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441B1 -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441B1
KR100775441B1 KR1020060100171A KR20060100171A KR100775441B1 KR 100775441 B1 KR100775441 B1 KR 100775441B1 KR 1020060100171 A KR1020060100171 A KR 1020060100171A KR 20060100171 A KR20060100171 A KR 20060100171A KR 100775441 B1 KR100775441 B1 KR 10077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collection tank
hole
cut
flowing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0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집수정의 상부를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유입을 위해 설치한 스틸그레이팅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 형상의 몸체 상부에 스틸그레이팅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하수관과 배수관이 형성되어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나 일반 도로의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정에 있어서,
상기 스틸그레이팅과 단턱 사이에 안착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연결바가 돌출형성된 안착프레임;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설치고정되며,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 양측에 상기 스틸그레이팅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관;
상기 집수정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안착프레임과 단턱 사이에 개재할 수 있도록 연결리브가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가이드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질의 합성수지재질을 갖는 차수판;
상기 통공의 인접한 상,하부에서 각각 볼트체결되며, 내측에 상기 통공과 연통관계를 갖는 개구공이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관계를 이루어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결합공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링체;
역류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관을 통해 승강이동하여 상기 배수공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측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중공부가 형성된 링형부구 및
상기 링형부구가 상기 가이드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수나사부를 갖는 체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걸림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수정, 하수관, 스틸그레이팅, 차수판, 링형부구

Description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ROAD DRAINER FOR PREVENTION OF FLOWING BACKWARD}
도 1은 종래 집수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의 설치관계를 예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틸그레이팅 100 : 집수정
110 : 안착프레임 120 : 가이드관
130 : 차수판 140 : 링체
150 : 링형부구 160 : 걸림구
본 발명은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정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집수정의 상부를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유입을 위해 설치한 스틸그레이팅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정은 가정이나 상가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수나 일반도로의 빗물 등을 집수하여 하천 등으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즉, 건축단지 또는 일반도로에는 엘형측구 사이에 다수개의 배수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 박스에 집수정을 설치하여 하천 등으로 배수처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집수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집수정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10)가 마련되어 있고, 그 몸체(10)에는 각 가정이나 상가, 도로의 집수구 등과 연결된 하수관(3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에는 집수된 하수가 하수처리장을 거쳐 하천으로 배수되도록 배수관(40)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몸체(10)은 그 상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도로상의 이물질은 차단하고 빗물은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통공(21)이 형성된 스틸그레이팅(20)이 안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집수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장마철과 같은 집중호우시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스틸그레이팅을 통해 역류하여 도로침수 및 이에 따른 침수지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집중호우시 하수처리장의 하수는 우수와 합쳐져 빠른 속도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수처리장에서 증가하는 하수의 양만큼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 집수정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집수정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집수정의 상부를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유입을 위해 설치한 스틸그레이팅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박스 형상의 몸체 상부에 스틸그레이팅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하수관과 배수관이 형성되어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나 일반 도로의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정에 있어서,
상기 스틸그레이팅(20)과 단턱 사이에 안착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연결바가 돌출형성된 안착프레임;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설치고정되며,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 양측에 상기 스틸그레이팅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관;
상기 집수정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안착프레임과 단턱 사이에 개재할 수 있도록 연결리브가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가이드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질의 합성수지재질을 갖는 차수판;
상기 통공의 인접한 상,하부에서 각각 볼트체결되며, 내측에 상기 통공과 연통관계를 갖는 개구공이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관계를 이루어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결합공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링체;
역류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관을 통해 승강이동하여 상기 배수공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측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중공부가 형성된 링형부구 및
상기 링형부구가 상기 가이드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수나사부를 갖는 체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걸림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의 설치관계를 예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 수 집수정(100)은 안착프레임(110), 가이드관(120), 차수판(130), 한 쌍의 링체(140), 링형부구(150) 및 걸림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프레임(110)은 상기 스틸그레이팅(20)과 단턱 사이에 안착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연결바(112)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112)와 연결바(112) 사이에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관(120)은 그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 양측에 상기 스틸그레이팅(20)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공(1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120)의 하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25)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차수판(130)은 그 외주면에 연결리브(131)가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가이드관(12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공(133)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공(133)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13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수판(130)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링체(140)는 상기 통공(133)과 인접한 상,하부에서 각각 볼트(B)에 의해 체결되며, 내측에 상기 통공(133)과 연통관계를 갖는 개구공(141)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관통공(135)과 연통관계를 이루는 결합공(143)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형부구(150)는 역류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관(120)을 통해 승강이동하여 상기 배수공(123)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측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중공부(15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구(160)는 그 외주면에 걸림턱(161)이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체결관(163)이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관(163)은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165)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단턱의 상부에 상기 차수판(130)의 연결리브(131)를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연결리브(131)의 상부에 안착프레임(110)과 스틸그레이팅(20)을 순차적으로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차수판(130)과 안착프레임(110)은 집수정(100)에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프레임(110)에 돌출형성된 연결바(112)의 단부에 가이드관(120)을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관(120)은 상기 차수판(130)의 통공(133)을 통해 차수판(13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통공(133)의 인접한 상,하부에 링체(140)가 볼트(B)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공(133)은 유입되는 빗물의 하중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가이드관(120)의 하부 외주면에 링형부구(150)를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링형부구(150)는 상기 링체(14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가이드관(120)에 형성된 암나사부(125)에 걸림구(160)의 수나사부(165)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구(160)는 가이드관(120)과 견고한 결합관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형부구(150)는 상기 걸림구(160)의 걸림턱(161)에 의해 가이드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는 집수정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가 집수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집수정(100)에 설치된 하수관(30)을 통해 하수가 집수정(100) 측으로 유입되면, 유입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링형부구(150)가 가이드관(12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형부구(150)는 링체(140) 및 차수판(130)을 동시에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상승하는 링형부구(150) 및 차수판(130)이 가이드관(120)의 배수공(123)을 차단함으로써, 하수가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틸그레이팅(20) 측에서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차수판(130)을 통해 배수공(123)으로 유입되어 집수정(100) 내부로 유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틸그레이팅(20)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집수정(100)을 통해 하수관(30)으로 용이하게 유출되는 반면, 상기 하수관(30)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의 차수판(130)을 통해 집수정(100)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수정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집수정의 상부를 개폐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유입을 위해 설치한 스틸그레이팅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나 일반 도로의 빗물을 집수하기 위하여 스틸그레이팅(20)과 단턱 사이에 안착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연결바(112)가 돌출형성된 안착프레임(110)과, 상기 연결바(112)의 단부에 설치고정되는 가이드관(120)과, 집수정(100)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되는 차수판(130)으로 되는 집수정에 있어서,
    내측에 통공(133)과 연통관계를 갖는 개구공(141)이 형성되고, 외측에 관통공(135)과 연통관계를 이루어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결합공(143)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링체(140)를 상기 차수판(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통공(133)의 인접한 상,하부에서 각각 볼트(B)체결하고,
    그 차수판(130)의 하단에는 역류하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가이드관(120)을 통해 승강이동하여 배수공(123)을 차단하기 위한 링형상의 부구(15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
KR1020060100171A 2006-10-16 2006-10-16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 KR100775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171A KR100775441B1 (ko) 2006-10-16 2006-10-16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171A KR100775441B1 (ko) 2006-10-16 2006-10-16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441B1 true KR100775441B1 (ko) 2007-11-12

