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196B1 -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196B1
KR100856196B1 KR1020070000537A KR20070000537A KR100856196B1 KR 100856196 B1 KR100856196 B1 KR 100856196B1 KR 1020070000537 A KR1020070000537 A KR 1020070000537A KR 20070000537 A KR20070000537 A KR 20070000537A KR 100856196 B1 KR100856196 B1 KR 10085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signal
information
t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927A (ko
Inventor
이재훈
황성택
김병직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196B1/ko
Priority to US11/983,483 priority patent/US7826430B2/en
Priority to EP08100013.5A priority patent/EP1942598A3/en
Publication of KR2008006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2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by delay compensation, e.g. by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 or variations thereof, by ra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P(Access Point)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AP로부터 데이터 전송 시 메인 도너에서 리모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을 생성하여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 이외 휴지 시간에 리모트로 전송하며, 전송된 메인 도너에서 전송된 제어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동기 정보 및 리모트의 제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어 정보에 따라 리모트를 제어한다. 또한, 리모트에서는 리모트의 상태 정보를 상향 신호와 함께 메인 도너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광송수신기를 사용하지 않고, TDD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리모트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TDD, 광중계기, 도너, 리모트, 제어 프레임, 상태 프레임.

Description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mote in Optical Repeater Using TDD}
도 1은 종래의 TDD 광중계기의 내부 구성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TDD 광중계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향 및 하향 신호에 대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광중계기의 내부 구성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광중계기에서의 상향 및 하향 신호에 대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도너에서 리모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도너로 리모트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 프레임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광중계기에서 하향 신호에 대한 리모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광중계기에서 상향 신호에 대한 리모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보완해주는 한편,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ITU-R에서 표준으로 제정하고 있는 제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V-DO, WCDMA(WideBand CDMA)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IMT-2000은 개인의 이동성 및 서비스 이동성을 포함한 전세계적인 직접 로밍, 유선 전화와 동일한 수준의 통화 품질,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및 유무선망의 결합에 의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구현 등을 목표로 등장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기존의 음성 및 WAP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AOD, VOD 등)를 보다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구축 비용이 높기 때문에 무선 인터넷의 이용 요금이 높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에 제약이 있는 등 초고속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은 전파 간섭 및 좁은 사용 영역(Converage) 등의 문제로 공중 서비스의 제공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휴대성과 이동성을 보장하며 저렴한 요금으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초고속 휴대 인터넷 서비스인 와이브로(WiBro : Wireless Broadband Internet)와 4G 무선 이동 통신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와이브로(WiBro : Wireless Broadband Internet)와4G 무선 이동 통신은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와 달리 듀플레스(Duplex) 방식으로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고, 변조 방식으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는 휴대 인터넷 기술이 사용된다.
여기서, TDD 방식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적으로 상향(Uplink), 하향(Downlink)을 교대로 배정하는 양방향 전송 방식이다. TDD 방식은 상향과 하향에 각기 다른 2개의 주파수를 배정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보다 전송 효율이 높고, 타임슬롯의 동적 할당으로 비대칭(Asymmetric)이나 버스티(Bursty)한 어플리케이션 전송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OFDMA/TDMA 방식은 전체 대역폭에 퍼져 있는 모든 부반송파를 일정 시간 동안 한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다음 일정 시간 동안 또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TDMA와 유사한 다중 접속 방식 이며, 대역폭 당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멀티패스(Multipath)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 통신망의 커버리지(Coverage)를 확장하기 위해 주파수 재사용 개념 등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 지역을 다수의 셀(Cell)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셀의 중심 부근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무선 기지국(BS : Base Station)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셀의 반경은 해당 지역의 신호의 세기나 데이터의 트래픽(Traffic)량에 따라 정해진다. 즉, 트래픽량이 많은 도심 지역에서는 셀의 반경을 작게 하고, 트래픽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도심 외 지역에서는 셀의 반경을 크게 하여 각각의 셀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이 해당 이동 통신 서비스를 담당하는 무선 기지국의 처리 용량을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주파수 재사용 개념, 트래픽량 등에 따라 셀의 반경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보다 나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심 지역에서는 지하, 건물 내부, 터널 등 일반적으로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전파 음영 지역이 존재하고 있다. 전파 음영 지역에서의 전파 음영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새로운 무선 기지국을 시설하는 것은 시설 비용,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 등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셀 설계에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전파 음영 지역에는 광중계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광중계 시스템은 모기지국에 할당된 통화 채널을 광중계기를 이용한 광 전송 방식을 통해 전파 음영 지 역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전파 음영의 문제점을 해소한다.
