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847U -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릴리프 로드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릴리프 로드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847U
KR20000003847U KR2019980014159U KR19980014159U KR20000003847U KR 20000003847 U KR20000003847 U KR 20000003847U KR 2019980014159 U KR2019980014159 U KR 2019980014159U KR 19980014159 U KR19980014159 U KR 19980014159U KR 20000003847 U KR20000003847 U KR 200000038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ief
spool
housing
rod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진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80014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847U/ko
Publication of KR200000038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847U/ko

Links

Landscapes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포트(11)와 리턴포트(12)가 연통되어 있는 하우징(3), 상기 하우징(3)의 양단에 삽입 고정되어 릴리프관(15)을 통해 상호 연통되어 있는 출구 조인트(20)와 컨트롤 스풀(50)로 구성된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스풀(50)의 내부 챔버(70) 내에 릴리프 밸브 역할을 하도록 가이드부(59)에 의해 미끄럼 안내되는 릴리프 로드(58)를 삽입 장착하고 이 릴리프 로드(58)를 통해 릴리프공(57)을 개폐함으로써 유량조절밸브 내의 유압이 일정압을 초과할 때 개방되는 릴리프 로드(58)의 이동이 지연되도록 하여 급격한 릴리프 동작으로 인한 릴리프 구조의 떨림(chattering)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릴리프 로드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flow rate controlling valve provided with relief rod of power steering hydraulic pump)
본 고안은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을 위해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 또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부터 귀환하는 유압이 일정압을 초과하여 과도해질 때 개방되어 내부의 유압을 완화시키도록 되어 있는 컨트롤 스풀의 릴리프 밸브를 로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급격한 내부압력 변화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떨림(chattering)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한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릴리프 로드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조향휠에 연결되는 조향 링키지의 중간에 설치된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동력조향기어에 의해 배력시켜 출력축을 통해 조향륜(전륜)에 가함으로써 조향력을 증대시켜 운전자가 적은 힘으로도 가볍고 신속한 조향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과, 그 발생된 유압을 기계적인 힘으로 바꾸어 조향력을 일으키는 작동수단과, 유로의 개폐를 통해 작동 실린더의 동작방향과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전자에 의한 조향휠의 조작력이 적어지므로 조향기어비를 자유로이 선정할 수 있고, 노면으로부터 전륜을 통해 조향휠에 충격이 전달되는 킥백(kick back) 현상을 방지하며, 전륜의 진동에 의한 시미모션(shimmy motion)을 감쇄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형적인 한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동력수단인 조향펌프(101), 작동수단인 파워 실린더(104), 제어수단인 컨트롤 밸브(10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조향펌프(101)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면서 인테이크 호스(102a)를 통해 리저버(102)로부터 오일을 흡입하면서 강제 토출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워 실린더(104)는 2개의 챔버를 형성하는 피스톤(미도시)이 타이로드(106)를 거쳐 양측 전륜(109)에 연결되어 조향펌프(101)로부터의 유압을 차륜측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 밸브(105)는 조향축(107)의 회전각에 따라 조향펌프(101)로부터 압력호스(101a)로 송출되는 유압을 파워 실린더(104)의 해당 챔버로 공급하고 다른 챔버의 오일을 리턴호스(102b)를 통해 리저버(102)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엔진이 구동되면 조향펌프(101)는 동기 회전하면서 리저버(102)의 오일을 흡입하여 압력호스(101a)상에 유압을 형성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컨트롤 밸브(105)가 로터리 밸브일 경우, 운전자가 조향휠(108)이 일측으로 돌리면 그 물리적인 힘은 조향축(107)에 전달되면서 컨트롤 밸브(105) 내의 토션바(미도시)를 비틀게 된다. 따라서, 토션바의 비틀림에 의해 컨트롤 밸브(105)가 회전 동작되면서 조향펌프(101)에 연결된 압력호스(101a)를 조향휠(108)의 회전방향에 해당하는 파워 실린더(104)의 챔버로 개방시키고, 다른 챔버는 리저버(102)와 연결된 리턴호스(102b)로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컨트롤 밸브(105)에 의해 압력호스(101a)와 연통된 파워 실린더(104)의 챔버는 오일이 유입되면서 피스톤을 이동시켜 확장되고, 반대쪽의 챔버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수축되면서 오일을 리턴호스(102b)를 통해 리저버(102)로 배출시킨다. 이때, 이동하는 피스톤은 유압에 의해 타이로드(108)를 조작하면서 전륜(109)의 진행각도를 바꾸어 동력조향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 조향펌프(10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H)의 중심부에서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DS)이 베인(vane)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베인이 회전됨에 따라 리저버로부터 인테이크호스(102a)를 통해 흡입되면서 토출되는 오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V)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이러한 종래 유량조절밸브(V)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우징(H)의 상단부에는 일측 끝단이 외부로 개방된 원통형의 공간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는 조향펌프의 리턴포트(112) 및 토출포트(111)가 격벽(113)을 두고 연통되어 있다.
