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010A - 모선보호계전장치 - Google Patents

모선보호계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010A
KR19990088010A KR1019990015657A KR19990015657A KR19990088010A KR 19990088010 A KR19990088010 A KR 19990088010A KR 1019990015657 A KR1019990015657 A KR 1019990015657A KR 19990015657 A KR19990015657 A KR 19990015657A KR 19990088010 A KR19990088010 A KR 19990088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amount
amount
accident
area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리마사오
스가노리요시
이나무라구니야스
오까자끼마사또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9008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01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0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expansion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83Filling valves or arrangements for 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T 포화 대책 부착 분할 보호용 계전기를 삭감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계통의 변류기로부터의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및 억제량을 산출하고,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는 연산 수단(12)과,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변화량이 연산 수단으로 얻어지는 동작량의 변화량에 계수를 곱한 값보다도 클 때, 그 변화량이 큰 개별 보호 영역을 사고 발생 영역으로 판정하는 동작량 판정 수단(13)과, 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샘플링 데이터의 변화분으로부터 사고 발생을 검출하는 사고 검출 수단(14)과, 동작량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와 사고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로부터 사고의 발생을 판정하여 출력하는 사고 모선 판정 수단(15)과,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와 사고 모선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로부터 사고 발생 영역으로의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차단 모선 판정 수단을 설치한 모선 보호 계전 장치이다.

Description

모선 보호 계전 장치{BUS-BAR PROTECTION RELAY EQUIPMENT}
본 발명은 전력 계통의 모선 보호 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력 계통의 모선의 복수 보호 영역을 보호할 경우에, 이들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해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는 CT 포화 대책 부착 일괄 보호용 계전기와, 각 개별 보호 영역마다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는 CT 포화 대책 부착 분할 보호용 계전기를 개별로 설치하고, 이들 양 계전기의 출력의 조합에 의해 복수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모선을 판정하여 사고 모선계에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모선 보호 계전 장치에서는, 복수의 보호 영역을 갖는 모선 보호의 경우에는 2대 이상의 CT 포화 대책 부착 모선 보호 계전기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장치 전체의 구성이 복잡해져서 코스트의 상승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도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보호 영역의 사고 판정시에 CT 포화를 고려한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분할 보호용 계전기를 삭감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코스트의 저감화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모선 보호 계전 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기능 구성도.
도 2는 복수의 보호 영역을 갖는 모선의 1 구성례도.
도 3은 표준적인 복수 모선 구성의 모선 계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3에 나타낸 모선(B1)에 사고가 발생한 때의 CT 2차 전류 및 각 모선마다 산출된 동작량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차단 모선용 판정 테이블의 데이터 배열례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모선 보호 계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기능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모선 보호 계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기능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차단 모선용 판정 테이블의 데이터 배열례도.
[부호의 설명]
11, 21, 31 … 데이터 취득 수단
12, 22, 32 …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
13 … 동작량 판정 수단
14 … 사고 검출 수단
15, 24, 33 … 사고 모선 판정 수단
16, 25, 35 … 차단 모선 판정 테이블
17, 26, 36 … 차단 모선 판정 수단
23 … 일괄 정부 데이터 산출 수단
24 … 출력 확인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대응하는 발명은 전력 계통의 아날로그량을 소정의 주기마다 샘플링하고, 이들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과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을 사용해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동작량 판정 수단과, 상기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의 변화분으로부터 상기 전력 계통의 사고 발생을 검출하는 사고 검출 수단과,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와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사고 발생 영역으로의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사고 모선 판정 수단을 설치한 구성이다.
또 청구항 2에 대응하는 발명은 상기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및 억제량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이들 산출된 개별 보호 영역의 동작량의 변화량과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 중에서,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변화량을 사용해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동작량 판정 수단과, 상기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의 변화분으로부터 상기 전력 계통의 사고 발생을 검출하는 사고 검출 수단과,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와 상기 사고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사고 발생 영역의 사고 발생을 판정하여, 소정 시간 연장한 사고 발생 영역의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와 상기 제1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해서 사고 발생 영역으로의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제2 판정 수단을 설치한 구성이다.
따라서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대응하는 발명은 이상과 같은 수단을 강구함으로써, 전력 계통의 복수의 보호 영역이 갖는 모선에 접속되는 변류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소정의 주기마다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연산 수단에서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Id 및 억제량 Ir를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한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 연산 수단에는 기지의 방식에 의해 변류기(CT) 포화 대책을 마련해 둔다.
