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654B1 -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654B1
KR100223654B1 KR1019970024290A KR19970024290A KR100223654B1 KR 100223654 B1 KR100223654 B1 KR 100223654B1 KR 1019970024290 A KR1019970024290 A KR 1019970024290A KR 19970024290 A KR19970024290 A KR 19970024290A KR 100223654 B1 KR100223654 B1 KR 10022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stirrer
blade
main blad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085A (ko
Inventor
박동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654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05Cleaning blade adjacent to the donor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5Stirring member in developer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기 내부에서 공급롤러 상측에 위치한 토너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교반기와는 별도로 보조교반기를 설치한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기 내부의 토너가 와류로 인해 정체되는 구간없이, 전 영역에 걸쳐 토너를 원활히 교반하여 토너의 대전율을 높이고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주블레이드와 걸림블레이드로 형성된 보조교반장치를 현상기 내부의 공급롤러 상측에 설치하여, 정체된 토너의 교반을 원활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현상기 내부의 토너를 교반하는데 이용된다.

Description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본 발명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기 내부에서 공급롤러 상측에 위치한 토너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보조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공지된 바와 같이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의 표면에 토너로 화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정점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토너로 화상을 형성하여 가시화시키고, 이를 용지에 전사하여 기록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기는 토너(24)를 적재하는 토너적재부(22)와, 상기 토너적재부 내부에 장착되어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25)와, 상기 토너적재부 하측에 설치되어 교반된 토너를 현상롤러로 이송시키는 공급롤러(28)와, 상기 공급롤러에서 이송된 토너를 감광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시키는 현상롤러(29)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단부에는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를 일정한 높이로 규제하는 도전성 고무인 블레이드(31)와, 상기 현상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30)과, 상기 감광드럼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대전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33)가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의 타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32)와, 상기 감광드럼의 하단부에는 감광드럼 표면의 토너화상을 용지(35)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3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적재부에 토너가 공급되어지면, 상기 토너(24)는 교반기(25)에 의해 교반되어져 공급롤러(28) 쪽으로 이동되고, 공급롤러의 회전에 의해 다시 현상롤러(29)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상기 현상롤러 표면에 형성된 토너는 블레이드(31)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이어, 상기 대전롤러(32)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30)의 표면이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되고,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이 노광부(33)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이 회전되는 현상롤러(29)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어, 급지카셋트에 장착된 용지(35)가 급지롤러에 의해 급지되고, 이어 전사롤러(34)의 고압작용이 상기 감광드럼(30) 표면의 토너화상을 용지로 전사되게 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 상부의 토너 흐름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A부분과 같이 토너 중 현상롤러 표면에 부착되지 못하고 공급롤러의 상부로 상승한 토너는, 토너적재부의 일측에 부딪혀 다시 하강한다. 이러한 토너의 흐름은 공급롤러 상부에 와류를 형성하여, 토너적재부의 토너와 섞이지 못하고 상승과 하강만을 반복한다. 이와같이 공급롤러 상부에서 와류를 형성한 토너들은 제대로 교반되지 못해 대전율이 떨어지고 서로 엉겨붙은 채 현상롤러로 이송되어져, 백그라운드(화상표면에 뿌옇게 토너자국이 남는 현상), 에지더티(용지의 양단이 오염되는 현상), 도트 퍼짐(화상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점들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현상) 등의 발생으로 화상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기 내부의 토너가 와류로 인해 정체되는 구간없이, 전 영역에 걸쳐 토너를 원활히 교반하여 토너의 대전율을 높이고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현상기의 토너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반기가 설치된 토너적재부, 공급롤러, 현상롤러 및 감광드럼으로 이루어진 현상기에 있어서, 보조교반장치는 사각형 모양의 판으로 형성된 주블레이드와, 상기 주블레이드의 일면에서 연장되고 주블레이드와 수직을 이루며 형성된 걸림블레이드와, 상기 주블레이드의 양측면에는 힌지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토너적재부의 내부 일측에는 구멍이 뚫린 힌지부가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주블레이드의 힌지가 힌지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교반기의 회전시 교반기의 일단이 걸림블레이드를 밀어올리고, 이때 일체로 형성된 주블레이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너를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내부와, 토너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가 작동함에 따른 토너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주블레이드53 : 걸림블레이드
54 : 인장스프링55 : 힌지
