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952U - 냉장고의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952U
KR20000000952U KR2019980010554U KR19980010554U KR20000000952U KR 20000000952 U KR20000000952 U KR 20000000952U KR 2019980010554 U KR2019980010554 U KR 2019980010554U KR 19980010554 U KR19980010554 U KR 19980010554U KR 20000000952 U KR20000000952 U KR 200000009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refrigerator
cold air
duct
circula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은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0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952U/ko
Publication of KR200000009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952U/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순환덕트내부 냉기의 흐름이 그 가습기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의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습기를 순환덕트의 외부에 설치하고 그 가습기의 분무관을 순환덕트에 연결된 가습덕트와 연통시켜 그 분무관으로부터 분무되는 가습입자가 가습덕트 내로 순환되는 냉기에 혼합되면서 순환덕트로부터 토출되는 냉기에 실려 고내 곳곳을 균일하게 흐르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습기에 의한 순환덕트내부 냉기 흐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장고 고내의 가습 및 냉기의 순환이 보다 균일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가습장치(humidification device of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의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입자를 분무하는 가습기를 순환덕트의 외부에 부착시킴으로써 가습기에 의한 순환덕트내 냉기 흐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나 음료 등의 음식물을 냉장시키는 냉장고는 밀폐상태의 고내에 냉각 유니트의 증발기에 의한 냉기를 순환시켜 음식물을 저온에서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고내는 상기와 같이 밀폐되어 쉽게 건조됨에 따라 특히 음식물이 야채인 경우 그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없으므로 고내의 가습이 필연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 냉장고내의 건조상태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내를 가습하는 가습장치가 개발되었는 바, 이러한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1-134호에 기재된 가습 냉장고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습 냉장고는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냉장실 도어(1a)와 야채실 도어(1b)의 사이에 고외공기 유입구(2) 및 가습공기 유출구(3)가 형성되어 있고, 냉장실(1c)과 야채실(1d)의 사이에는 수조(4a) 및 송풍기(4b), 진동자(4c) 등으로 된 가습장치(4)가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기(4b)에 고외공기 유입구(2), 야채실 공기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5)가 유입통로(2a)(5a)를 통해 연결됨과 아울러 그 송풍기(4b)가 유출통로(3a)(6a)를 통해 가습공기 유출구(3) 및 야채실 가습공기유입용 솔레노이드 밸브(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1c)과 야채실(1d) 사이의 후방 및 전방에는 냉장실(1c)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냉기유입통로(7) 및 냉기유출통로(8)가 형성되어 그 냉기유출통로(8)에 냉기순환용 솔레노이드 밸브(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습 냉장고는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고외의 습도가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는 가습장치(4)의 송풍기(4b)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진동자(4c)를 진동시켜 수조(4a)의 물을 무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송풍기(4b)가 구동됨에 따라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외 공기유입구(2) 및 그 고외 공기유입통로(2a)를 통해 송풍기(4b)로 유입된 후 그 송풍기(4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앞에서와 같이 무화된 가습입자와 함께 유출통로(3a)를 통해 가습공기 유출구(3)로 유출되어 고외의 습도를 높이게 되었다.
한편, 야채실(1d)의 습도가 낮을 경우 제어부는 야채실 공기배출용, 야채실 가습공기유입용 솔레노이드(5)(6)의 코일에 전원을 인가시켜 이들을 동작시킨다. 이때 그 야채실 공기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5) 및 야채실 가습공기유입용 솔레노이드 밸브(6)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5)(6)가 구동되어 열리고, 가습장치(4)가 구동되면, 다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야채실(1d)의 공기가 야채실 공기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5) 및 유입통로(5a)를 통해 송풍기(4b)로 유입된 후, 그 송풍기(4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진동자(4c)의 진동에 의해 무화된 가습입자와 함께 유출통로(6a) 및 야채실가습공기 유입용 솔레노이드 밸브(6)를 통해 야채실(1d)로 유입되어 그 야채실(1d)의 습도를 높이게 되므로 야채실의 음식물 신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가습 냉장고는 가습장치(4)가 냉장실(1c)내의 하단부인 야채실(1d)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가습이 야채실(1d)에만 한정된 문제점이 있다. 