또한 동작량 판정 수단에서는, 각 개별 보호 영역으로부터 얻어지는 샘플링 데이터인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 △IdA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 △Id 중에서,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사용해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한다. 예를 들어 양 변화량을 사용할 경우에는,
|△IdA|≥K1·|△Id| (K1은 1 이하의 계수)
인 관계가 성립할 때, IdA인 동작량이 얻어진 보호 영역을 사고 발생 영역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은 조건 성립 상태를 판정함으로써, CT 포화를 수반하는 사고에 있어서도 사고 발생 후 CT 포화에 이르는 사이 동안은 정확히 판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고 검출 수단에서는, 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류 신호 또는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 등의 샘플링 데이터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분을 가산하고, 예를 들어 소정의 감도비와 비교함으로써 계통의 사고 발생을 검출한다.
따라서 사고 모선 판정 수단 또는 제1 판정 수단에서는, 동작량 판정 수단의 출력과 사고 검출 수단의 출력을 조합하여 소정 시간 연장하여 사고 모선의 판정 출력을 송출하므로, CT 포화 대책이 발휘되어, 종래와 같이 복수의 CT 포화 대책 부착 분할 보호용 계전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CT 포화에 수반하는 사고일지라도 확실히 사고 발생 영역에 차단 출력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청구항 7에 대응하는 발명은 개별 보호 영역의 동작량의 변화량과 연산 수단에서 얻어지는 동작량의 변화량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변화량을 사용할 경우의 각종 구성이다.
또한 청구항 8 및 청구항 9에 대응하는 발명은 전력 계통의 아날로그량을 소정의 주기마다 샘플링하고, 이들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및 억제량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샘플링 데이터를 정파와 부파로 분해한 후, 소정의 연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서의 정의 동작량과 부의 동작량을 산출하는 데이터 산출 수단과,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을 산출하고, 이들 정·부의 동작량과 상기 데이터 산출 수단에서 산출된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을 정끼리 및 부끼리 비교하여, 정·부가 다 같이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량이 클 때, 그 동작량이 얻어진 보호 영역 내부의 사고 발생으로 검출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와 상기 제1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해서 사고 발생 영역으로의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제2 판정 수단을 설치한 모선 보호 계전 장치이다.
이 청구항 8 및 청구항 9에 대응하는 발명은 이상과 같은 수단을 강구함으로써, 데이터 산출 수단이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정의 동작량 Idp 및 부의 동작량 Idn으로 분할하고, 또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정의 동작량 IdAp 및 부의 동작량 IdAn으로 분할한 후, 제1 판정 수단에서 동작량끼리, 부의 동작량끼리 하기와 같이 비교한다.
|IdAp|≥K2·|Idp| (K2는 소정의 계수)
|IdAn|≥K2·|Idn| (K2는 소정의 계수)
그리고 이상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였을 때, IdAp, IdAn인 동작량이 얻어지는 개별 보호 영역의 사고 발생으로 판정한다. 이 조건이 성립하는 것은 개별 보호 영역의 내부 사고 발생시만이며, CT 포화를 수반하는 외부 사고에는 양쪽의 조건이 동시에 성립하지 않으므로, CT 포화 대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에 CT 포화 대책의 효과가 얻어지는 사고 모선 판정 결과를 가미하여 차단 모선의 판정을 실시함으로써, 복수 대 이상의 CT 포화 대책 부착 모선 보호 계전기를 설치하는 일이 없이, 1대의 CT 포화 대책 부착 모선 보호 계전기를 사용해서 복수의 보호 영역을 갖는 모선을 보호하는 CT 포화 대책 부착 모선 보호 계전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대응하는 발명은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및 억제량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을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개별 보호 영역의 동작량의 절대치의 어느 쪽인가가 상기 연산 수단에서 산출된 동작량의 절대치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보다도 큰 조건이 소정 시간 계속될 때, 조건을 성립한 동작량이 얻어진 개별 보호 영역 내부의 사고 발생으로 검출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와 상기 제1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해서 사고 발생 영역에의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제2 판정 수단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수단을 강구함으로써, 제1 판정 수단이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을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개별 보호 영역의 동작량의 절대치의 어느 쪽인가가 상기 연산 수단에서 산출된 동작량의 절대치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보다도 큰 조건이 소정 시간 계속될 때에 조건을 성립한 동작량이 얻어진 개별 보호 영역 내부의 사고 발생으로 판정하므로, CT 포화를 수반하는 동작량의 오차분을 제거하여 사고 모선을 정확히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모선 보호 계전 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전력 계통의 모선 보호 계전 장치(10)는 복수의 보호 영역을 갖는 모선에 접속되는 변류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소정의 주기마다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취득 수단(11)과, 이 데이터 취득 수단(1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벡터 합), 억제량(스칼라 합)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한 영역의 내부·외부의 사고를 판정하는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과, 개별 보호 영역마다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소정 시간에서의 동작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 산출되는 개별 보호 영역의 변화량과 상기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에서 구한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변화량이 큰 개별 보호 영역을 사고 발생 영역이라 판정하는 동작량 판정 수단(13)과, 상기 데이터 취득 수단(1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전류 신호의 소정의 시간에서의 변화분으로부터 사고 발생을 검출하는 사고 검출 수단(14)과,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13)의 판정 결과와 상기 사고 검출 수단(14)의 검출 출력을 소정의 시간 연장한 사고 모선의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사고 모선 판정 수단(15)과, 차단 모선용 판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차단 모선 판정 테이블(16)과,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의 내부 또는 외부 판정 출력과 상기 사고 모선 판정 수단(15)의 사고 모선 판정 출력에 의거해서, 차단 모선용 판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차단 모선의 판정을 실시하는 차단 모선 판정 수단(17)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복수의 보호 영역을 갖는 모선의 1 구성례이다.
