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191U -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191U
KR19980058191U KR2019970002569U KR19970002569U KR19980058191U KR 19980058191 U KR19980058191 U KR 19980058191U KR 2019970002569 U KR2019970002569 U KR 2019970002569U KR 19970002569 U KR19970002569 U KR 19970002569U KR 19980058191 U KR19980058191 U KR 199800581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roller
developing
developing roll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70002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8191U/ko
Publication of KR19980058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191U/ko

Links

Landscapes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감광드럼 표면에 토너 화상을 균일하게 형성시키므로서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적재부와, 토너를 전기적으로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제1공급롤러 및 제2공급로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 표면에 형성된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로 구성되어진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롤러 대신에 일정한 탄성을 가진 스폰지롤러를 설치시켜 상기 스폰지의 탄성에 의해서 공급되는 토너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Description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본 고안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너적재부에서 제1공급롤러로 이송된 토너가 일정량이 쌓여있게 한후 균일하게 현상롤러로 이송시켜주는 스폰지롤러를 설치시킨 토너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62)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60)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60)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64)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60)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토너는 교반기에 의해 일정 전하를 가지도록 교반되어져 공급롤러에 의해 현상롤러(68)측으로 이동되어 진다. 그후 상기 현상롤러(68) 표면에는 토너층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토너층은 독터블레이드의 규제에 의해 균일한 높이로 현상롤러(68) 표면에 형성되어 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6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68)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카세트(76)에 장착된 기록용지(78)가 급지롤러(80)에 의해 급지되며, 그후 상기 기록용기(78) 표면에는 전사롤러(74)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60)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78)는 정착부의 히팅롤러(84)와 압축롤러(82)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78) 표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져 받침대(86)측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전사롤러(74)를 지난 후의 감광드럼(60)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는 청소기(88)에 의해 제거되어 진다.
종래의 현상기는 도 2에 도시된 현상기의 단면도와 같이 나타난다.
상기 현상기(66)에는 토너(44)를 저장하는 토너적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적재부(42)의 중심부에는 토너(44)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46)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기(66) 프레임의 일측 하부면에는 상기 교반된 토너(44)를 현상롤러(68)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48, 50)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롤러(48, 50)의 일측은 도시하지 않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의해 상기 토너(44)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68)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52)가 현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교반기(46)와 공급롤러(48, 50)의 날개 양단에는 토너적재부(42)의 내측 벽면에 남아있는 토너(44)를 긁은후 현상롤러(68)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동성이 있는 필름(46a, 48a, 50a)이 대칭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상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현상기(66)의 일측면에 형성된 토너적재부(42)에 토너(44)가 공급되어지면, 상기 토너(44)는 교반기(46)에 교반되어지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그후, 상기 교반된 일정 전하를 가진 토너(44)는 교반기(46)에 부착되어진 필름(46a)의 작용으로 위로 밀어올려져서 토너적재부(42)에 적재된 토너(44)의 량(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제1공급롤러(48)로 이송된다. 그후, 상기 제1공급롤러(48)에 의해 토너(44)는 제2공급롤러(50)로 이송되어지며 상기 제2공급롤러(50)의 회전운동에 의한 필름(50a)의 작용과 처음 현상기(66) 제작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오픈갭(A)에 의해서 현상롤러(68)측으로 공급되어진다. 그후, 상기 현상롤러(68) 표면에 형성된 토너(44)는 상기 현상롤러(68) 표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프레임에 설치된 독터블레이드(52)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그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되어져 인쇄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이 필름에 의한 공급방식을 사용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초기 토너 공급시, 토너적재부에서 제1공급롤러로의 공급량은 과잉공급이 되고, 또한 상기 제1공급롤러에서 제2공급롤러로의 토너이송도 많아지게 된다. 이에따라 현상롤러로 이송되어지는 토너량도 조절이 되지 못하고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2공급롤러에서 현상롤러측으로 공급되는 토너량이 불균일(즉, 과잉공급현상 하여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도 마찬가지로 불균일하게 형성되며, 이로인해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감광드럼 표면에 토너 화상을 균일하게 형성시키므로서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적재부와, 토너를 전기적으로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제1공급롤러 및 제2공급로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 표면에 형성된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로 구성되어진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롤러 대신에 일정한 탄성을 가진 스폰지롤러를 설치시켜 상기 스폰지의 탄성에 의해서 공급되는 토너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토너 공급량 조절장치가 설치된 현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0: 스폰지롤러42: 토너적재부