특히, 제 2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보다 제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와이브로 시스템에서는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어 전파 경로 손실이 크고, 회절 효과가 작으며, 건물 투과 손실이 크기 때문에 셀의 반경이 작아 광중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중계기에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무선 신호를 중계하기 위해서는 하향 신호와 상향 신호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 FDD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하향 신호와 상향 신호를 구분하게 되나, TDD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동일 주파수를 하향 및 상향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하며 시간 구간을 나누어 하향 신호와 상향 신호를 구분하기 때문에,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하향 신호와 상향 신호를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TDD 방식을 이용하는 광중계기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하향 신호와 상향 신호를 구분하고, 각각의 신호에 대한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하향 신호의 시작점과 상향 신호의 시작점을 정확히 판별하고 각각의 신호에 따라 스위치의 개폐를 조절하여 신호의 이동 경로를 바꿀 수 있는 제어 신호가 필요하며, 광중계기는 전술한 제어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TDD 방식의 광중계기는 전송 신호 프레임을 분석하여 하향 신호 구간과 상향 신호 구간 사이에서 스위칭 동작이 일어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한편, 광중계기는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과정에서 시간 지연(Time Delay)이 발생할 수 있 다. 이러한 광통신 케이블의 시간 지연을 스위치 제어 신호에 보정하지 않으면 부정확한 스위치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하향 신호와 상향 신호를 정확하게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예컨대 종래 기술 중 하나인 공개특허번호 제2006-0010963호(명칭 : TDD 방식과 OFDM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망의 광중계기에서 전송 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를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TDD 광중계기의 내부 구성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TDD 광중계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D 방식의 상, 하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메인 도너 모듈(200)에서는 정해진 시간에 하향 신호를 리모트 모듈(250)에 전송하고 하향 신호가 없는 정해진 시간에 리모트 모듈(250)은 메인 도너 모듈(200)로 상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내에서 하향 광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는 상향 광신호의 전송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TDD 방식의 상, 하향 신호가 시간에 따라 겹치지 않게 전송이 되기 때문에 상, 하향 광신호의 전송도 이와 동일하게 일어나게 된다.
정해진 시간에 AP(110)에서 하향 신호가 생성이 되면 이는 LNA(205)를 통해 증폭되고 전광 변환을 통해 광신호로 바뀌게 된다. 이 광신호는 WDM 소자(215)를 거쳐 광섬유를 통해 리모트 모듈(250)로 전송된다. 이때 상, 하향의 광신호의 구별 을 위해 하향 광신호와 상향 광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을 이용한다. 리모트 모듈(250)에 도착한 하향 광신호는 WDM 소자(255)와 광전 변환을 통해 전기적 하향 신호로 변환되고, 스위칭 타이밍 신호 생성 회로(290)에서 스위칭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 후 스위치(275)를 통해 전해진 시간에 안테나로 연결되어 전파되게 된다.
