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804U -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804U
KR20000003804U KR2019980014111U KR19980014111U KR20000003804U KR 20000003804 U KR20000003804 U KR 20000003804U KR 2019980014111 U KR2019980014111 U KR 2019980014111U KR 19980014111 U KR19980014111 U KR 19980014111U KR 20000003804 U KR20000003804 U KR 200000038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carrier belt
roller
guide rol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명
서정윤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14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804U/ko
Publication of KR20000003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804U/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리어벨트(Carrier Belt)의 부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상하는 캐리어벨트(1)의 하부측 프레임(29)에 하우징(15)이 부착되고, 커버판(25-1,25-2)에 의해 결합된 베어링(18)이 상기 하우징(15)에 상하강되도록 내장되며, 스탠드베이스(8)의 양단이 상기 커버판(25-1)에 고정되고, 상부에 가이드롤(20)을 장착한 서포트(16)가 상기 하우징(15)의 외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9)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롤(20)에 감기는 와이어(7-1)는 외측단에 웨이트(19-2)가 연결되면서 내측단이 상기 커버판(25-2)에 부착된 샤프트(17)에 연결되는 상하강부(45)와; 중심스탠드(9)가 롤러(40,41)에 의해 상기 스탠드베이스(8)의 상하면을 따라 좌우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앙스탠드(9)의 상부 중앙에 부상롤러(11)가 설치되며, 굽힘롤러(10)를 지지하는 사이드스탠드(12)가 상기 중앙스탠드(9)의 상부 양측에 볼트축(27)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벨트(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사이드롤러(13)가 상기 사이드스탠드(12)의 중단부에 브래킷(22)에 의해 장착되는 캐리어부(46)와; 상기 사이드스탠드(12)의 상단에 지지대(14)가 고정되고, 상단에 가이드롤(21)을 부착한 고정대(24)가 상기 프레임(29)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롤(21)에 감기는 와이어(7-1)는 외측단에 웨이트(19-1)가 연결되면서 내측단이 반대측 고정대(24)의 상단에 연결되는 굽힘부(4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
본 고안은 캐리어벨트(Carrier Belt)의 부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력에 의해 부상되는 캐리어벨트를 사이드롤러를 이용하여 부상롤러와 굽힘롤러에 안착시켜 벨트 부상을 방지하는 캐리어벨트(Carrier Belt)의 부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운송물(6)을 운반하는 캐리어벨트(1)는 캐리어롤러(5)에 의해 지지되면서 폭양측이 폭중앙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운송도중 운송물이 폭양측으로 낙광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캐리어벨트(1)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풀리(4)측으로 상향 경사지면서 그 장력에 의해 캐리어롤러(5)에 밀착되지 못하고 수평상태로 부상되고, 이렇게 부상된 캐리어벨트에 정상적인 양의 운송물(6)이 실릴 경우에는 그 무게에 의해 부상상태의 캐리어벨트가 하부로 처지면서 캐리어롤러에 밀착되어 낙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소량의 운송물(6)이 부상된 캐리어벨트(1)에 실릴 경우, 장력에 의해 폭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는 캐리어벨트로부터 쉽게 낙광되고, 이렇게 누적된 낙광은 벨트콘베어의 설비에 손상을 주게 되고, 작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장력에 의해 부상되는 캐리어벨트를 사이드롤러를 이용하여 부상롤러와 굽힘롤러에 안착시켜 벨트 부상을 방지하는 캐리어벨트(Carrier Belt)의 부상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캐리어벨트의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캐리어벨트 부상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상방지장치가 장착된 캐리어벨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도4의 A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6은 도4의 B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의 벨트 비부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의 벨트 부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1,7-2: 와이어 8: 스탠드베이스 9: 중심스탠드 11: 부상롤러 12: 사이드스탠드 13: 사이드롤러 15: 베어링하우징 19-1,19-2: 웨이트 25-1,25-2: 커버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부상하는 캐리어벨트의 하부측 프레임에 하우징이 부착되고, 커버판에 의해 결합된 베어링이 상기 하우징에 상하강되도록 내장되며, 스탠드베이스의 양단이 상기 커버판에 고정되고, 상부에 가이드롤을 장착한 서포트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롤에 감기는 와이어는 외측단에 웨이트가 연결되면서 내측단이 상기 커버판에 부착된 샤프트에 연결되는 상하강부와; 중심스탠드가 롤러에 의해 상기 스탠드베이스의 상하면을 따라 좌우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앙스탠드의 상부 중앙에 부상롤러가 설치되며, 굽힘롤러를 지지하는 사이드스탠드가 상기 중앙스탠드의 상부 양측에 볼트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벨트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사이드롤러가 상기 사이드스탠드의 중단부에 브래킷에 의해 장착되는 캐리어부와; 상기 사이드스탠드의 상단에 지지대가 고정되고, 상단에 가이드롤을 부착한 고정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롤에 감기는 와이어는 외측단에 웨이트가 연결되면서 내측단이 반대측 고정대의 상단에 연결되는 굽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상방지장치가 장착된 캐리어벨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A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도4의 B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의 벨트 비부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의 벨트 부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장력에 의해 부상되는 캐리어벨트(1)의 하부측 프레임(29)에는 그 외측면에 한쌍의 하우징(15)이 서로 대칭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이 하우징에는 각각 커버판(25-1,25-2)에 의해 지지되는 부상베어링(18)이 상하 구름이동하도록 내장되어 있다.