이 송전선(18)의 모선 보호 영역은 모선(BA)측의 A영역과 모선(BB)측의 B영역으로 구분되고, 이들 모선(BA)과 모선(BB)은 차단기(COB)를 통해서 분할되어 있다. 이 송전선(18)에 접속되는 모선(BA), 모선(BB)은 단로기(LSA, LSB)에 의해 전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취득 수단(11)은 소정의 주기마다 복수의 보호 영역을 갖는 모선에 접속되는 n 회선분의 변류기로부터의 전류를 도입하여 순차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으로 송출한다. 이 연산 수단(12)은 n 회선분의 변류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전류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들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해서 하기의 연산식을 사용해서 동작량 Id 및 억제량 Ir를 산출한다.
Id=i1+i2+…+in … … (1)
Ir=|i1|+|i2|+…+|in| … … (2)
그리고 이상과 같이 얻어진 산출량 Id, Ir를 사용해서, 예를 들어
|Id|-Ko·|Id|≥0 (K0은 보호 목적마다 설정되는 계수)
의 관계가 성립할 때,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모선의 내부 사고 판정 출력을 송출한다. 또한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에는 기지의 CT 포화 대책 연산을 고려한 것으로 한다.
한편 동작량 판정 수단(13)에서는, 복수의 보호 영역에 대하여 개별 보호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각 회선의 단로기(LSA, LSB) 조건을 도입한다. 단로기 조건에 의한 보호 영역의 식별은 공지의 수단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동작량 판정 수단(13)에 의한 개별 보호 영역의 인식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사고 시에 발생하는 동작량(작동 전류)에 대해 설명한다.
지금 도 2에 나타낸 모선의 내부, 예를 들어 A영역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2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동작량 Id는 모선 내부의 2개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가 발생한 보호 영역에서 발생하는 동작량(작동 전류) IdA와 동일 양이 된다.
따라서 동작량 판정 수단(13)에서는,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에서 산출되는 동작량 Id에 대해, 각 개별 보호 영역마다 산출한 2개의 동작량 IdA 또는 IdB의 각각에 대해 비교하여, 양자 간에 예를 들어
|IdA|≥K1·|Id| … … (3)
인 관계가 성립할 때, A영역에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3)식의 K1은 1 이하의 계수이다.
그러나 CT 포화에 수반하는 사고의 경우에는, 포화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전류의 영향에 의해, 상기 (3)식에 의한 판정으로는 장치의 오동작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동작량 판정 수단(13)에서는, 동작량의 변화량에 의한 순시 판정을 실시함으로써 CT 포화 대책으로 하고 있으며, 개별 보호 영역마다 소정의 기간 예를 들어 1/12 사이클(30도 정도)의 기간에 대해 동작량에 대한 변화량의 절대치 |△IdA|, |△IdB|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소정의 기간의 변화량의 절대치 |△IdA|, |△IdB|와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에서 산출된 소정 기간의 동작량에 대한 변화량의 절대치 |△Id|에 소정의 계수 K1(K1은 1 이하의 계수)를 곱한 양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할 때, A영역에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IdA|≥K1·|△Id| … … (4)
도 3 및 도 4는 상기 (4)식에 의한 판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표준적인 복 모선의 보호 계통도이며, 모선(A1)과, 모선(B1)과, 이들 모선(A1, B1)을 구분하는 차단기(CBT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선(A1)에는 차단기(CB11, CB12)를 통해서 송전선(LO1, LO2)이 접속되어 있다. CTT1, CT11, CT12는 변류기이다.
