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779A - 하수및악취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및악취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779A
KR19990068779A KR1019990023105A KR19990023105A KR19990068779A KR 19990068779 A KR19990068779 A KR 19990068779A KR 1019990023105 A KR1019990023105 A KR 1019990023105A KR 19990023105 A KR19990023105 A KR 19990023105A KR 19990068779 A KR19990068779 A KR 19990068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ole
valve
backflow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이기화, 권문수
주식회사 매직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화, 권문수, 주식회사 매직코리아 filed Critical 이기화, 권문수
Priority to KR101999002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8779A/ko
Publication of KR1999006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779A/ko
Priority to KR1019990039533A priority patent/KR100322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heck Valv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하수의 배수시에는 개폐밸브가 자동으로 열려 배수되게하고, 하수가 배수되지 않을때에는 개폐밸브가 자동으로 닫혀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장마철에 하수 및 폐수의 역류로 인한 침수 등의 피해로부터 방지함은 물론,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서 쾌적한 생활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상부의 단턱과 하부의 경사면이 마련된 통형의 몸체와; 내부중앙에 보스가 마련된 걸름망과; 몸통의 중간부 양면에 각각의 회전기어를 받아들이기 위한 한쌍의 회전기어홈이 마련된 센타고정폴과; 상기 센타고정폴을 받아들이기 위해 형성된 중공의 양측면에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작동되는 랙이 상호마주보게 마련되고 내부에 중량체를 구비한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기어를 매개체로 랙에 결합되는 양면랙을 갖는 작동폴과; 상기 경사면에 접하게될 연질의 밸브시트가 플레이트상에 형성된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Over flow protection apparatus for drainage}
본 발명은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하수의 배수시에는 몸체내로 유입되는 하수의 수압과 부력에 의해 작동체가 상승하여 이와 역으로 작동하는 개폐밸브가 몸체의 하부를 열어주도록 하고,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작동체와 개폐밸브의 작동이 역으로 이루어져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체(74)와 내통체(71)가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70)를 마련하고 이 몸체(70)의 상부에는 단턱(76,77)을 마련하여 이에 각각의 걸름망(80)(81)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내통체(71)의 상단에 설치된 걸름망(80)의 저면 중앙에는 한쌍의 회전체(83)가 설치된 가이드(82)가 걸름망(80)과 일체로 마련되고 이 가이드(82)에는 중량체(86)가 구비되고 관통공(87)의 내부에 상기 회전체(83)와 치합되는 랙(88)가 형성된 부구(85)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회전체(83)가 설치된 가이드(82)의 내부에는 상부에 회전체(83)와 치합되는 랙(91)이 형성되고, 하부에 고정구(92)가 형성된 이동바(90)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92)의 저부에는 프레이트(94)와 고무시트(95)가 일체로이루어진 개폐판(93)이 볼트(96)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는 몸체(70)내로 하수 및 폐수가 유입되면 이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의 수압에 의해 부구(85)는 상부로 뜨게되고 이와 동시에 관통공(87)에 형성된 랙(88)이 가이드(82)내에 설치된 회전체(83)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83)의 사이에 끼워진 랙(91)은 회전체(83)의 회전과 함께 하방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이동바(9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92)와 체결된 개폐판(93)이 기밀 유지부(72)로부터 이격 되어 몸체(70)의 하부를 열어줌으로서 상기 몸체(70)내에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는 하수구로 배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수압에 의해 떠있던 부구(85)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82)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때 부구(85)의 관통공(87)내에 형성된 랙(88)은 가이드(82)에 설치된 각각의 회전체(83)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체(83)의 사이에 끼워진 이동바(90)의 랙(91)을 상승시킴으로서 기밀 유지부(72)와 이격되어 있던 개폐판(93)이 기밀 유지부(72)의 원주면에 긴밀히 접촉되어 몸체(70)의 저부를 닫아준다. 