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291Y1 -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291Y1
KR200203291Y1 KR2019980017559U KR19980017559U KR200203291Y1 KR 200203291 Y1 KR200203291 Y1 KR 200203291Y1 KR 2019980017559 U KR2019980017559 U KR 2019980017559U KR 19980017559 U KR19980017559 U KR 19980017559U KR 200203291 Y1 KR200203291 Y1 KR 200203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cation
vegetable
duct
tank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435U (ko
Inventor
박형은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7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29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4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2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습조내 진동자의 초음파발생에 의해 무화된 가습입자를 야채실로 분무하는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습조의 상부로 뻗으면서 소정높이에서 하부로 구부러진 가습덕트 조립체의 하단부에 야채실내로 내입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진동자로부터 무화된 가습입자가 구부러진 부위를 통해 야채실로 안내되도록 하고, 가습조의 일측에 팬덕트를 통해 냉장실의 공기를 가습조의 내부로 주입하는 팬을 설치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습시 진동자로부터 튀겨지는 물방울이 가습덕트 조립체의 형상 및 팬의 설치구조에 의해 야채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야채실에 물이 유입되어 고임에 따른 야채의 부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humidification device of refrigerator vegetable-storeroom)
본 고안은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조의 진동자 상부에 위치되는 가습덕트 조립체가 소정높이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져 수평 덕트를 이루고 다시 야채실로 직각으로 구부러진 구부러진 상태로 야채실에 연결하고 가습조의 일측에 팬덕트를 통해 팬을 설치함으로써 가습시 진동자로부터 튀겨지는 물방울이 가습덕트 조립체를 따라 야채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나 음료 등의 음식물을 냉장시키는 냉장고는 밀폐상태의 고내에 냉각 시스템의 증발기에 의한 냉기를 순환시켜 음식물을 저온에서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고내는 상기와 같이 밀폐되어 쉽게 건조됨에 따라 특히 야채실에 저장된 야채의 그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없으므로 고내의 가습이 필연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 냉장고내의 건조상태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내를 가습하는 가습장치가 개발되었는 바, 이러한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1-134호에 기재된 가습 냉장고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습 냉장고는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1)의 냉장실 도어(101a)와 야채실 도어(101b)의 사이에 고외공기 유입구(102) 및 가습공기 유출구(103)가 형성되어 있고, 냉장실(101c)과 야채실(101d)의 사이에는 수조(104a) 및 송풍기(104b), 진동자(104c) 등으로 된 가습장치(104)가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기(104b)에 고외공기 유입구(102), 야채실 공기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05)가 유입통로(102a)(105a)를 통해 연결됨과 아울러 그 송풍기(104b)가 유출통로(103a)(106a)를 통해 가습공기 유출구(103) 및 야채실 가습공기유입용 솔레노이드 밸브(10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101c)과 야채실(101d) 사이의 후방 및 전방에는 냉장실(101c)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냉기유입통로(107) 및 냉기유출통로(108)가 형성되어 그 냉기유출통로(108)에 냉기순환용 솔레노이드 밸브(10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습 냉장고는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고외의 습도가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는 가습장치(104)의 송풍기(104b)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진동자(104c)를 진동시켜 수조(104a)의 물을 무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송풍기(104b)가 구동됨에 따라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외 공기유입구(102) 및 그 고외 공기유입통로(102a)를 통해 송풍기(104b)로 유입된 후 그 송풍기(104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앞에서와 같이 무화된 가습입자와 함께 유출통로(103a)를 통해 가습공기 유출구(103)로 유출되어 고외의 습도를 높이게 되었다.
