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622A -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622A
KR20000002622A KR1019980023467A KR19980023467A KR20000002622A KR 20000002622 A KR20000002622 A KR 20000002622A KR 1019980023467 A KR1019980023467 A KR 1019980023467A KR 19980023467 A KR19980023467 A KR 19980023467A KR 20000002622 A KR20000002622 A KR 2000000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device
call quality
network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순
마중수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8002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622A/ko
Publication of KR2000000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6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등에서 장애상태 및 가입자 관점의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자동 전송하기 위한 이동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 수집부에서 수집된 장애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수집부와 통신부를 제어하여 수집부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및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소정의 시간동안 저장한 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장애 데이터의 수집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등에서 이동단말 장치의 이상 상태시 이동단말 장치별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분석시스템에서 분석하여 체감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단말기가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수집하지 못하여 기지국 또는 교환국에서 수집가능한 데이터를 통하여 이를 유추하거나, 가입자측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제 통화를 하며 샘플 조사를 통해 부분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이동단말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등에서 장애상태 및 가입자 관점의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자동 전송하기 위한 이동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장치의 일실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데이터를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동단말 장치 12 : 종합분석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장애상태, 통화품질 불량, 및 망 불량상태 정보 등을 수집하기 위한 이동단말 장치에 있어서,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수단; 상기 수집 수단에서 수집된 장애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 및 상기 수집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수집 수단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및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소정의 시간동안 저장한 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 장치의 서비스 수행중 상기 이동단말 장치의 장애발생시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 장치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 장치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은 단말기별 장애상태 데이터 및 가입자 관점의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단말 장치(11)와, 이동전화망을 통해 이동단말 장치(11)의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장치(11)는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112)와, 수집부(112)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3)와, 기존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114)와, 이동전화망을 통해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수집된 장애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11)을 포함한다.
제어부(113)는 저장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바로 이동전화망을 통해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 타임 트리거(Time Trigger) 기능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트래픽이 동시에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랜덤 딜레이(Random Delay)를 한다.
이동단말 장치(11)는 장애상태, 통화품질 불량 등 기타 불량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이동전화망을 통해 자동으로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전송한다.
종합분석시스템(12)은 이동전화망을 통해 이동단말 장치(11)에서 수집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121)와, 전송받은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22)와, 이러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응용기능부(123)를 구비한다.
이동단말 장치(11)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데이터 및 가입자 관점의 망 통화품질 데이터는 기존 이동전화망의 통신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여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전송되고, 종합분석시스템(12)은 단말기, 기지국, 및 공중선 등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장애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망에 대한 정확한 상태 파악 및 가입자가 실제 겪고있는 장애 상태를 파악한다.
한편, 데이터 콜(Call) 서비스의 상호연동기능(IWF : Interwork Function)을 이용하여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전송될 수 있고, 문자의 전송은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단전문 센터를 통해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단말 장치(11)가 기존의 단말기 기능(즉, 정상 단말기 서비스 또는 대기상태)을 수행하다가(201) 단말 기능 수행중 장애가 발생되어 장애상태 및 통화품질에 대한 수집 요구가 발생되면(202), 이동단말 장치(11)의 수집부(112)에서 이에 대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수집한다(203).
이후, 이동단말 장치(11)의 상태와 이동전화망의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이동전화망을 통해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전송 가능한지를 분석한다(204).
분석결과, 즉시 전송 가능하면 이동단말 장치(11)가 수집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이동전화망을 통해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전송한 후에(205), 정상 단말기 서비스를 수행한다(201).
분석결과, 즉시 전송 불가능하면 이동단말 장치(11)의 수집부(112)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제어부(113)에 저장한 후에(206), 정상 단말기 서비스를 수행한다(207).
다음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은 타임 트리거(Time Trigger) 기능을 이용하여 정상 단말기 서비스 수행중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제어부(113)에 저장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종합분석시스템(12)으로 전송한다(208,210). 이때, 트리거 기능에 의해 많은 전송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랜덤 딜레이(Random Delay)를 한다(208).
