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682B1 -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682B1
KR101087682B1 KR1020050004712A KR20050004712A KR101087682B1 KR 101087682 B1 KR101087682 B1 KR 101087682B1 KR 1020050004712 A KR1020050004712 A KR 1020050004712A KR 20050004712 A KR20050004712 A KR 20050004712A KR 101087682 B1 KR101087682 B1 KR 10108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variable
variable el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775A (ko
Inventor
신용식
이주식
임종태
최경호
김경준
조성민
안동준
전성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6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04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comprising a plurality of flaps or strips arranged around th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광중계기로 수신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를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시키기 위해 RF 케이블을 복수회 감아서 구성하는 RF 딜레이 모듈; 상기 RF 딜레이 모듈이 상기 RF 신호의 시간 지연을 위한 회수만큼 반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딜레이 조절 모듈; 및 상기 RF 딜레이 모듈을 상기 시간 지연을 위한 회수만큼 반복하여 통과함으로써 상기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 딜레이 방식이 아닌 RF 딜레이 방식에 의하여 광중계기가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딜레이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단가가 높은 광 케이블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서 딜레이 장치의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중계기, 무선 기지국, 신호 가변, RF 신호,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RF-Type Delay Apparatu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Optical Repeater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무선 기지국에 광중계기들이 접속되어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무선 기지국과 광중계기로부터 각각 송신된 신호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경로 차 및 이로 인한 지연 시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 사용을 위한 RF 방식의 딜레이(Delay)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 사용을 위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1 ㎲ 지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 사용을 위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2 ㎲ 지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사용하 여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일정시간 딜레이시키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응용예에 따라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1 ㎲ 지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중계기 시스템 202, 208 : 이동통신 단말기
204, 210 : 무선 기지국 206, 212, 214 : 광중계기
300 : 딜레이 장치 310 : RF 딜레이 모듈
320 : 딜레이 조절 모듈 321 : 제 1 신호 가변소자
322 : 제 2 신호 가변소자 323 : 제 3 신호 가변소자
324 : 컴바이너 325 : 디바이더
326, 329 : 발진기 327, 331 : 혼합기
328 : 필터 332 : 선택 소자
333 : 증폭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광중계기 사용을 위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광 딜레이 방식이 아닌 RF 딜레이 방식에 의하여 광중계기가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딜레이시키고, 이러한 RF 딜레이 방식에 의해 딜레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따라서 무선 기지국과 광중계기 간의 거리가 다른 경우에도 광중계기를 전용할 수 있도록 하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ITU-R에서 표준으로 제정하고 있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1X, 3X, EV-DO, WCDMA(WideBand CDMA)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IMT-2000은 개인의 이동성 및 서비스 이동성을 포함한 전세계적인 직접 로밍, 유선 전화와 동일한 수준의 통화 품질,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및 유무선망의 결합에 의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구현 등을 목표로 등장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기존의 음성 및 WAP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AOD, VOD 등)를 보다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가장 최근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을 보장하며 저렴한 요금으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초고속 휴대 인터넷 서비스인 와이브로(WiBro :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와이브로 서비스는 노트북, PDA, Handheld PC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의 정지 환경에서와 보행 속도 및 중저속 이동 수준의 이동 환경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및 컨텐츠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이다. 와이브로 시스템은 2.3 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시속 60 km/h의 이동성을 제공하며, 하향 전송 속도는 24.8 Mbps이나 상향 전송 속도는 5.2 Mbps로 상하향 비대칭 전송 특성을 갖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무선 데이터 시스템이다.
