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120A -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120A
KR20000039120A KR1019980054360A KR19980054360A KR20000039120A KR 20000039120 A KR20000039120 A KR 20000039120A KR 1019980054360 A KR1019980054360 A KR 1019980054360A KR 19980054360 A KR19980054360 A KR 19980054360A KR 20000039120 A KR20000039120 A KR 2000003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ozone generator
turned
duct
hum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9120A/ko
Publication of KR2000003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12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6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ozone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습조 내에 오존 발생기(52)를 설치하여 오존을 가습조(11) 물에 용해시킨 오존수를 가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장실 일측벽에 오존발생장치(50), 가습기(10), 가습덕트(20) 및 팬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가습조(11)내 물속에 오존을 용해시킬 때 냉장고내 도어가 닫혀 있을시에만 오존 발생기(52)가 동작하게 되고 가습조(11)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따라 오존 농도 양을 조절해서 동작되고 물의 수위는 플로트 스위치와 연동해서 동작하도록 하였으며 오존수를 이용 가습을 하여 가습조(11)속에 남아 있는 물에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 부패 현상의 심화를 방지하고 부패에 의한 악취 요소를 제거 하고자 하는 것으로 냉장고 냉장물의 신선도 유지를 효과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refrigerator humidifiacation device using ozone w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장고 내용물(주로 과일,채소류) 신선도 유지을 위한 가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을 가습조 물에 용해시킬 수 있는 오존 발생기를 구비하여 오존수를 만들고 가습하여 냉장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장고 가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각종 음식물을 냉동, 냉장 상태로 저장하여 장시간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러한 냉장고는 냉각 유니트의 증발기를 음식물 저장공간에 설치하여 직접 열교환을 이루도록 하는 직접 냉각방식과, 증발기를 식품 저장공간으로부터 격리된 통로상에 설치하고 증발기를 통해 열교환된 냉기를 냉각팬의 송풍력을 통해 강제로 순환시켜 저장된 음식물을 냉각시키는 간접 냉각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간접 냉각식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분리벽(101)을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냉동실(110)과 냉장실(120)이 상하로 격리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냉동실(110)의 후벽에 설치된 증발기(130)에서 발생된 냉기는 팬(140)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토출유로(111)(121)를 통해 냉동실(110) 및 냉장실(120)로 순환되고 그 순환된 공기는 분리벽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냉동실(110) 및 냉장실(120)에 각각 형성된 흡입유로(113)(123)를 통해 다시 증발기(130)로 유입되는 순환 구조를 갖고 있으며, 토출유로(121)를 통한 냉장실(120)로의 냉기 유입은 냉장실(120) 온도조건에 따라 구동하는 댐퍼(125)에 의해 컨트롤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 냉장고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7-7245호에 기재된 냉장고 가습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냉장고 가습장치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냉기가 흐르는 냉기유로를 오리피스(219)구조로 하고 냉장실팬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밸브(216)를 통해 압축기의 증발명수대(215)에 의해 형성된 습기를 야채실(213)에 공급되도록 하여 야채실(213)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습조 속에 남아 있는 물에서 미생물의 번식이 되고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의 부패 현상이 심화 되며 부패에 의한 악취 요소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존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가습조 속의 물에 오존을 용해시킨 다음 오존수를 이용 가습을 하도록 하여 가습조속에 남아 있는 물에서 미생물의 번식,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의 부패 현상, 부패에 의한 악취 요소등을 억제를 하는 냉장고 가습장치 및 냉기가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구조 및 냉기 순환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 냉장고 가습장치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급속 냉각을 위한 오존 발생기가 부착된 가습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습장치의 분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어부 및 센서류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습기 11 : 가습조
