도 6은 인접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5㎜이고, 돌출부의 높이가 약 2.5㎜이고, 상부 표면(도시됨)상의 돌출부(72)는 하부 표면(도시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74) 사이에서 균일하게 엇갈려 있다.
도 7은 규칙적인 물결 모양인 유도 가열성 블록킹 접착제 테이프(80)의 일 형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물결의 인접한 피크 사이의 거리(a)는 약 5㎜이며 골로부터 물결의 피크까지의 총높이(b)는 약 5㎜이다.
블록킹 접착제 테이프의 이들 형태, 특히 도 7에 도시된 물결모양의 변형은 가열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 벌크헤드 피드스로우의 제조시 슬리브를 수축하고 접착제가 용융되어 슬리브를 하부 분할된 와이어링 다발을 통해 결합하여 다발 내부의 접착제의 분포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Claims (31)

  1. 와이어링 다발 벌크헤드 피드스로우를 밀봉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Ⅰ) 다발의 일부를 감아싸는 적어도 두 개의 힌지결합된 또는 별개의 피이스의 대체로 강성인 칼라 조립체와, (Ⅱ) 상기 부분에 인접한 다발의 부분과 상기 칼라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아싸서 파지하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테이프 또는 슬릿 슬리브를 포함하는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열수축성 플라스틱 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칼라 조립체와 와이어링 다발의 인접한 부분을 파지하도록 열 수축된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또는 테이프는 슬리브와 칼라 조립체 사이 및/또는 그에 의해서 파지되는 와이어링 다발의 일부와 슬리브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는 밀봉재 물질을 함유하는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재 물질은 실질적으로 와이어링 다발내의 와이어 사이의 간극을 실질적으로 폐쇄시키는 조립체.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슬리브에 의해서 함유되고 및/또는 상기 간극을 실질적으로 블록킹하는 밀봉재 물질은 열 활성 접착제 물질이며, 바람직하게는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인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슬리브에 의해서 함유되고 및/또는 상기 간극을 실질적으로 블록킹하는 열 활성 접착재 물질은 유도 가열성 입자를 함유하며 유도 가열되어서 상기 슬리브 밀봉을 형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간극을 실질적으로 충전하는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을 실질적으로 폐쇄시키는 적어도 열 활성 접착제 물질은 그 자체가 충분히 유도 가열성이 아니며 와이어링 다발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유도 가열을 유도하는 열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되는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다발의 상기 파지부를 향하여 칼라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바람직하게는 일체형인), 테이퍼링 형상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핑거를 포함하여 칼라 조립체로부터 다발까지 슬리브의 점진적인 변형을 제공하며, 슬리브와 다발의 상기 파지 부분은 테이퍼링 형상부의 단부 넘어로 바람직하게는 연장되는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퍼 또는 슬리브의 열 수축전에 와이어링 다발을 둘러싸는 칼라 조립체와 상기 칼라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에서 둘러싸는 상기 테이프 또는 슬리브와 다발의 인접 부분을 포함하는 조립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에 결합하기에 적합한 칼라 조립체와 테이프 또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부품의 키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른 와이어 사이의 간극을 실질적으로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와이어링 다발내의 와이어 사이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밀봉재 물질을 포함하는 부품의 키트.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와이어링 다발 벌크헤드 피드스로우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칼라 조립체를 상기 와이어링 다발 둘레에 조립하는 단계와, (b) 상기 테이프 또는 슬리브를 둥글게 배치하는 단계 및 (c) 칼라 조립체와 상기 와이어링 다발의 인접 부분을 파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d)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따른 유도 가열에 의해서 조립체에 있는 열 활성 접착제 물질을 활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제 12 항과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또는 슬릿 슬리브가 접착제 결합, 바람직하게는 오버랩 접착제 결합에 의해서 랩핑된 조립체로 고정되는 조립체 및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또는 슬릿 슬리브는 그 방향으로의 수축되지 않았을 때 길이의 50% 이하 ,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아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이상 랩핑 방향으로 수축가능한(바람직하게는 열 수축성) 조립체, 키드, 및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조립체 및/또는 상기 테이퍼링 형상부는 경우에 따라서 구부러져 있거나 각져 있기 때문에 사용시 조립체를 통하여 연장되는 와이어링 다발의 방향 변화를 가져오는 조립체, 키트 및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시이트 또는 종방향 슬릿 슬리브, 바람직하게는 열 수축성으로, 와이어링 다발과 상기 칼라 조립체의 부분을 랩어라운드하거나 랩어라운드하기에 적합하며, 고정수단이 바람직하게는 유도 가열 전에, 랩핑된 슬리브를 원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 또는 타이 랩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립체, 키트 및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모든 열 수축전에, 사용시 와이어링 다발의 표면을 향하여 상기 칼라 또는 칼라 조립체로부터 좁여지는 테이퍼링 형태로 제공되는 조립체, 키트 및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진 형태는 상기 칼라 조립체의 대응하는 테이퍼링 부분을 둘러싸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둘 이상의 랩으로 싸여서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를 바람직하게 열 활성 접착제 물질을 함유하는 조립체, 키트 및 방법.
