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129B1 -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129B1
KR100549129B1 KR1019990068059A KR19990068059A KR100549129B1 KR 100549129 B1 KR100549129 B1 KR 100549129B1 KR 1019990068059 A KR1019990068059 A KR 1019990068059A KR 19990068059 A KR19990068059 A KR 19990068059A KR 100549129 B1 KR100549129 B1 KR 10054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asurement
call
wireless network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351A (ko
Inventor
김종선
박희산
정하재
홍성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12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해 원격으로 측정단말기를 제어하여 통화품질, 위치, 속도, 및 운송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선망 장애감시 및 품질관리를 위한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제어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망에 대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수단; 상기 정보수집수단을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메시지를 발생하며, 상기 측정정보로부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는 제1 제어수단; 및 상기 제1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제1 제어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망의 장애를 감시하고 최적의 통화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운용관리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 등에 이용됨.
측정단말기, 제어기, 단문서비스 제어메시지, 무선망,

Description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AL TIME WIRELESS NETWORK}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중 측정단말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중 측정단말기내의 단말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정보수집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시작 제어메시지 처리에 따라 측정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Ⅰ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Ⅱ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 Ⅲ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Ⅳ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Ⅴ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측정단말기 12 : 기지국(BTS)
13 : 제어국(BSC)/교환국(MSC) 14 : 단문서비스(SMS) 센터/서버
15 : 제어기 16 : 터미널
17 : 수신단말기 18 : 망관리센터
19 : 운용센터 20 : 고객센터
본 발명은 현재 사용중인 무선가입자망(WLL), 광대역무선가입자망(B-WLL), 무선주파수망(TRS), 지능형교통망(ITS) 등과 같은 무선데이터통신망이나, 이동전화망(Cellullar), 개인휴대통신망(PCS), 외국에서 사용중인 타 이동전화망, 현재 유럽방식과 북미방식으로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s)를 이용해 무선망의 통화품질, 위치, 속도 등과 같은 관리정보와, 운송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무선망 관리를 위해서 운용자들이 직접 측정 장비를 가지고 다니면서 각 지역을 측정하였고,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분석 및 엔지니어링을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시간, 사용자, 간섭, 및 운용상태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변화하는 무선환경을 실시간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선망의 장애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장애 얼람 또는 가입자들의 민원, 운용자의 측정에만 의존해야 했기 때문에 현재의 무선망 품질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해 원격으로 측정단말기를 제어하여 통화품질, 위치, 속도, 및 운송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선망 장애감시 및 품질관리를 위한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무선망을 통해 장애감시 및 품질관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어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망에 대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수단; 상기 정보수집수단을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메시지를 발생하며, 상기 측정정보로부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는 제1 제어수단; 및 상기 제1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제1 제어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망의 장애를 감시하고 최적의 통화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운용관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을 관리하는 제어기가 다수의 측정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가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른 명령을 판독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메타값을 설정하고, 상기 파라메타값에 따라 상기 무선망에 대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메시지화한 후에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어기가 메지화된 상기 측정정보로부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추출된 상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망의 장애를 감시하고 최적의 통화품질을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에, 무선망을 관리하는 제어기가 다수의 측정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기능;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가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른 명령을 판독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메타값을 설정하고, 상기 파라메타값에 따라 상기 무선망에 대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메지화한 후에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기능; 상기 제어기가 메지화된 상기 측정정보로부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는 제3 기능; 및 상기 제어기가 추출된 상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망의 장애를 감시하고 최적의 통화품질을 관리하는 제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개인휴대통신망, 무선데이터통신망, 차세대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품질, 위치, 속도, 운송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무선망 장애감시 및 품질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운송분야에 운송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어기가 제어 메시지를 단문서비스(SMS)로 전송하여 원격으로 측정 단말기를 제어하고, 제어된 측정단말기는 제어기의 지시에 따라서 정보를 수집하여 측정정보 메시지로 보고한다. 이렇게, 제어기는 다수의 측정 단말기를 제어하고, 이들로부터 수신한 측정정보 메시지를 처리한 후 무선망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여 각각 분배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제어메시지 또는 측정정보 메시지는 SMS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 방법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측정단말기에서 수집한 측정정보를 다양한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단말기가 수집할 수 있는 모든 측정정보도 전환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뿐만아니라 개인휴대통신망, 무선데이터통신망 및 차세대이동통신망(IMT-2000)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무선망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측정단말기, "12"는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13"은 제어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14"는 단문서비스(SMS) 센터/서버, "15"는 제어기, "16"은 터미널, "17"은 수신단말기, "18"은 망관리센터, "19"는 운용센터, 그리고 "20"은 고객센터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의 장애감시 및 품질관리를 위한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는,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에 따라, 무선망에 대한 측정정보(바람직하게는 통화품질, 위치, 속도, 운송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한 측정단말기(11)와, 측정단말기(11)를 관리하기 위한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를 발생하며, 측정정보로부터 관리정보(바람직하게는 통화품질, 위치, 속도 정보 등)와 운송정보를 추출하는 제어기(15)와, 제어기(15)의 제어하에, 제어기(15)에서 추출된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무선망의 장애를 감시하고 최적의 통화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터미널(16), 망관리센터(18), 운용센터(19), 고객센터(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망을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망이라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지국(12), 제어국/교환국(13)로 구성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측정단말기(11)는 임의의 기지국(12)의 범위내에 있고, 측정단말기(11)의 정보는 기지국(12)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국(13)을 거쳐 교환국(13)에 전송되며, 교환국(13)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12) 및 제어국(13)을 거쳐 측정단말기(11)로 전송된다.
