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215A - 프린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린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215A
KR19990087215A KR1019980706612A KR19980706612A KR19990087215A KR 19990087215 A KR19990087215 A KR 19990087215A KR 1019980706612 A KR1019980706612 A KR 1019980706612A KR 19980706612 A KR19980706612 A KR 19980706612A KR 19990087215 A KR19990087215 A KR 19990087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pattern
unit
recor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한다
도모히사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7/00471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8030020A1/en
Publication of KR1999008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215A/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삽화 같은 패턴 데이터는 프린터(200)내의 ROM(24)에 저장된다. 패턴 데이터는 프린터(200)로부터 통신 케이블(30)을 거쳐 디지털 카메라(100)에 보내진다.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영상 메모리(9)에 압축된 형태로 저장된 정지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와 프린터(200)로부터 보내진 패턴 데이터가 서로 합성되고, 합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컬러 LCD(19)상에 표시된 후에, 영상 데이터와 패턴 데이터는 모두 압축/확장부(8)에 의해 확장된다. 이 합성 데이터는 압축/확장부(8)에 의해 압축되고, 프린터(200)로부터 통신 케이블(30)을 거쳐 디지털 카메라(100)에 보내진다. 프린터(200)는 압축된 합성 데이터를 확장하고, 기록용지상의 확장된 합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하여 컬러 프린터부(26)를 활성화시킨다.

Description

프린팅 시스템
최근에,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영상을 기록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영상 기록 장치의 한 형태로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정지 화상을 얻기 위한 렌즈와 CCD(전하 결합 소자), 그리고 정지 화상을 기록할 때는 뷰파인더(view finder)와, 기록된 정지 화상을 재현할 때는 모니터의 대용이 되는 액정 표시장치를 갖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디지털 영상은 퍼스널 컴퓨터로 로드 되고, 퍼스널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된다. 처리된 영상은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에 보내지고, 프린트된다.
그런 프린팅 시스템이 퍼스널 컴퓨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값이 비싸다. 퍼스널 컴퓨터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은 복잡하고, 디지털 카메라에 기록된 영상을 쉽고 빠르게 프린트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최근에 디지털 카메라를 프린터에 직접 연결하고, 퍼스널 컴퓨터를 거치지 않고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프린터에 전송하여 프린트할 수 있는 프린팅 시스템이 발달되었다. 이 프린팅 시스템에서, 프린트되는 것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 그 자체이고, 다른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로 삽입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
삽화 같은 패턴과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합성하고, 합성된 영상을 프린트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프린터에 직접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종래의 프린팅 시스템에서, 프린터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보내진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단지 프린트만 할 수 있었다.
그런 종류의 종래 프린팅 시스템은 앞에서 말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같은 프린팅 장치에 기록된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프린터에 보내고, 프린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프린팅 유닛에 기록된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와 삽화 같은 패턴 데이터를 합성하고, 합성된 영상을 프린트할 경우에 적절한,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모드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구조를 예증하는 투시도.
도 2는 이 모드에서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이 모드에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영상과 합성되는 패턴을 선정하기 위한 패턴 선정 메뉴를 묘사하는 도표.
도 4A 내지 도 4B는 이 모드에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영상과 합성되는 패턴들을 도시하는 도표.
도 5는 이 모드에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패턴과 합성함으로써 얻어진 합성 영상의 프린트 결과(printout)를 예증하는 도표.