와이브로 시스템은 할당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듀플렉스(Duplex) 방식으로는 TDD(Time Division Duplex)를,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방식으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여기서, TDD 방식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적으로 다운링크(Downlink)와 업링크(Uplink)를 교대로 배정하는 양방향 전송방식이다. TDD 방식은 전송 효율이 높고, 타임슬롯의 동적 할당으로 비대칭(Asymmetric)이나 버스티(Bursty)한 어플리케이션 전송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또한, OFDMA/TDMA 방식은 전체 대역폭에 퍼져 있는 모든 부반송파를 일정 시간 동안 한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다음 일정 시간 동안 또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TDMA와 유사한 다중 접속 방식이며, 대역폭당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멀티패스(Multipath)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와이브로 시스템을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망의 커 버리지(Coverage)를 확장하기 위해 주파수 재사용 개념 등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 지역을 다수의 셀(Cell)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셀의 중심 부근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무선 기지국(BS : Base Station)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셀의 반경은 해당 지역의 신호의 세기나 데이터의 트래픽(Traffic)량에 따라 정해진다. 즉, 트래픽량이 많은 도심 지역에서는 셀의 반경을 작게 하고, 트래픽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도심 외 지역에서는 셀의 반경을 크게 하여 각각의 셀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이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를 담당하는 무선 기지국의 처리 용량을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주파수 재사용 개념, 트래픽량 등에 따라 셀의 반경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보다 나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심 지역에서는 지하, 건물 내부, 터널 등 일반적으로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전파 음영 지역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전파 음영 지역에서의 전파 음영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새로운 무선 기지국을 시설하는 것은 시설 비용,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 등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셀 설계에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이러한 전파 음영 지역에는 광중계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광중계기 시스템은 모기지국에 할당된 통화 채널을 광중계기를 이용한 광 전송 방식을 통해 전파 음영 지역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전파 음영의 문제점을 해소한다. 특히, 제 2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보다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와이브로 시스템에서는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어 전파 경로 손실이 크고, 회절 효과가 작으며, 건물 투과 손실이 크기 때문에 셀의 반경이 작아 광중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무선 기지국에 중계기들이 접속되어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동통신 교환국에는 다수의 무선 기지국이 연결되며, 각 무선 기지국에는 복수의 중계기들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 중계기들은 광중계기로서, 이러한 광중계기는 통상 주 장치(Master)와 원격 장치(Slave)로 구성된다. 이 경우 주장치는 무선 기지국과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전송받으면 전광 변환을 거쳐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고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원격 장치에 광 신호를 전송하며, 원격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광 신호를 광전 변환을 거쳐 RF 신호로 변환하고 RF 케이블을 통해 무선 기지국에 전송한다. 또한, 원격 장치는 주 장치에서 광 신호를 전송받으면 광전 변환을 거쳐 RF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RF 신호를 전광 변환을 거쳐 광신호로 변환하고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주 장치에 전송한다.
도 2a 및 도 2b는 무선 기지국과 광중계기로부터 각각 송신된 신호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경로 차 및 이로 인한 지연 시간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은 광중계기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어느 한 중계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무선 기지국 또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도 함께 수신하게 될 수가 있다. 이러한 상황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204)에서 송신된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202)에 직접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t1이라 하고, 무선 기지국(204)에서 송신된 신호가 광중계기(206)를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2)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t2라 할 경우(이 경우, 반사파에 의한 다중경로 전송은 무시한다.) 무선 기지국(204)과 광중계기(206)를 연결하는 선로에서의 지연 시간과 광중계기(206)에서의 시스템 지연 시간으로 말미암아, t1과 t2는 동일한 값을 가지지 않으며 Δt 만큼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광중계기(206)를 경유하여 전송된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202)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지연 시간(Δt)의 크기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면, 이동통신 단말기(202)가 수신한 신호를 변조하는 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광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보여진 바와 같이 광 케이블을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과 중계기들을 연결하는 경우 광 케이블은 킬로미터 당 약 5 마이크로초(5 ㎲/km)의 신호 지연을 나타낸다. 만약 광 케이블의 길이가 20 km인 경우라면, 선로 상에서의 지연 시간은 100 ㎲가 된다. 이러한 정도의 지연 시간은 이동통신 단말기(202)의 수신기에서 최적의 신호를 선택하여 복조하는 데 있어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기지국 및 복수의 광중계기들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모두 수신하게 되고 반사파에 의한 다중 경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시간 지연으로 인한 문제는 더욱 복잡해진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210)에서 송신된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208)에 직접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 간을 t1, 광중계기A(212)를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8)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t2, 광중계기B(214)를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8)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t3라고 할 때, 광중계기A(212)를 경유하여 전송된 신호는 미약하고 무선 기지국(210)으로부터 직접 전송된 신호와 광중계기B(214)를 경유하여 전송된 신호가 상대적으로 미소하게 큰 경우, 만약 지연 시간(Δt)이 길다면 이동통신 단말기(208)는 두 신호 모두를 충분히 활용하기가 어렵게 된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셀간 핸드오버 시에 호 끊김(Call Drop)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와이브로(WiBro : Wireless Broadband Internet)처럼 TDD 방식을 사용하여 동일한 주파수를 시분할하고 하향 신호와 상향 신호로 구분하여 양방향 통신을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수신 채널이 전환될 수 있는 치명적인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의 설명은 무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하향 신호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 경로들간의 경로차 및 신호 지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광중계기에 수 k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광섬유를 감는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딜레이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즉, 먼저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중계기들을 결정한 후, 이러한 중계기들을 통한 신호 경로들 중에서 신호 지연이 가장 큰 경로를 결정하고, 각 중계기들을 경유한 신호 전달 시간들과 전술한 신호 지연이 가장 큰 경로의 신호 전달 시간과의 차를 각각 산술한 후, 각각의 지연 시간차 만큼의 광섬유를 각각의 중계기에 감는 방식으로 경로차 및 신호 지연차를 없 애는 방법을 이용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광중계기는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전술한 각각의 시간 차 만큼 지연시킨 후 소정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신호 경로들간의 경로 차를 없애고, 각종 신호 지연을 보상할 수 있었다(이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신호 지연 보상 장치를 광 딜레이 장치라 칭함).