44: 토너46: 교반기
48: 제1공급롤러48a: 필름
50: 제2공급롤러68: 현상롤러
52: 독터블레이드 60: 감광드럼
74: 전사롤러82: 압축롤러
84: 히팅롤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토너 공급량 조절장치가 형성된 현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66)에는 토너(44)를 저장하는 토너적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적재부(42)의 중심부에는 토너(44)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46)가 설치되며, 토너(44)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68)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52)가 현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반기(46)와 제1공급롤러(48)의 날개 양단에는 토너적재부(42)의 내측 벽면에 남아있는 토너(44)를 긁은후 현상롤러(68)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동성이 있는 필름(46a, 48a)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2공급롤러(50)의 위치에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있는 본 고안인 스폰지롤러(20)를 설치시킨다.
본 고안의 주요 작용은 상기 현상기(66)의 일측면에 형성된 토너적재부(42)에 토너(44)가 공급되어지면, 상기 토너(44)는 교반기(46)에 교반되어지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또한 토너적재부(42)의 내측 벽면에 남아 있는 토너(44) 역시 상기 필름(46a, 48a)의 작용으로 이송된다. 그후, 상기 교반된 일정 전하를 가진 토너(44)는 교반기(46)에 부착되어진 필름(46a)의 작용으로 위로 밀어올려져서 토너적재부(42)에 적재된 토너(44)의 량(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제1공급롤러(48)로 이송된다. 상기 제1공급롤러(48)로 이송된 토너(44)는 제2공급롤러(50) 위치에 설치된 본 고안인 스폰지롤러(20)로 이송된다. 상기 스폰지롤러(20)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토너(44)가 통과할 경우 일정량을 유지할 수 있다. 그후, 상기 토너(44)가 적당량으로 쌓여서 현상롤러(68)에 균일하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균일하게 형성된 토너(44)는 독터블레이드(52)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는 스폰지롤러의 일정한 탄성으로 토너가 현상롤러에 균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감광드럼 표면에 균일한 토너화상이 형성되며, 이로인해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적재부와, 토너를 전기적으로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 측으로 공급하는 제1공급롤러 및 제2공급로러와, 감광드럼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 표면에 형성된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로 구성되어진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롤러 대신에 일정한 탄성을 가진 스폰지롤러를 설치시켜 상기 스폰지의 탄성에 의해서 공급되는 토너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현상롤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KR2019970002569U 1997-02-20 1997-02-20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KR199800581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569U KR19980058191U (ko) 1997-02-20 1997-02-20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569U KR19980058191U (ko) 1997-02-20 1997-02-20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91U true KR19980058191U (ko) 1998-10-26

Family

ID=6968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569U KR19980058191U (ko) 1997-02-20 1997-02-20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81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52B1 (ko) * 2002-08-06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52B1 (ko) * 2002-08-06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688B1 (ko) 현상기 토너 공급장치
KR0154710B1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두께 규제 장치
KR013573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58191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JP3049124B2 (ja) 現像装置
KR19980021698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KR200158207Y1 (ko) 현상기의 토너 보급 규제장치
KR19980049492U (ko) 현상기의 토너공급장치
KR200144674Y1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두께 규제장치
KR100285742B1 (ko) 현상기의토너역반송롤러
KR0174681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260425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0181126B1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량 조잘장치
JPH1063080A (ja) 現像装置
KR0174680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362565B1 (ko) 현상기의토너공급조절장치
KR0174677B1 (ko)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193868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0174682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200158206Y1 (ko) 독터 블레이드 요동장치
KR100454925B1 (ko) 현상기의 토너 교반장치
KR19990020251A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KR19990038141U (ko) 현상기의 토너 규제장치
KR19990017802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19990010930U (ko) 현상기의 토너규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