다만, 냉기유입통로(7) 및 냉기유출통로(8)를 통해 가습공기가 냉장실(1c)로 유출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단순 통로구조로서는 넓은 공간의 냉장실(1c)을 균일하고도 원활하게 가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고내에 가습입자를 냉기와 같이 순환시키기 위한 덕트를 갖는 냉장고의 가습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흡입공 및 토출공을 가지며 고내의 벽면에 부착되는 순환덕트, 그 순환덕트내에 설치되어 흡입공을 통해 고내의 냉기를 흡입하여 토출공을 통해 다시 토출시키는 팬과, 순환덕트내에 설치되어 팬에 의해 순환되는 냉기중에 가습입자를 분무하는 가습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고의 가습장치는 순환덕트내에 가습기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순환덕트내부 냉기의 흐름이 그 가습기에 의해 간섭되어 풍량이 저감됨은 물론 풍량이 편중되어 고내 균일, 원활한 가습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습기에 의한 순환덕트내부 순환냉기의 흐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장고 고내에 가습냉기의 순환이 보다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장고의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가습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 냉장고의 배관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습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가습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습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것으로서, 도 5a는 가습덕트 및 가습기의 평면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순환덕트 111 : 흡입공
113 : 토출공 120 : 팬
130 : 가습기 131 : 가습조
137 : 분무관 137a : 내측관
137b : 외측관 137c : 유입공
137d : 유출공 140 : 가습덕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단에 냉장고 고내와 연통된 냉기 흡입공이 형성되고 타측단에 토출공이 형성되는 순환덕트와, 그 순환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공으로 고내의 냉기를 흡입하여 토출공으로 토출시키는 팬과, 그 팬에 의해 순환되는 순환덕트내의 냉기중에 가습입자를 분무하는 가습기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가습장치에 있어서, 가습기는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공이 형성된 분무관을 가지고 순환덕트의 외부에 설치되고, 선단부가 순환덕트에 연통되고 중단부가 분무관의 유입공 및 유출공과 연통되며 후단부가 순환덕트의 토출공 외측에 위치되는 가습덕트가 그 순환덕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냉장고의 가습장치를 제공하고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무관은 하단부가 가습조와 연통되는 내측관과 외측관으로 이루어져 유입공이 그 외측관에 형성되며, 유출공이 내측관 및 외측관에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가습장치(100)를 보인 것이고, 도 5a,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가습장치(100)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이(100)는 우측단에 냉장고(101) 고내(101a)와 연통된 냉기 흡입공(111)이 형성되고 좌측단에 토출공(113)이 형성되는 순환덕트(110)와, 그 순환덕트(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공(111)으로 고내(101a)의 냉기를 흡입하여 그 토출공(113)으로 토출시키는 팬(120)과, 가습입자를 분무하는 가습기(130) 및, 그 가습기(130)의 가습입자를 순환덕트(110)의 토출공(113)까지 안내하는 가습덕트(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습기(130)는 소정량의 물이 담겨지는 가습조(131)와, 그 가습조(131)에 간헐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133)과, 가습조(13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물을 초음파로 무화시키는 진동자(135)와, 가습조(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진동자(135)에 의해 무화된 가습입자를 가습덕트(140)로 토출 안내하는 분무관(137)으로 구성되어, 순환덕트(110)의 외부에 부착 설치된다.
또한, 가습덕트(140)는 선단부가 가습기(130)의 앞에 위치되는 순환덕트(110) 일측에 연통되고, 중단부가 분무관(137)과 연통되며, 후단부가 순환덕트(110)의 토출공(113) 외부에 나란하게 위치된다.
분무관(137)의 일측에는 가습덕트(140)와 연통되는 유입공(137c)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출공(137d)이 연통 형성된다. 즉, 분무관(137)은 하단부가 가습조(131)와 연통되는 내측관(137a)과 외측관(137b)으로 이루어져 유입공(137c)이 외측관(137b)에 형성되며, 유출공(137d)이 그 내측관(137a) 및 외측관(137b)에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순환덕트(110)는 평면상에서 ㄴ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흡입공(111)은 고내(101a)의 측벽 후단에 종방향으로 다수개 분지된 선단에 관통 형성되며, 토출공(113)은 냉장고(101)의 좌측벽에 종방향으로 다수개 분지된 끝단에 관통 형성된다. 즉, 흡입공(111) 및 토출공(113)은 음식물이 놓여지는 각 선반에 위치되도록 층별로 분지되어 냉기가 고내(101a)에 균일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팬(120)은 분지된 흡입 분지통로의 흡입공(111)으로부터 균일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냉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크로스 플로어 팬으로 이루어져 종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냉장고(101)에 마련된 냉각유니트로부터 냉기가 고내(101a)로 순환되면서 음식물을 냉장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제어장치는 팬(120) 및 가습기(130)의 진동자(135)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팬(120)은 순환덕트(110)의 흡입공(111)을 통해 고내(101a)의 냉기를 흡입하게 되며, 이렇게 고내(101a)로부터 흡입된 냉기의 대부분은 토출공(113)을 통해 다시 고내(101a)로 토출된다. 그리고, 나머지 소량의 냉기는 가습덕트(140)로 유입되면서 가습기(130)의 분무관(137) 외측관(137b)에 형성된 유입공(137c)을 통해 내측관(137a) 및 외측관(137b)에 형성된 유출공(137d)을 거치면서 토출공(113) 위치로 토출된다.