한편 도 4는 모선(B1) 사고 시의 CT 2차 전류 및 각 모선마다 산출한 동작량(전류 벡터 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a는 도 3의 CT11의 2차 전류 Ip1, 도 4b는 도3의 CT12의 2차 전류 Ip2, 도4c는 도 3의 CTT1의 2차 전류 It, 도 4d는 양 모선(A1, B1)을 포함하는 영역에서의 동작량 Id, 도 4e는 모선(A1)의 영역에서의 동작량 IdA, 도 4f는 모선(B1)의 영역에서의 동작량 IdB를 각각 표시하고 있으며, 변류기(CTT1)가 CT 포화에 이른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변류기(CTT1)의 포화에 수반하여, 건전 모선이 되는 동작량이 발생하지 말아야 할 모선(A1)의 동작량 IdA가 포화 개시 후에 증가해서, 사고 모선인 모선(B1)의 동작량 IdB가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3)식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예를 들어 1/2 사이클 정도의 연산창 길이를 필요로 하는 절대 진폭치에 의한 판정으로는 오동작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4)식과 같은 변화량을 사용한 판정의 경우에는, 사고 발생 직후로부터 CT 포화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에 연산을 실시하면, 포화 전의 정상적인 동작량에 의한 비교 판정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CT 포화의 영향을 받지 않은 판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고 검출 수단(14)에서는, 모선에 접속되는 모든 변류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전류 또는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에서의 소정의 시간의 변화분 △I의 절대치를 가산하고, 이들 변화분 절대치의 총합과 소정의 감도치 IK1을 비교하여, 변화분 절대치의 총합이 이하의 관계식과 같이 소정의 감도치 IK1 이상일 때, 계통에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검출한다.
∑|△I|≥IK1 … … (5)
이상과 같이 하여 동작량 판정 수단(13) 및 사고 검출 수단(14)에서 판정 동작 처리 및 사고 검출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사고 모선 판정 수단(15)에 송출한다.
이 사고 모선 판정 수단(15)은 사고 검출 수단(14)으로부터 사고 검출 신호를 받았을 때, 동작량 판정 수단(13)으로부터 출력되는 판정 결과를 확인하고, 예를 들어 상기 (3)식, (4)식 등의 조건이 성립하는 영역을 사고 모선, 불성립 영역을 건전 모선으로 판정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판정 출력을 유지한다.
그 결과 차단 모선 판정 수단(17)에서는,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의 내부·외부 사고 판정 출력과 사고 모선 판정 수단(15)의 사고 모선 판정 출력에 의거해서 사고 발생 영역에 차단 출력을 송출한다. 예를 들어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이 내부 사고 판정을 출력하고, 사고 모선 판정 수단(15)이 A영역의 사고 판정을 출력했을 때, 도 5에 나타낸 차단 모선 판정용 테이블(16)의 차단 모선용 판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A영역의 모선(BA)에 접속되는 회선에 대한 사고를 판정하여 차단 출력을 송출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량 판정 수단(13)이 각 개별 보호 영역으로부터 얻어지는 샘플링 데이터인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 △IdA와 연산 수단(12)에 의해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 △Id를 사용해서, 예를 들어 |△IdA|≥K1·|△Id| (K는 1 이하의 계수)의 관계에 있을 때, IdA인 동작량이 얻어진 보호 영역을 사고 발생 영역으로 판정하므로, CT 포화를 수반하는 사고에 있어서도 사고 발생 후 CT 포화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정확히 판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더구나 사고 모선 판정 수단(15)에서는, 동작량 판정 수단(13)의 출력과 사고 검출 수단(14)의 출력을 조합하여 소정의 시간 연장하여 사고 모선의 판정 출력을 송출하므로 CT 포화 대책이 연산적으로 이루어져서, 종래와 같이 복수의 CT 포화 대책 부착 분할 보호용 계전기를 설치하는 일이 없이, CT 포화에 수반하는 사고일지라도 확실하게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여, 차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보호 계전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각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상술한 도 1의 설명에 미루고, 이하 주로 상이한 부분인 동작량 판정 수단(13)의 판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보호 계전 장치는 2개의 보호 영역을 보호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그 동작량 판정 수단(13)으로서는 2개의 보호 영역에 대해 각각 개별로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2개의 동작량의 변화량 중에서 한쪽의 변화량이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에 의해 연산하여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보다도 크고, 또한 다른 쪽의 변화량보다도 클 때, 큰 변화량이 얻어지는 영역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여 출력한다.
즉 동작량 판정 수단(13)은 상기 (4)식에 의거한 조건 성립 외에, 한쪽의 변화량의 절대치 |△IdA|와 다른 쪽의 변화량의 절대치 |△IdB|를 비교하여,
|△IdA|≥|△IdB| … … (6)
인 조건이 성립할 때, △IdA인 동작량의 변화량이 얻어지는 영역 A를 사고 발생 영역으로 판정한다.