측정단말기(11)는 차량에 탑재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문자수신시는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을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을 사용한다. 이때, 모든 문자 정보는 SMS를 이용하는데, 수신시에는 이동착신(MT : Mobile Terminated) SMS를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이동발신(MO : Mobile Originated) SMS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수신시 CDMA 이동통신시스템 방식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e Burst Message)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의 데이 터 버스트 메시지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문자메시지 발신시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고, 통화중일 경우에는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측정단말기(11)에서 측정된 측정정보 메시지(통화품질, 위치, 속도, 운송정보 등)는 고주파 신호처리 및 호처리를 위한 기지국(12) 및 제어국(13)을 통해 교환국(13)으로 접속된다.
기지국(BTS)(12)은 측정단말기(11)를 제어국(13)에 접속시키며, 디지털 채널 장치(DCU : Digital Channel Unit), 시간/주파수 제어 장치(TCU : Timing/Frequency Control Unit), 무선 주파수 장치(RFU : Radio Frequency Unit), 및 광역 측위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12)은 측정단말기(11)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제어국(13)과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국(BSC)(13)은 기지국(12)을 교환국(13)에 접속시켜 기지국(12)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12)과 교환국(13)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교환국(MSC)(13)은 단문서비스 센터(14)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제어국(13)과 접속하여 측정단말기(11)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단문서비스 센터(14)는 교환국(13) 및 단문서비스 서버(14)에 연결되어 SMS 처리에 핵심을 담당하며, S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신호의 통신서비스 식별자(TI : Teleservice Identifier)와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망요소로 이를 전송한다. 특히, 단문서비스 센터(14)는 해당 메시지가 단문서비스 서버(14)로 설정되어 있으면, 교환국(13)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단문서비스 서버(14)로 전송한다.
단문서비스 서버(14)는 단문서비스 센터(14) 및 제어기(15)에 연결되어, 측정단말기(11)로부터의 통화품질, 위치, 속도 운송정보가 포함된 측정정보 메시지를 제어기(15)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망의 장애감시 및 품질관리를 위한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말기(11)가 이동통신망(12,13)에 접속되어 제어기(15), 수신단말기(17) 및 터미널(16)과 접속한다.
여기서, 측정단말기(11)와 수신단말기(17)는 IS-95 무선 접속규격에 따라 이동통신망인 기지국(12), 제어국/교환기(13)에 접속되며, 제어기(15)는 SMS 센터/서버(14)의 전송제어프로토콜 및 인터넷프로토콜(TCP/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인터페이스를 기본으로 SMS 센터/서버(14) 및 망관리센터(18 내지 20)와 접속된다. 또한, 터미널(16)은 기본적으로 RS-232 규격으로 수신단말기(17)와 접속되고, 또한 선택적으로 TCP/IP의 전용선 또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제어기(15)에 접속될 수도 있다.
수신단말기(17)는 터미널(16)과 RS-232C 인터페이스로 접속하여 측정단말기(11)와 통화 및 SMS를 수신 또는 송신한다.
제어기(15)는 SMS 센터/서버(14)에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서 접속되어 측정단말기(11)와 SMS를 송수신하고, 수신단말기(17)에 SMS를 송신한다.
한편, 측정단말기(11)를 관리하기 위하여 단문서비스 제어메시지를 발생하며, 측정정보로부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는 제어기(15)의 동작 특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기(15)는, 측정단말기(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 생성기능과, 측정단말기(11)로부터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측정정보로부터 무선망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추출기능과, 추출된 무선망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망관리센터(18), 운용센터(19) 및 고객센터(20)로 전달하는 정보분배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로는 측정단말기(11)의 측정 및 전송을 시작시키기 위한 측정 시작 제어메시지, 측정단말기(11)의 측정 및 전송을 중단시키기 위한 측정 종료 제어메시지, 측정단말기(11)의 측정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측정모드 변경 제어메시지, 측정단말기(11)의 측정시간을 변경시키기 위한 측정시간 변경 제어메시지, 그리고 측정단말기(11)의 전송번호를 변경시키기 위한 전송번호 변경 제어메시지 등이 있다. 이제, 측정단말기(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를 발생하는 제어기(15)를 각 기능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추출기능은, 측정단말기(11)로부터 수신된 상기 측정정보를 처리하여 측정정보 메시지와 긍정(Ack) 메시지를 구별하고, 측정단말기(11)로부터 수신된 상기 긍정(Ack) 메시지를 처리하여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의 재전송을 판단하며, 측정단말기(11)로부터 수신된 상기 측정정보를 처리하여 위치에 따른상기 무선망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로 분류한다.