한편, 야채실(101d)의 습도가 낮을 경우 제어부는 야채실 공기배출용, 야채실 가습공기유입용 솔레노이드(105)(106)의 코일에 전원을 인가시켜 이들을 동작시킨다. 이때 그 야채실 공기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05) 및 야채실 가습공기유입용 솔레노이드 밸브(106)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105)(106)가 구동되어 열리고, 가습장치(104)가 구동되면, 다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야채실(101d)의 공기가 야채실 공기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105) 및 유입통로(105a)를 통해 송풍기(104b)로 유입된 후, 그 송풍기(104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진동자(104c)의 진동에 의해 무화된 가습입자와 함께 유출통로(106a) 및 야채실가습공기 유입용 솔레노이드 밸브(106)를 통해 야채실(101d)로 유입되어 그 야채실(101d)의 습도를 높이게 되므로 야채실의 음식물 신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가습 냉장고는 진동자(104c)의 진동에 의한 초음파 가습시 미세화된 물입자 외의 큰 물방울을 수조(104a) 밖으로 튀기게 되는데, 수조(104a)와 야채실(101d)을 연결하는 통로상에는 수조(104a)에서 튀겨져 야채실(101d)로 유입되는 물방울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수조(104a)에서 튀겨진 물방울은 차단되지 못한 채 유출통로(106a)를 통해 야채실(101d)로 흘러들어 바닥에 고임으로써 야채실(101d)내의 야채가 과도하게 물에 젖게 하여 야채의 선도를 저하시키거나 심한 경우 야채를 부패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97-22136호에 기재된 냉장고 야채실의 초음파 가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야채실의 초음파 가습장치는 제상수 배수관(203)을 통해 배수되는 제상수를 저장하기 위한 수통(206)과, 그 수통(206)내의 소정부분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제상수로 인한 물의 파동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207)과, 그 격벽(207)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08)와, 그 수위센서(208)에 의해 물이 일정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유입된 물을 진동시켜 무화상태의 가습입자를 발생시키는 진동자(209)와, 그 진동자(209)에 의해 발생된 가습입자를 야채실(201)로 안내하는 토출관(21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상수를 이용하는 야채실의 가습장치 수통(206)과 야채실(201)을 연결하는 유출통로(106a)상에 수통(206)으로부터 튀겨져 야채실(201)로 유입되는 물방울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수통(206)에서 튀겨진 물방울은 그대로 유출통로(106a)를 통해 야채실로 흘러들어 바닥에 고임으로써 야채실(201)내의 야채가 과도하게 물에 젖게 하여 야채의 선도를 저하시키거나 심한 경우 야채를 부패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습시 진동자로부터 튀겨지는 물방울이 야채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채실내로 유입된 물의 고임에 따른 야채의 부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야채실 가습을 위한 냉장고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 냉장고의 배관도
도 4는 종래 제상수를 이용하는 야채실의 가습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습덕트 조립체의 상단부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가습가습덕트 조립체의 수평덕트 경사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습장치 3 : 냉장실
5 : 야채실 10 : 가습조
20 : 진동자 30 : 물통
40 : 가습덕트 조립체 41 : 제1 덕트
42 : 수평덕트 43 : 제2 수직덕트
43a, 47a : 토출구 50 : 팬덕트
60 : 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초음파에 의해 무화된 가습입자를 야채실로 분무하는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에 있어서, 야채실의 상부에 위치되어 내부에 소정수위의 물이 담겨지는 가습조와, 상기 가습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물을 초음파로 무화시키는 진동자와, 상기 가습조의 상부로 뻗고 다시 소정높이에서 수평덕트를 구비하여 하부로 구부러지며 하단부에 상기 야채실내로 내입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자로부터 무화된 가습입자를 상기 토출구로 분출 안내하는 가습덕트 조립체와, 팬덕트를 통해 상기 가습조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냉장실의 공기를 상기 가습조의 내부로 주입하는 팬을 포함하는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를 제공하고자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1)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가습장치(1)는 가습조(10)와, 진동자(30)와, 가습덕트 조립체(40)와, 팬(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습조(10)는 야채실(5)의 상부의 냉장실(3) 일측벽에 다수개의 브라켓(17)을 통해 고정되며, 소정수위의 물이 담겨지게 된다. 그 가습조(10) 일측의 물통받이(11)에는 누름돌기(13)에 눌려지는 급수구(21)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간헐적으로 가습조(10)내로 공급하는 물통(20)이 상부로부터 안착된다.
또한, 가습조(10)의 일측에는 가습수위가 최저수위일 경우 진동자(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플로트 스위치(15)가 설치된다. 그 플로트 스위치(15)는 상,하부에 리드 스위치가 내장되며 가습조(10)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세워지는 안내기둥(15a)과, 그 안내기둥(15a)의 외주면에 끼워져 가습조(10)의 수위를 따라 승강되면서 원근적으로 이접됨에 따라 각 리드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자성체가 내설된 부구(15b)로 구성된다.