또한 동작량 판정 수단(13)은 상기 (6)식에 나타낸 조건 판정식만을 사용해서, 사고 영역을 판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보호 계전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도 1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각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상술한 도 1의 설명에 미루고, 이하 주로 상이한 부분인 동작량 판정 수단(13)의 판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보호 계전 장치는 2개의 보호 영역을 보호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그 동작량 판정 수단(13)으로서는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에서 산출된 동작량 Id와 각 보호 영역에 대해 개별로 산출한 동작량 IdA, IdB의 위상 비교를 실시하여, 양자의 위상차가 소정의 위상 각도 θ보다도 작고, 또한 소정의 시간에서의 동작량의 변화량 △IdA가 소정의 감도치 IK2(IK2는 미리 정한 감도치)보다도 클 때, 예를 들어
|Id와 IdA의 위상차|≤θ … … (7)
|△IdA|≥IK2 … … (8)
의 2개의 조건이 성립할 때, IdA, △IdA인 동작량이 얻어지는 보호 영역에서의 사고발생으로 판정한다.
아울러 도 4는 사고 시의 동작량이지만, 사고 발생 영역인 모선(B1)의 동작량 IdB와 양 모선(A1, B1)을 포함하는 영역의 동작량 Id는 사고 발생으로부터 CT 포화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에는 동일한 파형이 된다. 이것은, 사고 발생 영역의 동작량(벡터)과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의 동작량(벡터)의 위상차는 CT 포화가 발생하기까지의 기간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되므로, 사고 발생 직후의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에서 산출된 동작량과 각 보호 영역마다 개별로 산출한 동작량의 위상차가 소정의 위상 각도 θ보다 작아진 것을 상기 (7)식의 조건 판정식으로 판정함으로써, CT 포화에 수반하는 사고에 있어서도 정확하게 사고 모선을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8)식은 위상 비교 판정을 실시하기 위해 최저한의 필요한 동작량의 변화분의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조건 판정식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보호 계전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도 1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각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상술한 도 1의 설명에 미루고, 특히 상이한 부분인 동작량 판정 수단(13)의 판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보호 계전 장치에서도 2개의 보호 영역을 보호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그 동작량 판정 수단(13)으로서는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에서 산출된 동작량 Id와 각 보호 영역에 대해 개별로 산출한 동작량 IdA, IdB의 위상 비교를 실시하여, 양자의 위상차의 절대치가 소정의 위상 각도 θ 예를 들어 30도 정도보다 작고, 또한 각 보호 영역에 대해 개별로 산출한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이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에서 산출된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양보다도 클 때, 예를 들어 상기 (7)식과 상기 (4)식이 다 같이 성립할 때, IdA, △IdA인 동작량이 얻어진 보호 영역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 장치에서도, 동작량 IdA, IdB의 위상차가 소정의 위상 각도 θ 예를 들어 30도보다 작을 때, CT 포화에 달하기 전에 (4)식, (7)식의 관계식으로부터 판정할 수 있으므로, CT 포화에 수반하는 사고에 있어서도 정확하게 사고 모선을 판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보호 계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이 보호 계전 장치(20)는 데이터 취득 수단(21),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22),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한 영역의 동작량을 정과 부로 나누어 산출하는 일괄용 정부 데이터 산출 수단(23)과, 복수의 보호 영역에 대해 개별로 정의 동작량과 부의 동작량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 정·부의 동작량과 상기 일광용 정부 데이터 산출 수단에서 산출된 동작량을 비교하여,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보호 영역을 판정하는 사고 모선 판정 수단(24), 차단 모선 판정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차단 모선 판정 테이블(25) 및 차단 모선 판정 수단(2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취득 수단(21),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22) 및 차단 모선 판정 수단(26)은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취득 수단(11),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12) 및 차단 모선 판정 수단(17)과 거의 동일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보호 계전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 취득 수단(21)이 소정의 기간마다 복수의 보호 영역을 갖는 모선에 접속되는 변류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도입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면,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22)에서는 데이터 취득 수단(21)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억제량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한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여 출력한다.
한편 일괄용 정부 데이터 산출 수단(23)에서는, 데이터 취득 수단(2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정파와 부파로 분해하고,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한 보호 영역의 동작량에 대해, 소정의 연산 예를 들어 1사이클(360도 간)의 샘플링 데이터를 가산함으로써, 정의 동작량 |Idp|와 부의 동작량 |Idn|으로 나누어서 산출하여, 사고 모선 판정 수단(24)에 송출한다.
