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022A - 하수구의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의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022A
KR20000000022A KR1019990012390A KR19990012390A KR20000000022A KR 20000000022 A KR20000000022 A KR 20000000022A KR 1019990012390 A KR1019990012390 A KR 1019990012390A KR 19990012390 A KR19990012390 A KR 19990012390A KR 20000000022 A KR20000000022 A KR 20000000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guide
sewer
prevention devic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4270B1 (ko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이기화, 권문수
주식회사 매직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36371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80087630A/ko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화, 권문수, 주식회사 매직코리아 filed Critical 이기화, 권문수
Priority to KR101999001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27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몸체내로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의 부력에 의해 역류 방지구가 자동으로 열려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부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역류 방지구가 자동으로 닫혀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며, 특히 장마철에 하수구로 하수 및 폐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하수구에 고정 설치되는 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2차 걸름망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 가이드가 마련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삽입 설치되며, 부력 및 자중에 의해 가이드를 따라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며,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와 연동하여 그 역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몸체의 기밀유지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로 구성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Over flow protection apparatus for drainage}
본 발명은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부력과 수압에 의해 부구와 역류방지구가 상호 역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몸체의 저부를 자동으로 열고 닫아주어 원활한 배수는 물론, 각종 악취 및 하수나 폐수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관(11)의 상부에 걸름구(12)가 설치되고, 상기 원통관(11)의 내측 하부에는 걸림턱(13)를 원통관(11)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시켰으며, 상기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13)의 일측에는 돌기(14)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돌기(14)에는 이 돌기(14)를 관통하는 축(15)이 설치되고, 이 축(15)의 양 단부에는 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댐퍼(16)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댐퍼(16)의 저면과 원통관(11)의 내측면에는 비틀림 스프링(17)을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10)는 상기 원통관(11)내에 하수나 폐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비틀림 스프링(17)의 장력에 의해 댐퍼(16)가 걸림턱(13)에 접촉된 상태 즉 닫혀진 상태가 되고, 상기 원통관(11)내에 하수나 폐수가 유입되면, 상기 유입되는 하수나 폐수의 수압에 의해 댐퍼(16)가 걸림턱(13)으로부터 이격 되면서 열리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원통관(11)내로 유입되는 하수나 폐수의 배수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기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10)의 장기간 사용으로 비틀림 스프링(17)의 장력이 와해되거나 부식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면 댐퍼(16)의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어 하수구(60)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나 하수 및 폐수의 역류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종래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10)는 댐퍼(16)의 열리고 닫힘이 비틀림 스프링(17)의 장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상기 댐퍼(16)와 걸림턱(13)과의 접촉력 즉 기밀성이 부족하여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기에는 미흡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10) 외에도 종래에는 하수구(60)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 및 하수나 폐수의 역류방지를 위한 다양한 구성의 역류 방지장치가 제공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악취와 하수 및 폐수의 역류방지 기능을 동시에 보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악취 또는 하수 및 폐수의 역류방지 기능 중 어느 한가지 기능만을 보유한 경우에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래 기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하수 및 폐수의 배수방향과 악취와 하수 및 폐수의 역류 유입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선택적인 개폐작동을 위해서는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되지만, 작동의 신뢰성이 확보되려면 통상 그 구성이 대단히 복잡해지므로 고가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상기 복잡한 구성을 갖는 역류 방지장치는 가정하수에 포함된 불순물, 예를 들면 음식찌꺼기 등에 의해 막히게 됨으로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악취와 하수 역류방지라는 원래의 목적은 상실되며, 이에 따라 악취로 인한 실내,외 오염 및 특히 장마철에는 하수 및 폐수 역류로 인한 침수 등의 피해사레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구로의 배수시에는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에 의해 부구가 상승하면서 개폐판이 하강하여 기밀 유지부를 열어줌으로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부구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이와 동시에 개폐판이 상승하여 기밀 유지부를 닫아줌으로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며, 특히 장마철에 하수구로 하수 및 폐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를 하수구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가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가 역류방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도 5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작용상태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상태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다른 상태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결합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 다른 상태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작용상태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몸체 21 : 외통체
22 : 연장부 23 : 단턱
24,25 1차 및 2차 걸름망 26 : 내통체
27 : 기밀 유지부 28 : 탄성체
29 : 안착부
3030a : 가이드부재 31,31a : 가이드
32 : 가이드 홈 33 : 회전체
34 : 지지구 35 : 고정구
36 : 물배수부
4040a : 개폐구 작동부재 41,41a : 부구
42 : 중량체 43 : 관통공
44 : 래크 45 : 가이드 수용부
50,50a : 개폐부재 51 : 이동바
52 : 래크 53 : 고정구
54,54a : 역류 방지구 55,55a : 개폐판
56 : 탄성체 57 : 걸이구
58 : 가이드 홈 59 : 피동체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수구에 고정설치되는 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2차 걸름망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 가이드가 마련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삽입 설치되며, 부력 및 자중에 의해 가이드를 따라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며,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와 연동하여 그 역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몸체의 기밀유지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내측 하부에 기밀 유지부가 형성된 내통체와, 하부에 연장부가 형성된 외통체를 상호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였고, 또한 가이드부재는, 내부에 한쌍의 회전체가 설치된 가이드가 2차 걸름망의 중앙에 마련되고, 이 가이드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을 형성시켰다.