정보분배기능은, 무선망 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타 장치 및 단문서비스 서버로 분배하고, 운송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단말기(17)나 터미널(16)로 분배하며, 상기 운송정보를 가공하여 인터넷이나 상기 타 장치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송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단말기(17)에 분배하기 위하여 측정단말기(11)로부터 수신된 측정정보의 수신주소나 수신번호를 소정의 수신단말기 식별번호(MIN)로 치환하며, 운송정보를 가공하여 인터넷에 제공하여 일반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제어기(15)에서 추출된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무선망의 장애를 감시하고 최적의 통화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망관리센터(18), 운용센터(19) 및 고객관리센터(20)는 제어기(15)에서 추출된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수신단말기(17)를 제어하여 측정단말기(11)와의 통화를 제어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중 측정단말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1"은 위치추적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안테나, "112"는 단말기, 그리고 "113"은 마이크겸용 이어폰을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중 측정단말기(11)는 GPS 안테나(111), 단말기(112), 마이크겸용 이어폰(113), 그리고 단 말기(112)가 장착되는 핸드프리 키트 및 GPS 수신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핸즈프리 키트 및 GPS 수신기로는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 또는 단말기를 분리하는 분리형이 있다.
일체형일 경우에는, 마이크겸용 이어폰(113)와 GPS 안테나(111)를 차량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이며. 또는 마이크겸용 이어폰(113)와 GPS 안테나(111) 및 단말기의 안테나를 차량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이다.
분리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마이크겸용 이어폰(113)와 GPS 안테나(111)를 차량에 부착하고, 단말기 거치대를 이용해 차량에 차량에 장착한다.
단말기(112)는 데이터모듈(DM : Data Module) 포트를 통하여 RS-232C 인터페이스로 GPS 수신기와 핸드프리 키트에 접속된다.
측정단말기(11)의 동작 특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정단말기(11)의 단말기(112)는 GPS 수신기로부터 위치 및 속도정보, 단말기(112) 자체에서 측정한 통화품질 정보, 운전자의 승객 승차 유무정보를 가지고 측정정보 메시지를 구성하여 MO SMS로 전송한다. 또한, 측정단말기(11)는 제어기(15)가 전송한 SMS 메시지를 수신 및 처리하여 지시한 명령을 수행한다. 이때, 측정단말기(11)가 송수신하는 메시지와 정보는 [표 1]과 같다.
메시지 송신 수신 지시 정 보
대기상태 측정정보 메시지 측정단말기 제어기, 수신단말기 측정정보 보고 현재시간, 위도, 경도, 속도 ,승객 승차 유무, No Service, 채널번호, Rx, PN, EC/I0
통화상태 측정정보 메시지 측정단말기 제어기, 수신단말기 측정정보 보고 현재시간, 위도, 경도, 속도, 승객 승차 유무, No Service, Call Drop, 채널번호, Rx, Tx, Tx_Adj, FER, Active Set의 PN 수, PN, EC/I0
긍정(Ack) 메시지 Ack 메시지 번호
측정시작 제어 메시지 제어기 측정단말기 측정시작 측정모드, 대기상태 측정간격, 대기상태 전송간격, 통화상태 측정 간격, 통화상태 전송간격, 통화시간, 랜덤(Random) 시간, 통화번호, 전송번호
측정종료 제어 메시지 제어기 측정단말기 측정종료 후 대기상태 유지
측정모드 변경 제어메시지 제어기 측정단말기 측정모드 변경 후 측정정보 수집 및 전송 측정모드, 대기상태 전송간격, 통화상태 측정 간격, 통화상태 전송간격, 통화시간, 랜덤시간
측정시간 변경 제어메시지 제어기 측정단말기 측정시간 변경 후 측정정보 수집 및 전송 대기상태 측정간격, 대기상태 전송간격, 통화상태 측정간격, 통화상태 전송간격, 통화시간, 랜덤시간
전송번호 변경 제어메시지 제어기 측정단말기 변경된 전송번호로 측정정보 전송 전송번호, 통화번호
디스플레이 메시지 수신단말기 측정단말기 단말기의 LCD에 디스플레이 교통 정보
운전자는 마이크겸용 이어폰(113)의 특정키(기본값) 또는 단말기(112)의 키패드(선택값)를 이용하여 통화연결 및 수신이 가능하며, 또한 승객의 승차유무, 교통상황 등의 운송정보를 지정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측정정보 메시지에 함께 포함되어 전송된다.
측정단말기(11)는 제어기(15)로부터 수신된 제어메시지에 대해서 긍정(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전송하여야 한다.
그리고, 측정단말기(11)는 측정정보 메시지를 제어기(15)가 지정한 특화번호로 전송하며, 통화는 지정된 수신단말기(17)와 또는 제어기(15)가 지정한 번호로 통화한다. 이때, 측정단말기(11)의 전송대상번호는 초기에 특화번호로 지정 가능하며, 제어기(15)의 전송번호변경메시지를 통해서 변경 가능하다.
측정단말기(11)가 각 측정 모드에서 전송하는 측정 모드별 측정정보는 [표 2]와 같다.