그러나 이러한 광 딜레이 장치는, 광섬유의 단가가 높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 광섬유의 길이만큼 설치되는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섬유의 길이는 특정 무선 기지국과 그 무선 기지국에 연결되는 특정 중계기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어지기 때문에, 특정 광 딜레이 장치는 특정 무선 기지국과 특정 중계기 간의 신호를 딜레이시키기 위해서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무선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거리가 다른 경우에는 전용할 수 없었고 따라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더 나아가 딜레이되는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새로운 광 딜레이 장치로 교체해야 한다는 번거로운 점, 생산 및 설치 이전에 무선 기지국과 중계기간의 거리를 미리 측정하여 요구되는 길이에 맞게 생산 및 설치해야 한다는 번거로운 점 및 그에 따른 생산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 딜레이 방식이 아닌 RF 딜레이 방식에 의하여 광중계기가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딜레이시키고, 이러한 방식에 의해 딜레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따라서 무선 기지국과 광중계기간의 거리가 다른 경우에도 광중계기를 전용할 수 있도록 하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광중계기로 수신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에 있어서, RF 신호를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시키기 위해 RF 케이블을 복수회 감아서 구성하는 RF 딜레이 모듈; RF 딜레이 모듈이 RF 신호의 시간 지연을 위한 회수만큼 반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딜레이 조절 모듈; 및 RF 딜레이 모듈을 시간 지연을 위한 회수만큼 반복하여 통과함으로써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RF 케이블을 복수회 감아서 구성하는 RF 딜레이 모듈, 입력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을 위한 회수만큼 반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딜레이 조절 모듈 및 지연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광중계기의 RF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는, (a)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딜레이 조절 모듈의 제 1 신호 가변소자가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는 단계; (b) 앞서의 단계 (a)에서 가변된 RF 신호를 반복하여 시간 지연시키는 단계; (c) 앞서의 단계 (b)에서 시간 지연된 RF 신호를 딜레이 조절 모듈의 제 2 신호 가변소자가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는 단계; (d) 앞서의 단계 (c)에서 반 복 가변된 RF 신호를 딜레이 조절 모듈의 제 3 신호 가변소자가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다시 가변시키는 단계; (e) 앞서의 단계 (d)에서 가변된 RF 신호가 출력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이면 그 RF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출력 모듈이 전송된 RF 신호를 RF 딜레이 장치의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중계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 사용을 위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 사용을 위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는 RF 딜레이 모듈(310), 딜레이 조절 모듈(320) 및 출력 모듈(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딜레이 모듈(310)은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RF 신호를 딜레이시킬 수 있도록 RF 케이블을 복수회 감아서 구성한다.
딜레이 조절 모듈(320)은 입력되는 RF 신호를 요구되는 시간만큼 지연시키기 위해 RF 딜레이 모듈(310)에 RF 신호가 소정 회수 반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딜레이 조절 모듈(320)은 제 1 신호 가변 소자(321), 제 2 신호 가변 소자(322), 컴바이너(324), 디바이더(325), 제 3 신호 가변 소자(323) 및 선택 소자(332)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 1 신호 가변 소자(32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로 가변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 가변 소자(32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로 하향 가변시키는 것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제 1 신호 가변 소자는 딜레이 조절 모듈(320)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와 혼합하여 원하는 중간 주파수를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는 발진기(326); 두 개의 주파수가 입력되면 두 주파수의 합과 차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혼합기(Mixer)(327); 및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원하지 않는 대역의 신호를 걸러 내는 전자 회로인 필터(32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제 2 신호 가변 소자(322)는 RF 딜레이 모듈(310)을 통과하여 시간 지연된 RF 신호를 특정 주파수로 가변시키는 것으로 구성한다.
컴바이너(324)는 제 1 신호 가변 소자와 제 2 신호 가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를 수용하여 후술할 디바이더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바이더(325)는 컴바이너(324)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RF 딜레이 모듈(310) 및 출력 모듈(330) 측으로 각각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3 신호 가변 소자(323)는 디바이더(325)로부터 출력 모듈(330) 측으로 보내지는 RF 신호를 상향 가변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 3 신 호 가변 소자는 발진기(329)와 혼합기(331)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발진기(329)에 의해 발진시킬 주파수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더(325)로부터 수신하는 RF 신호를 미리 조절된 크기만큼 상향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선택 소자(332)는 제 3 신호 가변 소자(323)를 통해 가변된 RF 신호가 출력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이면 그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모듈(3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선택 소자(332)는 출력 주파수만을 출력 모듈(330) 측으로 통과시키는 필터로 구성한다.