도 6은 이 모드에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패턴과 합성하기 위한 프린트 처리의 동작을 예증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 2 : CCD 3 : 시간 발생기
4 : 드라이버 5 : 증폭기 6 : A/D 컨버터
7 : DRAM 8 : 압축/확장부 9 : 영상 메모리
10 : ROM 11 : RAM 12 : CPU
13 : 키 입력부 13a : 전원키 13b : 동작모드 설정키
13c : 셔터 버튼 13d : "+" 키 13e : "-" 키
14 : 입/출력 포트 15 : 비디오 신호 발생기 16 : VRAM
17 : D/A 컨버터 18 : 증폭기 19 : 컬러 LCD
20 : CPU 21 : 버스 22 : 영상 메모리
23 : 키 입력부 23a : 전원 키 23b : 표시 명령 키
23c : 선택 키 23d : 프린트 타입(type) 지정 키
24 : ROM 25 : RAM 26 : 컬러 프린터부
27 : 입/출력부 30 : 통신 케이블 31 : 패턴 선택 메뉴
32 : 커서 33, 34, 35, 36 : 패턴
33a, 34a : 별모양 윤곽선 35a : 육각형 윤곽선 36a : 삼각형 윤곽선
37 : 영상 100 : 디지털 카메라 101 : 카메라 몸체
102 : 렌즈 유닛 200 : 프린터 201 : 프린터 몸체
202 : 기록 용지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퍼스널 컴퓨터를 거치지 않고 프린팅 장치에 연결된 영상 기록 장치(디지털 카메라)를 갖고 있고, 영상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패턴 데이터와 합성하여 생긴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그런 프린팅 시스템에서 프린트하기 전에 점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그런 프린팅 시스템에서 영상 기록 장치와 전송로를 거친 프린팅 장치 사이에서 교환된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부가적인 목적은 그런 프린팅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영상 기록 장치와 프린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 프린팅 시스템은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영상 포착 유닛(unit)(1-6)과 영상 포착 유닛(1-6)에 의해 얻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메모리(9)를 갖는 영상 기록 장치(100)와;
전송로(30)를 거쳐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전송로(30)에 의해 영상 기록 장치(100)에 연결된 프린팅 장치(200)를 구성하며,
상기 프린팅 장치(200)는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되는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와;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패턴 데이터를 영상 기록 장치(100)에 송신하기 위한 패턴 송신 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는 패턴 송신 유닛(20)으로부터 송신된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패턴 수신 유닛(12)과;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패턴 수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된 패턴 데이터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 데이터 발생기(12); 및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로(30)를 거쳐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영상 공급 유닛(12)을 포함한다.
프린팅 시스템에서 제 1 양상에 따라, 패턴 데이터는 프린팅 장치(200)로부터 영상 기록 장치(100)에 보내지고 영상 기록 장치(100)에 있는, 영상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된다.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는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되고, 대응하는 영상은 프린트된다. 이는 삽화 같은 패턴을 영상 기록 장치(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에 합성할 수 있게 한다. 더군다나, 패턴 데이터가 프린팅 장치(200)내의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되므로, 영상 기록 장치(100)는 영상을 기록할 때에 패턴 데이터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 프린팅 시스템은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한 영상 포착 유닛(1-6)과, 영상 포착 유닛(1-6)에 의해 포착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 유닛(8) 및 압축 유닛(8)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메모리(9)를 갖는 영상 기록 장치(100)와;
전송로(30)를 거쳐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전송로(30)에 의해 영상 기록 장치(100)에 연결된 프린팅 장치(200)를 구성하며,
상기 프린팅 장치(200)는 압축된 형태로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된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와;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압축된 패턴 데이터를 영상 기록 장치(100)에 송신하기 위한 패턴 송신 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는 패턴 송신 유닛(20)으로부터 송신된 압축된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패턴 수신 유닛(12)과;
패턴 수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된 압축된 패턴 데이터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 유닛(8);
확장 유닛(8)에 의해 확장된 패턴 데이터를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기 위한 합성 데이터 발생기(12); 및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로(30)를 거쳐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영상 공급 유닛(12)을 포함한다.