  20. 유도 가열에 의해서 와이어링 다발 벌크헤드 피드스로우 조립체, 바람직하게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른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도 가열이 (ⅰ) 대응하는 테이퍼링 유도 코일에 의해서 및/또는 (ⅱ) 사용시 그 길이를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을 변화시키도록 인접 권취 사이 공간이 변하는 유도 코일에 의해서 테이퍼링 형성을 효과적이게 하는 방법.
  21. 자동차의 벌크헤드 피드스로우를 바람직하게는 육상 차량의 엔진 격실과 승객 격실 사이에 형성하는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른 조립체, 키트 및 방법의 용도.
  22. 유도 가열가능한 성형부를 유도 가열하여 바람직하게는 제 20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와이어링 다발 벌크헤드 피드스로우 조립체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테이퍼링 또는 면적이 변하는 유도 코일.
  23. 바람직하게는 사용시 플라스틱 물질을 수축시키도록 유도 가열하기 전에, 접착제 테이프 또는 오버랩 접착제 결합에 의해서 그 겹쳐진 위치에 시이트 또는 슬리브를 고정하도록, 접착제와 함께 내면이 대면하게 될 시이트 또는 슬리브의 표면상의 피복에 유도 가열성 물질을 함유하는 열 수축성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랩어라운드 시이트 또는 슬리브.
  24. 둘 또는 그 이상의 더 작은 하부 다발로 기다란 가요성 물체의 다발을 분할 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치는 지지체로부터 직립하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의 열을 갖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다발로 삽입될 수 있어서(바람직하게는 그것을 통해 연장되어) 다발로 돌출부가 삽입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서 열의 각운동이 하부 다발 사이의 횡방향 공간을 증가시키도록 배향되어 상기 다발을 상기 하부 다발로 분할할 수 있는 다발 분할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각각은 상기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기다란 단면 형상을 가지며 돌출부는 이들이 다발로 삽입되어 기다란 단면 형상의 더 긴변이 상기 각운동전에 다발을 따라 연장되게 하는 다발 분할 장치.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직선열로 정렬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다발 분할 장치.
  27. 기다란 가요성 물체의 다발을 둘 또는 그 이상의 더 작은 하부 다발로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항에 따른 장치의 돌출부 열을 다발에 삽입하여 이것을 상기 하부 다발로 분할하는 단계와, 열의 각운동을 효과적이게 하여 하부 다발 사이의 횡방향 공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 방법.
  28. 기다란 물체의 다발안의 간극을 블록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7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분할 장치를 사용하여 더 작은 하부 다발로 다발을 분할하는 단계와, 블록킹 물질을 분할된 하부 다발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및 분할 장치를 제거하여 삽입된 블록킹 물질 주위에 근접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블록킹 물질은 열활성(바람직하게는 유도 가열) 밀봉제 물질이며, 가열되어 상기 밀봉제 물질을 유동시켜서 다발내의 간극을 블록킹하도록 하는 방법.
  30. 밀봉제 물질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항 내지 제 29 항에 따른 조립체, 키트 및 방법에 사용되는 기다란 테이프에 있어서, 주테이프 표면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밀봉제 물질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지거나 이 테이프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횡방향 돌출부를 가지며, 돌출부 또는 물결모양부는 바람직하게는 테이프를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2㎜ 내지 10㎜ 범위내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 범위내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기다란 테이프.
  31. 제 30 항에 있어서,
    주테이프의 양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표면중 하나상의 돌출부는 다른 표면상의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다른 표면상의 돌출부 사이의 거의 중앙에서 어긋나게 배열되는 테이프.