측정모드 정 보
측정상태
대기상태 현재시간, 단말기 식별번호, 위도, 경도, 속도, 승객 승차 유무, No Service, 채널번호, Rx, PN, EC/I0
통화상태 현재시간, 단말기, 식별번호, 위도, 경도, 속도, 승객 승차 유무, No Service, Call Drop, 채널번호, Rx, Tx, Tx_Adj, FER, Active set의 PN 수, PN, EC/I0
대기상태 통화상태 현재시간, 단말기, 식별번호, 위도, 경도, 속도, 승객 승차 유무, No Service, 채널번호, Rx,(Tx, Tx_Adj, FER, Active set의 PN 수), PN, EC/I0
통화상태 현재시간, 단말기, 식별번호, 위도, 경도, 속도, 승객 승차 유무, No Service, Call Drop, 채널번호, Rx, Tx, Tx_Adj, FER, Active set의 PN 수, PN, EC/I0
통화상태 현재시간, 단말기, 식별번호, 위도, 경도, 속도, 승객 승차 유무, No Service, Call Drop, 채널번호, Rx, Tx, Tx_Adj, FER, Active set의 PN 수, PN, EC/I0
여기서, 측정단말기(11)는 측정모드의 측정시에, 노 서비스(No Service) 상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측정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다시 서비스 상태나 서비스지역 으로 이동한 후 측정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통화상태에서 통화중에 콜 드롭(Call Drop)이 발생하면 측정정보를 바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측정단말기(11)는 항상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나 메시지큐에 업데이트시킴으로써, 노 서비스(No Service), 콜 드롭(Call Drop), 통화완료후의 상태에서 최신의 정보를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단말기 자체의 통화품질정보와, 위치추적시스템(GPS) 수신기로부터 위치 및 속도정보와, 운전자로부터 운송정보를 수집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 특징을 갖는 측정단말기(11)내의 단말기(112)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중 측정단말기내의 단말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301"은 무선주파수(RF : Radio Frequency) 송수신기, "302"는 SMS 송수신기, "303"은 측정제어기, "304"는 위치/속도 정보 수집부, "305"는 측정정보 수집부, 그리고 "306"은 운송정보 수집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중 측정단말기(11)내의 단말기(112)는, 제어기(15)로부터의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에 따라 단말기(112)를 제어하기 위한 측정제어기(303)와, 측정제어기(303)의 제어하에, 측정정보(위치 및 속도정보, 통화품질정보, 운송정보 등)를 수집하기 위한 위치/속도 정보 수집부(304), 측정정보 수집부(305), 운송정보 수집부(306)와, 제어기(15)의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여 측정제어기(303)로 전달하며, 측 정제어기(303)의 제어하에 위치/속도 정보 수집부(304), 측정정보 수집부(305), 운송정보 수집부(306)에서 수집된 측정정보(위치 및 속도정보, 통화품질정보, 운송정보 등)를 메시지화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어기(15)로 전송하는 RF 송수신기(301), SMS 송수신기(302)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중 측정단말기(11)내의 단말기(112)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F 송수신기(301)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시키고 하향변환된 기저대역 신호를 필터링한 후 잡음을 제거하여 SMS 송수신기(302)로 전달하고, SMS 송수신기(302)로부터 전달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환시키고 상향변환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한 후 잡음을 제거하여 안테나로 송신한다.
SMS 송수신기(302)는 RF 송수신기(301)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측정제어기(303)로 전달하고, 측정제어기(303)로부터 전달되는 위치/속도정보, 측정정보, 및 운송정보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RF 송수신기(301)로 전달한다.
여기서, RF 송수신기(301)와 SMS 송수신기(302)는 제어기(15)로부터 단문서비스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여 측정제어기(303)로 전달하며, 측정제어기(303)의 제어하에 측정정보를 측정단말기(11)에서 수집된 측정정보를 메시지화하여 무선망을 통해 제어기(15)로 전송하는 메시지 작성 및 송수신하는 특징이 있다.
측정제어기(303)는 SMS 송수신기(302)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를 제어하고, 위치/속도정보 수집부(304)로부터 전달되는 위치/속도정보, 측정정보 수집부(305)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정보, 및 운송정보 수집부(306)로부터 전달되는 운송정보를 수집 제어하여 SMS 송수신기(302)로 전달한다.
여기서, 측정제어기(303)는 제어기(15)로부터 수신된 단문서비스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측정의 시작과 종료를 선택하거나, 단문서비스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측정모드를 선택하거나, 단문서비스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측정시간 파라메터를 변경하거나, 단문서비스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전송번호를 변경하거나, 제어기(15)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메시지에 따라서 운송정보를 표시하는 특징이 있다.
위치/속도 수집부(304)는 GPS 수신기로부터 위치/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측정정보 수집부(305)는 단말기 자체에서의 통화품질을 측정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운송정보 수집부(306)는 운전자로부터 운송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위치/속도 수집부(304), 측정정보 수집부(305) 및 운송정보 수집부(306)는 제어기(15)의 제어하에, 측정단말기로(11)로부터 측정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단말기(11)의 상태는 단말기의 대기 상태(Idle State)와 통화 상태(Traffic State)로 구분되며, 여기서 의미하는 통화상태의 통화는 지정된 수신단말기(17) 또는 제어기(15)가 지시한 번호로의 통화를 의미한다.