공간부(110)의 개방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출구홀(121)이 형성된 출구 조인트(120)가 체결되어 있고, 공간부(110) 내부에 위치되는 출구홀(121)의 일측 끝단에는 연통공(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단에는 압력호스가 연통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공간부(110)의 출구 조인트(121) 대향측에는 끝단부 및 중단부에 공간부(110)의 내주면과 밀착하는 2개의 대경부(151)(152)를 갖는 컨트롤 스풀(15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끝단부의 대경부(151)가 출구 조인트(120)의 전면부와 접촉하면서 리턴포트(112)와 토출포트(111)를 서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 스풀(150)의 일측에는 스풀(150)을 출구 조인트(120) 쪽으로 가압하는 스풀 스프링(1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출구 조인트(120)의 출구홀(121) 쪽 공간과 스풀 스프링(160)이 설치된 공간은 릴리프관(115;relief hole)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여기에서 컨트롤 스풀(150)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두 대경부(151,152) 사이의 일측으로 연통된 스풀 릴리프홀(153)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측에는 내외로 연통된 릴리프관(154a)을 갖는 스크루(154)가 체결되어 있으며, 릴리프관(154a)의 내측에는 볼(155)과 이 볼(155)을 릴리프관(154a)으로 가압하는 볼 스프링(156) 및 볼(155)의 이동을 제한하는 볼 시트(157)가 설치되어 하나의 릴리프 밸브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파워 실린더의 반력에 의해 유압력이 다시 압력호스를 통해 리턴될 경우, 그 리턴된 유압은 출구 조인트(120)의 출구홀(121)과 연통된 릴리프관(115)을 통해 컨트롤 스풀(150)의 배면 및 스풀 스프링(160)이 위치된 공간부(110)로 유입되며, 그 유압은 컨트롤 스풀(150)에 체결된 스크루(154)의 릴리프관(154a)을 폐쇄시키고 있는 볼(155)을 밀게 된다. 이때, 볼(155)은 볼 스프링(156)을 압축하면서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어 릴리프관(154)을 개방하게 되고, 유압은 릴리프관(154a)을 통과하면서 스풀 릴리프홀(153)을 통해 공간부(110) 즉, 컨트롤 스풀(150)의 두 대경부(151)(152) 사이의 외곽으로 배출되면서 리턴포트(112)를 통해 조향펌프의 흡입포트로 유입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다시 유압이 정상압력으로 저하될 경우 볼(155)은 볼 스프링(156)에 의해 스크루 릴리프관(154a)을 폐쇄시키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조향펌프 유량조절밸브(V)는 릴리프시 짧은 시간 동안에 볼(155)이 순간적으로 릴리프관(154a)에서 착탈되면서 작동유의 유동을 개폐방출하며, 또 이를 장시간 반복하게 되므로 볼(155)과 릴리프관(154a)의 출구 사이에서 떨림현상이 발생되고 볼(155)이 릴리프관(154a)에 정확히 안착되지 못해 소음을 유발시킴은 물론, 볼 스프링(86)의 탄성력을 극복하기 위해 소모되는 작동유의 압력 에너지로 인해 조향펌프를 구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엔진출력의 손실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량조절밸브의 릴리프 밸브 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떨림현상의 원인이 되는 릴리프 볼을 릴리프 로드로 교체함으로써 볼을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동유압의 릴리프를 위해 반발 스프링에 의한 볼의 릴리프관 개폐 또는 기타 외부장치에 의한 릴리프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릴리프 로드의 가압면적과 중량의 증대에 따라 급격한 내부 압력변화에도 불구하고 릴리프 로드의 움직임을 지연시켜 급격한 릴리프 작동을 완화시킴으로써 릴리프 밸브 구조의 개폐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향펌프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 조향펌프에 장착되는 유량조절밸브의 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량조절밸브에서 컨트롤 스풀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 로드가 적용된 유량조절밸브의 개략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라 본 릴리프 로드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 로드가 적용된 유량조절밸브의 개략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BB선에 따라 본 릴리프 로드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 로드가 적용된 유량조절밸브의 개략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CC선에 따른 평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DD선에 따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01 : 유량조절밸브 3 : 하우징
11 : 토출포트 12 : 리턴포트
15 : 릴리프관 20 : 출구 조인트
50 : 컨트롤 스풀 57,257,357 : 릴리프공
58,258,358 : 릴리프 로드 59,259,359 : 가이드부
61,261,361 : 몸체 63 : 개폐돌기
265, 365 : 돌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토출포트와 리턴포트가 연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외체를 이루는 하우징, 이 하우징의 일측단에 삽입 고정되며 축선방향으로 연통공이 관통 형성된 출구 조인트 및, 릴리프관을 통해 출구 조인트와 연통되어 있으며 스풀 스프링에 의해 출구 조인트 대향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는 컨트롤 스풀로 구성된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컨트롤 스풀은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부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와 이 몸체의 중심부로 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선단이 스풀의 릴리프공을 개폐하도록 구형으로 되어 있는 개폐돌기로 이루어진 릴리프 로드를 내부 챔버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고 있는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면번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는 