진동자(30)는 가습조(10)의 바닥면 중심에 설치되며, 고주파 발생장치(31)에 의해 진동되면서 가습조(10)에 채워진 물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무화된 가습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가습덕트 조립체(40)는 가습조(10)의 상부에 연통된 상태로 상부로 뻗는 제1 수직덕트(41)와, 그 제1 수직덕트(41)의 소정높이에 연동되게 수평으로 뻗는 수평덕트(42)와, 제1 수직덕트(41)가 연결된 타측의 수평덕트 일단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제1 수직덕트와 360°하부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하단부에 야채실(5)의 측면부 전후방향으로 따라 구부러지며 그 구부러진 부위에 야채실(5)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토출구(43a)가 균일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덕트(43)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습덕트 조립체(40)의 수평덕트(42)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수직덕트(41)로부터 제2 수직덕트(43)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형으로 형성된다. 가습조(10) 바닥면으로부터 제1 수직덕트(41)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진동자(30)에 의해 튀겨진 물이 올라오지 못하는 높이 즉 약 15 ~ 20 cm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습덕트 조립체(40)의 제1 수직덕트(41)는 진동자(30)의 직상부에 위치되지 않고 가습조(10)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며, 제2 수직덕트(43)는 제1 수직덕트(41)에 요철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수직덕트(43)의 하측 끝단은 토출구(47a)를 갖는 토출단 브라켓(47)에 전후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팬(60)은 가습조(10)의 일측에 위치되는 팬덕트(50)에 설치되며, 이 팬덕트(50)는 냉장실(3)과 연통되는 흡입구(51)가 형성되며 타측에 가습조(10)와 연통되는 주입구(5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팬(60)은 팬덕트(50)의 흡입구(51)를 통해 냉장실(3)의 냉기를 흡입하여 주입구(53)를 통해 가습조(10)에 송풍함으로써, 가습조(10)내의 무화된 가습입자가 가습덕트 조립체(40)를 통해 야채실(5)로 토출되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냉장실 도어이고, 65는 팬(60)을 구동시키는 팬모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야채실(5) 가습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온/오프" 조작되는 소정의 동작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동작이 개시되거나, 야채실(5) 습도검출에 따른 소정 제어수단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경우를 살펴보면, 우선 제어수단은 야채실(5)에 설치되는 소정의 습도센서를 통해 야채실(5)의 습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습도가 임계치보다 낮을 경우 고주파 발생장치(31)를 통해 진동자(30) 및 팬(60)을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의 진동자(30)는 진동을 통해 가습조(10)내의 수중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가습수를 무화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되는 팬(60)은 팬덕트(50)의 흡입구(51)를 통해 냉장실(3)의 냉기를 흡입하여 주입구(53)를 통해 가습조(10)내로 주입하게 된다. 이렇게 가습조(10)내로 주입되는 냉기는 가습입자와 같이 가습덕트 조립체(40)의 제1 수직덕트(41), 수평덕트(42), 제2 수직덕트(43)를 거쳐 토출구(43a)(47a)를 통해 야채실(5)로 유입되어 그 야채실(5)의 습도를 높이게 되므로 야채실(5)의 음식물 신선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위에서와 같은 야채실(5)의 가습과정에서, 진동자(30)의 진동에 의해 가습조(10)로부터 상부로 튀겨지는 물방울은 가습덕트 조립체(40)의 제1 수직덕트(41) 최상단까지 튀어 오르지 못하고 다시 가습조(10)로 떨어지게 되며, 특히 최상단까지 다다르단 해도 수평덕트(42)의 경사를 지나지 못하므로 가습조(10)로 다시 떨어지게 된다. 