한편, 단문서비스 제어메시지에 따라, 무선망에 대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한 측정단말기(11)의 동작 특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측정단말기(11)는, 제어기(15)로부터 수신된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대기상태 측정 간격마다 측정을 수행한 후 측정 정보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고, 대기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지정된 수신단말기(17)와 통화가 발생하면 통화중에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통화가 종료되면 수집된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고,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대기상태 측정 간격 시간마다 대기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면서, 통화가 발생하면 통화중에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통화가 완료되면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고, 제어기(15)로부터 지시받은 번호로 통화를 연결하여 측정 간격 시간마다 측정을 수행하여 저장한 후, 지정된 통화시간이 종료되어 통화를 완료하면 저장된 정보로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간격마다 전송하며, 이를 통해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시험통화가 완료될 때까지 저장한 후 전송하지 않고 바로 시험통화중에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특징이 있다. 단, 이는 측정단말기(11)가 저장한 정보를 모두 전송한 후 랜덤(Random) 시간 간격동안 대기상태에 있다가 다시 시험 통화를 연결하여 측정을 수행해야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정보수집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무선망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제어기(15)로부터 전달된 [표 1]과 같은 제어메시지들을 수신한 후(401), 수신된 제어메시지들을 아스키코드를 이용하여 처리하고(402) 제어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한다(403).
판단결과, 측정시작 제어메시지이면 측정단말기(11)를 이용해 측정을 시작하고(404), 측정모드 변경 제어메시지이면 측정단말기(11)를 이용해 측정모드를 변경하고(405), 측정시간 변경 제어메시지이면 측정단말기(11)를 이용해 측정시간을 변경하고(406), 전송번호 변경 제어메시지이면 측정단말기(11)를 이용해 전송번호를 변경하고(407), 측정종료 제어메시지이면 측정단말기(11)를 이용해 측정을 종료하고(408), 디스플레이 메시지이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후(409) 전파된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401)으로 넘어간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시작 제어메시지 처리에 따라 측정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측정시작 제어메시지에 따라 측정 모드를 판단하고(501), [표 2]와 같은 각 측정 모드(Ⅰ~Ⅴ)별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한다(502,503,504,505,506).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Ⅰ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말기(11)는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전송번호를 설정하고(601), 측정 및 전송 시간을 설정하여(602) 설정한 측정 및 전송 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603).
확인결과, 측정 및 전송 시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603)으로 넘어간다.
확인결과, 측정 및 전송 시간이 완료되었으면 측정모드Ⅰ에서 GPS 수신기로부터의 위치 및 속도 정보, 단말기 대기상태에 대한 측정정보, 및 운전자로부터의 차량 운송정보 등의 측정정보를 측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수집한다(604).
이어서, 측정정보를 SMS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한 후(605) 측정종료 제어메시지에 대한 종료명령이 있는지를 확인한다(606).
확인결과, 측정종료 제어메시지에 대한 종료명령이 없으면, 측정 및 전송 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603)으로 넘어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확인결과, 측정종료 제어메시지에 대한 종료명령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한 후 측정시작 제어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607).
이렇게, 측정모드Ⅰ은 측정간격 시간과 전송간격 시간이 동일하다.
즉, 측정단말기(11)는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대기상태 측정 간격 시간마다 측정을 수행한 후 측정정보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Ⅱ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말기(11)는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전송 번호를 설정하고(701) 대기상태에서 통화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다가 통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702).
확인결과, 통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통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702)으로 넘어가고, 통화가 발생하면 측정모드Ⅱ에서 GPS 수신기로부터의 위치 및 속도 정보, 단말기 통화상태 측정정보, 및 운전자로부터의 차량 운송정보 등의 측정정보를 수집하고(703) 수집한 측정정보를 저장한 후(704) 통화를 종료할지 판단한다(705).
판단결과, 종료하지 않으면 통화를 종료할지 판단하는 과정(705)으로 넘어가고, 종료하면 저장된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SMS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한다(706).
이어서, 측정종료 제어메시지에 대한 종료 명령이 있는지를 확인하여(710) 측정종료 제어메시지에 대한 종료 명령이 없으면 통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702)으로 넘어가고, 종료 명령이 있으면 대기상태에서 측정 시작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708).
즉, 측정단말기(11)는 대기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지정된 수신단말기(17)와의 사이에 통화가 발생하면 통화 중에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저장한 측정정보를 측정정보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Ⅲ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말기(11)는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전송번호를 설정하고(801) 측정 및 전송 시간을 설정한 후(802) 통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803).
확인결과, 통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설정한 측정 및 전송시간이 완료되었는지 를 확인한다(804).
확인결과, 완료되지 않았으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804)으로 넘어가고 완료되었으면 측정모드Ⅲ에서 GPS 수신기로부터의 위치 및 속도 정보, 단말기 대기상태 측정정보, 및 운전자로부터의 차량 운송정보 등의 측정정보를 수집하고(805) 측정정보를 SMS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한다(806).