정해진 시간에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향 신호는 스위치(275)를 통해 정해진 시간에 LNA(280)에 인가되게 되고 전광 변환을 통해 광신호로 변환되며, WDM 소자(255, 215)를 통해 메인 도너 모듈(200)에 전송되게 된다. 메인 도너 모듈(200)에서는 상향 광신호가 광전 변환을 통해 전기적 상향 신호로 변환되며, 변환된 상향 신호는 HPA(225)를 통해 증폭된 후, AP(110)에 전달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리모트 모듈(250)의 on/off나 리모트 모듈(250)의 증폭기인 HPA(270), LNA(280) 등의 제어를 위한 채널이 할당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리모트 모듈(250)의 상태를 메인 도너 모듈(200)에게 전송할 수 있는 채널이 없어 리모트 모듈(250)의 제어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본 발명은, TDD 방식을 사용하는 광중계기의 메인 도너에서 하향 신호와 함께 리모트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리모트에서 이 정보를 추출하여 리모트를 제어하게 되며, 리모트에서는 리모트의 상태 정보를 상향 신호와 함께 메인 도너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광송수신기를 사용하지 않고, TDD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리모트를 용이하게 제어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DD방식을 이용하는 광중계기에서 AP(Access Point)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데이터 전송 시 메인 도너에서 리모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을 생성하여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 이외 휴지 시간에 리모트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메인 도너에서 전송된 제어 프레임을 분석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어 프레임에서 상,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동기 정보 및 리모트의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제3과정 및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리모트를 제어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모트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시 리모트의 상태를 메인 도너에 알리기 위한 상태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 이외 휴지 시간에 메인 도너로 전송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광중계기의 내부 구성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광중계기에서의 상향 및 하향 신호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광중계기는 메인 도너(300) 및 하나 이상의 리모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TDD 광중계기의 메인 도너(300)는 AP(110)와 전송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AP(110)로부터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받으면 전광 변환을 거쳐 하향 링크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고 광 선로를 통해 리모트(350)에 광신호를 전송하며, 리모트(350)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광전 변환을 거쳐 상향 링크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 선로를 통해 AP(110)에 전송한다.
TDD 광중계기의 리모트(350)는 메인 도너(300)에서 광신호를 전송받으면 광전 변환을 거쳐 하향 링크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상향 링크 신호를 전광 변환을 거쳐 광신호로 변환하고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메인 도너(300)에 전송한다.
메인 도너(300)는 내부 구성요소로서 제어 프레임부(302), LNA(Low Noise Amplifier)(304), 제1신호 결합기(305), 전광 변환 모듈(E/O)(310),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315), 광전 변환 모듈(O/E)(320), 제1스위치(322) 및 HPA(High Power Amplifier)(3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350)는 내부 구성요소로서 WDM(355), 광전 변환 모듈(360), 신호 분리기(365), HPA(370), 제2스위치(375), LNA(377), 제2신호 결합기(380), 전광 변환 모듈(385) 및 제어 신호 생성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DD 광중계기의 메인 도너(300)는 광 선로를 통해 다수의 리모트(350)와 연결되어 광중계기의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다.
전술한 TDD 광중계기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하향 링크 방향 및 상향 링크 방향의 신호 전송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메인 도너(300)는 AP(110)로부터 전송받은 하향 링크 신호를 LNA(304)로 전송하며, LNA(304)는 하향 링크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제1신호 결합기(305)로 전송한다.
제어 프레임부(302)는 리모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로 구성되는 제어 프레임을 생성하여 도 4와 같이, AP(110)로부터 하향 링크 신호가 전송된 후 상향 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즉, 하향 링크 신호의 휴지 시간에 리모트(3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 프레임은 리모트(350)의 HPA(370)와 LNA(377)를 제어하여 리모트에서 전송되는 하향 링크 신호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향 링크 신호의 크기 또한 제어가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프레임부(302)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가 전송된 후 상향 링크 신호의 휴지 시간에 전송되는 리모트(350)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 프레임에 따라 제어 프레임을 생성한다.
제1신호 결합기(305)는 LNA(304)에서 증폭된 하향 링크 신호와 제어 프레임부(302)에서 생성된 제어 프레임을 합성하여 전광 변환 모듈(310)로 전송한다. 전광 변환 모듈(310)은 전광 변환을 통해 하향 링크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고 WDM(315)에 전송한다. WDM(315)은 전광 변환 모듈(310)로부터 전송받은 다수의 광신호를 광 선로를 통해 리모트(350)에 전송한다.
WDM(315, 355)은 광섬유 채널을 빛의 파장에 의해 다수의 채널로 분할하여 복수의 통신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광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여러 광파장의 신호를 하나의 광섬유에 실어 전송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기로서 동작하고, 광신호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하나의 광섬유에 실린 여러 광파장의 신호를 각각 분기하는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전광 변환 모듈(310, 385)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광전 변환 모듈(320, 360)은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리모트(350)의 WDM(355)은 전송받은 다수의 광신호를 분기하여 광전 변환 모듈(360)로 전송하고, 광전 변환 모듈(360)은 광전 변환을 통해 광신호를 하향 링크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 분리기(365)에 전송한다.