11a, 17b, 20b : 체결단부 13 : 물통
15 : 진동자 17 : 분무덕트
17a : 하부 체결홈 18 : 지지판
20 : 가습덕트 20a : 상부 체결홈
25 : 브라켓 30 : 팬덕트
50 : 오존 발생장치 51 : 오존 분출관
52 : 오존 발생기 53 : 오존 발생기 팬
54 : 연결호스 55 : 분출구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진동자가 설치되는 가습조의 일측에 내부로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물통이 설치되고, 가습조의 상부에 무화된 가습입자를 모아 상부로 안내하는 하부 가습덕트가 씌워지며, 하부 가습덕트의 가습입자를 냉장실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상부 가습덕트가 하부 가습덕트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하부 가습덕트의 일측에 냉장실내의 냉기를 흡입하여 하부 가습덕트내로 주입하여 팬이 팬덕트를 통해 설치되는 냉장고 가습장치에 있어, 하부 가습덕트는 가습조의 플로트 스위치와 진동자 사이에 가습조내 물속에 오존이 버블식으로 용해되게 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가습장치 및 이러한 가습장치에 따른 냉기가습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급속 냉각을 위한 가습장치(1)를 보인 것으로서, 이 가습장치(1)는 오존 발생장치(50)와, 가습기(1)와, 가습덕트(20)와, 팬덕트(30)와, 팬(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습기(10)는 초음파 가습기(10)로서, 물이 담겨지는 가습조(11)가 냉장고의 일측벽에 브라켓(12a)으로 고정되고, 그 가습조(11)의 일측에는 누름돌기(12b)와 결합되는 급수구(13a)를 통해 물을 간헐적으로 가습조(11)에 공급하는 물통(13)이 상부로부터 안착되며, 가습조(11)의 바닥면에는 물을 초음파로 무화시키는 진동자(15)가 설치되며, 가습조(11)의 상부에는 진동자(15)에 의해 무화된 가습입자를 가습덕트(20)내로 안내하는 분무덕트(17)가 씌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가습조(11)의 일측에는 가습수위가 최저수위일 경우 진동자(15)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플로트 스위치(12c)가 설치된다.
가습덕트(20)는 후단에 하부로 절곡되어 분무덕트(17)의 상단 중심부와 연통된 유입공(21)이 형성되며, 선단에는 냉장고 도어의 포켓부(5a)와 인접 위치되는 분사공(22)이 형성된다. 이때의 분사공(22)은 팬(40)에 의해 내부로 공급되는 가습냉기를 포켓부(5a)에 집중 분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분무덕트(17)는 가습조(11)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요철 결합되고, 가습덕트(20)는 분무덕트(17)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요철 결합된다. 즉, 분무덕트(17)의 하단부에는 하부 체결홈(17a)이 상부로 요입 형성되고, 가습조(11)의 상단부에는 그 하부 체결홈(17a)과 결합되는 체결단부(11a)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가습덕트(20)의 하단부에는 상부 체결홈(20a)이 상부로 요입 형성되고, 분무덕트(17)의 상단부에는 그 상부 체결홈(20a)과 결합되는 체결단부(17b)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가습덕트(20)의 토출부에는 체결단부(20b)가 형성되고, 그 체결단부(20b)는 냉장실(3)벽에 고정된 토출단 브라켓(25)의 체결공(25a)에 의해 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토출단 브라켓(25)에는 분사공(22)을 냉장실(3)과 연통시키는 다수개의 통공(25b)이 형성된다.
분무덕트(17)에는 물통(13)의 급수구(13a)가 끼워지는 결합공(18a)을 갖는 지지판(18)이 수평상으로 형성된다. 이때의 지지판(18)은 물통(13)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물통(13)을 분무덕트(17)쪽으로 확장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팬덕트(30)는 가습기(10) 일측의 냉장실(3)벽에 브라켓(30a)을 통해 부착되어, 하단부에는 냉장실(3)과 연통된 흡입공(31)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그 가습기(10)의 분무덕트(17) 일측과 연통된 주입공(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팬(40)은 흡입공(31)을 통해 냉장실(3)내 냉기를 흡입하여 주입공(32)을 통해 분무덕트(17)내로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바닥면에 진동자(30)가 설치되는 가습조(10)의 일측에 내부로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물통(20)이 설치되고, 가습조(10)의 상부에 무화된 가습입자를 모아 상부로 안내하는 하부 가습덕트(40)가 씌워지며, 하부 가습덕트(40)의 가습입자를 냉장실(3)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상부 가습덕트(50)가 하부 가습덕트(4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하부 가습덕트(40)의 일측에 냉장실(3)내의 냉기를 흡입하여 하부 가습덕트(40)내로 주입하여 팬(60)이 팬덕트(70)를 통해 설치된다.
