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881Y1 -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 Google Patents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881Y1
KR200284881Y1 KR2020020013433U KR20020013433U KR200284881Y1 KR 200284881 Y1 KR200284881 Y1 KR 200284881Y1 KR 2020020013433 U KR2020020013433 U KR 2020020013433U KR 20020013433 U KR20020013433 U KR 20020013433U KR 200284881 Y1 KR200284881 Y1 KR 200284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drainage
odor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탁
Original Assignee
오은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탁 filed Critical 오은탁
Priority to KR2020020013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881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을 통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에 관한 것이고, 내부의 공간부(11)로부터 상부로 개방되고 공간부(11) 하부 중앙에는 배수구멍(12)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배수구멍과 연속되는 바닥면은 하부로 함몰된 부상유도공간부(14)로 형성된 배수유도관(1)과, 상면이 돔형상으로 되고 저면이 경사면(21)으로된 원추형으로 되어 상기 경사면(21)이 상기 배수구멍(12)에 삽입되어 있는 개폐부재(2)와, 배수유도관(1)의 상부에 결합된 스크린(3)을 포함하며, 개폐부재의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하수관으로부터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고 배수유도관을 통하여 하수가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개폐부재의 경사면에 작용되는 역수압과 개폐부재 자체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가 부상되어 배수구멍을 개방함으로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Preventive tool of Counter current bad smell for a sewer pipe}
본 고안은 하수관을 통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세척용이나 세탁용으로 이용된 후 배출되는 하수는 대부분의 경우 하수관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이동된다.
그런데 하수관을 통하는 악취는 하수관 내의 압에 의해 가정으로 역류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경우 가정에서 하수관으로 통하는 입구에는 악취 역류방지구를 설치한다.
종래의 역류방지구로는 많은 종류의 것들이 제공되어 있고 이것들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배수되는 물의 일부를 "U"형으로 구부려 형성한 배수관의 도중에 항상 머물도록 하는 것에 의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종래의 악취 역류방지구들은 그 구조가 극히 간단하지 못한 것일 뿐만 아니라 특히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배수통로가 막혀 하수의 배수를 방해하게 되는 것이므로 배수자체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제공된 악취 역류방지구로는 배수시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가 배수구멍으로부터 부상하여 배수구멍을 개방하는 플로트식의 것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것의 경우는 배수시 개폐부재가 적절한 시기에 정확히 부상하여 배수구를 개방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그 구조가 극히 간단하면서도 이물질에 의해 배수통로가 막힐 우려가 없고 하수관을 통한 악취의 역류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구의 작동상태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구의 작동상태단면도
도 4, 5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악취 역류방지구의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배수유도관 --- 11. 공간부, 12. 배수구멍, 13, 13'. 가이드판
14. 부상유도공간부
2, 2', 2". 개폐부재 --- 21. 경사면, 22. 무게추
3. 스크린 --- 31. 배수구멍
4. 배수유도판
PT1, PT2 --- 악취 역류방지구
100. 배수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는, 내부의 공간부로부터 상부로 개방되고 공간부 하부 중앙에는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배수구멍과 연속되는 바닥면은 하부로 함몰된 부상유도공간부로 형성된 배수유도관과, 상면이 돔형상으로 되고 저면이 경사면으로된 원추형으로 되어 상기 경사면이 상기 배수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개폐부재와, 배수유도관의 상부에 결합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개폐부재의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하수관으로부터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고 배수유도관을 통하여 하수가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개폐부재의 경사면에 작용되는 역수압과 개폐부재 자체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가 부상되어 배수구멍을 개방함으로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있다.
배수유도관(1)은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11) 하부 중앙의 바닥에는 원형의 배수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간부(11)의 내벽에는 뒤에 설명하는 개폐부재(2)의 수직 승,하강을 가능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가이드판(13)은 배수되는 물의 원활함을 위하여 공간부(11)의 내벽에 3개 또는 4개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구멍(12)과 연속하는 바닥면은 하부로 함몰된 부상유도공간부(14)로 형성되어, 공간부(11)의 측방향으로 흐르는 물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부재(2)를 부상토록 되어 있다.
배수유도관(1)의 공간부(11) 내에는 배수구멍(12)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2)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개폐부재(2)는 낙하하는 물로부터 저항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상면이 돔 형상으로 되고 저면이 경사면(21)으로 된 원추형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비교적 비중이 크면서도 부유성인 물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2)는 경사면(21)이 배수구멍(12)에 삽입되어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배수구멍(12)을 폐쇄하고 있다. 이때, 물의 배수시 개폐부재(2)의 부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개폐부재(2)의 경사면(21)은 배수구멍(12) 상단, 즉 함몰된 부상유도공간부(14)의 내측면(14a)에 선 접촉시킴으로써 접촉단면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부재(2)의 내측 저면 중심부에는 개폐부재(2)가 흔들림이 없이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며 항상 균형을 유지하도록 무게추(22)를 형성한다.