종래의 일반적인 조향펌프 유량조절밸브와 마찬가지로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3), 이 하우징(3)의 일측단에 삽입 고정되는 출구 조인트(20) 및, 이 출구 조인트(20)의 대향측에 삽입되는 컨트롤 스풀(5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3)에는 조향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리턴포트(12)와 토출포트(1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출구 조인트(20)와 컨트롤 스풀(50)을 연통시키는 릴리프관(15)이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1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컨트롤 스풀(50)이 스풀 스프링(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3) 내부 공간(10)을 이동하면서 리턴포트(12)와 토출포트(11)를 개폐하여 유압유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컨트롤 스풀(50)은 도 6에 단면 상태로 개략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릴리프 로드가 적용된 컨트롤 스풀(50)은 유량조절밸브(1)의 하우징(3) 내주면을 따라 도면상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본체와 본체내의 챔버(70)에 내장되어 있는 반발 스프링(52) 그리고 이 스프링(5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스풀(50) 내부 챔버(70)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릴리프 로드(58)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본체의 외주면 일측에는 스풀 릴리프홀(53)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릴리프 로드(58)를 사이에 두고 스풀 릴리프홀(53)과 대향한 쪽의 측벽면에는 릴리프공(5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52)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챔버(70) 내부를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릴리프 로드(58)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70) 내주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몸체(61)와 이 몸체(61)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개폐돌기(6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몸체(61)의 외주면에는 챔버(70) 내주면과 접촉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59)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7에서 알 수 있듯 상하좌우 4개의 가이드부(59)가 몸체(61)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돌기(63)는 또한 선단이 구형으로 가공되어 릴리프공(57)과의 밀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부분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며, 단지 릴리프 로드(258)의 몸체(261)가 위의 몸체(61)에 비해 좀 더 두껍게 되어 있다는 점과, 개폐돌기(63) 대신에 돌출부(265)가 몸체(261)의 중심부에 돌출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다시 말하면, 이 실시예의 몸체(261)는 컨트롤 스풀(50)의 길이방향으로 두께가 좀 더 연장되어 내부챔버(70) 내주면과의 접촉면이 증대되어 있으며, 돌출부(265)는 원뿔대 모양으로 테이퍼져 있어 몸체(261)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점차 감소하면서 릴리프공(257)을 통과하여 스풀 스프링(60)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 10 및 도 11,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유량조절밸브(301)에 있어서도 위에서 언급한 2개의 실시예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며, 단지 컨트롤 스풀(350) 및 릴리프 로드(358)만이 일부 변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컨트롤 스풀(350)은 릴리프공(357)이 관통되어 있는 측면에 릴리프공(350)을 중심으로 선대칭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연결로드(36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4개의 연결로드(36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로드(367)의 스풀(350) 대향측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내주벽면(9)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안내링(369)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안내링(369)에는 연결로드(367)와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갯수의 시트부(37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일단이 컨트롤 스풀(350)의 챔버(370)내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이 안내링(369)과 인접한 위치에서 하우징(3)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릴리프 로드(358)는 릴리프 로드(58,258)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복수개의 방사상 가이드부(359)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361)와 이 몸체(361)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릴리프공(357)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365) 그리고 이 돌출부(365)의 몸체(361) 대향측 끝단에 부착되어 있는 안내체(370)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359)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기호 형태를 갖도록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돌출부(365)도 돌출부(265)와 마찬가지로 몸체(36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뿔대 형태로 되어 있다.
