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012U - 정비용리프터 - Google Patents

정비용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012U
KR20000000012U KR2019990002593U KR19990002593U KR20000000012U KR 20000000012 U KR20000000012 U KR 20000000012U KR 2019990002593 U KR2019990002593 U KR 2019990002593U KR 19990002593 U KR19990002593 U KR 19990002593U KR 20000000012 U KR20000000012 U KR 200000000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y
posts
wires
post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6209Y1 (ko
Inventor
권오현
Original Assignee
권오현
헤스본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현, 헤스본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오현
Priority to KR2019990002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20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2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B60S9/2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with fluid-pressure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5Jacks with a single cylinder
    • B66F2700/057Pistons, e.g. telescopic; Cylinders or sealing joints; Hydraulic travel-limiting devices or shock 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리와 포스트의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직접 설치하여 분해/조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동력손실을 감소시키며, 크기를 보다 줄일 수 있도록 한 정비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지지면에서 쌍립하는 포스트(50)(60), 이 포스트(50)(60)의 내부에서 가이드블록(51a)(51b)에 의해 안내되고 지지암(52) (62)을 갖는 캐리(53)(63), 상기 포스트(50)(60)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빔(70), 상기 캐리(53)(63)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54)(64), 일측단은 상기 캐리(53)(63)에 타측단은 상기 포스트(50)(60)에 각각 엇갈리게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55)(65), 이 와이어(55)(65)를 안내하기 위한 상부가이드롤러(55a)(65a) 및 하부가이드롤러 (55b)(65b), 상기 캐리(53)(63)를 상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해제가능한 래칫기구 (80)로 구성된 정비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53)(63)의 상단부를 상측으로 연장하여 역(逆) "U"자 모양의 연장부(53e)(63e)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53e)(63e)와 상기 포스트(50)(60)의 사이에 상기 유압실린더(54)(64)의 피스톤로드(54a) (64a)와 실린더튜브(54b)(64b)를 직접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정비용 리프터{lifter for complete equipment}
본 고안은 자동차와 같은 중량체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들어 올리고, 그 밑에서는 정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정비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와 포스트의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직접 설치하여 분해/조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동력손실을 감소시키며, 크기를 보다 줄일 수 있도록 한 정비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비용 리프터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서 쌍립하는 양측의 포스트(10)(20)가 이 상단을 가로지르는 크로스빔(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으며, 양측의 포스트(10)(20) 내부에는 가이드블록(11a)(11b)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안내되는 캐리(12)(22)가 설치되어 있었고, 이 캐리(12)(22)에는 자동차(40)와 같은 중량체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지지암(13)(23)이 수평방향으로 접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캐리(12)(22)에 구동력을 가해주는 유압실린더(14)(24)의 피스톤로드(14a)(24a)가 포스트(10)(20)의 바닥면에 각각 지지되고, 같은 유압실린더(14) (24)의 실린더튜브(14b)(24b)는 체인롤러(15a)(25a)에 각각 감겨진 양쪽의 체인(15b)(25b)을 통해 캐리(12)(22)에 각각 연결되어 양쪽의 피스톤로드(14a) (24a)가 동시에 신축되면서 캐리(12)(22)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즉, 상기 체인(15b)(25b)의 일측단은 상기 포스트(10)(20)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캐리(12)(22)에 각각 고정되어 유압실린더(14)(24)에 의해 작용되는 힘을 배가하여 캐리(12)(22)에 각각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 상기 포스트(10)(20)의 상단부에는 전후방향(도1에서는 겹쳐서 하나로 보이게 됨)으로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두 개의 상부가이드롤러(16a)(26a)가 각각 설치되고, 각 포스트(10)(20)의 하단부에는 하부가이드롤러(16b)(26b)가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롤러(16a)(26a)에 의해 개별적으로 안내되는 두 개의 와이어(16c)(26c)중 한쪽 와이어(16c)의 일측단은 포스트(20)에 설치된 하부가이드롤러 (26b)를 통해 캐리(2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반대편 포스트(10)에 설치된 캐리 (12)에 고정되며, 나머지 와이어(26c)는 그 반대로 설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한쪽의 포스트(10)에는 캐리(12)(22)가 순간 주저앉으면서 아래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압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기구(35)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은 캐리(12)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12h)에 걸리는 클로(35a)가 포스트(10)에 회동자재케 설치되어 있었고, 이 클로(35a)는 로킹스프링(35b)에 의해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즉, 캐리(12)가 상측으로 움직일 때는 클로(35a)가 밀리면서 순간 걸림이 해제되고, 오일의 누유 등과 같은 안전사고에 의해 유압실린더(14)(24)의 실린더튜브 (14b)(24b)가 아래쪽으로 주저앉으면서 캐리(12)(22)가 하측으로 힘을 받을 때에는 로킹스프링(35b)에 의해 클로(35a)가 걸림구멍(12h)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수동으로 걸림을 해제할 때에는 해제레버(35c)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 상기 와이어(16c)(26c)는 한쪽의 캐리(12)가 승강될 때 반대편의 캐리(22)도 동시에 함께 동작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양측의 유압실린더(14)(24)가 약간의 속도차를 두고 움직이는 경우 이 와이어(16c)(26c)에 의해 양측의 캐리(12)(22)가 동시에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비용 리프터는 유압실린더(14)(24)를 보수하기 위하여 분해/조립하는 경우 이 유압실린더(14)(24)와 연결되는 부분이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어서, 분해/조립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압실린더(14) (24)에 의해 작용되는 힘을 체인롤러(15a)(25a)와 체인(15b)(25b)을 통해 간접적으로 캐리(12)(22)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체인(15b)(25b)과 체인롤러 (15a)(25a)간에 스틱슬립(stick slip)이 발생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동력을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캐리(12)(22)의 안쪽으로 체인(15b)(25b)과 체인롤러(15a)(25a)가 위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므로, 이들 체인(15b)(25b)과 체인롤러(15a)(25a)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캐리(12)(22)의 안쪽에 확보하여야 되기 때문에 포스트 (10)(20)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설치공간을 보다 많이 점유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분해/조립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력전달계통을 보다 간소화하여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고, 크기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정비용 리프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면에서 쌍립하는 포스트, 이 포스트의 내부에서 가이드블록에 의해 안내되고 지지암을 갖는 캐리, 상기 포스트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빔, 상기 캐리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일측단은 상기 캐리에 타측단은 상기 포스트에 각각 엇갈리게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이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상부가이드롤러 및 하부가이드롤러, 상기 캐리를 상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해제가능한 래칫기구로 구성된 정비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의 상단부를 상측으로 연장하여 역(逆) "U"자 모양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와 상기 포스트의 사이에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실린더튜브를 직접 연결하여 정비용 리프터가 제공된다.