배수유도관(1)의 상부 개방측에는 다수의 배수구멍(31)을 구비하고 있는 스크린(3)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린(3)의 하부 중앙에는 배수되는 물을 배수유도관(1)의 부상유도공간부(14)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수유도판(4)이 고정되어 있다. 배수유도판(4)은 하향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이룬 돔 형상으로 그 중앙이 스크린(3)과 볼트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 둘레로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측으로부터 다량의 물이 흘렀을 때 너무 많은 양의 물이 옆쪽으로 튀어 분산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악취 역류방지구(PT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과 연결된 배수관(10O)에 배수유도관(1)을 결합함과 함께 스크린(3)은 하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악취 역류방지구(PT1)는 하수가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폐부재(2)가 중력에 의해 배수유도관(1)의 배수구멍(12)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상태에 의해 악취의 역류가 방지된다. 그리고 바닥으로부터 배수유도관(1) 내로 하수가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하수가 배수유도관(1)의 배수유도공간부(14)로 낙하하고 개폐부재(2)의 경사면(21)에 상측으로 작용하는 물의 역수압과 개폐부재 자체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2)가 부상되어 배수유도관(1)의 배수구멍(12)을 개방함으로서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구의 작동상태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구(PT2)는 배수유도관(1)의 공간부(11)에 형성된 가이드판(13')이 물의 흐름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는 경사체로 되어 있다. 이때 각 가이드판(13')의 내측에 구비되는 개폐부재(2)는 와류에 의한 회전이 용이토록 가이드판(13')과 약간의 유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며 밑으로 배수되는 하수는 개폐부재(2)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서 개폐부재(2)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음식물찌꺼기 등)의 탈락을 가능하게 하여 개폐부재(2)에 의한 배수구멍(12)의 폐쇄를 확실하게 하고, 추후 개폐부재(2)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소제(掃除)작업의 번거러움이 없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잇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2")의 형상을 구형 또는 원형판의 형상으로 변형할 수도 있는 것이고 이러한 변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본 고안의 악취 역류방지구는 하수가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폐부재가 그 중력에 의해 배수유도관의 배수구멍을 폐쇄함으로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또 하수가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가 부상되어 배수유도관의 배수구멍을 개방함으로서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하수의 배수시 개폐부재가 회전되게 함으로서 개폐부재의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탈락을 가능하게 하여 개폐부재에 의한 배수구멍의 폐쇄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극히 간단한 것이므로 저가에 공급할 수 있으며 또 이물질에 의해 배수통로가 막힐 우려 없이 하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내부의 공간부(11)로부터 상부로 개방되고 공간부(11) 하부 중앙에는 배수구멍(12)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배수구멍과 연속되는 바닥면은 하부로 함몰된 부상유도공간부(14)로 형성된 배수유도관(1)과, 상면이 돔형상으로 되고 저면이 경사면(21)으로된 원추형으로 되어 상기 경사면(21)이 상기 배수구멍(12)에 삽입되어 있는 개폐부재(2)와, 배수유도관(1)의 상부에 결합된 스크린(3)을 포함하며, 개폐부재의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하수관으로부터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고 배수유도관을 통하여 하수가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개폐부재의 경사면에 작용되는 역수압과 개폐부재 자체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가 부상되어 배수구멍을 개방함으로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배수유도관(1)의 내벽면에는 개폐부재(2)의 수직 승강을 가능하게 하고 물의 흐름을 하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판(13)을 일체로 형성하며 스크린(3)의 하부에는 배수되는 물을 부상유도공간부(14)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돔형의 배수유도판(4)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개폐부재(2)의 경사면(21)은 배수구멍(12) 상단, 즉 함몰된 부상유도공간부(14)의 내측면(14a)에 접촉단면을 최소화하도록 선접촉시키며, 개폐부재(2)의 내측 저면 중심부에는 개폐부재(2)가 흔들림이 없이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며 항상 균형을 유지하도록 무게추(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가이드판(13')은 물의 흐름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는 경사체로 되어 배수시 와류되는 물에 의해 개폐부재(2)를 회전시켜 그 외면의 이물질을 탈락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KR2020020013433U 2002-05-02 2002-05-02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KR200284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33U KR200284881Y1 (ko) 2002-05-02 2002-05-02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33U KR200284881Y1 (ko) 2002-05-02 2002-05-02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881Y1 true KR200284881Y1 (ko) 2002-08-07

Family

ID=7307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433U KR200284881Y1 (ko) 2002-05-02 2002-05-02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88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70A (ko) * 2002-08-30 2002-10-30 김주식 공기방취배수구
KR20030066510A (ko) * 2003-07-04 2003-08-09 김하용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악취차단구조
KR100816514B1 (ko) 2007-08-08 2008-03-24 (주)한신엔지니어링 건천방지를 위한 매설하수관
KR100877703B1 (ko) 2005-09-27 2009-01-19 민승기 하수 역류 방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70A (ko) * 2002-08-30 2002-10-30 김주식 공기방취배수구
KR20030066510A (ko) * 2003-07-04 2003-08-09 김하용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악취차단구조
KR100877703B1 (ko) 2005-09-27 2009-01-19 민승기 하수 역류 방지구
KR100816514B1 (ko) 2007-08-08 2008-03-24 (주)한신엔지니어링 건천방지를 위한 매설하수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873B1 (ko) 부유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KR200284881Y1 (ko)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200405829Y1 (ko) 악취 방지용 맨홀뚜껑
KR20220099216A (ko) 배수트랩
KR200409407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10172249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90050293A (ko) 소변기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200257186Y1 (ko) 악취방지용 부표가 장착된 배수트랩
KR20160081050A (ko) 플로우트 볼을 갖는 일자형 배수트랩 및 이를 구비한 싱크대
KR200260320Y1 (ko) 체크밸브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200218232Y1 (ko)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KR101101235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170022309A (ko)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트랩
KR20200117377A (ko) 배수가 원활한 하수도 악취방지 장치
KR20140036804A (ko) 부력을 이용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
CN211621821U (zh) 一种带有主副止回阀的新型下水管道
KR200380589Y1 (ko) 부력체를 이용한 역류방지밸브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100005037U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