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869B1 -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869B1
KR100193869B1 KR1019970006547A KR19970006547A KR100193869B1 KR 100193869 B1 KR100193869 B1 KR 100193869B1 KR 1019970006547 A KR1019970006547 A KR 1019970006547A KR 19970006547 A KR19970006547 A KR 19970006547A KR 100193869 B1 KR100193869 B1 KR 10019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roller
supply roller
develop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9476A (ko
Inventor
최봉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869B1/ko
Publication of KR1998006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86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형성을 위한 토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선명하고 깨끗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토너적재부의 토너공급구에 탄성부재와 토너보급롤러를 설치하여 교반된 토너를 공급롤러측으로 공급하며 공급롤러 상측에 정체되는 토너를 다시 토너적재부로 회수하며 새로운 토너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는 상부에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적재부와, 상기 토너적재부에는 일측의 공급롤러로 토너를 이송시키는 에지데이터(agitator)와, 상기 현상기 내부의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롤러의 일측은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상단부에는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현상롤러와 공급롤러 상부 사이에 정체되는 토너를 연속적으로 분쇄시키는 공급하는 보조에지데이터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Description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본 발명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형성을 위한 토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선명하고 깨끗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에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이 가장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레이저 빔 프린터, 일반용지 팩시밀리등과 같은 기록장치가 있다.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의 표면에 눈에 보이지 않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토너로 화상을 형성하여 가시화 시키고, 이를 용지에 전사하여 기록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종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사진 프로세서에서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30)과, 상기 감광드럼(30)의 상단부에는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32)와, 전기적으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33)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30)의 하단부에는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의 토너(24) 화상을 용지(35)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34)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30)의 일측은 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기(21)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21)의 상단부에는 토너(24)를 저장하는 토너적재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적재부(22)의 중심부에는 상기 토너(24)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에지데이터(25)가 설치된다. 상기 에지데이터(25)의 회전축 양측 날개 끝단에는 필름(26)을 서로 대칭되게 초음파 융착으로 부착하여 에지데이터(25) 부터 토너(24)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토너적재부(22)내의 토너(24) 응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현상기(21) 내부의 하부프레임(23)에는 상기 교반된 토너(24)를 현상롤러(29)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28)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롤러(28)의 일측은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24)를 현상하는 현상롤러(29)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9)의 상단부에는 상기 현상롤러(29) 표면에 형성된 토너(24)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31)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21)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너적재부(22)에 토너(24)가 공급되어지면, 상기 토너(24)는 에지데이터(25)에 의해 교반되어져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상기 토너적재부(22)의 에지데이터(25)가 회전되므로 에지데이터(25)에 고정된 필림(26)은 토너적재부(22) 내면에 접촉되면서 끝부분이 휘어지며 회전되므로 토너적재부(22)내면에 토너(24)가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토너를 교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에지데이터(25)가 회전되어 필림(26)이 토너 공급구(27)에 위치하게 되면 필림(26)은 휘어진 상태에서 자체 텐션에 의해 펼쳐지며 토너 공급구(27)를 통하여 토너(24)를 공급롤러(28)로 공급하게 된다. 