한편, 출력 모듈(330)은 선택 소자(332)로부터 선택된 RF 신호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술한 딜레이 과정을 거치면서 감쇄된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소자(33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전술한 광중계기 사용을 위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300)의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키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 사용을 위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1 ㎲지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는 2350 MHz로, 제 1 신호 가변소자(321)의 발진기(326)는 229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것으로, 필터(328)는 60 MHz의 RF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상정한다. 또한, 제 2 신호 가변소자 (322)는 RF 신호가 RF 딜레이 모듈(310)을 1회 통과할 때마다 60 MHz씩 주파수를 상향 가변(Up Converting)시키는 것으로 상정한다. 또한 선택 소자(332)가 출력 모듈(330)로 보내기 위해 선택하는 출력 주파수는 2350 MHz인 것으로 상정한다.
관리자가 입력되는 2350 MHz의 RF 신호를 1㎲만큼 딜레이시켜 출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발진기(329)가 223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도록 조절한다.
제 3 신호 가변소자의 발진기(329)가 223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도록 조절된 후, 2350 MHz의 신호가 제 1 신호 가변소자(321)로 입력되면, 발진기(326), 혼합기(327) 및 필터(328)에 의해 60 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로 하향 가변된다(S402). 더욱 상세하게는, 전술한 발진기(326)가 229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전술한 필터(328)는 60 MHz의 RF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혼합기(327)로부터 60 MHz의 중간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가 출력된 후 필터(328)를 통과하여 후술할 컴바이너(324)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입력되는 2350 MHz의 RF 신호는 60 MHz로 하향 가변되는 것이다.
전술한 단계에서 60 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로 하향 가변된 신호는 컴바이너(324)를 통해 디바이더(325)로 전송된다(S404).
디바이더(325)는 전술한 컴바이너(324)를 통해 전송된 60 MHz의 RF 신호를 RF 딜레이 모듈(310) 및 출력 모듈(330) 측으로 각각 전송한다.
먼저 디바이더(325)로부터 출력 모듈(330) 측으로 전송된 60 MHz의 RF 신호의 경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바이더로부터 출력 모듈 측으로 전송되는 60 MHz 의 RF 신호는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에 의해 2290 MHz 및 2170 MHz로 가변되지만(S406), 계속하여 출력 모듈 측으로 이동하면서 선택 소자(332)에 의해 선택되지 못하고 소멸된다(S408). 즉, 2350 MHz의 RF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선택 소자(332)에 의해 출력 모듈로 보내지지 못하는 것이다.
한편, 디바이더(325)로부터 RF 딜레이 모듈(310) 측으로 전송된 60 MHz의 RF 신호의 경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바이더로부터 RF 딜레이 모듈 측으로 전송되는 60 MHz의 RF 신호(S410)는 RF 딜레이 모듈을 통과하면서 1 ㎲만큼 딜레이된 후(S412), 제 2 신호 가변소자(322)를 통과하면서 120 MHz로 상향 가변되어 컴바이너(324)로 전송된다(S414).
전술한 컴바이너(324)에 수용된 1㎲지연된 120 MHz의 RF 신호는 다시 디바이더(325)로 전송(S416)된 후, RF 딜레이 모듈(310) 및 출력 모듈 측인 제 3 신호 가변소자(323)로 전송된다.
RF 딜레이 모듈(310)로 전송한 120 MHz의 RF 신호는 지속적으로 제 2 신호 가변소자(322)에 의해 반복 가변되면서 궁극적으로 소멸하고, 출력 모듈(330) 측으로 전송(S418)한 120 MHz의 RF 신호는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에 의해 2350 MHz로 상향 가변됨(S420)으로써 선택 소자(332)인 2350 MHz의 필터를 통과(S422)한 후 출력 모듈(330)의 증폭기(333)를 통해 증폭된 후 1 ㎲ 딜레이된 상태에서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 사용을 위한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2 ㎲ 지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는 2350 MHz로, 제 1 신호 가변소자(321)의 발진기(326)는 229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것으로, 필터(328)는 60 MHz의 RF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상정한다. 또한, 제 2 신호 가변소자(322)는 RF 신호가 RF 딜레이 모듈(310)을 1회 통과할 때마다 60 MHz씩 주파수를 상향 가변(up converting)시키는 것으로 상정한다. 또한 선택 소자(332)가 출력 모듈(330)로 전송하기 위해 선택하는 출력 주파수는 2350 MHz인 것으로 상정한다.