이때, 스탠드베이스(8)는 그 양단이 각각 내측커버판(25-1)의 하단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외측커버판(25-2)의 중단에는 각각 샤프트(17)가 수평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15)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프레임(29)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대략 ㄴ자형상의 서포트(16)에는 그 상단에 각각 한쌍의 가이드롤(2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롤(20)에 감기는 와이어(7-2)는 그 내측단이 샤프트(17)의 외측단에 각각 연결되고, 외측단에 각각 웨이트(19-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심스탠드(9)는 좌우측 하부에 스탠드베이스(8)의 상면을 따라 구르는 지지롤러(40)가 설치되어 있고, 중앙 하부에는 스탠드베이스의 하면을 따라 구르는 보조롤러(41)가 지지판(42)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중심스탠드(9)는 지지롤러(40)와 보조롤러(41)에 의해 스탠드베이스(8)의 상하면을 따라 좌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될뿐만아니라 전후측으로 진행되는 캐리어벨트(1)에 의해 밀리면서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중심스탠드(9)에는 상부 좌우측에 각각 사이드스탠드(12)의 하단이 볼트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 부상롤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바깥쪽으로 상향되도록 경사진 사이드스탠드(12)에는 각각 굽힘롤러(10)가 설치되어 있고, 사이드스탠드의 중단부에는 각각 사이드롤러(13)가 브래킷(22)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롤러(13)는 캐리어벨트(1)의 양측면에 밀착되면서 벨트의 하면이 부상롤러(11)와 굽힘롤러(10)에 안착되도록 하여 장력에 의한 캐리어벨트의 부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사이드스탠드(12)의 상단에는 각각 지지대(14)가 사이드스탠드와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고, 하단이 각각 프레임(29)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대(24)에는 그 상단에 가이드롤(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롤(21)에 각각 감기는 와이어(7-1)는 내측단이 각각 반대측 지지대(14)의 상단에 연결되고, 외측단에 각각 웨이트(19-1)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웨이트(19-1)가 하강하게 되면 와이어(7-1)에 의해 지지대(14)가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웨이트(19-1)가 상승되면 와이어(7-1)가 느슨해지면서 지지대(14)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료(6)가 정상적으로 가득 실려오면 원료 자체의 무게에 의해 캐리어벨트(1)가 하부로 처지면서 캐리어롤러(5)에 안착되는데, 이때 캐리어벨트를 받치고 있던 부상롤러(11)가 원료(6)의 무게에 의해 눌리게 된다.
또한, 캐리어벨트(1)는 실린 원료(6)의 무게때문에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 폭양측으로 눌리게 되고, 이로써 굽힘롤러(10)가 눌리면서 사이드스탠드(12)가 볼트축(27)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사이드스탠드(12)가 고정대(14)를 밑으로 당기게 되면 고정대(14)에 연결되는 와이어(7-1)가 웨이트(19-1)를 위로 당기게 된다.
그리고, 부상롤러(11)의 하강으로 중심스탠드(9)와 스탠드베이스(8)가 밑으로 내려가게 되고, 스탠드베이스는 프레임(29)까지 하강하는 동안 부상베어링(18)이 베어링하우징(15)의 내측벽을 따라 구름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샤프트(17)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7-2)가 밑으로 당겨지면서 웨이트(19-2)가 위로 당겨지게 된다.
한편, 캐리어벨트(1)에 소량의 원료(6)가 실릴 경우, 벨트의 장력에 의해 캐리어벨트가 위로 부상하게 되고, 스탠드베이스(8)는 원료의 하중을 적게 받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하강하는 웨이트(19-2)에 의해 위로 당겨지면서 베어링하우징(5)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스탠드베이스(8)가 상승되면 중심스탠드(9)가 캐리어벨트(1)의 폭중앙하면을 받치고 있는 부상롤러(11)를 부상시키게 된다.