이후 상기 토너(24)는 공급롤러(28)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29) 측으로 공급되어진다. 상기 현상롤러(29) 표면에 형성된 토너(24)는 규제 블레이드(31)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이때, 대전롤러(32)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3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3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33)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광드럼(30)의 정전잠상이 회전되는 현상롤러(29)를 지나는 토너(24)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어서 급지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35)가 급지롤러에 의해 급지되어 전사롤러(34)의 고압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의 토너(24) 화상을 기록용지(35)로 전사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5)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착롤러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35)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인쇄된 용지가 배지트레이 측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의 토너적재부내에 설치된 에지데이터에 의해 토너를 교반시켜 공급롤러측으로 공급되면 공급롤러는 토너를 현상롤러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토너적재부 내부의 토너가 토너 공급구로 흘러내려 규제 블레이드와 현상롤러와 공급롤러 상부의 공간으로 차들어가고 프린팅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 에지데이터는 계속해서 회전하며 토너적재부의 토너를 공급롤러측의 공간으로 밀게 되므로 토너는 점점 다져지고 압력이 높아져 규제 블레이드에 가하는 압력이 증가하여 규제 블레이드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스폰지로된 공급롤러에도 압력을 가하여 토너가 누적되어 스폰지의 탄성을 읽게되어 토너의 대전역할이 미비하게 된다. 한번 사용하고 난 토너를 공급롤러가 회수를 하게 되는데 이 역할 또한 불충분하게 만든다. 따라서 인쇄매수가 증가함에 따라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기의 내부에 설치된 공급롤러 상측에 있는 토너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토너를 공급하여 화상농도를 균일하게 하고 깨끗하고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적재부의 토너공급구에 탄성부재와 토너보급롤러를 설치하여 교반된 토너를 공급롤러측으로 공급하며 공급롤러 상측에 정체되는 토너를 다시 토너적재부로 회수하며 새로운 토너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적재부를 가지며, 상기 토너적재부에는 토너를 교반하는 에지데이터와 일측 하단은 토너 공급구를 이루며, 상기 토너공급구의 상측에는 토너량을 규제하는 탄성부재와 하측에는 토너를 공급롤러측으로 보급하며 공급롤러 상측의 토너를 다시 토너적재부로 회수하는 토너보급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공급롤러의 일측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상단부에는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토너 공급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토너 공급장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토너보급롤러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현상기22: 토너적재부
23: 하부프레임24: 토너
25: 에지데이터26: 필림
27: 토너공급구28: 공급롤러
29: 현상롤러30: 감광드럼
31: 블레이드40: 토너보급롤러
41: 탄성부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토너보급롤러의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중 종래 부호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은 본 발명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21)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적재부(22)를 가지며, 상기 토너적재부(22)에는 토너(24)를 교반하는 에지데이터(agitator)(25)와 일측에는 토너 공급구(27)를 이룬다. 상기 토너공급구(27)의 상측에는 공급되는 토너량을 규제하는 탄성부재(41)와 하측에는 토너(24)를 공급롤러측으로 보급하며 공급롤러(28) 상측의 토너를 다시 토너적재부(22)로 회수하는 토너보급롤러(40)를 설치한다. 하부프레임(23)에 설치된 상기 공급롤러(28)의 일측은 감광드럼(3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24)를 현상하는 현상롤러(29)를 설치한다. 상기 현상롤러(29)의 상단부에는 토너(24)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31)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토너보급롤러(40)는 양측에 홈(40a)이 형성된 날개를 이루며, 중심축은 양측 프레임에 설치하여 기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홈(40a)은 반원형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토너보급롤러(40)는 일측 중심축에 기어를 설치하여 공급롤러(28)의 구동기어로 부터 아이들기어를 통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기(21)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너적재부(22)에 토너(24)가 공급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토너(24)는 에지데이터(25)에 의해 교반되어져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상기 교반된 토너(24)는 토너적재부(22)의 토너 공급구(27)에 설치된 토너보급롤러(40)를 통하여 공급롤러(28)측으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토너보급롤러(40)에 의해 공급롤러(28)측으로 공급되는 토너(24)는 하부프레임(23)에 설치된 공급롤러(28)의 회전에 의해 현상롤러(29) 측으로 토너는 공급되어 진다.
