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290U -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290U
KR20000004290U KR2019980014634U KR19980014634U KR20000004290U KR 20000004290 U KR20000004290 U KR 20000004290U KR 2019980014634 U KR2019980014634 U KR 2019980014634U KR 19980014634 U KR19980014634 U KR 19980014634U KR 20000004290 U KR20000004290 U KR 20000004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hamber
developing
stack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4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4290U/ko
Publication of KR20000004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290U/ko

Links

Landscapes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기 내의 토너 적재실로부터 현상실로 공급되는 토너량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상실로 공급되는 토너의 공급량을 토너의 유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현상기에 있어서, 토너 적재통에는 토너를 적재하기 위해 형성한 제1 토너적재실과, 상기 제1 토너적재실 밑면에는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토너 공급구와, 상기 토너 공급구 하측에 형성한 제2 토너적재실과, 상기 제2 토너적재실의 일측에 형성하여 공급롤러와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실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기에 이용된다.

Description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기 내의 토너 적재실로부터 현상실로 공급되는 토너량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레이저빔 프린터 및 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 프로세서는 크게 급지부, 현상부, 정착부 및 배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현상부에서는 급지부로부터 공급된 용지상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주로 현상롤러, 공급롤러 및 토너적재통 등이 하나의 하우징에 세트화되어 있는 현상기(Development Unit)를 사용하므로써 일정 시간 사용후 교체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현상기 10은, 토너 14를 적재한 토너 적재실 30을 내부에 구비한 토너 적재통 12와, 상기 토너 적재실 30 내에서 회전하여 토너 14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16과, 상기 토너 적재실 30 하측에 형성한 현상실 40과, 상기 토너 적재실 30과 현상실 40 사이에 형성한 토너 이송구 18과, 상기 현상실 40 내에 설치된 공급롤러 20과, 상기 공급롤러 20과 접하도록 설치된 현상롤러 22와, 상기 현상롤러 22 표면의 토너를 박층으로 규제하는 독터 블레이드 24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현상기 10은 전자사진 프로세서 내에 설치된 감광드럼 50과 상기 현상롤러 22가 상호 접하도록 전자사진 프로세서 내에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전자사진 프로세서 내에 장착된 현상기와 감광드럼에 의해 용지상에 화상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토너 적재실 30에 적재된 토너 14는 교반기 16이 회전함에 따라 분산된 상태로 토너 이송구 18로 이송되고, 상기 토너 이송구 18을 통과하여 현상실 40으로 공급된 토너 14는 공급롤러 2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 현상롤러 22 표면에 토너층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현상롤러 22 표면의 토너층은 독터 블레이드 24의 하단부에 의해 박층으로 규제되어 감광드럼 50 표면에 현상되고, 이때 상기 감광드럼 50은 대전롤러와의 접촉에 의해 대전된 후 노광부의 빛을 받아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태이다.(대전롤러와 노광부는 도시되지 않음)
상기와 같이 감광드럼 50 표면의 정전잠상 위에 토너가 현상되어 가시화된 화상을 형성한 후, 상기 감광드럼 50과 도시되지 않은 전사롤러 사이로 용지가 삽입되면 상기 용지 위에 감광드럼 50의 화상이 전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현상기 10에 있어서 상기 토너 적재실 30에서 현상실 40로 이루어지는 토너 14의 이송은, 토너의 자중 14 및 교반기 16의 회전에 의해 일어난다.
이때, 상기 토너 적재실 30의 토너 14들은 현상실 40 내에 설치된 공급롤러 20 상측으로 바로 공급되므로, 상기 공급롤러 20 상면에 이미 공급되어 있던 토너14들이 나중에 과잉공급된 토너들의 압력에 의해 유동성을 잃고 응집되고 만다. 이와 같이 현상실 40 내의 토너들이 응집될 경우, 화상의 농도가 고르지 못하는 등의 여러 가지 화상 불량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현상실로 공급되는 토너의 공급량을 토너의 유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토너 적재통과, 상기 토너 적재통 하측에는 공급롤러와 현상롤러를 구비한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 적재통에는 토너를 적재하기 위해 형성한 제1 토너적재실과, 상기 제1 토너적재실 밑면에는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토너 공급구와, 상기 토너 공급구 하측에 형성한 제2 토너적재실과, 상기 제2 토너적재실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공급롤러와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실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조절 구조를 구비한 현상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상기 12 : 토너 적재통
14 : 토너 20 : 공급롤러
22 : 현상롤러 40 : 현상실
50 : 감광드럼 70 : 토너 공급구