여기에서 사고 모선 판정 수단(24)은 상기 데이터 취득 수단(21)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관해서 종래 공지의 예를 들어 각 회선의 단로기 조건을 도입하여 개별 보호 영역을 식별하는 한편, 복수의 보호 영역 예를 들어 A 및 B의 2 영역에 대해 정의 동작량 |IdAp|, |IdBp|와 부의 동작량 |IdAn|, |IdBn|을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동작량과 일괄용 정부 데이터 산출 수단(23)에 의해 산출된 동작량 |Idp|, |Idn|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을 정끼리, 부끼리 비교해서, 정·부가 다 같이 각 보호 영역 개별로 산출한 동작량의 절대치가 클 때, 예를 들어
|IdAp|≥K2·|Idp| … … (9)
|IdAn|≥K2·|Idn| … … (10)
의 관계가 성립할 때, |IdAp|, |IdAn|인 동작량이 얻어진 보호 영역에 사고가 발생한 것을 검출한다. K2는 1 이하의 정수이다. 한편
|IdBp|≥K2·|Idp| … … (11)
|IdBn|≥K2·|Idn| … … (12)
의 관계가 다 같이 성립할 때, |IdBp|, |Idn|인 동작량이 얻어진 보호 영역에 사고가 발생한 것을 검출한다. K2는 1 이하의 정수이다.
다음에 이 보호 계전 장치(20)에 관해, 도 4에 나타낸 사고 시의 동작량으로부터 판정의 효과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고 발생 모선인 모선(B)의 동작량에 정파와 부파의 양쪽이 존재한다(도 4f 참조). 이에 대해 건전 모선인 모선(A)의 동작량 IdA에서는 정파만이 존재한다(도 4e 참조). 이것은 CT 포화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동작량의 오차분(건전 모선측에 발생하는 오차 전류)은 정파 또는 부파 중의 어느 한쪽인 편파만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현상은 CT 포화 현상이 주로 전류의 직류분에 의한 자속의 치우침에 따라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9)식∼(12)식에 의해 사고 시의 동작량으로부터 정확하게 사고가 발생한 보호 영역을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보호 영역에 대해 개별로 산출한 정의 동작량의 절대치 및 부의 동작량의 절대치와,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을 정끼리, 부끼리 비교함으로써, CT 포화를 수반하는 사고에 있어서도 정확하게 사고 모선을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보호 계전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도 6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각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상술한 도 6의 설명에 미루고, 특히 상이한 부분인 사고 모선 판정 수단(24)에 대해 설명한다.
이 사고 모선 판정 수단(24)은 상술한 (9)식 및 (10)식의 판정 조건에 부가하여, 각 보호 영역에 대해 개별로 산출한 정파의 동작량의 절대치 ??IdAp?? 및 부의 동작량의 절대치 ??IdAn??이 미리 정한 소정의 감도치 보다도 클 때, 즉
|IdAp|≥IK3 … … (13)
|IdAn|≥IK3 … … (14)
의 조건이 다 같이 성립할 때, IdAp, IdAn인 동작량이 얻어진 영역에 사고가 발생한 것을 검출한다. IK3은 미리 정한 감도치이다. 이 (13)식 및 (14)식은 산출한 동작량의 절대치에 의한 비교 판정을 실시하기 위해 최저한 필요한 동작량의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보호 계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이 모선 보호 계전 장치(30)는 데이터 취득 수단(31)과,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32)과, 복수의 보호 영역에 대하여 개별로 동작량을 산출하고, 이 동작량과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32)에서 산출된 동작량을 비교하여,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보호 영역을 판정하고, 사고 모선 판정 출력을 송출하는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과, 이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의 출력에 대하여 보호 영역마다 소정의 시간 동안, 동일한 판정 결과가 계속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출력 확인 수단(34)과, 도 8에 나타낸 차단 모선 판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차단 모선 판정 테이블(35)과,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32)의 내부·외부 사고 판정 출력과 출력 확인 수단(34)의 판정 결과에 의거해서, 판정 테이블(35)의 차단 모선 판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차단 모선의 판정을 실시하는 차단 모선 판정 수단(3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취득 수단(31) 및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32)은 도 1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보호 계전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 취득 수단(31)이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복수의 보호 영역을 갖는 모선에 접속되는 변류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전류 신호를 도입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면,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32)에서는 데이터 취득 수단(31)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억제량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한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여 출력한다.