관리자가 입력되는 2350 MHz의 1차 RF 신호를 2㎲만큼 딜레이시켜 출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3 신호 가변 소자(323)의 발진기(329)가 217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도록 조절한다.
제 3 신호 가변소자의 발진기(329)가 217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도록 조절된 후, 2350 MHz의 1차 RF 신호가 제 1 신호 가변소자로 입력되면, 발진기(326), 혼합기(327) 및 필터(328)에 의해 60 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로 하향 가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술한 발진기(326)가 229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전술한 필터(328)는 60 MHz의 RF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혼합기(327)로부터 60 MHz의 중간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가 출력된 후 필터를 통과하여 후술할 컴바이너(324)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입력되는 2350 MHz의 1차 RF 신호는 60 MHz로 하향 가변되는 것이다.
전술한 단계에서 60 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로 하향 가변된 1차 RF 신호는 컴바이너를 통해 디바이더로 전송된다(S502, S504).
디바이더(325)는 전술한 컴바이너(324)를 통해 전송된 60 MHz의 RF 신호를 RF 딜레이 모듈(310) 및 출력 모듈(330) 측으로 각각 전송한다.
출력 모듈(330) 측으로 전송한 60 MHz의 RF 신호는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에 의해 가변(S506)된 후 선택 소자(332)에서 선택되지 못하므로 소멸되고(S508), 디바이더로부터 RF 딜레이 모듈(310) 측으로 전송된 60 MHz의 RF 신호(S510)는 1 ㎲만큼 딜레이(S512)된 후, 제 2 신호 가변소자(322)를 통과하면서 120 MHz로 상향 가변된 다음 컴바이너(324)로 전송된다(S514).
한편, 전술한 딜레이된 120 MHz의 1차 RF 신호가 컴바이너(324)로 수용되는 경우에, 컴바이너(324)는 제 1 신호 가변소자(321)로부터 새로운 60 MHz의 2차 RF 신호를 함께 수용하게 된다. 물론 이때 수용된 2차 RF 신호도 1차 RF 신호와 동일한 딜레이 과정을 거치게 된다.
120 MHz로 상향 가변된 1차 RF 신호는 컴바이너(324)를 경유하여 디바이더(325)를 통해(S516) RF 딜레이 모듈(310)과 출력 모듈(330) 측으로 다시 전송되고, 출력 모듈 측으로 보내진 120 MHz의 1차 RF 신호는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에서 가변된 후(S518) 선택 소자에서 선택되지 못하므로 소멸되고(S520), RF 딜레이 모듈로 전송(S524)된 1 차 RF 신호는 다시 1μs만큼 반복하여 추가 딜레이되어 총 2㎲가 딜레이된 상태(S526)로 제 2 신호 가변소자에서 180 MHz로 가변된 후 컴바이너(324), 디바이더(325)를 경유한 후(S528, S530), 제 3 신호 가변소자에서 2350 MHz로 상향 가변되어(S532)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된다(S534, S536). 물론, 2차 RF 신호 또한 1차 RF 신호를 뒤이어서 출력 모듈을 통해 2 ㎲ 딜레이된 2350 MHz의 RF 신호로 출력된다. 또한, 2차 RF 신호가 입력된 후에 지속적으로 3차, 4차 RF 신호 등이 입력되면서 1차 및 2차 RF 신호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궁극적으로 2 ㎲ 딜레이된 상태로 출력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각 광중계기는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전술한 각각의 시간 차 만큼 지연시킨 후 소정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신호 경로들간의 경로차를 없애고, 각종 신호 지연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들은 입력된 신호를 1 ㎲나 2㎲ 딜레이시키는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3 ㎲ 이상의 시간도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딜레이시킬 수 있다. 즉,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발진기(329)를 2110 MHz로 발진하도록 조절하여 입력된 RF 신호를 3㎲ 지연된 상태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고,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발진기(329)를 2050 MHz로 발진하도록 조절하여 입력된 RF 신호를 4㎲ 지연된 상태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제 3 신호 가변소자의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5 ㎲, 6 ㎲등의 딜레이 조정도 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필요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가변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1 ㎲이상의 딜레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RF 딜레이 모듈에 RF 소자를 추가하거나 일부 생략하는 경우, 제 2 신호 가변소자(322)의 가변량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등에 의해 다양한 범위의 딜레이 조절도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일정시간 딜레이시키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300)의 제 1 신호 가변소자(321)는 입력되는 RF 신호를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로 하향 가변시킨다(S502).