이어서, 측정정보 메시지를 전송한 후 측정 종료 제어 메시지에 대한 종료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한다(807).
판단결과, 종료명령이 없으면 계속하여 측정간격 시간마다 상기의 과정(803)을 반복 수행하고, 종료 명령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하고 측정시작 제어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813).
한편, 판단결과, 통화가 발생하면 측정모드Ⅲ에서 GPS 수신기로부터의 위치 및 속도 정보, 단말기 통화상태 측정정보, 및 운전자로부터의 차량 운송정보 등의 측정정보를 수집하고(808) 수집한 측정정보를 저장한 후(809) 업무 통화를 종료할지를 판단한다(810).
판단결과, 종료하지 않으면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확인하는 과정(803)을 반복 수행하고, 종료하면 저장된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SMS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한 후(811) 측정 종료 제어 메시지에 대한 종료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한다(812).
판단결과, 종료명령이 없으면 통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803)으로 넘어가고, 종료명령이 있으면 측정을 종료하고 측정시작 제어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813).
즉, 측정단말기(11)는 측정 모드Ⅰ과 측정 모드Ⅱ를 결합한 형태로서 통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대기상태 측정 간격 시간마다 대기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측정정보 메시지를 작성한 후 측정메시지로 전송하고 통화가 발생하면 통화중에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통화가 완료되면 측정정보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Ⅳ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말기(11)는 전송할 대상 전송 번호를 설정하고(901), 측정, 전송간격 및 통화 시간을 설정한 후(902) 시험 통화를 시작한다(903).
이어서, 시험 통화에 대한 측정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904).
확인결과, 측정시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904)으로 넘어가고 완료되었으면 측정모드Ⅳ에서 GPS 수신기로부터의 위치 및 속도 정보, 단말기 통화상태 측정정보 및 운전자로부터의 차량 운송정보 등의 측정정보를 수집하고(905) 수집한 측정정보를 저장한 후(906)에 시험통화에 대한 종료여부를 확인한다(907).
확인결과, 시험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시험 통화에 대한 측정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904)으로 넘어가고, 시험 통화가 종료되었으면 전송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908).
확인결과, 데이터가 존재하면 측정정보를 SMS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한 후(909) 전송한 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910).
확인결과, 전송시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전송한 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910)으로 넘어가고, 전송시간이 완료되었으면 전송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908)으로 넘어간다.
확인결과,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측정종료 제어메시지에 대한 종료 명령이 있는지를 확인한다(911).
확인결과, 종료 명령이 없으면 랜덤(Random) 시간동안 대기한 후(912) 시험 통화를 시작하는 과정(903)으로 넘어가고, 종료 명령이 있으면 대기상태에서 측정시작 제어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913).
즉, 측정단말기(11)는 제어기(15)가 지시한 번호로 통화를 연결하여 측정 간격 시간마다 측정을 수행하여 저장한 후, 지정된 통화 시간이 종료되어 통화를 완료하면 저장된 정보로 측정정보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간격 마다 전송한다. 그리고 저장한 정보를 모두 전송한 후 임의의(Random) 시간 간격 동안 대기상태에 있다가 다시 통화를 연결하여 측정을 수행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중 측정단말기가 측정 모드Ⅴ에서 측정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말기(11)는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전송 번호를 설정하고(1001) 측정, 전송간격 및 통화시간을 설정한 후(1002) 시험통화를 시작한다(1003).
이어서, 시험 통화에 대한 측정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1004).
확인결과, 측정시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1004)으로 넘어가고, 완료되었으면 측정모드Ⅴ에서 GPS 수신기로부터의 위치 및 속도 정보, 단말기 통화상태 측정정보 및 운전자로부터의 차량 운송정보 등의 측정정보를 수집하고(1005) 수집한 측정정보를 SMS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한 후(1006) 시험통화에 대한 종료여부를 확인한다(1007).
확인결과, 시험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시험 통화에 대한 측정시간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1004)으로 넘어가고, 시험 통화가 종료되었으면 통화종료 제어메시지에 대한 종료 명령이 있는지를 확인한다(1008).
확인결과, 없으면 랜덤(Random) 시간 동안 대기한 후(1009) 시험통화를 다시 시작하는 과정(1003)으로 넘어가고, 있으면 대기상태에서 측정시작 제어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1010).