KR1019980707653A 1996-03-27 1997-02-20 벽 또는 벌크헤드 와이어링 피드스로우를 밀봉하는 조립체 및그 제조방법 KR200000050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606393.8A GB9606393D0 (en) 1996-03-27 1996-03-27 Wall or bulkhead feedthrough
GB9606393.8 1996-03-27
GB9611111.7 1996-05-28
GBGB9611111.7A GB9611111D0 (en) 1996-05-29 1996-05-29 Wall or bulkhead feedthrough
GBGB9613580.1A GB9613580D0 (en) 1996-06-27 1996-06-27 Wall or bulkhead feedthrough
GB9613580.1 1996-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32A true KR20000005032A (ko) 2000-01-25

Family

ID=2726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653A KR20000005032A (ko) 1996-03-27 1997-02-20 벽 또는 벌크헤드 와이어링 피드스로우를 밀봉하는 조립체 및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90208A1 (ko)
JP (1) JP2000508158A (ko)
KR (1) KR20000005032A (ko)
CN (1) CN1214807A (ko)
BR (1) BR9708342A (ko)
WO (1) WO19970363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7233B2 (en) * 2013-12-10 2019-02-19 Kangwon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rapid-hardening concrete by intermixing and dissipating air in normal concrete and adding early-strength admixture thereto,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4002448D1 (de) * 2003-02-20 2007-02-08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abeldurchführung
JP5957286B2 (ja) * 2012-05-09 2016-07-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止水構造
CN106716759B (zh) * 2014-09-16 2018-08-28 矢崎总业株式会社 索环及其制造方法
CN108800346A (zh) * 2018-08-21 2018-11-1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过线孔密封结构、密封方法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06903A1 (fr) * 1977-10-18 1979-05-18 Morel Atel Electromec Procede pour realiser une liaison etanche entre un cable telephonique ou analogue et une canalisation et manchon s'y rapportant
NL8601145A (nl) * 1986-05-05 1987-12-01 Filoform Chem Ind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waterdicht afsluiten van een kabel- en/of buisdoorvoeropening in een muur of dergelijke, onder gebruikmaking van een opschuimbaar kunsthars.
DE3710755A1 (de) * 1986-05-15 1988-10-13 Rose Walter Gmbh & Co Kg Vorrichtung, insbesondere zum abdichten von schachtwaenden und kabelkanalzuegen
ATE152665T1 (de) * 1991-02-26 1997-05-15 Shaw Ind Ltd Wärmeschrumpfbare schutzfolien
FR2694655B1 (fr) * 1992-08-10 1994-10-28 Aerospatiale Dispositif de traversée étanche d'une cloison par des câbles tels que des câbles électriques.
US5378879A (en) * 1993-04-20 1995-01-03 Raychem Corporation Induction heating of loaded materials
JP2947000B2 (ja) * 1993-06-08 1999-09-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方法および防水構造
JPH07228208A (ja) * 1994-02-17 1995-08-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7233B2 (en) * 2013-12-10 2019-02-19 Kangwon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rapid-hardening concrete by intermixing and dissipating air in normal concrete and adding early-strength admixture thereto,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8158A (ja) 2000-06-27
EP0890208A1 (en) 1999-01-13
CN1214807A (zh) 1999-04-21
WO1997036355A1 (en) 1997-10-02
BR9708342A (pt) 199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922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d sealing exposed wires
US4298415A (en) Branch-off method
US5670223A (en) Support core ribbon for cold-shrink tube
US9337634B2 (en) Wire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re harness
CA2016862A1 (en) Expanded elastic sleeve with wound internal support for electric cable joints and sealing ends
US20100038011A1 (en) Method and member for retaining cable harness shape
EP0074280A2 (en) Recoverable closure
JPS6410717B2 (ko)
CN104735828B (zh) 硅胶带式线缆加热器组件及其制造方法和使用方法
US4560828A (en) Tubular article for branch-off seal
CA1302530C (en) Sealing cable junctions
JPH05217650A (ja) 2本の電線間の導電接続部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20000005032A (ko) 벽 또는 벌크헤드 와이어링 피드스로우를 밀봉하는 조립체 및그 제조방법
US6511573B1 (en) Machines for forming tubular containers
JPS58207812A (ja) 不均一断面基材の包囲用アツセンブリおよび方法
EP0490941A1 (en) SEAL.
US5910266A (en) Helical electrical heater
US4849582A (en) Heat shrinkable strain relief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same
EP0296868A2 (en) Recoverable article
PT89628A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o revestimento por seccoes de objectos com material sintetico
WO1997031415A2 (en) Wall or bulkhead feedthrough for wiring bundles
EP0235959B1 (en) Method of producing a tube assembly
JP201509590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CA1264912A (en) Longitudinally divided sleeve of shrinkable material
EP0094242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