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866B1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866B1
KR100193866B1 KR1019970003754A KR19970003754A KR100193866B1 KR 100193866 B1 KR100193866 B1 KR 100193866B1 KR 1019970003754 A KR1019970003754 A KR 1019970003754A KR 19970003754 A KR19970003754 A KR 19970003754A KR 100193866 B1 KR100193866 B1 KR 100193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toner
roller
develop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602A (ko
Inventor
안병선
이수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8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8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현상 유니트의 현상제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프린터의 초기화시에 현상제를 현상롤러의 표면에 균일한 분포로 도포시킬 수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도포되어 상기 토너를 마찰대전시키는 캐리어와 상매체인 토너로 조성된 현상제와, 토너호퍼에 충진된 토너가 자연유동에 의해 상기 제1공급롤러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호퍼를 실링시키는 실링용 필름과, 상기 현상롤러와 현상유니트 사이에 삽입되어 운반중에 진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흘러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시키는 압축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전사자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본 발명은 레이져빔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복합기등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너를 마찰대전시키는 캐리어와 토너로 혼합된 현상제를 별도의 패킹(packing)장치 없이 현상롤러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시키고 현상롤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인쇄기기는 대별하여 빛을 조사하면 도체의 성질을 갖고 빛을 조사하지 않으면 부도체의 성질을 각각가져 소정의 잠상을 맺히게 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의 대전롤러와, 소정의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문자신호 또는 화상신호를 상기 감광드럼상의 소정부위에 균일하게 대전시켜 전기적인 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노광시키는 노광부와, 상기 감광드럼상에 소정의 형태로 대전되는 국부적인 미세한 토너분말을 점착시키는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에 점착된 미세한 토너분말을 고압으로 기록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의 전사부와, 고열 및 고압에 의해 미세토너를 상기 기록용지상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부와, 상기 기록용지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급지부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호유기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인쇄공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토너적재부(22)에 토너(24)가 공급되어지면, 상기 토너(24)는 교반기(26)의 회전에 의해 제1공급롤러(30) 측으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교반된 토너(24)는 캐리어에 의해 마찰 대전되어져 제1공급롤러(30) 및 제2공급롤러(32)에 의해 현상마그롤러(36) 측으로 공급되어지며, 상기 현상마그롤러(36) 표면에 형성된 토너(24)는 독터 블레이드(16)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그후, 대전기(38)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4)의 표면은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되며, 그후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서 대전된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노광부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되어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4)의 정전잠상은 상기 현상마그롤러(36)를 지나는 동안 토너(24)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가 픽업롤러에 의해 전사롤러 측으로 급지되어지며, 그후 상기 전사롤러의 고압작용으로 인해 상기 감광드럼(14)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기록용지상으로 전사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는 이송되어져 도시하지 않은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인쇄된 용지가 스태커 측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는 상매체인 토너(24)를 저장하는 토너호퍼(22)가 현상 유니트(20)내에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토너호퍼(22) 내부에는 상기 토너(24)를 제1공급롤러(3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반기(2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토너호퍼(22)의 일측면에는 프린터의 초기화 전에 상기 토너(24)가 유동에 의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sealing)시키는 제2필름(10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필름(106)이 부착된 토너호퍼(22)의 일측에는 상기 교반기(26)에 의해 교반된 토너(24)를 제2공급롤러(32) 측으로 공급하는 제1공급롤러(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급롤러(30)의 상부 일측(즉, 제1공급롤러와 현상롤러 사이의 중간부분)에는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쳄버(100)가 형성된다. 