한편, 신호 분리기(365)는 광전 변환 모듈(360)에서 전송되는 하향 링크 신호와 제어 프레임을 분리하며, 이후 분리된 제어 프레임을 제어 신호 생성부(390)로 전송하고, 분리된 하향 링크 신호를 HPA(370)로 전송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390)는 신호 분리기(365)에서 하향 링크 신호와 제어 프레임부(302)로부터 전송된 제어 프레임이 분리되면, 제어 프레임을 분석하여 그 정보에 따라 제2스위치(375), 리모트(350)의 전원(on/off), HPA(370), LNA(377) 등을 제어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가 전송된 후 하향 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즉, 상향 링크 신호의 휴지 시간에 리모트(350)의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등으로 구성되는 상태 프레임을 생성하여 메인 도너(300)로 전송한다.
HPA(370)는 제어 신호 생성부(390)에서 분석된 HPA(370) 제어 정보에 의해, 하향 링크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여 제2스위치(375)로 전달하며, 제2스위치(375)는 제어 신호 생성부(390)에서 분석된 시간 제어 정보(
Figure 112007000634093-pat00001
)에 의해, 스위칭 동작(on, off)하며,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 방사하게 된다.
리모트(350)는 제어 신호 생성부(390)에서 분석된 리모트의 전원 정보(on)에 의해, 동작하여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를 전송받으면, 제2스위치(375)는 제어 신호 생성부(390)에서 분석된 시간 제어 정보(
Figure 112007000634093-pat00002
)에 의해, 스위칭 동작(on, off)하여 상향 링크 신호에 대한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LNA(377)는 제어 신호 생성부(390)에서 분석된 LNA(377) 제어 정보에 의해,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제2신호 결합기(380)에 전송한다.
제2신호 결합기(380)는 LNA(377)로부터 전송된 상향 링크 신호와 제어 신호 생성부(390)로부터 생성된 상태 프레임을 결합하여 전광 변환 모듈(385)에 전송한다.
전광 변환 모듈(385)은 전광 변환을 통해 상향 링크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고 WDM(355)에 전송하며, WDM(355)은 전광 변환 모듈(385)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광 선로를 통해 메인 도너(300)에 전송한다.
메인 도너(300)의 WDM(315)은 전송받은 다수의 광신호를 분기하여 광전 변환 모듈(320)로 전송하고, 광전 변환 모듈(320)은 광전 변환을 통해 광신호를 상향 링크 신호로 변환하고 제1스위치(322)로 전송한다.
제1스위치(322)는 상향 링크 신호에 대한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상향 링크 신호를 HPA(325)에 전송하거나 상향 링크 신호의 휴지 시간에 전송된 상태 프레임을 제어 프레임부(302)로 전송한다.
HPA(325)는 상향 링크 신호를 AP(110)로 전송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고 전송 선로를 통해 AP(110)에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도너에서 리모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도너로 리모트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 프레임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3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은 상, 하향 링크 신호를 동기화하는 동기(Sync) 정보, 스위치의 타이밍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제어 정보(
Figure 112007000634093-pat00003
), 리모트(350)의 전원 정보(on/off), HPA(370) 제어 정보, LNA(377) 제어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이외에 제어를 위한 기타 정보의 포함도 가능하며, TDD 방식에 필요한 모든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35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프레임은 상, 하향 링크 신호를 동기화하는 동기(Sync) 정보, 리모트(350)의 전원 상태 정보(on/off), HPA(370) 상태 정보, LNA(377) 상태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이외에 상태를 알리기 위한 기타 정보의 포함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광중계기에서 하향 신호에 대한 리모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D 광중계기의 메인 도너(300)에서 AP(110)로부 터 하향 링크 신호를 전송받으면, 제어 프레임부(302)는 리모트(3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을 생성(S700)하여 AP(110)로부터 하향 링크 신호가 전송된 후 상향 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즉, 하향 링크 신호의 휴지 시간에 리모트(350)로 전송한다(S710).