따라서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 또는 해충의 역류를 방지함은 물론, 하수나 폐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는 몸체(70)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내측 하부에 기밀유지부(72)가 마련된 내통체(71)의 상부 외주연에 나선부(73)을 형성시키고 이에 내측하부에 나선부(73)가 마련되고 외측에 연장부(75)가 마련된 외통체(74)를 나사결합 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몸체(70)는 내통체(71)와 외통체(74)로 나누어지고 또한 그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나선부(73)를 마련해야하기 때문에 제작상의 어려움과 제조비 증가로 인한 판매단가의 상승요인이 되었고 또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름망(80)의 저면 중앙에 마련된 가이드(82)는 상기 걸름망(8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제작후에도 정확성이 떨어져 부구(85) 및 개폐판(93)의 작동에 민첩성을 기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의 배수시에는 몸체내로 유입되는 하수의 수압과 부력에 의해 작동체가 상승하여 이와 역으로 작동하는 개폐밸브가 몸체의 하부를 열어주도록 하고,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작동체와 개폐밸브의 작동이 역으로 이루어져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장마철에 하수 및 폐수의 역류로 인한 침수 등의 피해로부터 방지함은 물론,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서 쾌적한 생활환경을 누릴 수 있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구 역류 방지장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단면도로서 배수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단면도로서 역류방지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몸체 11,12 : 단턱
13 : 경사면 20 : 걸름망
21 : 보스 30 : 센타고정폴
31 : 회전기어홈 32 : 회전기어
33 : 축 34 : 축안착홈
40 : 작동체 41 : 중공
42 : 랙 43 : 중량체
44 : 커버 50 : 작동폴
51 : 양면랙 52 : 나사체결홈
60 : 개폐밸브 61 : 밸브시트
62 : 플레이트 63 : 나사
64 : 실링턱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부의 단턱과 하부의 경사면이 마련된 통형의 몸체와; 상기 단턱에 삽입안착되어 고정되며 내부중앙에 보스가 마련된 걸름망과; 상기 보스에 끼워마춤되며 몸통의 중간부 양면에 각각의 회전기어를 받아들이기 위한 한쌍의 회전기어홈이 마련된 센타고정폴과; 상기 센타고정폴을 받아들이기 위해 형성된 중공의 양측면에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작동되는 랙이 상호마주보게 마련되고 내부에 중량체를 구비한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의 중공부내에 위치하는 센타고정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체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기어를 매개체로 랙에 결합되는 양면랙을 갖는 작동폴과; 상기 작동폴 하단의 나사체결홈에 나사로 체결되며 상기 경사면에 접하게될 연질의 밸브시트가 플레이트상에 형성된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단면도로서 배수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단면도로서 역류방지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도로서,
본 발명은 하수구에 고정 설치되는 통형의 몸체(10)는 내측 상부에 보스(21)가 마련된 걸름망(20)과 이 걸름망의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걸름망(22)이 삽입안착되는 각각의 단턱(11,12)이 마련되어있어 이에 상기 보스(21))가 마련된 걸름망(20)과 보조걸름망(22)을 순서대로 삽입안착시킨 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걸름망(20)의 내부 중앙에 마련된 보스(21)에는 센타고정폴(30)의 상부가 억지 끼워마춤되고 상기 센타고정폴(30)의 중앙부 양측에는 각각의 회전기어(32)를 받아들이기 위한 한쌍의 회전기어홈(31)이 마련되어 이에 상기 회전기어(32)가 회전가능하게 삽입안착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회전기어홈(31) 양측에는 축안착홈(34)이 마련되어 이에 회전기어(32)의 양측에 형성된 축(33)이 안착됨으로 상기 회전기어(32)는 회전기어홈(31)에 안전하게 고정됨은 물론 원할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타고정폴(30)에는 작동체(4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41)이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중공(41)의 내부에는 양측으로 상호마주보도록 랙(42)이 형성되어 이 랙(42)과 센타고정폴(30)에 안착된 회전기어(32)의 외측이 치합된다. 따라서 작동체(40)의 상하이동에 따라 회전기어(32)가 회전을 하게된다.
한편 상기 작동체(40)의 내부에는 중량체(43)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커버(44)가 끼워마춤 되어있다.
또한 상기 센타고정폴(30)의 내부에는 양면랙(51)이 마련된 작동폴(50)이 삽입되는데 상기 작동폴(50)의 상부에 마련된 양면랙(51)은 회전기어(32)의 사이에 끼워져 양면랙(51)과 회전기어(32)의 내측이 치합된다.
