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677B1 -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677B1
KR0174677B1 KR1019960026949A KR19960026949A KR0174677B1 KR 0174677 B1 KR0174677 B1 KR 0174677B1 KR 1019960026949 A KR1019960026949 A KR 1019960026949A KR 19960026949 A KR19960026949 A KR 19960026949A KR 0174677 B1 KR0174677 B1 KR 0174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roller
developing
suppl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930A (ko
Inventor
도기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677B1/ko
Publication of KR98000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형성을 위한 토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선명하고 깨끗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토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현상기의 내부에 설치된 공급롤러 상측에 있는 토너를 일정주기로 움직이게 하여 토너의 대전을 일정하게 하고, 화상농도를 균일하게 하여 깨끗하고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상부에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적재부와, 상기 토너적재부 일측 하단은 토너 공급구를 이루며, 상기 토너적재부에는 토너를 교반하여 상기 토너 공급구를 통하여 공급롤러로 이송시키는 에지테이터(agitator)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공급롤러의 일측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상단부에는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공급롤러 상부에 이격되게 토너순환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토너가 공급롤러에 의해 현상롤러로 공급되어 블레이드에 의해 규제된 토너는 상기 토너순환기구를 상부를 따라 다시 토너적재부로 회수되도록 구성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Description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제1도는 종래의 현상기 토너 공급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현상기 22 : 토너적재부
23 : 하부프레임 24 : 토너
25 : 에지테이터 27 : 토너공급구
28 : 공급롤러 29 : 현상롤러
30 : 감광드럼 31 : 블레이드
40 : 토너순환기구
본 발명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형성을 위한 토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선명하고 깨끗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토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에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이 가장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레이저 빔 프린터, 일반용지 팩시밀리등과 같은 기록장치가 있다.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의 표면에 눈에 보이지 않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토너로 화상을 형성하여 가시화시키고, 이를 용지에 전사하여 기록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종래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의 현상기(21)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적재부(22)를 가지며, 상기 토너적재부(22)에는 토너(24)를 교반하는 에지테이터(agitator)(25)와 일측 하단은 토너 공급구(27)를 형성한다. 상기 토너공급구(27)에는 상, 하측에 각각 부착된 필름(36,37)과 토너적재부(22)의 토너(24)를 공급롤러(28)측으로 보급하며 공급롤러(28)상측의 토너를 다시 토너적재부(22)로 회수하는 토너보급바(26)를 설치한다. 하부프레임(23)에 설치된 상기 공급롤러(28)의 일측은 감광드럼(3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24)를 현상하는 현상롤러(29)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29)의 상단부에는 토너(24)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31)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토너보급바(26)는 직사각형으로 날개를 이루며, 중심축은 양측 프레임에 설치하여 기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토너보급바(26)는 일측 중심축에 기어를 설치하여 공급롤러(28)의 구동기어로부터 아이들기어를 통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기(21)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너적재부(22)에 토너(24)가 공급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토너(24)는 에지테이터(25)에 의해 교반되어져 토너적재부(22)의 토너 공급구(27)에 설치된 토너보급바(26)에 의해 공급롤러(28)측으로 보급되어 진다. 이때 토너보급바(2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 하측의 필름(36,37)과 접촉되며 회전되므로 토너(24) 입자가 강제로 공급되고 강제로 토너 흐름을 만들며 보급 및 회수되며, 하부프레임(23)의 공급롤러(28)에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29)측으로 토너는 공급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토너 공급구(27)에 설치된 토너보급바(2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너적재부(22)에서 교반된 토너를 다시 교반하며 공급롤러(28)측으로 공급하며, 상기 공급롤러(28)상측에 정체되는 일부 토너는 토너보급바(26)의 날개에 의해 토너적재부(22)로 회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너보급바(26)의 회전에 의해 보급된 토너는 공급롤러(2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너(2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롤러(29)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현상롤러(29) 표면의 토너(24)는 상측의 블레이드(31)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된다. 