리모트(350)의 제어 신호 생성부(390)는 메인 도너(300)로부터 전송된 제어 프레임을 분석(S720)하여 메인 도너(300)와 리모트(350) 간의 상,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동기 정보를 검출한다(S730). 차례로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시간 지연 정보(
Figure 112007000634093-pat00004
t)를 검출한다(S740).
이후 제어 프레임에서 전원 정보를 검출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390)는 전원 정보에 따라 리모트(350)의 전원(on/off)을 제어하며(S750), HPA(370) 제어 정보를 검출한 경우, HPA(370)에서 HPA(370) 제어 정보에 따라 하향 링크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도록 제어한다(S760).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390)는 스위치의 타이밍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제어 정보(
Figure 112007000634093-pat00005
)를 검출한 경우, 시간 제어 정보(
Figure 112007000634093-pat00006
)에 따라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S770)하여 제2스위치(375)에서 하향 링크 경로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S780).
여기서, 제2스위치(375)는 이러한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on)하여 하향 링크 경로를 설정하며, 하향 링크 신호로 전송된 데이터 중 제어 프레임은 제거 된 후 하향 링크 신호만이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다(S790).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광중계기에서 상향 신호에 대한 리모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2스위치(375)는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on)하여 상향 링크 경로를 설정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를 전송(S800)받으면 제어 신호 생성부(390)는 리모트의 제어 정보 중 LNA(377) 제어 정보를 검출하며(S810), 검출한 LNA(377) 제어 정보에 따라 LNA(377)에서 상향 링크 신호의 성분을 증폭하도록 제어한다(S820).
한편, 제어 신호 생성부(390)는 상, 하향 링크 신호를 동기화하는 동기(Sync) 정보, 리모트(350)의 전원 상태 정보(on/off), HPA(370) 상태 정보, LNA(377) 상태 정보 등의 리모트(350)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향 링크 신호의 휴지 시간에 메인 도너(300)로 전송한다(S830).
이후 메인 도너(300)의 제어 프레임부(302)는 제1스위치(322)에서 상향 링크 경로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며, 제어 신호 생성부(390)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의 휴지 시간에 전송되는 리모트(350)의 상태 프레임을 전송받아 그에 따라 제어 프레임을 생성(S840)하여 제어 신호 생성부(390)에서 리모트(350)의 제어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85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TDD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 시간 영역에 리모트를 제어 할 수 있는 제어 정보와 리모트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리모트 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AP(Access Point)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며, 메인 도너와 리모트를 포함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상기 리모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메인 도너에서 상기 리모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을 생성하여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 이외 휴지 시간에 리모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리모트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리모트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동기 정보 및 리모트의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리모트가 제어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수신시 상기 리모트의 상태를 상기 메인 도너에 알리기 위한 상태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 이외 휴지 시간에 메인 도너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프레임은 상, 하향 링크 신호를 동기화하는 동기 정보, 리모트의 전원 상태 정보, HPA(High Power Amplifier) 상태 정보, LNA(Low Noise Amplifier)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가 제어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정보 중 전원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전원 정보에 따라 리모트의 전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가 제어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정보 중 HPA 제어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HPA(High Power Amplifier)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HPA에서 하향 링크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가 제어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정보 중 스위치의 타이밍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제어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시간 제어 정보에 따라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에서 상향 및 하향 링크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가 제어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수신시 상기 메인 도너에서 전송된 상기 제어 정보 중 LNA(Low Noise Amplifier) 제어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LNA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LNA에서 상향 링크 신호 성분을 증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레임은 상, 하향 링크 신호를 동기화하는 동기 정보, 스위치의 타이밍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제어 정보, 리모트의 전원 정보, HPA(High Power Amplifier) 제어 정보, LNA(Low Noise Amplifier)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9. AP(Access Point)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를 중계하며,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상기 리모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데이터 수신 시 리모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을 제어 프레임부에서 생성하여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 이외 휴지 시간에 상기 리모트로 전송하는 메인 도너; 및
    상기 메인 도너로부터 전송된 제어 프레임을 제어 신호 생성부에서 분석하여 그 정보에 따라 제어되며, 리모트의 상태를 메인 도너에 알리기 위한 상태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간 이외 휴지 시간에 상기 메인 도너로 전송하는 리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너는 상기 하향 링크 신호와 상기 제어 정보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리모트로 전송하며, 상기 리모트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상향 링크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AP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너는 LNA(Low Noise Amplifier), 제1신호 결합기, 전광 변환 모듈,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광전 변환 모듈, 제1스위치 및 HPA(High Power Ampl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결합기는 상기 LNA로부터 전송된 하향 링크 신호와 상기 제어 프레임부로부터 생성된 제어 프레임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는 상기 메인 도너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하향 링크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향 링크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도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광전 변환 모듈, 신호 분리기, HPA(High Power Amplifier), 제2스위치, LNA(Low Noise Amplifier), 제2신호 결합기, 전광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기는 상기 광전 변환 모듈로부터 변환된 상기 하향 링크 신호에서 상기 제어 프레임을 분리하여 제어 신호 생성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 결합기는 상기 LNA로부터 전송된 상향 링크 신호와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상태 프레임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시스템.