하부 가습덕트(40)는 상기 가습조(10)의 플로트 스위치(12c)와 진동자(15) 사이에 가습조내 물속에 오존이 버블식으로 용해되게 하는 오존발생기(50)를 설치된다. 오존 발생기(50)내에는 O2를 집어 넣을 수 있어 오존이 물속에 용해될 수 있도록 하는 도 6에 블록으로 도시된 오존 발생기 팬(60)이 장착되어 있다. 또 오존이 물속에서 퍼지고 불출되도록 원통형관으로 분출구(55)가 있는 오존분출관(51)과 오존 발생기(52)에서 오존 분출관(51)을 연결하는 연결호스(54)와 오존을 물속에 불어 넣는 오존 발생기 팬(53)이 오존 발생기(52)가 구비되어 있다.
오존 발생기(52)를 가진 가습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은 플로트 스위치와 습도센서에 의한 데이타를 분석하여 마이컴은 진동자, 가습기 팬, 오존 발생기, 오존 발생기 팬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급속 냉각을 위한 가습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온/오프" 조작되는 소정의 동작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동작이 개시되며, 이에 따른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급속 냉각이 요구되는 냉장실 도어(5)의 포켓부(5a)에 동작 스위치를 "온"시켜 가습기(10)의 진동자(15) 및 팬(40)을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의 진동자(15)는 진동을 통해 가습조(11)내의 수중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가습수를 무화시키게 되며, 이렇게 무화된 가습입자는 분무덕트(17)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팬(40)은 팬덕트(30)의 흡입공(31)을 통해 냉장실(3)의 냉기를 흡입하여 주입공(32)을 통해 분무덕트(17)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때, 분무덕트(17)로 토출되는 냉기는 가습입자와 혼합되면서 유입공(21)을 통해 가습덕트(20)내로 유입되고, 이렇게 가습덕트(20)내로 유입된 가습입자 및 냉기는 분사공(22)을 통해 포켓부(5a)로 강하게 분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도 7에 있어서, 도시된 블록도에 따라서 제어단계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장고 도어가 열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상기 도어가 열려 있지 않을 때 상기 플로트 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플로트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 오존발생기가 온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30)와 오존발생기가 오프 되었을 때 오존발생기가 오프 된시간이 30분 지났는지 판단하는 단계(S40)와 오존 발생기가 온 되었을 때 오존발생기가 온된지 시간이 15초가 지났는지 판단하는 단계(S50)와 오존발생기가 오프된지 30분이 지났는지 판단되면 오존이 온되는 단계(S60)와 오존발생기가 온된지 15초가 지나지 않았는지 판단되면 오존이 온되는 단계(S60)로 오존발생기가 오프된지 30분이 지나지 않았는지 판단되면 오존발생기가 오프되는 단계(S70)와 오존발생기가 온된지 15초가 지났는지 판단되면 오존발생기가 오프되는 단계(S70)로 오존 발생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장실 신선도를 위해 가습조의 물을 가습하는 것인데 오존발생장치를 이용 가습조속 물에 오존을 용해시킨 다음 이 오존수를 이용 가습을 하여 가습조속에 남아 있는 물에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의 부패 현상이 심화 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패에 의한 악취 요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바닥면에 진동자(30)가 설치되는 가습조(10)의 일측에 내부로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물통(20)이 설치되고, 상기 가습조(10)의 상부에 무화된 가습입자를 모아 상부로 안내하는 하부 가습덕트(40)가 씌워지며, 상기 하부 가습덕트(40)의 가습입자를 냉장실(3)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상부 가습덕트(50)가 상기 하부 가습덕트(4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가습덕트(40)의 일측에 냉장실(3)내의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부 가습덕트(40)내로 주입하여 팬(60)이 팬덕트(70)를 통해 설치되는 냉장고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습덕트(40)는 상기 가습조(10)의 플로트 스위치(12C)와 진동자(15) 사이에 가습조내 물속에 오존이 버블식으로 용해되게 하는 오존발생장치(5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오존 가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장치는 오존이 물속에서 퍼져 분출되도록 원통형관으로 분출구(55)가 형성된 오존분출관(51)과, 오존 발생기(52)에 오존분출관(51)을 연결하는 연결호스(54)와, 오존을 물속에 불어 넣는 오존 발생기 팬(5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오존 가습장치.