이때 대전롤러(32)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3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30)의 회전에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33)를 통해 정전잠상이 형성하게 되며, 상기 감광드럼(30)의 정전잠상이 회전되는 현상롤러(29)를 지나는 동안 토너(24)로 균일하게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어서 급지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35)가 급지롤러에 의해 급지되어 전사롤러(34)의 고압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의 토너(24) 화상을 기록용지(35)로 전사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5)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착롤러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35)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인쇄된 용지가 배지트레이 측으로 이송되어 인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는 토너적재부내에 설치된 에지테이터에 의해 토너를 교반시켜 하측의 토너공급구에 설치된 토너보급바가 회전되며 토너를 공급롤러측으로 보급하게 된다. 이때 토너공급구의 상, 하측 필름과 토너보급바에 의해 토너 입자가 강제로 공급되며, 공급롤러 상부의 토너를 강제적인 토너흐름을 만들어 일부 토너를 토너적재부로 회수하므로 토너 입자에 가해지는 기구적인 응력이 강하기 때문에 토너 입자가 쉽게 열화되어 화질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며, 상기 공급롤러 상부에서는 일부 토너가 정체된 상태로 토너가 현상롤러로 공급되므로 토너의 대전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화상의 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기의 내부에 설치된 공급롤러 상측에 있는 토너를 일정주기로 움직이게 하여 토너의 대전을 일정하게 하고, 화상농도를 균일하게 하여 깨끗하고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기의 공급롤러 상부에 이격되게 토너순환기구를 설치하여 공급롤러 상측에 있는 토너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지하여 현상롤러로 원활한 토너 공급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토너적재부의 교반된 토너를 공급롤러측으로 공급하며 공급롤러 상측에 정체되는 토너를 다시 토너적재부로 회수하며 새로운 토너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는 상부에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적재부와, 상기 토너적재부 일측 하단은 토너 공급구를 이루며, 상기 토너적재부에는 토너를 교반하여 상기 토너 공급구를 통하여 공급롤러로 이송시키는 에지테이터(agitator)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공급롤러의 일측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상단부에는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공급롤러 상부에 이격되게 토너순환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토너가 공급롤러에 의해 현상롤러로 공급되어 블레이드에 의해 규제된 토너는 상기 토너순환기구 상부를 따라 다시 토너적재부로 회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되어 질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중 종래의 부호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은 본 발명에서도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21)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적재부(22)을 가지며, 상기 토너적재부(22)일측 하단은 토너 공급구(27)를 이루며, 상기 토너적재부(22)에는 토너(24)를 교반하여 상기 토너 공급구(27)를 통하여 공급롤러(28)로 이송시키는 에지테이터(agitator)(25)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현상기(21) 내부의 하부프레임(23)에는 상기 교반된 토너(24)를 현상롤러(29)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28)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롤러(28)의 일측은 감광드럼(3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24)를 현상하는 현상롤러(29)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29)의 상단부에는 토너(24)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31)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29)와 공급롤러(28) 상부 사이에 정체되는 토너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급롤러(28) 상부에 이격되게 토너순환기구(40)를 설치하며, 상기 토너(24)가 공급롤러(28)에 의해 현상롤러(29)로 공급되어 블레이드(31)에 의해 규제된 토너는 토너순환기구(40) 상부를 따라 다시 토너적재부(22)로 회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토너순환구조(40)는 공급롤러(28)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하여 토너공급구(27)를 상, 하측으로 형성되게 설치하며, 상기 토너순환기구(40)에 의해 공급롤러(28)상측에서 토너가 머물러 있는 공간을 없게 하므로서 토너가 순환되며 유동할 수 있도록 제공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하기와 같다.