상기 쳄버(100)에는 상기 토너(24)를 마찰대전시키는 캐리어(102a)와 상매체인 토너(24)가 혼합된 현상제(102)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쳄버(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현상제(102)가 하부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실링시키는 제1필름(104)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급롤러(30)의 일측에는 프린터의 초기화시에는 상기 현상제(102)를 현상마그롤러(36) 측으로 공급하고 일반적인 프린팅 기능을 수행시에는 상기 캐리어(102a)에 의해 마찰대전된 토너(24)를 공급하는 제2공급롤러(32)가 설치된다. 상기 제2공급롤러(36)의 일측에는 감광체 유니트(18)에 설치된 노광부에 의해 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4)의 표면을 토너(24)로 현상시키는 현상마그롤러(3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마그롤러(36)의 일측 상부면에는 표면에 형성된 토너(24)을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 블레이드(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가 종래의 현상장치를 처음으로 프린팅하기 위하여 초기화를 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쳄버(100)의 하단부에 부착된 제1필름(104)을 제거시켜 토너(24)와 캐리어(102a)로 혼합된 현상제(102)가 현상마그롤러(36)와 제1공급롤러(30) 사이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이어서 토너호퍼(22)의 일측면에 부착된 제2필름(106)을 제거한다. 그후, 프린터를 파워 온(power on)시키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현상장치는 토너와 캐리어로 혼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하여 별도의 쳄버를 설치한 후에 다시 제1필름으로 실링(sealing)시킴에 따라 프린터의 초기화시에 토너호퍼에 부착된 제2필름만을 제거한 후에 현상장치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실수을 빈번히 유발시키며, 또한 프린터의 초기 사용시에 소비자의 실수로 상기 토너호퍼에 부착된 제2필름을 먼저 제거한 후에 상기 쳄버에 부착된 제1필름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토너호퍼에 충진된 토너가 현상마그롤러까지 유입되므로서 상기 현상제의 캐리어와 상기 토너호퍼에 충진된 토너와의 혼합비율의 부적합성과 상기 토너의 대전부족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인해 현상불량 및 백그라운드(background)를 발생시켜 화상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제1필름을 제거하기 전에 현상 유니트를 좌,우방향으로 유동시키게 되면 상기 현상제는 쳄버내에서 어느 한쪽으로 몰리게 되며, 이로인해 초기화시에 현상롤러상의 현상제 도포의 불균일화를 초래하며, 또한 소비자가 프린터의 초기화를 위하여 필름을 번거롭게 2번이나 제거시키므로서 소비자의 불편함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필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잔류 필름에 의해 화질상에 수직방향으로 화상이 누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터의 초기화시에 현상제를 현상롤러의 표면에 균일한 분포로 도포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하여 별도의 쳄버와 실링용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 유니트의 유동시에 현상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상현상 및 백라운드 현상을 방지하여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에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마그롤러와,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공급하는 제1공급롤러 및 제2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에 형성된 토너층을 일정한 높이로 규제하는 독터 블레이드를 구비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도포되어 상기 토너를 마찰대전시키는 캐리어와 상매체인 토너로 조성된 현상제와, 토너호퍼에 충진된 토너가 자연유동에 의해 상기 제1공급롤러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호퍼를 실링시키는 실링용 필름과, 상기 현상롤러와 현상유니트 사이에 삽입되어 운반중에 진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흘러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시키는 압축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에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마그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도포되어 상기 토너를 마찰대전시키는 캐리어와 상매체인 토너로 조성된 현상제와, 상기 현상롤러와 현상유니트 사이에 삽입되어 운반중에 진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흘러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시키는 압축패드와,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공급하는 제1공급롤러 및 제2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에 형성된 토너층을 일정한 높이로 규제하는 독터 블레이드로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공급롤러기어와 상기 제2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공급롤러기어 사이에는 프린터의 초기화 전에 상기 현상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로킹기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압축패드12: 라벨
14: 감광드럼16: 독터 블레이드
18: 감광체 유니트20: 현상 유니트
22: 토너호퍼24: 토너
26: 교반기28: 실링용 필름
30: 제1공급롤러32: 제2공급롤러
34: 현상제34a: 캐리어
36: 현상마그롤러42: 제2공급롤러기어
44: 로킹기어46: 더미 보스 샤프트