프린팅 시스템에서 제 2 양상에 따라, 패턴 데이터는 프린팅 장치(200)로부터 영상 기록 장치(100)에 압축된 형태로 보내지고, 패턴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가 확장된 후에 영상 기록 장치(100)내의, 영상 메모리(9)에 압축된 형태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된다. 확장된 후에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는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되고, 대응하는 영상은 프린트된다. 이는 삽화 같은 패턴을 영상 기록 장치(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과 합성할 수 있게 한다. 패턴 데이터가 압축된 형태로 프린팅 장치(200)내의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되므로, 프린팅 장치(200)로부터 전송로(30)를 거쳐 영상 기록 장치(100)에 공급되는 것은 압축된 패턴 데이터이다. 따라서, 패턴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200)로부터 영상 기록 장치(100)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 기록 장치(100)는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 유닛(8)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압축 유닛(8)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공급 유닛(12)으로부터 전송로(30)를 거쳐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한다. 이 경우, 프린팅 장치(200)는 영상 공급 유닛(12)으로부터 공급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 유닛(20)을 갖고 있고, 확장 유닛(20)에 의해 확장된 영상 데이터를 프린트할 수 있다.
이런 구조로,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전송로(30)를 거쳐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되는 것은 압축된 영상 데이터이다. 그러므로, 영상 데이터를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프린팅 시스템에서 제 1 및 제 2 양상에 따라, 영상 기록 장치(100)는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19)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이 표시 장치를 준비함으로써 사용자는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가 프린트되기 전에 이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라, 프린팅 시스템은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영상 포착 장치(1-6), 영상 포착 장치(1-6)에 의해 얻은 복수의 정지 화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메모리(9),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19) 및 외부의 명령에 응하여 영상 메모리(9)와 표시 장치(19)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12)을 갖고 있는 영상 기록 장치(100)와;
전송로(30)를 거쳐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전송로(30)에 의해 영상 기록 장치(100)에 연결된 프린팅 장치(200)를 구성하며,
상기 프린팅 장치(200)는 영상 메모리(9)로부터 복수의 정지 화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연속으로 판독하고,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 유닛(19)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명령 신호를 전송로(30)를 거쳐 제어 유닛(12)에 보내기 위한 표시 명령 유닛(23b, 20);
표시 명령 유닛(23b, 20)으로부터의 명령을 기초로 표시 장치(19)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정지 화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 유닛(23c, 20);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된 복수 형태의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 메모리(24);
복수 형태의 패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유닛(19)상에 표시된 메뉴(menu)에 대응하는 메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뉴 데이터 메모리(24);
표시 유닛(19)상에 표시된 메뉴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뉴에 따라 복수 형태의 패턴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패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패턴 선택 유닛(23b, 23c, 20); 및
패턴 데이터 메모리(24)로부터 패턴 선택 유닛(23b, 23c, 20)에 의해 선택된 패턴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패턴 데이터를 영상 기록 장치(100)에 송신하기 위한 패턴 송신 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는 패턴 송신 유닛(20)으로부터 송신된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패턴 수신 유닛(12);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패턴 수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된 패턴 데이터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 데이터 발생기(12); 및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로(30)를 거쳐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영상 공급 유닛(12)을 포함한다.
프린팅 시스템에서 제 3 양상에 따라, 패턴 선택 유닛(23b, 23c, 20)이 복수형의 패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다루어질 때, 패턴 데이터는 프린팅 장치(200)로부터 영상 기록 장치(100)에 보내진다. 영상 선택 장치(23c, 20)를 동작시킴으로써,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복수의 정지 화상에 대응하는 하나의 영상 데이터는 선택된다. 선택된 패턴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는 영상 기록 장치(100)내의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합성된다.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는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되고, 대응하는 영상은 프린트된다. 삽화 같은 패턴이 영상 기록 장치(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과 합성되도록 하는 패턴 데이터가, 프린팅 장치(200)내의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되기 때문에, 영상 기록 장치(100)는 영상을 기록할 때에 패턴 데이터를 보유할 필요가 없다. 더군다나 표시 유닛(19)을 이용해 패턴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프린팅 시스템에서 제 3 양상에 따라, 제어 유닛(12)은 표시 유닛(19)이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가 프린트되기 전에 이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점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상에 따라, 전송로(30)에 의해 영상 기록 장치(100)에 연결되고, 전송로(30)를 거쳐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팅 장치는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내의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된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 메모리(24)를 포함하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되고, 영상 기록 장치(100)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프린트된다.