종합분석시스템(12)은 이동전화망을 통해 수신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분석하여 망에 대한 정확한 상태 파악 및 가입자가 실제 겪고있는 장애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추후 이동단말 장치(11)에 광역측위시스템(GPS : Global Position System)이 포함되는 경우에 장애가 발생한 정확한 위치까지도 수집 데이터에 포함하여 망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수집한 데이터를 망에서 단전문서비스(SMS), 데이터 콜(Data Call)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입자별 이동단말 장치의 상태 및 망 상태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어 통화 불량지역, 불량 이동단말 장치, 및 불량 브랜드(Brand)에 대한 정확한 원인파악 및 분석이 가능하여 체감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망사업자에게 망에 대한 정확한 상태파악 및 가입자가 실제 겪고 있는 장애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최적의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샘플 조사를 하는 용역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장애상태, 통화품질 불량, 및 망 불량상태 정보 등을 수집하기 위한 이동단말 장치에 있어서,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수단;
    상기 수집 수단에서 수집된 장애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 및
    상기 수집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수집 수단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및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소정의 시간동안 저장한 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단말 장치가 수집 전송할 장애등급과 종류를 통신망에서 지정하거나, 최번시를 피하기 위해 적정한 전송 타임 트리거 시간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트래픽이 동시에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랜덤 딜레이(Random Delay)한 후에 장애상태 및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상기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장치.
  4.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 장치의 서비스 수행중 상기 이동단말 장치의 장애발생시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 장치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데이터 및 망 통화품질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단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 장치에서 상기 이동단말 장치의 상태와 상기 이동전화망의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전송 가능한지를 분석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분석결과, 즉시 전송이 가능하면 상기 이동단말 장치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외부의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한 후에 상기 제 1 단계로 넘어가는 제 5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분석결과, 즉시 전송이 불가능하면 상기 이동단말 장치의 수집부에서 수집된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저장한 후에 정상 단말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 장치의 서비스 수행중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제어부에 저장된 장애상태 및 망 통화품질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트래픽이 동시에 몰리지 않도록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종합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단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의 상기 소정의 시간은,
    타임 트리거(Time Trigger)를 이용한 임의적인 설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제어 과정은,
    상기 트래픽이 동시에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랜덤 딜레이(Random Delay)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KR1019980023467A 1998-06-22 1998-06-22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그 동작 방법 KR20000002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467A KR20000002622A (ko) 1998-06-22 1998-06-22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467A KR20000002622A (ko) 1998-06-22 1998-06-22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622A true KR20000002622A (ko) 2000-01-15

Family

ID=1954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467A KR20000002622A (ko) 1998-06-22 1998-06-22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62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82B1 (ko) * 2002-07-08 2005-08-2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체감통화불만가입자 추출방법 및 시스템
KR100549129B1 (ko) * 1999-12-31 2006-0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789898B1 (ko) * 2001-12-27 2007-1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장애 통보 방법
KR101006611B1 (ko) * 2003-12-05 201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1290155B1 (ko) * 2007-06-25 2013-07-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망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129B1 (ko) * 1999-12-31 2006-0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789898B1 (ko) * 2001-12-27 2007-1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장애 통보 방법
KR100510182B1 (ko) * 2002-07-08 2005-08-2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체감통화불만가입자 추출방법 및 시스템
KR101006611B1 (ko) * 2003-12-05 201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1290155B1 (ko) * 2007-06-25 2013-07-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망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73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all test in a CDMA system
US799600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st method thereof, and access terminal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548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all tests in wireless networks
CN1753540B (zh) 对多个无线网络控制器进行远程监控和故障排除的方法
US70996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20060270400A1 (en) Methods and structures for improved monitoring and troubleshoo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5687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mobile communication data
US20090252043A1 (en) Remote testing and monitoring to a cell sit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WO2005048629A1 (en) Quality of service monitoring architecture, related method,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4941296B2 (ja) 移動通信のサービスレベル管理システム
CN101453704A (zh) 一种监测移动终端的系统状态和事件记录的方法和装置
US6782256B2 (en) Measuring wireless network performance via a world wide network
RU2520326C2 (ru)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анализа и мониторинга сети
JP2003060766A (ja) データ採録方法および携帯電話機
JP2009177576A (ja) 無線ネットワーク提供システム、無線端末、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ログ通知方法
TWI261184B (en) Automatic data collection method and data collection system
KR100549129B1 (ko)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2622A (ko)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그 동작 방법
CN107920360B (zh) 一种定位网络问题的方法、装置及系统
JP4182339B2 (ja) サービスエリア監視方法、サービスエリア監視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通信装置
KR100292156B1 (ko) 통화정보수집방법 및 그를이용한통화정보수집분배장치
KR100483019B1 (ko) 스마트 안테나 기지국의 무선 성능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50626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nd analyzing base station with smart antenna, and protocol structure
KR100603767B1 (ko) 스마트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의 시험분석 장치와 방법,및 프로토콜 구조
CN102546825B (zh) 一种自动路测系统的远程监控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