54: 제2아이들기어56: 구동기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는 상매체인 토너(24)를 저장하는 토너호퍼(22)가 현상 유니트(20)내에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토너호퍼(22)의 내부에는 상기 토너(24)를 제1공급롤러(3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반기(2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토너호퍼(22)의 일측면에는 프린터의 초기화 전에 상기 토너(24)가 유동에 의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토너호퍼(22)를 실링(sealing)시키는 플랙시블(flexible)한 실링용 필름(28)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링용 필름(28)이 부착된 토너호퍼(22)의 일측에는 상기 교반기(26)에 의해 교반된 토너(24)를 제2공급롤러(32) 측으로 공급하는 제1공급롤러(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공급롤러(30)의 일측에는 캐리어(34a)에 의해 마찰대전된 토너(24)를 현상마그롤러(36) 측으로 공급하는 제2공급롤러(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급롤러(32)의 일측에는 감광체 유니트(18)상에 설치된 감광드럼(14)과 0.2mm∼0.7mm 정도의 갭(gap)을 유지하면서 (-)대전된 토너(24)를 감광드럼(14)상의 잠상부로 현상시키는 현상마그롤러(36)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마그롤러(36)의 일측 상부면에는 0.2mm∼0.4mm 정도의 갭(gap)을 유지하고 표면에 형성된 토너(24)을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 블레이드(1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14)의 반대방향이고 상기 독터 블레이드(16)와 현상마그롤러(36) 사이에는 토너(24)를 마찰대전시키는 페라이트 계열의 복합제인 캐리어(34a)와 상매체인 미세분말의 토너(24)로 혼합된 현상제(34)가 상기 현상마그롤러(36)의 길이방향으로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 유니트(20)와 상기 현상제(34)가 도포된 현상마그롤러(36)의 타측면 사이에는 현상 유니트(20)의 운반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34)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압축패드(10)가 압축력에 의해 밀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압축패드(10)는 프린터의 초기화 전에 상기 현상제(34)를 실링시키기 위하여 탄성제와 플랙시블 비닐계로 혼합된 재질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압축패드(10)의 일측 끝에는 프린터를 초기화할 때 사용자가 마찰패드(10)를 쉽게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설명서가 표시된 라벨(12)이 길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장치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 유니트(20)와 현상마그롤러(36) 사이에 삽입된 현상제(34)가 프린터의 초기화 전에 현상마그롤러(36)의 회전에 의해 독터 블레이드(16)를 벗어나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로킹기어(44)가 설치된다. 즉,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56)가 모터의 축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56)의 일측면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현상마그롤러(36)를 회전시키는 현상마그롤러기어(40)가 맞물려 설치된다. 상기 현상마그롤러기어(40)의 일측면에는 구동력으로 제2공급롤러(32)를 회전시키는 제2공급롤러기어(42)가 맞물려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공급롤러기어(42)의 일측 하부면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제1공급롤러기어(48) 측으로 전달하는 제2아이들기어(54)가 맞물려 설치된다. 상기 제2공급롤러기어(42)의 일측면과 제2아이들기어(54)의 상부면 사이에는 프린터의 초기화 전에 상기 현상제(34)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마그롤러기어(40)를 정지시키는 로킹기어(44)가 동시에 맞물려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로킹기어(44)는 소비자가 프리터의 초기화를 위하여 로킹기어(44)를 해체시킬 때 소비자가 용이하게 식별하여 해체시킬 수 있도록 녹색으로 색칠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킹기어(44)는 현상 유니트(20)에 설치된 더미 보스 샤프트(46)에 의해 상기 제2공급롤러기어(42)와 제2아이들기어(54)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안내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아이들기어(54)의 일측면에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제1공급롤러(30)를 회전시키는 제1공급롤러기어(48)가 맞물려 설치되며, 상기 제1공급롤러기어(48)의 일측면에는 제1아이들기어(5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아이들기어(52)의 일측면에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교반기(26)를 회전시키는 교반기기어(50)가 맞물려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현상장치를 처음으로 프린팅하기 위하여 초기화를 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마찰패드(10)의 라벨(12)을 상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마찰패드(10)는 쉽게 상기 현상 유니트(20)와 현상롤러(36) 사이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현상제(34)는 현상마그롤러(36)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지고 나머지는 제2공급롤러(32) 측으로 유입된다. 이어서 토너호퍼(22)에 부착된 실링용 필름(28)을 제거하면 상기 토너(24)는 토너호퍼(22)로부터 넘쳐흘러 제1공급롤러(30) 측으로 유입되거나 혹은 상기 토너호퍼(22)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그후, 상기 제2공급롤러기어(42)와 제2아이들기어(54)에 동시에 맞물려 있는 로킹기어(44)를 제거하면 상기 현상마그롤러기어(40)는 상기 현상마그롤러(36)를 회전시킬 수 있는 준비단계에 이르게 된다.
그후, 프린터를 파워 온(power on)시키면 상기 현상마그롤러(36)의 표면에는 먼저 현상제(34)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현상마그롤러(36)는 현상마그롤러기어(40)에 의해 회전하면서 독터 블레이드(16)에 의해 마찰대전되고 동시에 일정한 높이로 규제되어진다. 한편, 상기 토너호퍼(22)에 충진된 토너(24)는 교반기(26)에 의해 제1공급롤러(30) 측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1공급롤러(30)는 다시 상기 토너(24)를 제2공급롤러(32) 측으로 공급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2공급롤러(32)는 토너(24)와 캐리어(34a)를 함께 회전시키면서 마찰대전시켜 현상마그롤러(36) 측으로 공급한다.