한편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사고 모선 판정 수단(15)과 마찬가지로 각 보호 영역에 대하여 개별로 동작량 IdA, IdB를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동작량과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32)에서 산출된 동작량 Id를 비교하여, 상기 (3)식에 의해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지만,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CT 포화에 수반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고 발생 영역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어서 장치의 오동작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장치에서는,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의 판정 출력을 출력 확인 수단(34)에 송출하고, 여기서 CT 포화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사고라도 판정 가능케 한다.
즉 출력 확인 수단(34)은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의 판정 출력이 각 보호 영역마다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4사이클에 걸쳐서 계속되고 있는가여부를 판단하여,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만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의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이 CT 포화에 수반하는 동작량의 오차분은 CT 포화의 발생 직후에 최대가 되고, 그 후에는 감소한다. 이 CT 포화의 발생 원인인 사고 전류의 직류분의 감쇠 시정수는 계통의 임피던스에 따라 변화하지만, 일반적으로 고저항 설치 계통에서의 사고에서는 길어도 50ms 정도이며, 사고 후 4사이클(50Hz 계통에서 80ms) 동안에는 그 대부분이 감쇠한다. 통상 사고 후 4사이클을 경과하면, 사고 전류의 직류분에 기인하는 CT 포화가 회복하므로,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의 판정이 정확한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출력 확인 수단(34)에서 판정 결과를 확인한 후, 차단 모선 판정 수단(36)에 공급한다. 이 차단 모선 판정 수단(36)은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32)의 내부·외부 사고 판정 출력과 출력 확인 수단(34)의 확인 결과의 출력을 사용해서, 도면에 나타낸 차단 모선 판정 테이블(35)에 따라서 차단 출력을 송출한다.
일례를 들면 차단 모선 판정 수단(36)은, 예를 들어 일괄 보호용 연산 수단(32)이 내부 사고라고 판정하고, 한편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이 A영역의 사고라고 판정하였을 때, A영역의 모선에 접속되는 회선에 대한 차단 출력을 송출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의 출력측에 출력 확인 수단(34)을 설치하고, 사고 모선 판정 수단(33)의 판정 출력이 소정의 시간 계속되고 있을 때 상기 판정 출력을 송출하므로, CT 포화에 수반하는 동작량의 오차분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T 포화에 수반하는 사고 시에도 사고의 발생 영역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과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을 사용해서, CT 포화를 수반하는 사고 시에도 사고 발생 영역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CT 포화 대책 부착 분할 보호용 계전기를 삭감할 수 있어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코스트의 저감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전력 계통의 아날로그량을 소정의 주기마다 샘플링하고, 이들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과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을 사용해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동작량 판정 수단과,
    상기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의 변화분으로부터 상기 전력 계통의 사고 발생을 검출하는 사고 검출 수단과,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와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사고 발생 영역으로의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사고 모선 판정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2. 전력 계통의 아날로그량을 소정의 주기마다 샘플링하고, 이들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및 억제량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이들 산출된 개별 보호 영역의 동작량의 변화량과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 중에서,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변화량을 사용해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동작량 판정 수단과,
    상기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의 변화분으로부터 상기 전력 계통의 사고 발생을 검출하는 사고 검출 수단과,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와 상기 사고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사고 발생 영역의 사고 발생을 판정하여, 소정 시간 연장한 사고 발생 영역의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와 상기 제1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해서 사고 발생 영역으로의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제2 판정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은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개별 보호 영역의 동작량의 변화량이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보다도 크면, 그 변화량이 큰 개별 보호 영역을 사고 발생 영역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은 2개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할 경우에, 상기 2개의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2개의 동작량의 변화량 중 한쪽의 동작량의 변화량이 상기 2개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소정 시간에서의 동작량의 변화량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보다도 크고, 또한 다른 쪽 동작량의 변화량보다도 클 때, 큰 변화량이 얻어지는 개별 보호 영역을 사고 발생 영역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은 2개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할 경우에, 2개의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2개의 동작량의 변화량 중 한쪽의 동작량의 변화량이 다른 쪽의 동작량의 변화량보다도 클 때, 그 큰 변화량이 얻어지는 개별 보호영역을 사고 발생 영역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은 2개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할 경우에, 2개의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과 상기 2개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위상차를 구하고, 이 위상차가 소정의 각도 이내이며, 또한 상기 2개의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감도치보다도 클 때, 이들 양 조건이 성립한 개별 보호 영역을 사고 발생 영역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량 판정 수단은 2개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할 경우에, 2개의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과 상기 2개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위상차를 구하고, 이 위상차가 소정의 각도 이내이며, 또한 상기 2개의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이 상기 2개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동작량의 소정 시간에서의 변화량보다도 클 때, 이들 양 조건이 성립한 개별 보호 영역을 사고 발생 영역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8. 