또한 나사체결홈(52)이 마련된 작동폴(50)의 하단에는 개폐밸브(60)가 나사(63)로 체결되는데 상기 개폐밸브(60)는 플레이트(62)를 감싸는 고무재 등으로된 연질의 밸브시트(61)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폴(5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연질의 밸브시트(61) 중앙부는 상기 작동폴(50)의 하단부가 플레이트(62)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연질의 밸브시트(61)로 실링턱(64)를 마련하였다. 이는 작동폴(50)의 하단부와 밸브시트(61)간의 견고한 체결력과 실링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적용범위는 지하에 도랑 형태로 형성된 하수구에 한정하지 않고, 주방의 씽크대 배수구나 배란다의 배수구 및 기타 물과 기름이 입,출하는 모든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몸체(10)의 형상은 도면에서 표현된 원통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하수구의 설치개소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하수나 폐수가 하수구로 배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몸체(10)내에 하수 및 폐수가 유입되면 이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들은 보조걸름망(22) 및 걸름망(20)을 통하여 걸러지고 상기 하수 및 폐수만 몸체(10)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 및 폐수가 몸체(10)내로 유입되게 되면 이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의 수압 과 부력에 의해서 작동체(40)가 상부로 뜨게되고, 이와동시에 중공(43)의 양측에 형성된 랙(42)에 의해 센타고정폴(30)에 설치된 각각의 회전기어(32)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체(33)의 내측에 치합된 랙(51)에 의해 작동폴(50)이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폴(50)의 하단부에 체결된 개폐밸브(60)가 작동폴(50)의 하강과 함께 하부로 내려가면서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13)이 열리게되어 이로 상기 몸체(10)내로 유입되 들어오는 하수 및 폐수가 원할하게 배수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하수나 악취의 역류 방지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몸체(10)내로 하수나 폐수의 유입이 끝나면 상기 하수나 폐수의 수압 및 부력에 의해서 작동체(40)가 상부로 부상하였던 것이 작동체(40)내에 구비되어 있는 중량체(43)에 의해 하강하면서 이와동시에 중공(43)의 양측에 형성된 랙(42)에 의해 센타고정폴(30)에 설치된 각각의 회전기어(32)가 배수되는 과정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체(33)의 내측에 치합된 랙(51)에 의해 작동폴(50)이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폴(50)의 하단부에 체결된 개폐밸브(60)가 작동폴(50)의 상승과 함께 상승하면서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13)에 개폐밸브(60)의 밸브시트(61)가 긴밀히 접촉되어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수구등에서 발생하는 하수의 역류는 물론 각종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특히 하수구를 통하여 하수가 역류하고자 개폐밸브(60)의 저부에 접근하게되면 상기 접근된 하수가 개폐밸브(60)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역확을 하게됨으로 상기 개폐밸브(60)와 경사면(13)의 기밀성은 더욱 강해져 하수의 역류는 물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는 하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킴과 아울러 하수구로부터 발생하는 하수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서 장마철에 하수 및 폐수 역류로 인한 침수 등의 피해로부터 방지함은 물론,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서 쾌적한 생활환경을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의 단턱(11,12)과 하부의 경사면(13)이 마련된 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단턱에 삽입안착되어 고정되며 내부중앙에 보스(21))가 마련된 걸름망(20)과; 상기 보스에 끼워마춤되며 몸통의 중간부 양면에 각각의 회전기어(32)를 받아들이기 위한 한쌍의 회전기어홈(31)이 마련된 센타고정폴(30)과; 상기 센타고정폴을 받아들이기 위해 형성된 중공(41)의 양측면에 상기 회전기어(32)와 맞물려 작동되는 랙(42)이 상호마주보게 마련되고 내부에 중량체(43)를 구비한 작동체(40)와; 상기 작동체의 중공부내에 위치하는 센타고정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체(40)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기어(32)를 매개체로 랙(42)에 결합되는 양면랙(51)을 갖는 작동폴(50)과; 상기 작동폴 하단의 나사체결홈(52)에 나사(63)로 체결되며 상기 경사면(13)에 접하게될 연질의 밸브시트(61)가 플레이트상(62)에 형성된 개폐밸브(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악취역류 방지장치.
KR1019990023105A 1999-06-19 1999-06-19 하수및악취역류방지장치 KR19990068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05A KR19990068779A (ko) 1999-06-19 1999-06-19 하수및악취역류방지장치
KR1019990039533A KR100322479B1 (ko) 1999-06-19 1999-09-15 하수 역류 및 악취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05A KR19990068779A (ko) 1999-06-19 1999-06-19 하수및악취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779A true KR19990068779A (ko) 1999-09-06

Family

ID=5475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105A KR19990068779A (ko) 1999-06-19 1999-06-19 하수및악취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87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14Y1 (ko) * 2008-05-23 2010-07-23 (주)와콘엔지니어링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102294410B1 (ko) * 2020-05-19 2021-08-25 심재우 기능성 주방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14Y1 (ko) * 2008-05-23 2010-07-23 (주)와콘엔지니어링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102294410B1 (ko) * 2020-05-19 2021-08-25 심재우 기능성 주방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7678B2 (ja) 下水溝の逆流防止装置
KR100875473B1 (ko) 하수 악취 및 역류 방지용 바닥 배수장치
CA1127501A (en) Anti-backflow valve for sewer traps
JP2010530484A (ja) 下水道管路逆流防止装置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100304270B1 (ko)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9990068779A (ko) 하수및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409407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200453545Y1 (ko)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200273523Y1 (ko) 건축물에서 부력을 이용한 유해가스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0388665Y1 (ko) 배수구
KR200434582Y1 (ko) 좌변기용 전동식 물내림 장치
KR200221928Y1 (ko) 하수 및 악취역류 방지장치
KR20080028006A (ko) 좌변기용 전동식 물내림 장치
KR200260320Y1 (ko) 체크밸브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0284881Y1 (ko)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KR20070045620A (ko) 맨홀의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JP3010933U (ja) 浮標式自動開閉落水器
KR200200903Y1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