Family

ID=3906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171A KR100775441B1 (ko) 2006-10-16 2006-10-16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4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66B1 (ko) 2010-09-09 2012-07-06 김동현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KR20190001032A (ko) 2017-06-26 2019-01-04 박지운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비점오염 여과기능을 갖는 집수정
KR102067348B1 (ko) 2018-12-20 2020-02-11 박지운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KR20240003973A (ko) 2022-07-04 2024-01-11 박지운 비점오염 여과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270B1 (ko) * 1998-09-03 2001-09-26 김종선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JP2002084856A (ja) * 2000-09-19 2002-03-26 Sakae Noki Kk 豆刈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270B1 (ko) * 1998-09-03 2001-09-26 김종선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JP2002084856A (ja) * 2000-09-19 2002-03-26 Sakae Noki Kk 豆刈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04270
20-0284856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66B1 (ko) 2010-09-09 2012-07-06 김동현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KR20190001032A (ko) 2017-06-26 2019-01-04 박지운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비점오염 여과기능을 갖는 집수정
KR102067348B1 (ko) 2018-12-20 2020-02-11 박지운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KR20240003973A (ko) 2022-07-04 2024-01-11 박지운 비점오염 여과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6707A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775441B1 (ko) 역류방지용 하수 집수정구조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20190053753A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KR20130045091A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CN106284610A (zh) 一种具有污水过滤功能的地沟盖板
KR100864236B1 (ko) 공간 투수블럭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0741695B1 (ko) 하수도 집수정의 악취차단장치
KR101773744B1 (ko) 맨홀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KR100655740B1 (ko) 역류 및 악취방지맨홀
KR102055268B1 (ko) 조립식 지표수 침투집수정
KR100564921B1 (ko) 하수도관 맨홀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JP2562115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JP615312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100836849B1 (ko) 착탈식 개폐기를 구비한 하수역류방지장치
KR100473604B1 (ko)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KR200399238Y1 (ko) 빗물배수용 우수전
KR200417635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구조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KR200201983Y1 (ko) 도로용 집수받이
KR102452876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세면기용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