또한 상기 개폐구 작동부재는, 가이드를 따라 승강하도록 내측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부구마련되고, 이 부구의 내부에는 중량체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의 저부 양측에는 래크를 형성시켰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부 양측에 래크가 형성되고, 하부에 고정구가 형성된 이동바와, 개폐판이 마련되고, 이에 탄성체를 설치 하여서된 역류 방지구를 상호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한 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는 하수구에 고정 설치되는 통형의 몸체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 가이드가 마련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며, 부력 및 자중에 의해 가이드를 따라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며,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와 연동하여 그 역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몸체의 하단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내부에 회전체가 설치된 가이드가 중앙에 마련되고, 저부에는 가이드를 지지해주는 지지구가 형성된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의 내부에는 물배수부를 형성시켰고, 상기 개폐구 작동부재는, 내부에 중량체가 구비되고, 내측 중앙에 가이드 수용부가 마련된 부구와, 저부 양측에 래크가 형성되고, 상부에 고정구가 형성된 이동바를 상호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내측 양면에 래크가 형성되고, 전후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피동체와, 저부에 개폐판이 마련되고, 이 개폐판의 상부에 걸이구가 형성된 역류 방지구를 상호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작용상태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하수구(60)에 고정 설치되는 통형의 몸체(20)중 내통체(26)는 내측 하부에 탄성체(28)가 설치된 기밀 유지부(27)가 내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체(26)의 상부와 나사결합 되는 외통체(21)는 하부 외주연에는 소정의 폭으로 연장부(22)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내통체(26)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는 나사부를 형성시키며, 내측 상부에는 1차 및 2차 걸름망(24)(25)이 설치되는 각각의 단턱(23)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몸체(20) 즉 외통체(21)과 내통체(26)는 각각의 나사부에 의하여 체결되기 때문에 분해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2차 걸름망(25)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30)는, 가이드(31)가 통형으로 되어있고, 상기 가이드(31)의 하부 양측에는 가이드 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한쌍의 회전체(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형의 가이드(31)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개폐구 작동부재(40)는, 부력에 의해서 뜨고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는 부구(41)로 이루어지며, 이 부구(41)의 내측 중앙에는 가이드(3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공(43)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43)의 저부 양측에는 회전체(33)와 치합되는 래크(44)가 형성되며, 상기 부구(41)의 내부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4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형의 가이드(31)내에 상부가 삽입되어 승강하는 개폐부재(50)는, 상부 양측에 회전체(33)와 치합되는 래크(5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소정의 너비를 갖는 고정구(53)가 형성된 이동바(5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53)의 저부에는 개폐판(55)이 마련되고, 이 개폐판(55)은 탄성체(56)를 씌워서 된 역류방지구 (54)를 형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폐부재(50)는 고정구(53)와 역류 방지구(54)를 볼트 등을 이용하여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상태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 다른 상태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다른 상태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결합 단면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 다른 상태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작용상태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몸체(20)는 저부에 소정의 폭으로 연장부(22)가 형성된 외통체(21)의 내주면과 내통체(26)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부를 형성시켜 이를 상호 체결함으로써 분해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내측 상부에는 각각의 단턱(23)을 형성시켜 이에 1차 및 2차 걸름망(24)(25)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설치함으로써 2중의 걸름망을 형성함과 동시에 분해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기밀 유지부(27)의 상부에는 가이드부재(30a)가 안착되는 안착부(29)가 형성되고, 상기 기밀 유지부(27)의 원주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탄성체(28)를 설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20)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29)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부재(30a)는, 이 가이드부재(30a)의 중앙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가이드(31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31a)의 중앙부는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0a)는 몸체(20)의 안착부(29)에 안착되는 고정구(35)가 몸체(2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31a)와 고정구(35)의 연결은 지지구(34)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구(35)와 지지구(34)의 사이에는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물배수부(3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31a)의 내부에는 상호 나란하게 정,역회전 가능한 회전체(33)를 설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구 작동부재(40a) 구성 중 부구(41a)는, 부구(41a) 자체가 소정의 무개를 갖도록 내부에 중량체(42)를 구비시켜 부구(41a) 자중에 의해서는 내려가고 부력에서는 뜰 수 있을 정도의 무개가 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부구(41a)의 내부에는 가이드(31a)를 수용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수용부(45)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부구(41a)는 중량체(42)가 설치된 부위를 기점으로 분해결합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의 설치방법은 억지 끼워마춤 하였다.