또한, 팬(60)은 직접적으로 가습덕트 조립체(40)에 연결되지 않고 팬덕트(50)를 통해 가습조(10)에 연결됨으로써 진동자(30)에 의해 튀겨진 물방울이 강한 송풍력으로 인해 제2 수직덕트(4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가습시 미세화상태의 가습입자만이 팬(60)의 송풍력에 의해 가습덕트 조립체(40)의 제1 수직덕트(41)의 상단부까지 도달되어 제2 수직덕트(43)를 통해 야채실(5)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습덕트 조립체(40)의 제2 수직덕트(43)에 형성된 토출구(43a) 및 브라켓(47)의 토출구(47a)는 야채실(5)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야채실(5)내를 보다 균일하게 가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습덕트 조립체의 구부러진 구조와 가습덕트 조립체에 설치되는 팬을 이용하여 가습시 진동자로부터 튀겨지는 물방울이 가습덕트 조립체를 따라 야채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야채실내 유입된 물의 고임에 따른 야채의 부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가습냉기를 일정간격을 갖는 토출구를 통해 야채실내로 분무함으로써 균일한 가습냉기의 분포 및 순환에 의해 야채실내 야채의 신선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초음파에 의해 무화된 가습입자를 야채실(5)로 분무하는 냉장고 야채실(5) 가습장치에 있어서, 야채실(5)의 상부에 위치되어 내부에 소정수위의 물이 담겨지는 가습조(10)와, 상기 가습조(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물을 초음파로 무화시키는 진동자(30)와, 상기 가습조(10)의 상부로 뻗는 제1 수직덕트(41)의 소정높이에서 수평덕트(42)와 연통되고 그 수평덕트(42)의 일측단에 야채실(5)까지 하부로 뻗는 제2 수직덕트(43)가 연통되며 그 제2 수직덕트(43)의 하단부에 상기 야채실(5)내로 내입되는 토출구(43a)(47a)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자(30)로부터 무화된 가습입자를 상기 토출구(43a)(47a)로 분출 안내하는 가습덕트 조립체(40)와, 팬덕트(50)를 통해 상기 가습조(10)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냉장실(3)의 공기를 상기 가습조(10)의 내부로 주입하는 팬(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야채실(5) 가습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5)과 연통되는 가습덕트 조립체(40)의 토출구(43a)(47a)는 야채실(5)의 전후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덕트(42)는 상기 제1 수직덕트(41)로부터 상기 제2 수직덕트(43) 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KR2019980017559U 1998-09-15 1998-09-15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KR200203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559U KR200203291Y1 (ko) 1998-09-15 1998-09-15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559U KR200203291Y1 (ko) 1998-09-15 1998-09-15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35U KR20000006435U (ko) 2000-04-15
KR200203291Y1 true KR200203291Y1 (ko) 2000-12-01

Family

ID=1953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559U KR200203291Y1 (ko) 1998-09-15 1998-09-15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2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35U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85772B (zh) 冰箱以及冷却装置
KR101180598B1 (ko)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JPH11101538A (ja) 冷蔵庫
US4630451A (en)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JPH0842960A (ja) 冷蔵庫用野菜貯蔵室加湿装置
KR200203291Y1 (ko) 냉장고 야채실 가습장치
KR100661836B1 (ko) 냉장고 및 그 가습방법
KR20070111799A (ko) 가습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7145004B2 (ja) 貯蔵庫
KR200194844Y1 (ko) 냉장고의 가습 덕트
CN212870380U (zh) 一种宽温区宽湿区的储物柜
KR20000039120A (ko) 오존수를 이용한 냉장고내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140243B2 (ja) 気化式加湿装置
KR20000009521U (ko) 물통 분리형 냉장고 가습장치
KR20220023588A (ko) 가습 및 수분활성도 유지 기능을 갖는 쇼케이스
JP5426254B2 (ja) 冷蔵庫
KR20000003801A (ko) 냉장고내 가습장치의 제어 방법
JP3180183B2 (ja) 穀粉生地の発酵庫
CN110966816A (zh) 一种湿度可调的制冷装置
KR20000005167U (ko) 냉장고의 가습 장치
KR20000000952U (ko) 냉장고의 가습장치
KR20000003800A (ko) 냉장고내 가습장치의 제어 방법
KR0133332B1 (ko) 냉장고의 야채실 가습장치
KR20000026881A (ko) 냉장고의 도어 포켓 냉각을 위한 가습장치
KR0147904B1 (ko) 제상수를 이용한 냉장고 야채실의 초음파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