그 후에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는 단계 S502에서 가변된 RF 신호를 반복하여 시간 지연시킨다(S504).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의 제 2 신호 가변소자(322)는 단계 S504에서 반복적으로 시간 지연되어지는 RF 신호를 반복적으로 특정 주파수로 가변시킨다(S506).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의 제 3 신호 가변소자(323)는 단계 S506에서 반복적으로 가변된 RF 신호를 다시 상향 가변시킨다(S508). 여기서 관리자는 제 3 신호 가변량을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다양한 시간 지연 값을 제어할 수 있다.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의 선택 소자(332)는 단계 S508에서 가변된 RF 신호가 출력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이면 그 신호를 선택한다(S510).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의 출력 모듈(330)은 단계 S510에서 선택된 신호를 출력한다(S512).
한편, 이상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일정시간 딜레이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응용예들을 가질 수 있다.
<제 1 응용예>
제 1 응용예의 경우에는, 제 1 신호 가변소자(321)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350 MHz의 RF 신호를 660 MHz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도록 구성하고, 제 2 신호 가 변소자(322)는 수신하는 신호를 단계적으로 60 MHz씩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성하며, 제 3 신호 가변소자(323)는 1750 내지 2290 MHz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응용예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1 ㎲만큼 딜레이시켜 출력하는 방법을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관리자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350 MHz의 RF 신호를 1 ㎲만큼 딜레이시켜 출력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발진기(329)가 175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킬 수 있도록 조절한다. 제 3 신호 가변소자의 발진기가 1750 MHz의 주파수를 발진시킬 수 있도록 조절된 후, 2350 MHz의 RF 신호가 제 1 신호 가변소자(321)로 입력되면, 제 1 신호 가변소자는 660 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로 가변하여 컴바이너(324)를 통해 디바이더(325)로 전송한다(S702, S704).
디바이더(325)에서는 전술한 컴바이너(324)를 통해 전송된 660 MHz의 RF 신호를 RF 딜레이 모듈(310) 및 출력 모듈(330) 측으로 각각 전송한다.
먼저 출력 모듈(330) 측으로 전송되는 660 MHz의 RF 신호의 경로를 설명하면, 디바이더로부터 출력 모듈 측으로 전송되는 660 MHz의 RF 신호는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에 의해 2410 MHz 및 1090 MHz로 가변되지만(S706, S708), 계속하여 출력 모듈(330) 측으로 전송되면서 선택 소자(332)에 의해 선택되지 못하고 소멸된다(S708). 즉, 2350 MHz의 RF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에 의해 출력 모듈(330)로 전송되지 못하는 것이다.
한편, 디바이더(325)로부터 RF 딜레이 모듈(310) 측으로 보내진 660 MHz의 RF 신호(S710)는 1 ㎲만큼 딜레이된 후, 제 2 신호 가변소자(322)를 통과(S712)하면서 600 MHz로 하향 가변된 다음 컴바이너(324)로 전송된다(S714).
컴바이너(324)에 수용된 1 ㎲ 지연된 600 MHz의 RF 신호는 다시 디바이더(325)를 통해(S716) RF 딜레이 모듈(310) 및 출력 모듈(330) 측으로 전송된다.
RF 딜레이 모듈로 전송된 600 MHz의 RF 신호는 지속적으로 제 2 신호 가변소자(322)에 의해 반복 가변되면서 궁극적으로 소멸하고, 출력 모듈(330) 측으로 전송된 600 MHz의 RF 신호는 제 3 신호 가변소자(332)에 의해 2350 MHz로 상향 가변됨으로써(S718) 선택 소자(332)인 2350 MHz 필터를 통과(S720)한 후 출력 모듈(330)의 증폭기(333)를 통해 증폭된 다음 1 ㎲ 딜레이된 상태에서 외부로 출력된다(S722).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응용예의 경우에도 RF 신호를 RF 딜레이 모듈(310)에 반복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는 점,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가변량을 조절하여 요구되는 값만큼 딜레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앞서에서 설명했던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제 2 응용예>
제 2 응용예의 경우에는, 제 1 신호 가변소자(321) 및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가변량을 고정하는 것에 대한 예이다. 즉, 제 1 신호 가변소자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350 MHz의 RF 신호를 60 MHz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도록 구성시킨 경우에, 제 2 신호 가변소자(322)는 전송받는 신호를 단계적으로 60 MHz씩 상향시키는 것으로 구성하며, 제 3 신호 가변소자(323)는 전송받는 신호를 2170 MHz 상향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면, 입력되는 RF 신호는 RF 딜레이 모듈을 2 회 통과한 후 선택 소자(332)에 의해 선택되어 2 ㎲ 딜레이된 RF 신호로 출력될 것이다.