도 1 은 종래 정비용 리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정단면도
도 2 는 종래 정비용 리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정비용 리프터의 구성을 보이는 정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정비용 리프터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정비용 리프터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50,60 : 포스트 51a,51b : 가이드블록
52,62 : 지지암 53,63 : 캐리
70 : 크로스빔 54,64 : 유압실린더
55,65 : 와이어 55a,65a : 상부가이드롤러
55b,65b : 하부가이드롤러 80 : 래칫기구
53e,63e : 연장부 54a,64a : 피스톤로드
54b,64b : 실린더튜브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정비용 리프터의 구성을 보이는 정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정비용 리프터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정비용 리프터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에서 쌍립하는 포스트(50)(60), 이 포스트(50)(60)의 내부에서 가이드블록(51a)(51b)에 의해 안내되고 지지암(52)(62)을 갖는 캐리(53)(63), 상기 포스트 (50)(60)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빔(70), 상기 캐리(53)(63)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54)(64), 일측단은 상기 캐리(53)(63)에 타측단은 상기 포스트(50)(60)에 각각 엇갈리게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55)(65), 이 와이어(55)(65)를 안내하기 위한 상부가이드롤러(55a)(65a) 및 하부가이드롤러(55b)(65b), 상기 캐리(53)(63)를 상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해제가능한 래칫기구(80)로 구성되는 통상의 구성을 가지며, 이에 상기 캐리(53)(63)의 상단부를 상측으로 연장하여 역(逆) "U"자 모양의 연장부(53e)(63e)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53e)(63e)와 상기 포스트(50)(60)의 사이에 상기 유압실린더(54)(64)의 피스톤로드(54a)(64a)와 실린더튜브(54b)(64b)를 직접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즉, 상기 상부가이드롤러(55a)(65a)는 상기 포스트(50)(60)의 상단부에 전후방향(도3에서는 겹쳐서 하나로 보이게 됨)으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롤러(55b)(65b)는 상기 포스트(50)(60)의 하단부에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이드롤러(55a)(65a)에 의해 개별적으로 안내되는 두 개의 와이어 (55)(65)중 한쪽 와이어(55)의 일측단은 포스트(60)에 설치된 하부가이드롤러(65b)를 통해 캐리(63)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반대편 포스트(50)에 설치된 캐리(53)에 고정되며, 나머지 와이어(65)는 그 반대로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칫기구(80)는 한쪽의 포스트(50)에 설치되어 캐리(53)(63)가 순간 주저앉으면서 아래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압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캐리(5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81)에 걸리는 클로(82)가 포스트(50)에 회동자재케 설치되어 있고, 이 클로(82)는 로킹스프링(83)에 의해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동으로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해제레버(84)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정비를 위한 자동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54)(64)의 피스톤로드(54a)(64a)가 신축되면, 이 피스톤로드(54a)(64a)에 연결되어 있는 캐리 (53)(63)가 이 피스톤로드(54a)(64a)와 함께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동시에 지지암(52)(62), 자동차(90) 등도 함께 승강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유압실린더(54)(64)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캐리(53)(63)에 직접 전달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유압실린더(54)(64)로부터 캐리(53)(63)까지는 동력손실이 없게 된다.
이때 캐리(53)(63)는 이 캐리(53)(63)와 포스트(50)(6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블록(51a)(51b)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되며, 한쪽의 포스트(50)에 설치되어 있는 래칫기구(80)는 캐리(53)(63)가 상승할 때만 통과시키게 된다.
즉, 캐리(53)(63)가 상측으로 움직일 때는 클로(82)가 밀리면서 순간 걸림이 해제되고, 오일의 누유 등과 같은 안전사고에 의해 유압실린더(54)(64)의 실린더튜브(54b)(64b)가 아래쪽으로 주저앉으면서 캐리(53)(63)가 하측으로 힘을 받을 때에는 로킹스프링(83)에 의해 클로(82)가 걸림구멍(81)에 걸리게 되어 캐리(53)(63)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해제레버(84)를 조작하게 되면, 수동으로 걸림이 해제된다.
위와 같이 캐리(53)(63)가 승강될 때 와이어(55)(65)의 일측단이 인장력을 받으면서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캐리(53)(63)를 상하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한쪽의 캐리(53)(63)가 승강될 때 반대편의 캐리(53)(63)도 동시에 함께 동작된다.
즉, 양측의 유압실린더(54)(64)가 약간의 속도차를 두고 움직이는 경우 이 와이어(55)(65)에 의해 양측의 캐리(53)(63)가 동시에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압실린더(54)(64)를 보수하기 위해 분해/조립하는 경우 캐리(53) (63)와 포스트(50)(60)에 연결되어 있는 두 부분의 연결부위를 분리/결합시키게 되면, 유압실린더(54)(64)를 분해/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유압실린더와 캐리가 중간의 매개물을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분해/조립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동력전달계통이 간소화되어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마력의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구성을 위한 부품이 기존의 것보다 줄어들게 되므로, 크기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지면에서 쌍립하는 포스트(50)(60), 이 포스트(50)(60)의 내부에서 가이드블록(51a)(51b)에 의해 안내되고 지지암(52)(62)을 갖는 캐리(53)(63), 상기 포스트(50)(60)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빔(70), 상기 캐리(53)(63)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54)(64), 일측단은 상기 캐리(53)(63)에 타측단은 상기 포스트(50)(60)에 각각 엇갈리게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55)(65), 이 와이어(55)(65)를 안내하기 위한 상부가이드롤러(55a)(65a) 및 하부가이드롤러(55b)(65b), 상기 캐리(53)(63)를 상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해제가능한 래칫기구(80)로 구성된 정비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53)(63)의 상단부를 상측으로 연장하여 역(逆) "U"자 모양의 연장부(53e)(63e)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53e)(63e)와 상기 포스트(50)(60)의 사이에 상기 유압실린더(54)(64)의 피스톤로드(54a)(64a)와 실린더튜브(54b)(64b)를 직접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용 리프터.
KR2019990002593U 1999-02-20 1999-02-20 정비용 리프터 KR200216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593U KR200216209Y1 (ko) 1999-02-20 1999-02-20 정비용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593U KR200216209Y1 (ko) 1999-02-20 1999-02-20 정비용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012U true KR20000000012U (ko) 2000-01-15
KR200216209Y1 KR200216209Y1 (ko) 2001-03-15