돌출부(365) 끝단에 부착된 가이드체(370)는 몸체(361)와 형태는 동일하면서 직경만 상대적으로 대직경을 갖도록 되어 챔버(370)보다 직경이 큰 하우징 내벽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체(3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돌출된 가이드부(371)가 4개인 경우 +기호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부(371) 사이의 공간으로 연결로드(367)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1)에 의하면, 조향펌프로부터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 공급된 다음 파워 실린더의 반력으로 인해 유압력이 압력호스를 통해 유량조절밸브(1)로 귀환될 경우, 귀환된 작동유는 출구 조인트(20)의 출구홀(21)과 연통된 릴리프관(15)을 통해 컨트롤 스풀(50)의 배면 및 스풀 스프링(60)이 위치된 공간부(10)로 유입된다.
이때 발생된 유압은 적정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컨트롤 스풀(50)의 릴리프공(57)을 통해 릴리프 로드(58)의 개폐돌기(63)에 작용하여 반발 스프링(52)의 반발력에 의해 릴리프 로드(58)의 몸체(61)에 가해지는 저항을 이기고 개폐돌기(63)를 가압 후퇴시켜 릴리프공(57)을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과압된 작동유가 릴리프공(57)을 통과하여 스풀 릴리프홀(53)을 통해 밸브(1) 하우징(3) 내부의 공간(10)으로 배출되며, 다시 리턴 포트(12)를 통해 조향펌프의 흡입포트로 유입되어 들어간다. 이러한 릴리프 동작에 의해 유량조절밸브(1) 내부의 유압이 정상값으로 되돌아 가면 릴리프 로드(58)는 반발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릴리프공(57)을 폐쇄시키는 정상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거치면서 유량조절밸브(1)의 릴리프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릴리프 동작 중 공간(10)에 형성되는 과압으로 인해 릴리프 로드(58)가 스프링(52) 탄력을 이기고 후퇴하여 릴리프공(57)을 개방할 때, 릴리프 로드(58)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부(59)가 챔버(70) 내주면에 지지되어 일직선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약간을 마찰을 일으키게 되므로 릴리프 로드(58)의 이동 속도를 어느 정도 느리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부(59)의 존재로 인해 릴리프 로드(58)의 중량이 다소 증대되므로 질량 증가에 따른 감속효과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간(10)에 작용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부터의 귀환압이 정상압에 비해 과도하게 증가하거나 일정값 이상의 크기로 빈번하게 작용하더라도 릴리프 로드의 경박한 운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릴리프 지연효과는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서도 동일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261)의 두께를 몸체(6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여 릴리프 로드(258)의 중량을 릴리프 로드(58)의 중량보다 증대시킴으로써 가이드부(259)에 의해 안내되어 들어가는 릴리프 로드(58)의 후퇴속도를 더욱 느리게 하여 도 6의 실시예보다 릴리프 지연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릴리프 로드(258)의 돌출부(265)가 테이퍼져 있으므로 하우징(3)의 내부공간(10)에 과압이 급격하게 발생되더라도 릴리프 로드(258)의 후퇴에 따른 릴리프공(257)의 개방속도가 상대적으로 더욱 느려져 종래의 경우와 같이 볼에 의해 릴리프공(258)을 개방하거나 또는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형 개폐돌기(63)을 사용하여 릴리프공(258)을 개방하는 것에 비해 릴리프 응답성이 더욱 둔해진다.