즉, 제 1 신호 가변소자(321) 및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가변량이 고정된 경우라 할지라도 입력되는 RF 신호가 RF 딜레이 모듈을 복수회 반복적으로 통과하여 딜레이됨으로써, 본 발명의 기본적 목적은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응용예에 의하면 입력되는 RF 신호가 RF 딜레이 모듈을 통과하는 회수를 전환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앞서에서 설명했던 실시예 및 제 1 응용예에 비하여 상용성은 떨어질 것이다.
<제 3 응용예>
제 3 응용예의 경우에는, 제 3 신호 가변소자(323)를 구성시키지 아니하는 예이다. 즉, 제 1 신호 가변소자(321)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350 MHz의 RF 신호를 2170 MHz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도록 구성하고, 제 2 신호 가변소자(322)는 전송받는 신호를 단계적으로 60 MHz씩 상향시키는 것으로 구성하며,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구성을 생략한 경우에, 입력되는 RF 신호는 RF 딜레이 모듈(310)을 3 회 통과한 후 선택 소자(332)에 의해 선택되어 3 ㎲ 딜레이된 RF 신호로 출력될 것이다. 즉,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구성이 생략된 경우일지라도 입력되는 RF 신호가 RF 딜레이 모듈(310)을 복수회 반복적으로 통과하여 딜레이됨으로써, 본 발명의 기본적 목적은 달성될 수 있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본 응용예에 의하면 입력되는 RF 신호가 RF 딜레이 모듈(310)을 통과하는 회수를 전환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앞서에서 설명했던 실시예 및 제 1 응용예에 비하여 상용성은 떨어질 것이다. 물론, 제 3 신호 가변소자(323)의 구성을 유지하고 제 1 신호 가변소자(321)의 구성을 생략시키더라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 딜레이 방식이 아닌 RF 딜레이 방식에 의하여 광중계기가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딜레이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단가가 높은 광 케이블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서 딜레이 장치의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딜레이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RF 신호의 딜레이를 필요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가 쉬어 범용성이 높고, 규격화된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 및 설치의 편리함이 있다.

Claims (18)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광중계기로 수신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를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시키기 위해 RF 케이블을 복수회 감아서 구성하는 RF 딜레이 모듈;
    상기 RF 딜레이 모듈이 상기 RF 신호의 시간 지연을 위한 회수만큼 반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딜레이 조절 모듈; 및
    상기 RF 딜레이 모듈을 상기 시간 지연을 위한 회수만큼 반복하여 통과함으로써 상기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 조절 모듈은,
    입력되는 기준 대역의 RF 신호를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로 가변시키는 제 1 신호 가변소자;
    상기 RF 딜레이 모듈을 통과하여 시간 지연된 RF 신호를 가변시키는 제 2 신호 가변소자;
    상기 제 1 신호 가변소자와 상기 제 2 신호 가변소자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용하는 컴바이너;
    상기 컴바이너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상기 RF 딜레이 모듈 및 상기 출력 모듈 측으로 각각 전송하는 디바이더; 및
    상기 출력 모듈 측으로 전송되는 상기 RF 신호가 출력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이면 그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모듈로 전송하는 선택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는,
    상기 디바이더로부터 상기 출력 모듈 측으로 전송되는 상기 RF 신호를 가변시키는 제 3 신호 가변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선택 소자는,
    상기 제 3 신호 가변소자로부터 가변된 RF 신호가 출력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이면 그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모듈로 보내는 선택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소자는, 출력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가변소자는, 입력되는 기준 대역의 RF 신호를 특정 대역으로 하향 가변(Down Converting)시키는 하향 가변소자이고,
    상기 제 2 신호 가변소자는, 상기 RF 딜레이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지연된 RF 신호를 단계적으로 상향 가변(Up Converting)시키는 상향 가변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가변소자는, 입력되는 기준 대역의 RF 신호를 특정 대역으로 하향 가변(Down Converting)시키는 하향 가변소자이고,
    상기 제 2 신호 가변소자는, 상기 RF 딜레이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지연된 RF 신호를 단계적으로 상향 가변(Up Converting)시키는 상향 가변소자이며,
    상기 제 3 신호 가변소자는, 상기 디바이더로부터 상기 출력 모듈 측으로 전송되는 상기 RF 신호를 다시 상향 가변시키는 상향 가변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가변소자는, 입력되는 기준 대역의 RF 신호를 특정 대역으로 하향 가변(Down Converting)시키는 하향 가변소자이고,
    상기 제 2 신호 가변소자는, 상기 RF 딜레이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지연된 RF 신호를 단계적으로 다시 하향 가변시키는 하향 가변소자이며,
    상기 제 3 신호 가변소자는, 상기 디바이더로부터 상기 출력 모듈 측으로 전 송되는 상기 RF 신호를 상향 가변(Up Converting)시키는 상향 가변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 가변소자는, 가변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량은 상기 광중계기가 속해 있는 특정 지역의 각 광중계기들이 경유하는 신호 전달 시간들 중 신호 지연이 가장 큰 경로의 신호 전달 시간과의 시간차를 보정하기 위해 미리 조절된 가변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계기로 수신되는 RF 신호는, 무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RF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과정에서 감쇄된 상기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는 와이브로(WiBro :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시스템에 적용되는 광중계기에 사용되는 RF 신호 지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시키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