Family

ID=5475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593U KR200216209Y1 (ko) 1999-02-20 1999-02-20 정비용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2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29B1 (ko) * 2018-01-12 2019-05-09 신우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선박 리프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29B1 (ko) * 2018-01-12 2019-05-09 신우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선박 리프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209Y1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6509A (en) Elevating device
US4375248A (en) Lifting apparatus
JPH07315790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物押圧装置
KR200216209Y1 (ko) 정비용 리프터
US3520374A (en) Fluid actuated telescopic lifting mechanism
CA2480060A1 (en) Hoist
KR100615920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CA1156190A (en) High visibility lift apparatus
CN111284648A (zh) 舵叶支撑架和舵叶安装小车
CA1169627A (en) Drilling rig mast apparatus
JPH0336760B2 (ko)
US4886145A (en) Underground vehicle lift
CN217377140U (zh) 一种矿用无极绳绞车钢丝绳张紧装置
NL8200131A (nl) Hefinrichting.
JPH0462999B2 (ko)
JP4343623B2 (ja) コンテナキャリア
EP0050110A1 (en) Load lifting carriage and mast assembly
JP2000264177A (ja) 車輌作業用ピットの補助装置
KR100502978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US4181462A (en) Spreader assembly for straddle carriers
JP7286284B2 (ja) ガイドユニット
JPH06211464A (ja) エレベーター主索牽引装置
JP4162104B2 (ja) スライド式昇降装置
GB2151204A (en) Tailgate lifting device
SU1553518A1 (ru) Подъем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126

Effective date: 200304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523

Effective date: 200404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603

Effective date: 2004112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