80 : 제1 토너적재실 90 : 제2 토너적재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조절 구조를 구비한 현상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10은, 토너 적재통 12와, 상기 토너 적재통 12의 내부에는 토너 14를 적재하기 위해 형성한 제1 토너적재실 80과, 상기 제1 토너적재실 80 내에서 회전하여 토너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16과, 상기 제1 토너적재실 80 밑면에는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토너 공급구 70과, 상기 토너 공급구 70 하측에 형성한 제2 토너적재실 90과, 상기 제2 토너적재실 90의 일측에 형성한 현상실 40과, 상기 현상실 내에 설치된 공급롤러 20과, 상기 공급롤러 20과 접하도록 설치된 현상롤러 22와, 상기 현상롤러 22 표면의 토너를 박층으로 규제하는 독터 블레이드 2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현상기 10은 전자사진 프로세서 내의 감광드럼 50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현상롤러 22와 감광드럼 50의 외주면이 서로 접하게 되며, 특히 상기 토너 공급구 70의 출구 높이 a는 현상롤러 22의 외주면과 독터 블레이드 24의 하단면이 접하게 되는 면의 높이 b, 즉 상기 현상롤러 22의 최상면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토너 공급 조절 구조를 가진 현상기의 토너 공급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토너 공급 과정을 설명하는데 용이하도록, 현상실 40 및 제2 토너적재실 90에는 아직 토너가 채워져 있지 않은 초기 상태라 가정한다.
제1 토너적재실 80에 적재된 토너 14는 교반기 16에 의해 교반된 후, 토너의 자중 및 교반기 16의 회전에 의해 제1 토너적재실 80 하측에 형성한 토너 공급구 70쪽으로 이송되고, 상기 토너 공급구 70을 통과한 토너 14는 토너 공급구 70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토너적재실 90으로 공급된다. 이어, 상기 제2 토너적재실 90의 토너는 제2 토너적재실 90과 공급롤러 20 사이에 형성한 경사면 72 및 공급롤러 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롤러 20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1 토너적재실 80으로부터 제2 토너적재실 90으로의 토너 공급은, 상기 제2 토너적재실 90 및 현상실 40에 채워진 토너의 높이가 토너 공급구의 출구 높이 a에 다다르면 중단되며, 이때 제1 토너적재실 80에서는 교반기 16에 의한 토너의 교반 작용만이 일어날 뿐, 더 이상 제2 토너적재실 90으로 토너 14가 공급되지는 않는다.
이후, 상기 공급롤러 20으로부터 현상롤러 22로 토너가 공급되어 제2 토너적재실 90 및 현상실 40에 적재된 토너의 높이가 토너 공급구 70의 출구 높이 a 보다 낮아지면, 다시 상기 토너 공급구 70을 통해 제1 토너적재실 80으로부터 제2 토너적재실 90으로 토너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는 현상실 내에 일정량의 토너만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과다 공급으로 인한 토너의 응집 등으로 발생하던 화상 불량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토너 적재통과, 상기 토너 적재통 하측에는 공급롤러와 현상롤러를 구비한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 적재통에는 토너를 적재하기 위해 형성한 제1 토너적재실과,
    상기 제1 토너적재실 밑면에는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토너 공급구와,
    상기 토너 공급구 하측에 형성한 제2 토너적재실과,
    상기 제2 토너적재실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공급롤러와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실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구의 출구 높이는 현상롤러의 최상면보다 낮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KR2019980014634U 1998-08-04 1998-08-04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KR200000042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34U KR20000004290U (ko) 1998-08-04 1998-08-04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34U KR20000004290U (ko) 1998-08-04 1998-08-04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90U true KR20000004290U (ko) 2000-03-06

Family

ID=6951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634U KR20000004290U (ko) 1998-08-04 1998-08-04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429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1332B2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feeding member for feeding a developer
KR013573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JP577586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66575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04290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KR100260425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100362565B1 (ko) 현상기의토너공급조절장치
JP3576769B2 (ja) 画像形成装置
JP4560354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58207Y1 (ko) 현상기의 토너 보급 규제장치
JP449490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23654B1 (ko)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KR100285742B1 (ko) 현상기의토너역반송롤러
JP2001249544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0544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58191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KR20000004289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량 조절 장치
KR0174680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JP2019139186A (ja)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153772Y1 (ko) 현상기의 토너량 규제장치
KR0174677B1 (ko)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0181126B1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량 조잘장치
KR100193868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49492U (ko) 현상기의 토너공급장치
JP2011141367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