또한 상기 가이드 수용부(45)에는 상부에 가이드 수용부(45)와 체결되는 고정구(53)가 형성되고, 이 고정구(53)의 하부에는 가이드(31a)내에 설치된 회전체(33)와 치합되어 이 회전체(33)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래크(52)가 형성된 이동바(51)를 형성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20) 하단부 즉 기밀 유지부(27)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50a)는, 가이드(31a)에 수용되어 상하슬라이딩 되며, 내부 양측에는 회전체(33)와 치합되는 래크가 형성되고, 이의 저부에는 걸이구(57)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에는 동일크기의 가이드 홈(58)이 형성된 피동체(59)가 마련되어 있다.
단 상기 가이드 홈(58)은 피동체(59)가 상하로 이동할 때에 회전체(33)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축의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피동체(59)의 하단부에는 개폐판(55a)이 마련되며, 이 개폐판(55a)의 상부 중앙에는 상단부가 절곡된 각각의 걸이구(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구(57)는 가이드(31a)내에 삽입되면서 걸이구(57)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곡부분이 피동체(59)의 내부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되어있다.
단 상기 개폐판(55a)의 원주면에는 기밀 유지부(27)와 접촉시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원주면에 탄성체(56)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적용범위는 지하에 도랑 형태로 형성된 하수구에 한정하지 않고, 주방의 씽크대 배수구나 배란다의 배수구 및 기타 물과 기름이 입,출하는 모든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몸체(20)의 형상은 도면에서 표현된 원통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하수구(60)의 설치개소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가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를 통하여 하수구(60)로 배수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6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단면도와 도 7a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작용상태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내에 하수 및 폐수가 유입되면 이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의 부력에 의해서 부구(41)가 상부로 뜨게된다.
따라서 상기 부구(41)의 상승과 함께 관통공(43)의 양측에 형성된 래크(44)에 의해 가이드(31)내에 설치된 각각의 회전체(33)가 회전을 하게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체(33)의 내측에 치합된 이동바(51)의 래크(52)에 의해 이동바(51)가 하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바(51)의 저부에 형성된 고정구(53)와 체결된 역류 방지구(54)가 기밀 유지부(27)로부터 이격 되어 몸체(20)의 하부를 열어줌으로서, 상기 몸체(20)내에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가 하수구(60)로 원활하게 배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20)내로 유입된 하수 및 폐수가 하수구(60)로 배수 될 때에는 상기 배수되는 하수 및 폐수가 기밀 유지부(27)로부터 이격된 역류 방지구(54)의 상면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수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부력과 수압이 더해져 역류 방지구(54)을 기밀 유지부(27)로부터 완전하게 이격시켜 준다.