그후 상기 현상마그롤러(36)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24)는 독터 블레이드(16)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된다. 그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는 현상제가 프린터의 초기화 시작부터 현상마그롤러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짐에 따라 토너의 대전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상기 토너의 대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화질의 안정화 및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실링(sealing)을 위해 두 개의 필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서 사용자의 편리성 및 내부구조를 간단화시킬 수 있고, 또한 토너 또는 현상제가 현상 유니트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기기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에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마그롤러와,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공급하는 제1공급롤러 및 제2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에 형성된 토너층을 일정한 높이로 규제하는 독터 블레이드를 구비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도포되어 상기 토너를 마찰대전시키는 캐리어와 상매체인 토너로 조성된 현상제와;
    토너호퍼에 충진된 토너가 자연유동에 의해 상기 제1공급롤러 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호퍼를 실링시키는 실링용 필름과;
    상기 현상롤러와 현상유니트 사이에 삽입되어 운반중에 진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흘러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시키는 압축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페라이트 계열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패드는 상기 현상제가 외부의 진동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제와 플랙시블 비닐계로 혼합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패드의 일측에는 프린터를 초기화할 때 사용자가 쉽게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용설명서가 표시된 라벨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패드는 상기 현상마그롤러와 현상 유니트간의 압축력에 의해 밀폐되어져 상기 현상제를 실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6.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에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마그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도포되어 상기 토너를 마찰대전시키는 캐리어와 상매체인 토너로 조성된 현상제와, 상기 현상롤러와 현상유니트 사이에 삽입되어 운반중에 진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가 흘러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시키는 압축패드와,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 및 토너호퍼의 교반기와, 상기 현상롤러에 형성된 토너층을 일정한 높이로 규제하는 독터 블레이드로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를 회전시키는 현상롤러기어와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기어의 어느 사이에는 프린터의 초기화 전에 상기 현상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혹은 각부 롤러의 구동으로 토너의 초기 과공급을 방지하기 위한 로킹기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가 모터의 축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현상마그롤러를 회전시키는 현상마그롤러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현상마그롤러기어에는 구동력으로 제2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공급롤러기어가 맞물리며, 상기 제2공급롤러기어에는 제2아이들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제2공급롤러기어와 제2아이들기어 사이에는 프린터의 초기화 전에 상기 현상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로킹기어가 동시에 맞물리며, 상기 제2아이들기에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제1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공급롤러기어가 맞물려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기어는 프린터의 초기화를 위하여 해체시에 사용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녹색으로 색칠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기어를 상기 제2공롤러기어와 제2아이들기어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안내하는 더미 보스 샤프트가 현상 유니트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019970003754A 1997-02-06 1997-02-06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100193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754A KR100193866B1 (ko) 1997-02-06 1997-02-06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754A KR100193866B1 (ko) 1997-02-06 1997-02-06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602A KR19980067602A (ko) 1998-10-15
KR100193866B1 true KR100193866B1 (ko) 1999-06-15

Family

ID=6598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754A KR100193866B1 (ko) 1997-02-06 1997-02-06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8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602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0755B2 (en) Recycling method for developer supplying unit including the step of driving a feeding member in a direction to feed developer from a developer supply port to a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KR10019386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013573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US6075962A (en) Toner cartridge sealed by expandable hot-melt elastic adhesive
JP3444238B2 (ja) 現像装置
JP2733370B2 (ja) 電子写真装置
JP4560354B2 (ja) 画像形成装置
JPH0641258Y2 (ja) 現像装置
JP3440882B2 (ja) 現像装置
JP2972598B2 (ja) 現像装置
JP276440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98382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44272B1 (ko) 전자사진프로세서의토너재충진장치
JP2008233698A (ja) 画像形成装置
JP3141161B2 (ja)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9040053A (ja) 現像装置
JPH10239977A (ja) 一成分現像装置
JP3674281B2 (ja) 現像装置
JP3000647B2 (ja) 電子写真装置
JP200400424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91692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4140775A (ja) 静電記録装置
JPH063934A (ja) 現像装置
JP2000075638A (ja)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15450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