프린팅 장치는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패턴 데이터를 영상 기록 유닛(100)에 송신하기 위한 패턴 송신 유닛(20)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이 경우 프린트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기록 장치(100)에서 합성될 수 있고, 전송로(30)를 거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상에 따라,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팅 장치(200)에 전송로(30)에 의해 연결된 영상 기록 장치는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영상 포착 유닛(1-6);
영상 포착 유닛(1-6)에 의해 얻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메모리(9);
프린팅 장치(200)에 의해 프린트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영상 공급 유닛(12); 및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패턴 데이터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 데이터 발생기(12)를 구성하며,
상기 영상 공급 유닛(12)은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한다.
이런 영상 기록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되는 패턴 데이터는 프린팅 장치(200)로부터 전송로(30)를 거쳐 공급된다.
상기 영상 기록 장치는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19)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모드는 수반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이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모드에 따라 프린팅 시스템의 구조를 예증하는 투시도이다.
프린팅 시스템은 통신 케이블(30)에 의해 함께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100)와 프린터(200)를 포함한다. 통신 케이블(30)은 디지털 카메라(100)와 프린터(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카메라 몸체(101)와 카메라 몸체의 한 쪽 면에 갖춰진 렌즈 유닛(102)을 갖고 있다. 기록 모드에 기록되는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뷰파인더와, 재생 모드에서 기록된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모니터의 대용이 되는 컬러 액정 표시장치(표시부)(19)는 카메라 몸체(101)의 뒤쪽(도 1의 전면)에 제공된다. 전원 키(13a), 동작 모드 설정 키(13b), 셔터 버튼(13c), "+" 키(13d) 및 "-" 키(13e)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키들은 카메라 몸체(101)의 윗면에 제공된다. 그러한 키들 중 전원 키(13a)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전원을 넣거나 끈다. 동작 모드 설정 키(13b)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 모드를 (나중에 논의될) 기록 모드나 재생 모드에 맞춘다. 셔터 버튼(13c)은 기록 모드에서 영상을 디지털 카메라(100)에 가져오는데 사용된다. "+" 키(13d)는 컬러 LCD(19)가 디지털 카메라에 기록된 영상을 재생 모드에서 앞으로 연속으로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 키(13e)는 컬러 LCD(19)가 디지털 카메라에 기록된 영상을 재생 모드에서 뒤로 연속으로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렌즈 유닛(102)은 영상 픽업 렌즈를 갖고 있고, 카메라 몸체(101)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비록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상 픽업 렌즈는 카메라 몸체(101)의 앞쪽(도 1의 뒤쪽 면)에 제공된다.
프린터(200)는 감열식 프린트 헤드를 포함하는 프린팅 메커니즘과 기록용지(202)를 위한 피딩(feeding) 메커니즘으로 갖춰진 컬러 열전사 프린터이다. 프린터(200)는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컬러 프린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린팅 메커니즘으로 설치된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의 컬러 프린팅 잉크 리본에 담긴 잉크를 기록용지(202)에 열적으로 전달한다.