  3. 냉장고 도어가 열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상기 도어가 열려 있지 않을 때 상기 플로트 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플로트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 오존발생기가 온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30)와 오존발생기가 오프 되었을 때 오존발생기가 오프주기가 지났는지 판단하는 단계(S40)와 오존 발생기가 온 되었을 때 오존발생기가 온주기가 지났는지 판단하는 단계(S50)와 오존발생기가 오프주기가 지났는지 판단되면 오존이 온되는 단계(S60)와 오존발생기가 온주기가 지나지 않았는지 판단되면 오존이 온되는 단계(S60)로 오존발생기가 오프주기가 지나지 않았는지 판단되면 오존발생기가 오프되는 단계(S70)와 오존발생기가 온주기가 지났는지 판단되면 오존발생기가 오프되는 단계(S70)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냉기가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는 오존발생기가 오프 되었을 때 오존발생기가 오프 된시간이 30분 지났는지 판단하며, 상기 단계(S50)는 오존 발생기가 온 되었을 때 오존발생기가 온된지 시간이 15초 지났는지 판단하며, 상기 단계(S60)는 오존발생기가 오프된지 30분 지났는지 판단되면 오존이 온되고, 오존발생기가 온된지 15초가 지나지 않았는지 판단되면, 오존이 온되며, 상기 단계(S70)는 오존발생기가 오프된지 30분이 지나지 않았는지 판단되면 오존발생기가 오프되고, 오존발생기가 온된지 15초가 지났는지 판단되면 오존발생기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냉기가습 방법.
KR1019980054360A 1998-12-11 1998-12-11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39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60A KR20000039120A (ko) 1998-12-11 1998-12-11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60A KR20000039120A (ko) 1998-12-11 1998-12-11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120A true KR20000039120A (ko) 2000-07-05

Family

ID=1956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360A KR20000039120A (ko) 1998-12-11 1998-12-11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91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9813A (zh) * 2013-07-05 2015-01-14 Bsh博世和西门子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存放区域和用于调节存放区域中的环境湿度的加湿设备的家用制冷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9813A (zh) * 2013-07-05 2015-01-14 Bsh博世和西门子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存放区域和用于调节存放区域中的环境湿度的加湿设备的家用制冷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5995A (zh) 具有消毒器的冰箱
JP2006118825A (ja) 冷蔵庫
KR100610296B1 (ko) 냉장고
JP7145004B2 (ja) 貯蔵庫
KR20000039120A (ko)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28421B1 (ko) 가습 및 수분활성도 유지 기능을 갖는 쇼케이스
JP2006105404A (ja) 冷蔵庫
CN110966816B (zh) 一种湿度可调的制冷装置
KR200194844Y1 (ko) 냉장고의 가습 덕트
KR200203291Y1 (ko)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KR20000000951U (ko) 냉장고의 음료수 급속 냉각장치
KR100451351B1 (ko) 냉장고
KR20000003801A (ko) 냉장고내 가습장치의 제어 방법
KR20000026881A (ko) 냉장고의 도어 포켓 냉각을 위한 가습장치
KR20000003835U (ko) 냉장고 음료수 급속 냉각을 위한 가습장치
KR20000005168U (ko) 냉장고 음료수 급속 냉각을 위한 가습장치
KR200239642Y1 (ko) 가변토출블레이드를가진냉장고의가습장치
JP7161885B2 (ja) 貯蔵庫
JP7161886B2 (ja) 貯蔵庫
KR20000000952U (ko) 냉장고의 가습장치
KR200157962Y1 (ko) 냉장고용 에어커튼장치
KR20000003800A (ko) 냉장고내 가습장치의 제어 방법
KR20000005167U (ko) 냉장고의 가습 장치
JPH042385Y2 (ko)
KR20000009521U (ko) 물통 분리형 냉장고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