따라서 몸체(20)내로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는 하수구(60)로의 배출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단 본 발명의 몸체(20)상부 내측에 1차 및 2차 걸름망(24)(25)을 설치하여 걸름망을 2중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하수 및 폐수에 수용되어 들어는 각종 이물질을 모두 걸러주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가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 및 하수나 폐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상태를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배수가 되지 않는 상태 즉 몸체(20)내로 하수나 폐수가 유입되지 않게 되면 부구(41)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이때 부구(41)내에 형성된 래크(44)에 의해 가이드(31)내에 설치된 각각의 회전체(33)가 회전을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부구(41)의 하강과함께 관통공(43)의 양측에 형성된 래크(44)에 의해 가이드(31)내에 설치된 각각의 회전체(33)가 역 회전을 하게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체(33)의 내측에 치합된 이동바(51)의 래크(52)에 의해 이동바(51)가 상승을 하게된다.
그러므로 상기 기밀 유지부(27)와 이격되어 있던 역류 방지구(54)가 기밀 유지부(27)의 원주면에 긴밀히 접촉되어 몸체(20)의 저부를 닫아준다. 따라서 하수구(60)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 또는 해충의 역류를 방지함은 물론, 하수나 폐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장마철 등에 하수 및 폐수가 범람하여 하수구(60)로 역류하게 될 때에는 상기 범람하려고 하는 하수 및 폐수가 역류 방지구(54)의 하면 즉 개폐판(55)을 상부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상기 밀어 올리는 수압에 의해 역류 방지구(54)가 기밀 유지부(27)에 더욱더 긴밀히 접촉되어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단 본 발명의 기밀 유지부(27)에 설치된 탄성체(28)와 개폐판(55)에 설치된 탄성체(56)는 상기 역류 방지구(54)가 기밀 유지부(27)에 접촉시 접촉력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 역류방지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상태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가 배수되는 상태를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몸체(20)내에 하수 및 폐수가 유입되면 이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의 부력에 의해 부구(41a)가 상부로 뜨게된다. 따라서 상기 부구(41a)가 상부로 뜸과 동시에 부구(41a)와 연결 설치된 이동바(51)가 부구(41a)와 함께 상부로 따라 올라가면서 가이드(31a)내에 설치된 회전체(33)가 래크(44)에 의해 회전을 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가이드(31a)내에 설치된 회전체(33)가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체(33)의 외측에 치합된 래크에 의해 피동체(59)가 하방으로 내려간다. 따라서 상기 피동체(59)와 연결설치된 개폐판(55a)이 기밀 유지부(27)로부터 이격 되어 몸체(20)의 하부를 열어줌으로 상기 몸체(20)내에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가 하수구(60)로 원활하게 배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20)내에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가 하수구(60)로 배수 될 때에 상기 배수되는 하수 및 폐수가 기밀 유지부(27)로부터 이격된 개폐판(55a)의 상면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수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부력과 수압이 더해져 개폐판(55)을 기밀 유지부(27)로부터 완전하게 이격시켜 준다.
따라서 몸체(20)내에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는 하수구(60)로의 배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단 본 발명의 몸체(20)상부 내측에 1차 및 2차 걸름망(24)(25)을 설치하여 걸름망을 2중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수 및 폐수에 수용되어 들어는 각종 이물질을 모두 걸러주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상태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가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 및 하수나 폐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상태를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가 되지 않는 상태 즉 몸체(20)내로 하수나 폐수가 유입되지 않게 되면 부구(41a)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부구(41a)와 연결설치 된 이동바(51)가 부구(41a)와 함께 하부로 내려가면서 가이드(31a)내에 설치된 회전체(33)와 치합된 래크(52)에 의해 상기 회전체(33)가 회전을 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가이드(31a)내에 설치된 각각의 회전체(33)가 회전을 하면 상기 각각의 회전체(33) 외측면에 치합된 래크에 의해 피동체(59)가 상부로 올라온다. 따라서 상기 기밀 유지부(27)와 이격되어 있던 개폐판(55a)이 피동체(59)의 상부 이동과 함께 따라 올라오면서 개폐판(55a)의 원주면과 기밀 유지부(27)의 원주면이 긴밀히 접촉되어 몸체(20)의 저부를 차단시켜 준다.