전력 계통의 아날로그량을 소정의 주기마다 샘플링하고, 이들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및 억제량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샘플링 데이터를 정파와 부파로 분해한 후, 소정의 연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서의 정의 동작량과 부의 동작량을 산출하는 데이터 산출 수단과,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을 산출하고, 이들 정·부의 동작량과 상기 데이터 산출 수단에서 산출된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을 정끼리 및 부끼리 비교하여, 정·부가 다 같이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량이 클 때, 그 동작량이 얻어진 보호 영역 내부의 사고 발생으로 검출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와 상기 제1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해서 사고 발생 영역으로의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제2 판정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 수단은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을 산출하고, 이 동작량과 상기 데이터 산출 수단에서 산출되는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을 정끼리 및 부끼리 비교하여, 정·부 다 같이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량이 크고, 또한 그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이 다 같이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값보다도 클 때, 그 큰 동작량이 얻어진 보호 영역 내부의 사고 발생으로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10. 전력 계통의 아날로그량을 소정의 주기마다 샘플링하고, 이들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보호 영역 중에서 사고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데이터를 사용해서 동작량 및 억제량을 산출하고, 소정의 비율 차동 연산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보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내부·외부 사고를 판정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개별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로부터 정의 동작량 및 부의 동작량을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개별 보호 영역의 동작량의 절대치의 어느 쪽인가가 상기 연산 수단에서 산출된 동작량의 절대치에 소정의 계수를 곱한 값보다도 큰 조건이 소정 시간 계속될 때, 조건을 성립한 동작량이 얻어진 개별 보호 영역 내부의 사고 발생으로 검출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와 상기 제1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해서 사고 발생 영역으로 차단 출력을 송출하는 제2 판정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보호 계전 장치.
KR1019990015657A 1998-05-25 1999-04-30 모선보호계전장치 KR19990088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42919 1998-05-25
JP14291998A JP3792893B2 (ja) 1998-05-25 1998-05-25 母線保護継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010A true KR19990088010A (ko) 1999-12-27

Family

ID=1532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657A KR19990088010A (ko) 1998-05-25 1999-04-30 모선보호계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92893B2 (ko)
KR (1) KR19990088010A (ko)
CN (1) CN109733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503A (ko) * 2015-04-14 201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선보호계전기의 오작동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80765C (zh) * 2003-12-11 2008-04-09 北京四方继保自动化有限公司 一种母线系统保护基于虚拟电流比相的故障判别方法
CN101183786B (zh) * 2007-11-16 2010-06-09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预测ct线性传变区的抗ct饱和采样值差动保护方法
JP7285757B2 (ja) * 2019-10-17 2023-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保護リレー装置
CN111929630B (zh) * 2020-07-13 2023-05-16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柳州局 一种电流互感器饱和度的检测方法及检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503A (ko) * 2015-04-14 201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선보호계전기의 오작동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7025A (zh) 1999-12-01
JPH11341676A (ja) 1999-12-10
JP3792893B2 (ja) 2006-07-05
CN1097333C (zh) 2002-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988B1 (ko) 전력 시스템의 폴트들을 식별하기 위한 폴트 타입 선택시스템
US7180300B2 (en) System and method of locating ground fault i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EP1273083B1 (en) Differential protective relay for electrical buses with improved immunity to saturation of current transformers
US5453903A (en) Sub-cycle digital distance relay
US5783946A (en) Fault type classification algorithm
US11258249B2 (en) Primary and system protection for an electric power delivery system
EP0369577A3 (en) Apparatus for providing distance prote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for a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
KR100554502B1 (ko) 지락 방향 계전 장치
KR19990034487A (ko) 송전선로 고저항 지락 고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5566082A (en) Method of detecting a fault section of busbar
KR19990083313A (ko) 계통보호계전장치
KR102057201B1 (ko) 고장 판정 장치, 및 보호 계전 장치
KR19990088010A (ko) 모선보호계전장치
JP3832700B2 (ja) 母線保護継電装置
Kato et al.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s for high quality power supply
EP0952654B1 (en) Bus-bar protective relay apparatus
US20100097736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bus in a three-phase electrical power system
JP2957187B2 (ja) 計器用変圧器の2次回路断線検出装置
US6154687A (en) Modified cosine filters
JP2003092825A (ja) 地絡保護継電器
Kasztenny et al. Digital low-impedance bus differential protection–Review of principles and approaches
JP2592909B2 (ja) 電力用遮断器の制御信号検出装置
JPH11299080A (ja) 保護継電装置
JPH0583844A (ja) 距離継電装置
JPH06105451A (ja) 線路保護リレ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029

Effective date: 2004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