더욱이, 도 10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프 로드(358)의 돌출부(365)가 위 실시예의 돌출부(265)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릴리프공(357)의 개방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몸체(361)에 돌출된 가이드부(359) 뿐만 아니라 가이드체(370)에 의해 릴리프 로드(358) 전체를 컨트롤 스풀(350)과 하우징(3)의 내주면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릴리프 로드(358)의 왕복운동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향펌프 유량조절밸브에 따르면, 컨트롤 스풀의 릴리프공을 막대 형태의 릴리프 로드로 개폐함과 동시에 릴리프 로드의 끝단 한쪽 또는 양쪽에 가이드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릴리프 밸브 역할을 하는 릴리프 로드의 중량이 무거워지고, 직진성이 유지되므로 파워 스티어링 장치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유량조절밸브 내부에 급격한 압력변화가 발생되더라도 컨트롤 스풀의 릴리프공의 잦은 개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 스풀 내부에 작용하는 급격한 압력변화가 완화되어 컨트롤 스풀의 릴리프공과 이를 개폐하는 릴리프 로드 사이에 떨림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챔버 내주면에 미끄럼 지지되는 가이드부를 통해 릴리프 로드를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켜 이로 인한 작동소음을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궁극적으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안락한 주행 여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토출포트(11)와 리턴포트(12)가 연통되는 공간부(10)를 형성하도록 외체를 이루는 하우징(3), 상기 하우징(3)의 일측단에 삽입 고정되며 축선방향으로 연통공(22)이 관통 형성된 출구 조인트(20) 및, 릴리프관(15)을 통해 상기 출구 조인트(20)와 연통되어 있으며 스풀 스프링(60)에 의해 상기 출구 조인트(20) 대향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는 컨트롤 스풀(50)로 구성된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스풀(50)은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부(59)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중심부로 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선단이 상기 스풀(50)의 릴리프공(57)을 개폐하도록 구형으로 되어 있는 개폐돌기(63)로 이루어진 릴리프 로드(58)를 내부 챔버(70)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로드(258)는 상기 몸체(261)의 두께가 상기 내부 챔버(70)의 길이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261)의 중심부에 몸체(26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원뿔대 모양의 돌출부(265)가 상기 릴리프공(257)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
  3. 토출포트(11)와 리턴포트(12)가 연통되는 공간부(10)를 형성하도록 외체를 이루는 하우징(3), 상기 하우징(3)의 일측단에 삽입 고정되며 축선방향으로 연통공(22)이 관통 형성된 출구 조인트(20) 및, 릴리프관(15)을 통해 상기 출구 조인트(20)와 연통되어 있으며 스풀 스프링(60)에 의해 상기 출구 조인트(20) 대향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는 컨트롤 스풀(350)로 구성된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30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스풀(350)은 상기 릴리프공(357) 쪽의 측면에 복수개의 연결로드(367)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3)의 내주벽면(9)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안내링(369)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부(359)가 돌출되어 상기 컨트롤 스풀(350)의 내부 챔버(370)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 몸체(361), 상기 몸체(361)의 중심부에 부착되어 상기 릴리프공(357)을 통과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몸체(36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는 원뿔대 모양의 돌출부(365), 및 상기 돌출부(365)의 상기 몸체(361) 대향측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3)의 내주벽면(9)을 따라 이동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부(371)가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체(370)로 구성된 릴리프 로드(35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
KR2019980014159U 1998-07-29 1998-07-29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릴리프 로드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KR200000038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59U KR20000003847U (ko) 1998-07-29 1998-07-29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릴리프 로드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59U KR20000003847U (ko) 1998-07-29 1998-07-29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릴리프 로드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47U true KR20000003847U (ko) 2000-02-25

Family

ID=6951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159U KR20000003847U (ko) 1998-07-29 1998-07-29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릴리프 로드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84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852A (ko) * 2000-09-11 2002-03-16 이또 노부에이 릴리이프 밸브
KR100458222B1 (ko) * 2000-12-27 2004-11-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파워스티어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852A (ko) * 2000-09-11 2002-03-16 이또 노부에이 릴리이프 밸브
KR100458222B1 (ko) * 2000-12-27 2004-11-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파워스티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7426A (en) Check valve
KR101556892B1 (ko) 피스톤 펌프
EP2094448B1 (en) Percussion device
KR20120075389A (ko) 완충기
EP1006291B1 (en) Damper valve for hydraulic power steering device
US4455923A (en) Air cylinder with end position damping
KR20000003847U (ko)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릴리프 로드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KR200239305Y1 (ko) 파워스티어링조향펌프의유량조절밸브
US11649873B1 (en) User-adjustable multi-stage shock absorbers
KR20010103903A (ko)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
KR20000017747U (ko)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유량조절밸브
FI115069B (fi) Iskunvaimennin ulkoapäin säädettävällä puristuksella
KR20000017746U (ko) 릴리프 독립형 파워 스티어링 펌프
JPH0727166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衰力調整装置
US11009093B2 (en) Electronically adjustable shock absorber
KR100922096B1 (ko) 파워스티어링장치용 유압펌프의 유량조절밸브
KR19990074497A (ko) 조향펌프의 전자식 유량조절장치
JP4059669B2 (ja)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JPH0799184B2 (ja) 車両用油圧緩衝器
JP4058298B2 (ja) 油圧緩衝器
KR20000006056U (ko) 파워 스티어링 조향펌프의 소음챔버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JPH1067332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77503B1 (ko) 유체 유동 제어 밸브
EP1074750A2 (en) Pressure fluid actuator with damping and speed control device
CN114718976A (zh) 一种液压阻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