즉, 측정단말기(11)는 상기 측정 모드Ⅴ에서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시험통화가 완료될 때까지 저장한 후 전송하지 않고 바로 통화 중에 측정정보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측정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통화품질 정보 및 운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함으로써 무선통신 사업자에게 무선망 관리를 최적화하여 관리 및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동전화 이용자에게 최적의 통화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집한 운송정보는 운송회사에게 차량의 위치, 속도, 승객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운송관리를 최적화하여 운송 및 관리비용을 줄이고 위치 및 속도를 이용하여 교통 및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부가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무선망을 통해 장애감시 및 품질관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어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망에 대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수단;
    상기 정보수집수단을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메시지를 발생하며, 상기 측정정보로부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는 제1 제어수단; 및
    상기 제1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제1 제어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망의 장애를 감시하고 최적의 통화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운용관리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메시지는,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무선망의 통화품질, 위치,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수단은,
    상기 제1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 상기 정보수집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수단;
    상기 제2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측정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측정정보 수집수단; 및
    상기 제1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2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측정정보 수집수단에서 수집된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화하여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제1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작성 및 송수신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상기 정보수집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 생성수단;
    상기 정보수집수단으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측정정보로부터 상기 무선망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추출수단; 및
    추출된 상기 무선망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상기 운용관리수단으로 전달하는 정보분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메시지는,
    상기 정보수집수단의 측정 및 전송을 시작시키기 위한 측정 시작 제어메시지, 상기 정보수집수단의 측정 및 전송을 중단시키기 위한 측정 종료 제어메시지, 상기 정보수집수단의 측정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측정모드 변경 제어메시지, 상기 정보수집수단의 측정시간을 변경시키기 위한 측정시간 변경 제어메시지, 그리고 상기 정보수집수단의 전송번호를 변경시키기 위한 전송번호 변경 제어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정보수집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측정정보를 처리하여 측정정보 메시지와 긍정(Ack) 메시지를 구별하고, 상기 정보수집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긍정(Ack) 메시지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메시지의 재전송을 판단하며, 상기 정보수집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측정정보를 처리하여 위치에 따른 상기 무선망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배수단은,
    상기 무선망 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타 장치 및 단문서비스 서버로 분배하고, 상기 운송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단말기나 터미널로 분배하며, 상기 운송정보를 가공하여 인터넷이나 상기 타 장치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배수단은,
    상기 운송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수신단말기에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수집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측정정보의 수신주소나 수신번호를 소정의 수신단말 기 식별번호(MIN)로 치환하며, 상기 운송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인터넷에 제공하여 일반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제어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측정의 시작과 종료를 선택하거나,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측정모드를 선택하거나,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측정시간 파라메타를 변경하거나,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전송번호를 변경하거나, 상기 제1 제어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메시지에 따라서 운송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수단은,
    상기 제1 제어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정보수집수단이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대기상태 측정 간격마다 측정을 수행한 후 측정 정보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1 기능과,
    상기 정보수집수단이 대기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상기 정보수집수단과 지정 된 상기 수신단말기간의 통화가 발생하면 통화중에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통화가 종료되면 수집된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2 기능과,
    상기 정보수집수단이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대기상태 측정 간격 시간마다 대기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면서, 통화가 발생하면 통화중에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통화가 완료되면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3 기능과,
    상기 정보수집수단이 제1 제어수단으로부터 지시받은 번호로 통화를 연결하여 측정 간격 시간마다 측정을 수행하여 저장한 후, 지정된 통화시간이 종료되어 통화를 완료하면 저장된 정보로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간격마다 전송하는 제4 기능과,
    상기 정보수집수단이 상기 제 4 과정에서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시험통화가 완료될 때까지 저장한 후 전송하지 않고 바로 시험통화중에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5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제4 기능이 상기 정보수집수단이 저장한 정보를 모두 전송한 후 랜덤(Random) 시간 간격동안 대기상태에 있다가 다시 시험 통화를 연결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수단은,
    상기 측정모드의 측정시에, 노 서비스(No Service) 상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측정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다시 서비스상태나 서비스지역으로 이동한 후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고, 통화상태에서 통화중에 콜 드롭(Call Drop)이 발생하면 상기 측정정보를 바로 전송하되, 이를 위해 항상 상기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나 메시지큐에 업데이트시킴으로써 노 서비스(No Service), 콜 드롭(Call Drop), 통화완료후의 상태에서 최신의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수단은,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단말기 자체의 통화품질정보와, 위치추적시스템(GPS) 수신기로부터 위치 및 속도정보와, 운전자로부터 운송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관리수단은,
    상기 제1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제1 제어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관리정 보와 운송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수신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수집수단과의 통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15.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을 관리하는 제어기가 다수의 측정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가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른 명령을 판독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메타값을 설정하고, 상기 파라메타값에 따라 상기 무선망에 대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메시지화한 후에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어기가 메지화된 상기 측정정보로부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추출된 상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망의 장애를 감시하고 최적의 통화품질을 관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메시지는,
    단문서비스(SMS) 제어메시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무선망의 통화품질, 위치,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메시지는,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의 측정 및 전송을 시작시키기 위한 측정 시작 제어메시지,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의 측정 및 전송을 중단시키기 위한 측정 종료 제어메시지,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의 측정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측정모드 변경 제어메시지,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의 측정시간을 변경시키기 위한 측정시간 변경 제어메시지, 그리고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의 전송번호를 변경시키기 위한 전송번호 변경 제어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측정의 시작과 종료를 선택하거나,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측정모드를 선택하거나,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측정시간 파라메타를 변경하거나,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전송번호를 변경하거나,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메시지에 따라서 운송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대기상태 측정 간격마다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5 단계;
    대기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와 지정된 수신단말기간의 통화가 발생하면 통화중에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통화가 종료되면 수집된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가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대기상태 측정 간격 시간마다 대기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면서, 통화가 발생하면 통화중에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통화가 완료되면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7 단계;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지시받은 번호로 통화를 연결하여 측정 간격 시간마다 측정을 수행하여 저장한 후, 지정된 통화시간이 종료되어 통화를 완료하면 저장된 정보로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간격마다 전송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가 상기 제 8 단계에서 통화상태 측정정보를 시험통화가 완료될 때까지 저장한 후 전송하지 않고 바로 시험통화중에 상기 측정정보를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가 저장한 정보를 모두 전송한 후 랜덤(Random) 시간 간격동안 대기상태에 있다가 다시 시험 통화를 연결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망 관리 방법.