그러므로 하수구(60)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 또는 해충 등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장마철 등에 하수 및 폐수가 범람하여 하수구(60)로 역류하게 될 때에는 상기 범람하려고 하는 하수 및 폐수가 개폐판(55a)의 하면을 상부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상기 밀어 올리는 수압에 의해 개폐판(55a)이 기밀 유지부(27)에 더욱더 긴밀히 접촉되어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단 본 발명의 기밀 유지부(27)에 설치된 탄성체(28)와 개폐판(55a)의 원주면에 설치된 탄성체(56)는 상기 개폐판(55a)이 기밀 유지부(27)에 접촉시 접촉력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 역류방지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는 배수를 원활하게 시킬 수 있음으로 종래에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발생하는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 및 해충 등을 차단하여 줌으로서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마철에 하수 및 폐수 역류로 인한 침수 등의 피해로부터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하수구(60)에 고정 설치되는 통형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위치하는 2차 걸름망(25)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 가이드(31)가 마련된 가이드부재(30)와; 상기 가이드부재(30)에 삽입 설치되며, 부력 및 자중에 의해 가이드(31)를 따라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40)와; 상기 가이드부재(30)의 내부에 마련되며,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40)와 연동하여 그 역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몸체(20)의 기밀유지부(27)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는, 내측 하부에 기밀 유지부(27)가 형성된 내통체(26)와, 하부에 연장부(22)가 형성된 외통체(21)를 상호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재(30)는, 내부에 한쌍의 회전체(33)가 설치된 가이드(31)가 2차 걸름망(24)의 중앙에 마련되고, 이 가이드(31)의 양측에는 가이드 홈(32)을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 작동부재(40)는, 가이드(31)를 따라 승강하도록 내측 중앙에 관통공(43)이 형성된 부구(41)마련되고, 이 부구(41)의 내부에는 중량체(42)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43)의 저부 양측에는 래크(44)를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0)는, 상부 양측에 래크(52)가 형성되고, 하부에 고정구(53)가 형성된 이동바(51)와, 개폐판(55)이 마련되고, 이에 탄성체(56)를 설치 하여서된 역류 방지구(54)를 상호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6. 하수구(60)에 고정 설치되는 통형의 몸체(20)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 가이드(31a)가 마련된 가이드부재(30a)와; 상기 가이드부재(30a)의 상부에 마련되며, 부력 및 자중에 의해 가이드(31a)를 따라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40a)와; 상기 가이드부재(30a)의 하부에 마련되며, 승강되는 개폐구 작동부재(40a)와 연동하여 그 역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몸체(20)의 하단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50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0a)는, 내부에 회전체(33)가 설치된 가이드(31a)가 중앙에 마련되고, 저부에는 가이드(31a)를 지지해주는 지지구(34)가 형성된 고정구(35)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35)의 내부에는 물배수부(36)를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 작동부재(40a)는, 내부에 중량체(42)가 구비되고, 내측 중앙에 가이드 수용부(45)가 마련된 부구(41a)와, 저부 양측에 래크(52)가 형성되고, 상부에 고정구(53)가 형성된 이동바(51)를 상호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0a)는, 내측 양면에 래크가 형성되고, 전후면에 가이드 홈(58)이 형성된 피동체(59)와, 저부에 개폐판(55a)이 마련되고, 이 개폐판(55a)의 상부에 걸이구(57)가 형성된 역류 방지구(54a)를 상호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19990012390A 1998-09-03 1999-04-08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030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390A KR100304270B1 (ko) 1998-09-03 1999-04-08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371 1998-09-03
KR1019980036371A KR19980087630A (ko) 1998-09-03 1998-09-03 하수구의 악취 및 하수역류 차단장치
KR1019990012390A KR100304270B1 (ko) 1998-09-03 1999-04-08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022A true KR20000000022A (ko) 2000-01-15
KR100304270B1 KR100304270B1 (ko) 2001-09-26

Family

ID=2663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390A KR100304270B1 (ko) 1998-09-03 1999-04-08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27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5150A2 (en) * 2001-05-24 2002-11-28 Jong-Sun Kim Drainage apparatus
KR100643345B1 (ko) * 2004-01-10 2006-11-10 박정열 기밀을 유지하는 배수장치
EP1849163A2 (en) * 2005-02-11 2007-10-31 Holtec International, Inc. Manifold system for the ventilated storage of high level wast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store high level waste in a below-grade environment
WO2010067909A1 (en) * 2008-12-11 2010-06-17 Jong Sun Kim Roof drain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the reek of sewage and backwater
US8718220B2 (en) 2005-02-11 2014-05-06 Holtec International, Inc. Manifold system for the ventilated storage of high level wast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store high level waste in a below-grade environment
US9001958B2 (en) 2010-04-21 2015-04-07 Holtec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laiming energy from heat emanating from spent nuclear fuel