KR1020070000537A 2007-01-03 2007-01-03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856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37A KR100856196B1 (ko) 2007-01-03 2007-01-03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983,483 US7826430B2 (en) 2007-01-03 2007-11-09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mote in a TDD optical repeater
EP08100013.5A EP1942598A3 (en) 2007-01-03 2008-01-02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remote node in a TDD optical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37A KR100856196B1 (ko) 2007-01-03 2007-01-03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927A KR20080063927A (ko) 2008-07-08
KR100856196B1 true KR100856196B1 (ko) 2008-09-03

Family

ID=3921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537A KR100856196B1 (ko) 2007-01-03 2007-01-03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26430B2 (ko)
EP (1) EP1942598A3 (ko)
KR (1) KR100856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34B1 (ko) * 2006-12-14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전송 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치제어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0866217B1 (ko) * 2007-03-28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듀플렉싱 시스템에서 시스템 지연 시간과 프레임길이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70654B1 (ko) 2009-01-05 2014-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US9215024B2 (en) * 2010-12-13 2015-12-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ase station subsystem, a RBS part and a TMA part and methods thereof for synchronizing the RBS part and the TMA part
KR101296515B1 (ko) * 2012-04-10 2013-09-16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원격 복구 기능을 구비하는 광 중계기 및 광 중계기의 원격 복구 방법
EP2883416A1 (en) 2012-08-07 2015-06-1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istribution of time-division multiplexed (tdm) management service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EP3008828B1 (en) 2013-06-12 2017-08-0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Time-division duplexing (tdd) in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s, inclu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US10560214B2 (en) 2015-09-28 2020-02-1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Downlink and uplink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in a time-division duplex (TDD)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S20200383075A1 (en) * 2019-05-29 2020-12-03 Wilson Electronics, Llc Multiplex time division duplex (tdd) sync detection modu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351A (ko) * 1999-12-31 2001-07-11 조정남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3169093A (ja) 2001-12-04 2003-06-13 Nec Corp 通信装置
US20040146013A1 (en) 2003-01-22 2004-07-2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ime division duplex relay system with high speed automatic up-link and down-link detection
KR20060019489A (ko) * 2004-08-27 2006-03-03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인터넷 중계기를 위한 스위칭 동기신호 추출 장치 및그를 이용한 중계기 도너 시스템
KR20060107044A (ko) * 2005-04-07 2006-10-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경통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3963A (en) * 1995-07-17 1997-09-02 Ncr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and reporting failures in EPL systems
JPH1188265A (ja) * 1997-09-02 1999-03-30 Brother Ind Ltd 光中継方式無線システム
US5966373A (en) * 1997-12-10 1999-10-12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Waveform and frame structure for a fixed wireless loop synchronous CDMA communications system
US7433702B2 (en) * 2000-01-28 2008-10-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st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801767B1 (en) * 2001-01-26 2004-10-05 Lgc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s signals
GB0205142D0 (en) * 2002-03-05 2002-04-17 Nokia Corp Synchronis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467222B1 (ko) * 2002-03-25 2005-01-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중 주파수할당 기지국의 수신감도 측정방법
US7138928B2 (en) * 2003-02-24 2006-1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ve control of devices with toggle power control
KR100617671B1 (ko) * 2003-12-22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무선 랜 시스템