  22.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에,
    무선망을 관리하는 제어기가 다수의 측정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 여, 제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기능;
    상기 다수의 측정단말기가 상기 제어메시지에 따른 명령을 판독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메타값을 설정하고, 상기 파라메타값에 따라 상기 무선망에 대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메지화한 후에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어기가 메지화된 상기 측정정보로부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추출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어기가 추출된 상기 관리정보와 운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망의 장애를 감시하고 최적의 통화품질을 관리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68059A 1999-12-31 1999-12-31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54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059A KR100549129B1 (ko) 1999-12-31 1999-12-31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059A KR100549129B1 (ko) 1999-12-31 1999-12-31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351A KR20010066351A (ko) 2001-07-11
KR100549129B1 true KR100549129B1 (ko) 2006-02-03

Family

ID=1963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059A KR100549129B1 (ko) 1999-12-31 1999-12-31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19B1 (ko) * 2001-08-17 200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망 통합 감시 및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2438B1 (ko) * 2001-12-31 2008-0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무선망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534564B1 (ko) * 2002-12-13 2005-12-08 (주) 엘지텔레콤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망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1474B1 (ko) * 2003-08-18 2010-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품질 맵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0540840B1 (ko) * 2003-08-25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일럿 세기 보고 방법
KR100599209B1 (ko) * 2004-06-03 2006-07-13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파품질 감시시스템
KR100562233B1 (ko) * 2004-06-08 2006-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시스템의 dm에서 복수개의 rf 파라미터를감시하고 통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76685B1 (ko) * 2005-03-21 2007-02-01 주식회사 네오티스 고객센터의 회선 및 콜 정보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0749744B1 (ko) * 2005-05-27 200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sms 서비스 테스트 방법
KR100770613B1 (ko) * 2005-09-30 2007-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리포팅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56196B1 (ko) 2007-01-03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887892B1 (ko) * 2007-05-25 2009-03-13 (주)제너시스템즈 단말 통화 품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관리 장치 및방법.
CN115175112B (zh) * 2021-04-01 2023-11-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网络控制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9167A (ja) * 1992-01-20 1993-08-06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通信情報提供装置
KR19990035271A (ko) * 1997-10-31 1999-05-15 조영선 위치 전송 및 관리 기능이 부여된 이동전화장치
KR20000002622A (ko) * 1998-06-22 2000-01-15 서정욱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그 동작 방법
KR20000008445A (ko) * 1998-07-14 2000-02-07 정용문 무인 원격 무선통신 전파환경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9167A (ja) * 1992-01-20 1993-08-06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通信情報提供装置
KR19990035271A (ko) * 1997-10-31 1999-05-15 조영선 위치 전송 및 관리 기능이 부여된 이동전화장치
KR20000002622A (ko) * 1998-06-22 2000-01-15 서정욱 특정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이동단말 장치 및그 동작 방법
KR20000008445A (ko) * 1998-07-14 2000-02-07 정용문 무인 원격 무선통신 전파환경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351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129B1 (ko)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EP0671111B1 (en) Radio system and a subscriber terminal for a radio system
CN1421106B (zh) 使移动站能够接收分组交换寻呼的方法
US65673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all test in a CDMA system
US71137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verage holes in a wireless network
CN1832595B (zh) 混合移动通信终端和其中获取用于数据业务的系统的方法
EP1363425A3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possibility to notifying an incommunicable state, device and method therefore
CA2214346A1 (en) Automatic satellite/terrestrial mobile terminal roaming system and method
JP2001522213A (ja) ネットワーク要素の監視
JPH0621701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性能監視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108531A (en) Terminal equipment providing payment data in a cellular radio system
JP2001086555A5 (ko)
US20060166687A1 (en) Direct cellular communication
EP1018846B1 (en) Obtaining data for calls made by a specific cellular mobile station
CN101330656A (zh) 一种根据终端的能力进行跟踪的方法
JPH08294170A (ja) 移動通信方式
JPH0926115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不良地域推定方法と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不良地域解消方法、並びに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483019B1 (ko) 스마트 안테나 기지국의 무선 성능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242211A1 (en) Mobile subscriber station with low frequency call alerting capability
CN112637815A (zh) 一种支持4g/5g双模在线的无人机数图传输通信设备
JP200208456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003032174A (ja) Cdma無線通信システムのサービスエリア監視方法および監視システム
KR100348884B1 (ko) 이동 통신망의 순방향 무선 신호 품질 측정 방법
JP4367150B2 (ja) 携帯電話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情報取得及び状態制御方法
US20020126665A1 (e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