이때 토너적재부(22)의 에지데이터(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에지데이터(25)에 의해 토너적재부(22)의 토너(24)를 교반하게 된다. 이후 토너 공급구(27)에 설치된 토너보급롤러(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너적재부(22)에서 교반된 토너를 다시 교반하여 공급롤러(28)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토너 공급구(27) 상측에 설치된 탄성부재(41)에 토너보급롤러(40)가 터치되며 회전되므로 공급롤러(28)측으로 공급되는 토너(24)를 미량으로 규제하고 공급롤러(28)상측에 정체되는 토너는 토너보급롤러(40)의 양측 홈(40a)에 의해 토너공급구(27)를 통하여 토너적재부(22)로 회수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롤러(28)상측에서 토너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며 토너보급롤러(40)가 계속회전하면서 토너적재부(22)의 토너(24)를 공급할 때 토너공급구(27) 상측에 설치된 탄성부재(41)에 의해 토너량을 규제하여 토너(24)를 미량으로 일정하게 공급롤러(28)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너보급롤러(40)의 회전에 의해 보급된 토너는 공급롤러(2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너(2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롤러(29)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롤러(28) 상측에 쌓여 있는 토너(24)는 회전되는 토너보급롤러(40)에 의해 토너적재부(22)내로 다시 회수되고 새로운 토너가 공급롤러(28)측으로 공급되므로 토너의 원래성질을 그대로 보존하며 토너의 대전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하부프레임(23)에 설치된 공급롤러(28)의 회전에 의해 토너가 현상롤러(29)측으로 공급되어 현상롤러(29)에 항상균일한 대전특성을 가지는 토너(24)가 공급되어 토너는 일정주기로 현상롤러(29)측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서 토너(24)의 대전을 균일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현상롤러(29) 표면의 토너(24)는 상측의 블레이드(31)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된다. 이때 대전롤러(32)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3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3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33)를 통해 정전잠상이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감광드럼(30)의 정전잠상이 회전되는 현상롤러(29)를 지나는 동안 토너(24)로 균일하게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어서 급지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35)가 급지롤러에 의해 급지되어 전사롤러(34)의 고압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의 토너(24) 화상을 기록용지(35)로 전사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5)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착롤러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35)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인쇄된 용지가 배지트레이 측으로 이송되어 깨끗하고 선명한 화상을 얻은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인 현상기 내의 토너공급구 상측에 탄성부재와 하측에 토너보급롤러를 설치하여 공급롤러로 공급되는 토너의 량을 규제하며 공급롤러 상의 토너를 토너적재부로 회수하여 토너의 대전을 일정하게 하고 항상 새로운 토너를 공급하여 화상농도를 균일하게 하여 깨끗하고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기(21)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적재부(22)를 가지며, 상기 토너적재부(22)에는 토너(24)를 교반하는 에지데이터(25)와 일측에는 토너 공급구(27)를 이루며, 상기 토너공급구(27)의 상측에는 공급되는 토너량을 규제하는 탄성부재(41)와 하측에는 토너(24)를 공급롤러측으로 공급하며 공급롤러(28) 상측의 토너를 다시 토너적재부(22)로 회수하는 토너보급롤러(40)를 설치하며, 하부프레임(23)에 설치된 상기 공급롤러(28)의 일측은 감광드럼(3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24)를 현상하는 현상롤러(29)를 설치하고, 상기 현상롤러(29)의 상단부에는 토너(24)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블레이드(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보급롤러(40)는 양측에 홈(40a)이 형성된 날개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보급롤러(40)의 양측 홈(40a)은 반원형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보급롤러(40)는 중심축이 양측 프레임에 설치하여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토너보급롤러(40)는 일측 중심축에 기어를 설치하여 공급롤러(28)의 구동기어로 부터 아이들기어를 통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설치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19970006547A 1997-02-28 1997-02-28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19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547A KR100193869B1 (ko) 1997-02-28 1997-02-28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547A KR100193869B1 (ko) 1997-02-28 1997-02-28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476A KR19980069476A (ko) 1998-10-26
KR100193869B1 true KR100193869B1 (ko) 1999-06-15

Family

ID=6598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547A KR100193869B1 (ko) 1997-02-28 1997-02-28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6532A (zh) * 2018-06-12 2018-10-12 浙江安吉华普电子有限公司 一种激光打印机硒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476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688B1 (ko) 현상기 토너 공급장치
JP2003173083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0164409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00193869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214316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JP3495192B2 (ja) 現像装置
JP3724567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0174677B1 (ko)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200158207Y1 (ko) 현상기의 토너 보급 규제장치
KR0174681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JP4432555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044241A (en) Dual charging and metering of development member
JP4595360B2 (ja) トナー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0174682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JP5583522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0347500A (ja) 現像装置及び現像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337844B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토너교반장치
KR200246737Y1 (ko) 화상형성장치의토너량공급조절장치
JP2000162877A (ja) 液体現像装置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3173081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4191785A (ja) 現像装置
KR19980064075U (ko) 현상기의 토너 대전향상장치
JP3234389B2 (ja) 電子写真装置
KR0174680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JP200606507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