US7339723B2 (en) * 2004-03-31 2008-03-04 Nec Corporatio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ptical repeating apparatus, and quality supervising method
US20070275760A1 (en) * 2004-05-05 2007-1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dspa Flow Control, Control Frames Rtt Measurement
KR100590486B1 (ko) 2004-07-29 2006-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Tdd 방식과 ofdm 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의 광중계기에서 전송 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칭타이밍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0590681B1 (ko) * 2004-10-26 2006-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tdd 광중계기의 시간 지연 보상을위한 스위칭 시간 결정 방법 및 그를 위한 tdd 광중계기
US20070255126A1 (en) * 2006-04-28 2007-11-01 Moberg Sheldon B Data communication in networked fluid infusion systems
JP5017942B2 (ja) * 2006-06-30 2012-09-05 富士通株式会社 ビットレート混在光通信方法並びに光加入者装置及び光局側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351A (ko) * 1999-12-31 2001-07-11 조정남 실시간 무선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3169093A (ja) 2001-12-04 2003-06-13 Nec Corp 通信装置
US20040146013A1 (en) 2003-01-22 2004-07-2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ime division duplex relay system with high speed automatic up-link and down-link detection
KR20060019489A (ko) * 2004-08-27 2006-03-03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인터넷 중계기를 위한 스위칭 동기신호 추출 장치 및그를 이용한 중계기 도너 시스템
KR20060107044A (ko) * 2005-04-07 2006-10-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경통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2598A3 (en) 2016-07-06
EP1942598A2 (en) 2008-07-09
US20080159743A1 (en) 2008-07-03
KR20080063927A (ko) 2008-07-08
US7826430B2 (en)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257B1 (ko) 전송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radio over fiber시스템 및 방법
KR100856196B1 (ko)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842534B1 (ko)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전송 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치제어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0590486B1 (ko) Tdd 방식과 ofdm 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의 광중계기에서 전송 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칭타이밍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0871229B1 (ko) 하이브리드 듀플렉싱 방식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유무선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제어방법
US8059963B2 (en) Time division duplexing remote station having low-noise amplifier shared for uplink and downlink operations and wired relay method using the same
KR100866217B1 (ko) 시분할 듀플렉싱 시스템에서 시스템 지연 시간과 프레임길이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204249A1 (en) Radio re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010055088A (ko) 광 중계 장치
KR101048960B1 (ko) Ofdm-tdd방식의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기지국과중계기 간의 신호전달 지연시간 보상을 위한 광 중계기 및광 중계기의 신호전달 지연시간 보상 스위칭 타이밍 신호생성 방법
KR100590681B1 (ko)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tdd 광중계기의 시간 지연 보상을위한 스위칭 시간 결정 방법 및 그를 위한 tdd 광중계기
KR100770883B1 (ko) TDD 방식의 Radio Over Fiber 시스템 및전송시간 제어 방법
KR20060031895A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gps 신호를 이용한 tdd중계기의 스위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스위치 제어 장치
KR20080107795A (ko) 중계국 수신부의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분할 이중화방식의 광무선 중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제어 방법
KR101035535B1 (ko)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광중계기의 시간 지연을 제어하는디지털 시간 지연 제어기 및 이를 적용한 광중계기
KR101450875B1 (ko) 광 릴레이를 고려한 무선시스템에서 tdd 컨트롤 신호의결정 방법
KR100543786B1 (ko) 이동통신용 주파수 대역 변환 중계장치
KR20080097795A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광 중계기에서 멀티 홉 토플로지를지원하는 가변 시간 지연 장치 및 방법
KR101335015B1 (ko)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KR101087682B1 (ko)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11180A (ko) 기지국의 디지털 유닛과 무선주파수 유닛간의 중계장치
KR2011006494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중계기 간섭 신호 제거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080099652A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무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을 위한양방향 광무선 링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