또한, 웨이트(19-1)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와이어(7-1)를 당기게 되고, 이로써 굽힘롤러(10)가 안쪽으로 오므러들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이드롤러(13)는 캐리어벨트(1)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캐리어벨트(1)가 원료(6) 이송중 좌우 어느쪽으로든 사행될 경우, 사이드롤러(13)가 벨트사행측으로 밀리면서 사이드스탠드(12)를 사행측으로 밀게되고, 중심스탠드(9)는 스탠드베이스(8)를 따라 사행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캐리어벨트(1)가 사행되어도 이에 따라 굽힘롤러(10)와 부상롤러(11)를 사행측으로 이동시켜 사행전과 같이 캐리어벨트를 지지함으로써 벨트사행에 의한 낙광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장력에 의해 부상되는 캐리어벨트를 사이드롤러를 이용하여 부상롤러와 굽힘롤러에 안착시켜 벨트 부상을 방지함으로써 낙광을 방지하고,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부상하는 캐리어벨트(1)의 하부측 프레임(29)에 하우징(15)이 부착되고, 커버판(25-1,25-2)에 의해 결합된 베어링(18)이 상기 하우징(15)에 상하강되도록 내장되며, 스탠드베이스(8)의 양단이 상기 커버판(25-1)에 고정되고, 상부에 가이드롤(20)을 장착한 서포트(16)가 상기 하우징(15)의 외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29)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롤(20)에 감기는 와이어(7-1)는 외측단에 웨이트(19-2)가 연결되면서 내측단이 상기 커버판(25-2)에 부착된 샤프트(17)에 연결되는 상하강부(45)와;
    중심스탠드(9)가 롤러(40,41)에 의해 상기 스탠드베이스(8)의 상하면을 따라 좌우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앙스탠드(9)의 상부 중앙에 부상롤러(11)가 설치되며, 굽힘롤러(10)를 지지하는 사이드스탠드(12)가 상기 중앙스탠드(9)의 상부 양측에 볼트축(27)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벨트(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사이드롤러(13)가 상기 사이드스탠드(12)의 중단부에 브래킷(22)에 의해 장착되는 캐리어부(46)와;
    상기 사이드스탠드(12)의 상단에 지지대(14)가 고정되고, 상단에 가이드롤(21)을 부착한 고정대(24)가 상기 프레임(29)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롤(21)에 감기는 와이어(7-1)는 외측단에 웨이트(19-1)가 연결되면서 내측단이 반대측 고정대(24)의 상단에 연결되는 굽힘부(4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
KR2019980014111U 1998-07-29 1998-07-29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 KR200000038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11U KR20000003804U (ko) 1998-07-29 1998-07-29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11U KR20000003804U (ko) 1998-07-29 1998-07-29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04U true KR20000003804U (ko) 2000-02-25

Family

ID=6950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111U KR20000003804U (ko) 1998-07-29 1998-07-29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80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39B1 (ko) * 2001-12-22 2008-09-0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수송용 벨트 콘베이어의 센터 자동조정장치
KR101008029B1 (ko) * 2003-11-14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셔틀 컨베이어의 벨트지지장치
KR101016322B1 (ko) * 2008-12-30 2011-02-22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 벨트 가이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39B1 (ko) * 2001-12-22 2008-09-0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수송용 벨트 콘베이어의 센터 자동조정장치
KR101008029B1 (ko) * 2003-11-14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셔틀 컨베이어의 벨트지지장치
KR101016322B1 (ko) * 2008-12-30 2011-02-22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 벨트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3804U (ko) 캐리어벨트의 부상방지장치
US1793062A (en) Package elevator
KR100660675B1 (ko) 독립형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물품이송시스템
JPH1121089A (ja) バケット搬送装置
CN215591768U (zh) 一种皮带输送机弹性张紧机构
CN213621819U (zh) 一种橡胶缓冲垫生产用全自动送料机构
JP4289200B2 (ja) 搬送設備
JP3215812U (ja) ベルトコンベヤに於けるベルトの浮き上がりと蛇行を同時に防止する装置
KR20040044744A (ko)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JPS6260707A (ja) 垂直コンベヤ
JPH04338015A (ja) トリッパ
CN205932171U (zh) 一种物料运输装置
CN213474926U (zh) 用于钢带传送的支撑装置
KR200169337Y1 (ko) 벨트 컨베어 사행 조정장치
KR101118295B1 (ko) 양방향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200234747Y1 (ko) 상하강이가능한캐리어롤러스탠드
CN219602292U (zh) 一种铝棒生产线自动卸料装置
KR20020052738A (ko) 롤러마모 방지용 스탠드장치
KR101118297B1 (ko) 트리퍼설비의 밸트 교정장치
KR101697667B1 (ko) 이물 제거장치
CN216612853U (zh) 一种电商物流运输平台
CN218966993U (zh) 一种布料输送装置
CN217051467U (zh) 一种涂料生产用涂料运输升降平台
CN217229888U (zh) 一种稳定型垂直提升机
KR100887144B1 (ko) 부상벨트의 사행 추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