또한, 진동자(135)는 진동하면서 가습조(131)내의 수중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가습수를 무화시키게 되며, 그 무화된 가습입자는 분무관(137)을 통해 가습덕트(140) 내로 순환되는 냉기에 혼합되면서 가습냉기를 형성하게 되며, 그 가습냉기는 순환덕트(110)의 토출공(113)에서 강하게 토출되는 냉기에 실려 고내(101a) 곳곳을 균일하게 흐르면서 음식물의 신선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가해진 습기의 증발에 따른 열흡수를 통해 음식물의 냉각효과를 증대시킨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가습기(130)가 순환덕트(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종래와 같은 가습기에 따른 냉기흐름의 간섭 및 이에 따른 풍량의 감소, 풍량의 편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고내에 가습냉기를 균일하게 토출 순환시킬 수 있게 되어 음식물과 가습입자를 골고루 접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습기를 순환덕트의 외부에 부착 설치함으로써 가습기에 의한 순환덕트내부 냉기 흐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고내에 균일한 가습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음식물의 신선도가 향상되도록 하여 음식물을 장기 보관할 수 있게 되며, 가습기의 분리에 따른 청소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유용성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습된 냉기의 균일한 흐름을 통해 냉장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냉장시 소요되는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일측단에 냉장고(101) 고내(101a)와 연통된 냉기 흡입공(111)이 형성되고 타측단에 토출공(113)이 형성되는 순환덕트(110)와, 상기 순환덕트(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공(111)으로 고내(101a)의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공(113)으로 토출시키는 팬(120)과, 상기 팬(120)에 의해 순환되는 순환덕트(110)내의 냉기중에 가습입자를 분무하는 가습기(130)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가습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130)는 일측에 유입공(137c)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공(137d)이 형성된 분무관(137)을 가지고 상기 순환덕트(1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순환덕트(110)에 연통되고 중단부가 상기 분무관(137)의 유입공(137c) 및 유출공(137d)과 연통되며 후단부가 상기 순환덕트(110)의 토출공(113) 외측에 위치되는 가습덕트(140)가 상기 순환덕트(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가습장치(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관(137)은 하단부가 가습조(131)와 연통되는 내측관(137a)과 외측관(137b)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공(137c)이 상기 외측관(137b)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공(137d)이 상기 내측관(137a) 및 외측관(137b)에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가습장치(100).
KR2019980010554U 1998-06-18 1998-06-18 냉장고의 가습장치 KR200000009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54U KR20000000952U (ko) 1998-06-18 1998-06-18 냉장고의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54U KR20000000952U (ko) 1998-06-18 1998-06-18 냉장고의 가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52U true KR20000000952U (ko) 2000-01-15

Family

ID=6951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554U KR20000000952U (ko) 1998-06-18 1998-06-18 냉장고의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9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8775B2 (ja) 冷蔵庫の冷気循環装置
KR20070111799A (ko) 가습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194844Y1 (ko) 냉장고의 가습 덕트
JP3674616B2 (ja) 接ぎ苗順化装置
KR20000000952U (ko) 냉장고의 가습장치
JP3647591B2 (ja) 加湿空気製造方法と、加湿空気を用いた解凍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KR102428421B1 (ko) 가습 및 수분활성도 유지 기능을 갖는 쇼케이스
JPS6029579A (ja) 冷蔵ショ−ケ−スの加湿装置
JPH0529946Y2 (ko)
KR20220007292A (ko) 냉장고
KR100382480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20000003801A (ko) 냉장고내 가습장치의 제어 방법
KR20000003800A (ko) 냉장고내 가습장치의 제어 방법
KR10037000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구조
JP3674617B2 (ja) 接ぎ苗順化装置
CN219913620U (zh) 一种冰箱冷藏室加湿装置及冰箱
CN219846485U (zh) 一种清洗机
KR0124601Y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20000005167U (ko) 냉장고의 가습 장치
KR101872606B1 (ko) 냉장고
KR200157962Y1 (ko) 냉장고용 에어커튼장치
KR20000039120A (ko)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7031747U (zh) 风冷冰箱
KR20000009521U (ko) 물통 분리형 냉장고 가습장치
JP7161886B2 (ja) 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