US10332642B2 (en) 2009-05-06 2019-06-25 Holtec International Apparatus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0005041A (zh) * 2019-04-29 2019-07-1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地漏
US11569001B2 (en) 2008-04-29 2023-01-31 Holtec International Autonomous self-powered system for removing thermal energy from pools of liquid heated by radioactive materials
KR102624104B1 (ko) * 2023-02-01 2024-01-11 주식회사 페트리코스완 하수구 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293B1 (ko) 2005-03-14 2007-09-06 이상각 악취유출 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
KR100775441B1 (ko) * 2006-10-16 2007-11-12 (주)케이지엔지니어링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
KR101050057B1 (ko) * 2008-12-05 2011-07-19 공병철 악취방지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5150A3 (en) * 2001-05-24 2007-11-15 Jong-Sun Kim Drainage apparatus
WO2002095150A2 (en) * 2001-05-24 2002-11-28 Jong-Sun Kim Drainage apparatus
KR100643345B1 (ko) * 2004-01-10 2006-11-10 박정열 기밀을 유지하는 배수장치
US10614924B2 (en) 2005-02-11 2020-04-07 Holtec International Manifold system for the ventilated storage of high level wast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store high level waste in a below-grade environment
EP1849163A4 (en) * 2005-02-11 2012-06-13 Holtec International Inc COLLECTOR SYSTEM FOR HIGH-ACTIVITY WASTE STORAG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STORE HIGH-ACTIVITY WASTE IN A SUBTERRANEAN ENVIRONMENT
US8718220B2 (en) 2005-02-11 2014-05-06 Holtec International, Inc. Manifold system for the ventilated storage of high level wast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store high level waste in a below-grade environment
US9761339B2 (en) 2005-02-11 2017-09-12 Holtec International, Inc. Manifold system for the ventilated storage of high level wast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store high level waste in a below-grade environment
EP1849163A2 (en) * 2005-02-11 2007-10-31 Holtec International, Inc. Manifold system for the ventilated storage of high level wast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store high level waste in a below-grade environment
US11264142B2 (en) 2005-02-11 2022-03-01 Holtec International Manifold system for the ventilated storage of high level wast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store high level waste in a below-grade environment
US11569001B2 (en) 2008-04-29 2023-01-31 Holtec International Autonomous self-powered system for removing thermal energy from pools of liquid heated by radioactive materials
WO2010067909A1 (en) * 2008-12-11 2010-06-17 Jong Sun Kim Roof drain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the reek of sewage and backwater
US10332642B2 (en) 2009-05-06 2019-06-25 Holtec International Apparatus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001958B2 (en) 2010-04-21 2015-04-07 Holtec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laiming energy from heat emanating from spent nuclear fuel
US10418136B2 (en) 2010-04-21 2019-09-17 Holtec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reclaiming energy from heat emanating from spent nuclear fuel
CN110005041A (zh) * 2019-04-29 2019-07-1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地漏
KR102624104B1 (ko) * 2023-02-01 2024-01-11 주식회사 페트리코스완 하수구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4270B1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7678B2 (ja) 下水溝の逆流防止装置
KR100304270B1 (ko)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US6318397B1 (en) Side port floor drain
CA1127501A (en) Anti-backflow valve for sewer traps
KR100734610B1 (ko)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0875473B1 (ko) 하수 악취 및 역류 방지용 바닥 배수장치
CA2450304C (en) Check valve floor drain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200395192Y1 (ko) 역류차단기
KR200350016Y1 (ko) 기밀을 유지하는 배수장치
KR200409407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20090048527A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 및 유해가스 배출 장치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200333411Y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163755Y1 (ko) 하수역류및악취차단장치
KR20010078950A (ko) 악취차단 및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100645883B1 (ko) 공동주택용 하수파이프 역류방지구
KR200422006Y1 (ko)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KR920007353Y1 (ko) 악취 유입 방지겸용 배수 파이프 연결구
KR19990068779A (ko) 하수및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30026197A (ko) 침수지역의 역류수 방지장치
KR200388665Y1 (ko)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