  13. RF 케이블을 복수회 감아서 구성하는 RF 딜레이 모듈, 입력되는 RF 신호를 시간 지연을 위한 회수만큼 반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딜레이 조절 모듈 및 지연된 RF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광중계기의 RF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 방식의 딜레이 장치는,
    (a)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RF 신호를 상기 딜레이 조절 모듈의 제 1 신호 가변소자가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가변된 RF 신호를 반복하여 시간 지연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시간 지연된 RF 신호를 상기 딜레이 조절 모듈의 제 2 신호 가변소자가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반복 가변된 RF 신호를 상기 딜레이 조절 모듈의 제 3 신호 가변소자가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다시 가변시키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가변된 RF 신호가 출력 주파수를 가지는 RF 신호이면 상기 RF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출력 모듈이 전송된 상기 RF 신호를 상기 RF 딜레이 장치의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는 것은 상기 입력되는 RF 신호를 하향 가변시키는 것이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는 것은 상기 시간 지연된 RF 신호를 단계적으로 상향 가변시키는 것이며,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다시 가변시키는 것은 상기 반복 가변된 RF 신호를 다시 특정 주파수로 상향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는 것은 상기 입력되는 RF 신호를 하향 가변시키는 것이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가변시키는 것은 상기 시 간 지연된 RF 신호를 단계적으로 하향 가변시키는 것이며,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로 다시 가변시키는 것은 상기 반복 가변된 RF 신호를 특정 주파수로 상향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제 3 신호 가변소자가 가변시키는 가변량은 상기 광중계기가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특정 시간 지연시키도록 하기 위해 미리 조절된 가변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특정 시간은 상기 광중계기가 속해 있는 특정 지역의 각 광중계기들이 경유하는 신호 전달 시간들 중 신호 지연이 가장 큰 경로의 신호 전달 시간과의 차를 보정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법.
  18. 삭제
KR1020050004712A 2005-01-18 2005-01-18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8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712A KR101087682B1 (ko) 2005-01-18 2005-01-18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712A KR101087682B1 (ko) 2005-01-18 2005-01-18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75A KR20060083775A (ko) 2006-07-21
KR101087682B1 true KR101087682B1 (ko) 2011-11-30

Family

ID=3717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712A KR101087682B1 (ko) 2005-01-18 2005-01-18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6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75A (ko)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257B1 (ko) 전송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radio over fiber시스템 및 방법
KR100842534B1 (ko)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전송 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치제어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EP1278388B1 (en) Time slot assigning method, signal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20020087873A (ko) 이동통신 시스템
WO1995027380A1 (fr)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mobile
RU2007139523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икосоты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0856196B1 (ko) Tdd 방식의 광중계기에서 리모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305764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 순방향 전력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90681B1 (ko)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tdd 광중계기의 시간 지연 보상을위한 스위칭 시간 결정 방법 및 그를 위한 tdd 광중계기
WO2000076240A1 (en) Dynamic channel configuration of cellular radio network
KR100453501B1 (ko) 이동 통신망에서 대역 변환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770883B1 (ko) TDD 방식의 Radio Over Fiber 시스템 및전송시간 제어 방법
KR20060031895A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gps 신호를 이용한 tdd중계기의 스위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스위치 제어 장치
EP2262299B1 (en) Method for cell extension in a t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7269421B2 (en) Control of frame timing on handover
KR101035535B1 (ko)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광중계기의 시간 지연을 제어하는디지털 시간 지연 제어기 및 이를 적용한 광중계기
CN101242628A (zh) 无线信号区域覆盖方法和无线接入网络
KR1003820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통화 채널의 데이터 전송속도 제어 방법
KR101087682B1 (ko) 광중계기가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방식의 딜레이 장치 및 그 방법
JPH0865738A (ja) 移動通信方法
CN101420268A (zh) 无线通信系统、基站以及发送方法
KR101450875B1 (ko) 광 릴레이를 고려한 무선시스템에서 tdd 컨트롤 신호의결정 방법
KR20030027815A (ko)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이동국
KR20060036657A (ko) 와이브로 시스템에서 tdd 방식의 rf 중계기의 시간지연 보상을 위한 스위칭 시간 결정 방법 및 그를 위한rf 중계기
KR960030574A (ko) 이동통신 고출력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