일성분 현상 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공급장치는 현상기(21)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너적재부(22)에 토너(24)가 공급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토너(24)는 에지테이터(25)에 의해 교반되어져 토너의 고화 방지와 유동성을 좋게하며, 상기 교반된 토너(24)는 토너적재부(22)의 토너 공급구(27) 하측을 통하여 공급롤러(28)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하부프레임(23)에 설치된 공급롤러(28)의 회전에 의해 토너(24)는 현상롤러(29) 측으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제2도와 같이 토너하우징(22)의 에지테이터(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에지테이터(25)에 의해 토너하우징(22)의 토너(24)는 교반되어 토너 공급구(27) 하측을 통하여 공급롤러(28)측으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공급롤러(28)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너(2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롤러(29)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롤러(28)는 공급된 토너를 현상롤러(29)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롤러(28) 상부에 설치된 토너순환기구(40)와 공급롤러(28)와는 일정한 틈을 가지고 토너의 흐름을 위한 관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토너(24)가 에지테이터(25)에 의해 공급롤러(28)로 공급되어 공급롤러(28)가 회전되며 토너를 틈에 의해 일정량만이 현상롤러(29)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토너는 틈 내에서 토너순환기구(40)의 고정되어 있는 하단과 회전하는 공급롤러(28)에 의해 마찰대전이 수행된다. 이 토너는 현상롤러(29)와 만나면서 일부는 현상롤러(29)의 틈새로 들어가 아래로 이동한다. 이 양은 상대적으로 적다. 이때 나머지는 회전되는 현상롤러(29)에 의해 규제블레이드(31)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토너(24)는 회전하는 현상롤러(29)상에서 규제 블레이드(31)에 의해 일정량만이 감광드럼(30)쪽으로 넘어간다. 이때 규제 블레이드(31)에 의해 남겨진 토너는 이전과 달리 토너순환기구(40)의 상부면을 따라 토너공급구(27)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토너적재부(22)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너적재부(22)에 들어간 토너는 다시 에지테이터(25)에 의해 교반되어 다시 토너공급구(27)하측을 통하여 공급롤러(28)부로 공급되어 다시 현상롤러(29)로 공급될 수 있어 토너가 정체되는 일이 없이 순환된다.
이때 대전롤러(32)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3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3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33)를 통해 정전잠상이 형성하게 되며, 상기 감광드럼(30)의 정전잠상이 회전되는 현상롤러(29)를 지나는 동안 토너(24)로 균일하게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어서 급지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35)가 급지롤러에 의해 급지되어 전사롤러(34)의 고압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의 토너(34) 화상을 기록용지(35)로 전사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5)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착롤러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35)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인쇄된 용지가 배지트레이 측으로 이송되어 깨끗하고 선명한 화상을 얻은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기 내부의 공급롤러 상부에 토너순환기구를 설치하여 토너가 머물러 있는 공간을 없애고, 공급롤러 상측의 토너를 순환되게 하여 토너가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토너를 공급시 토너순환기구와 공급롤러 사이의 틈에서 마찰대전이 수행되며 토너의 대전이 균일하게 되어 현상롤러의 화상농도를 균일하게 하므로 깨끗하고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상부에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적재부와, 상기 토너적재부 일측 하단은 토너 공급구를 이루며, 상기 토너적재부에는 토너를 교반하여 상기 토너 공급구를 통하여 공급롤러로 이송시키는 에지테이터(agitator)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공급롤러의 일측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롤러 상부에 이격되게 토너순환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토너가 공급롤러에 의해 현상롤러로 공급되어 블레이드에 의해 규제된 토너는 상기 토너순환기구 상부를 따라 다시 토너적재부로 회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순환구조(40)는 공급롤러(28)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하여 토너공급구(27)를 상,하측으로 형성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순환기구(40)는 토너가 공급롤러(28)상측에서 머물지 않고 순환되며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19960026949A 1996-06-30 1996-06-30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0174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949A KR0174677B1 (ko) 1996-06-30 1996-06-30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949A KR0174677B1 (ko) 1996-06-30 1996-06-30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30A KR980003930A (ko) 1998-03-30
KR0174677B1 true KR0174677B1 (ko) 1999-04-01

Family

ID=1946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949A KR0174677B1 (ko) 1996-06-30 1996-06-30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6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30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49545A (ja) 画像形成装置
KR0174688B1 (ko) 현상기 토너 공급장치
KR0174677B1 (ko)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013573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00193869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200158207Y1 (ko) 현상기의 토너 보급 규제장치
JP4630636B2 (ja) 現像装置
KR100337844B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토너교반장치
JPH05346735A (ja) 現像装置
JP2004191785A (ja) 現像装置
KR0174680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260425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0174682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0174681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200246737Y1 (ko) 화상형성장치의토너량공급조절장치
JPH063961A (ja) 現像装置
KR100193868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0181126B1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량 조잘장치
JP2707248B2 (ja) 現像装置
JP2767786B2 (ja) 現像装置
JP2006065078A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58191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KR19980064075U (ko) 현상기의 토너 대전향상장치
JPH05341644A (ja) 現像装置
KR20000004289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량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