57 : 힌지부100 : 보조교반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기 내부에서 공급롤러 상측에 위치한 토너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교반기와는 별도로 보조교반기를 설치한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모양의 판으로 형성된 주블레이드(51)와, 상기 주블레이드의 한면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블레이드(53)와, 상기 주블레이드 타면의 상측에 설치된 인장스프링(54)과, 상기 주블레이드의 양측면 중앙에 각각 돌출 형성된 힌지(5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블레이드(53)는 단면이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적재부(22)의 내부 일측에는 힌지부(57)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에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교반장치(100)는 주블레이드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55)가 상기 토너적재부의 힌지부(57)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인장스프링(54)이 토너적재부의 내부면에 지지됨으로써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결합된 보조교반장치의 동작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토너적재부(22)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25)가 회전하면, 상기 교반기의 일단이 보조교반장치의 걸림블레이드(53)에 걸리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블레이드가 밀려 올라가면, 걸림블레이드와 수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주블레이드(51)가 힌지(55)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주블레이드(51)의 회전에 의해, 공급롤러(28) 상측에서 와류를 이룬 토너가 토너적재부(22) 쪽으로 이송되어 새 토너와 섞이게 된다. 이어, 상기 교반기(25)의 일단이 테이퍼진 걸림블레이드(53)에서 벗어나면, 상기 인장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주블레이드(51)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상기와 같이 교반기(25)가 회전함에 따라, 보조교반장치(100)의 주블레이드(51)는 공급롤러 상측의 토너를 반복적으로 토너적재부 쪽으로 이송시켜주게 됨으로써, 와류로 인해 정체되는 토너의 발생을 막게 되고, 현상기 내부 전체에 걸쳐 원활한 토너의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는 공급롤러 상측에서 와류를 이루며 정체된 토너를 토너적재부의 새 토너와 섞이게 함으로써 토너의 대전율을 높이고 엉킴을 방지하여, 백그라운드(화상표면에 뿌옇게 토너자국이 남는 현상), 에지더티(용지의 양단이 오염되는 현상), 도트 퍼짐(화상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점들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현상) 등의 발생을 막아 화상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반기가 설치된 토너적재부, 공급롤러, 현상롤러 및 감광드럼으로 이루어진 현상기에 있어서,
    보조교반장치는 사각형 모양의 판으로 형성된 주블레이드와, 상기 주블레이드의 일면에서 연장되고 주블레이드와 수직을 이루며 형성된 걸림블레이드와, 상기 주블레이드의 양측면에는 힌지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토너적재부의 내부 일측에는 구멍이 뚫린 힌지부가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주블레이드의 힌지가 힌지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교반기의 회전시 교반기의 일단이 걸림블레이드를 밀어올리고, 이때 일체로 형성된 주블레이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너를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블레이드의 걸림블레이드가 형성된 반대면에는 인장스프링이 설치되어, 주블레이드가 회전한 후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블레이드는 단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교반기의 회전시 교반기의 일단과 접촉할 때 상호간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KR1019970024290A 1997-06-12 1997-06-12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KR10022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290A KR100223654B1 (ko) 1997-06-12 1997-06-12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290A KR100223654B1 (ko) 1997-06-12 1997-06-12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085A KR19990001085A (ko) 1999-01-15
KR100223654B1 true KR100223654B1 (ko) 1999-10-15

Family

ID=1950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290A KR100223654B1 (ko) 1997-06-12 1997-06-12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745B1 (ko) * 2005-12-15 2013-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085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84883A (ja) 画像形成装置
KR0174688B1 (ko) 현상기 토너 공급장치
KR100223654B1 (ko) 현상기의 보조교반장치
KR0164409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0137090B1 (ko) 현상장치
KR200158207Y1 (ko) 현상기의 토너 보급 규제장치
KR100260425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200246737Y1 (ko) 화상형성장치의토너량공급조절장치
KR200158206Y1 (ko) 독터 블레이드 요동장치
KR0174681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100193868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0174677B1 (ko) 일성분 현상방식을 이용한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KR0174680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JP3287676B2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KR100191213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34768A (ko) 레이저 빔 프린터의 토너 공급장치
KR200158212Y1 (ko) 독터 블레이드 청소장치
KR19990055447A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9980049492U (ko) 현상기의 토너공급장치
KR10019386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200186329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19980058191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 장치
KR20000004290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 조절 구조
KR19980056526U (ko) 다수개의 교반기를 가지는 토너 교반장치
KR19990017802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