전원 키(23a), 표시 명령 키(23b), 선택 키(23c) 및 프린트 타입 지정 키(23d)와 같은 프린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필요하거나 디지털 카메라의 원격 동작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키가 프린터 몸체(201)상에 제공된다. 전원 키(23a)는 프린터(200)에 전원을 넣거나 끄는데 사용된다. 표시 명령 키(23b)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기록된 영상을 컬러 LCD(19)상에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내리기 위한 것이다. 선택 키(23c)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컬러 LCD(19)상에 연속으로 표시되는 영상으로부터 프린트되는 영상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선택 키(23c)를 동작시킬 때 컬러 LCD(19)상에 표시되는 영상은 프린터(200)에 의해 프린트된다. 프린트 타입 지정 키(23d)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단독으로 프린트하기 위한 정상 프린팅과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합성하기 위한 합성 프린팅을 전환하는데 사용되고, 결과를 프린트한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100)와 프린터(200)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우선, 디지털 카메라(100)의 회로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사진 촬영된 영상의 광학영상을 형성하는 렌즈(1)를 갖고 있고, 회로는 CCD(전하 결합 소자)(2), 시간 발생기(3), 드라이버(4), 증폭기(5), A/D 컨버터(6), DRAM(7), 압축/확장부(8), 영상 메모리(9), ROM(10), RAM(12), 키 입력부(13), 입/출력 포트(14), 비디오 신호 발생기(15), VRAM(16), D/A 컨버터(17), 증폭기(18) 및 컬러 LCD(19)를 구성한다. 시간 발생기(3)는 드라이버(4)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 신호를 발생시킨다. 드라이버(4)는 시간 발생기(3)로부터의 시간 신호를 기초로 CCD(2)를 구동시킨다. CCD(2)는 렌즈(1)에 의해 형성된 광학 영상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광전자 적으로 변환시키고, 이 신호를 출력한다. 증폭기(5)는 CCD(2)로부터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을 증폭시킨다.
A/D 컨버터(6)는, CCD(2)로부터 출력되고 증폭기(5)에 의해 증폭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시킨다. DRAM(7)는 A/D 컨버터(6)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압축/확장부(8)는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 상에 부호화 처리를 수행한다. 이런 데이터 압축은 예를 들면, 컬러 정지 화상을 위한 부호화 표준인 JPEG(사진술 전문가 그룹) 시스템을 사용한다. 압축/확장부(8)는 또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확장하기 위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 상에 복호화 처리를 수행한다. 압축/확장부(8)는 전용 LSI와 같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물론, 압축/확장 기능은, CPU(12)가 ROM(10)에 저장된 압축/확장 처리용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를 실행시켜야만 할 경우,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인 영상 메모리(9)는 압축/확장부(8)에 의해 압축된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영상 메모리(9)는 복수의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충분한 메모리 용량을 갖는다.
ROM(10)은 디지털 카메라(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보유한다. 이 프로그램은, 디지털 카메라(100)가 통신 케이블(30)을 거쳐 프린터(200)에 연결될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RAM(11)은 산술적인 동작 등으로 발생된 매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CPU(12)를 위한 작업영역으로써 사용된다. RAM(11)은 프린터(200)로부터 전송된 패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RAM(11)은, 패턴 데이터와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처리에 또한 사용된다.
CPU(12)는 RAM(11)의 작업영역을 사용하고, ROM(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CPU(12)는 키 입력부(13)의 각각의 동작키에 의한 동작 신호 입력 또는 프린터(200)로부터 입/출력 포트(14)를 거쳐 전송된 제어 신호에 응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각의 부문을 제어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키 입력부(13)는 전원 키(13a), 동작 모드 설정 키(13b), 셔터 버튼(13c), "+" 키(13d) 및 "-" 키(13e)를 갖고 있다.
비디오 신호 발생기(15)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합성 신호등을 디지털 영상 신호에 첨부한다.
VRAM(16)은 비디오 신호 발생기(15)에 의해 발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저장한다.
D/A 컨버터(17)는 비디오 신호 발생기(15)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 출력을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시킨다.
증폭기(18)는 D/A 컨버터(17)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신호를 컬러 LCD(19)에 공급한다.
컬러 LCD(19)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D/A 컨버터(17)로부터 증폭기(18)를 거쳐 공급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기초로 액정을 구동시킨다.
입/출력 포트(14)는 일련의 신호들로 변환되는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이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은 아래에서 논의될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동작 모드 설정 키(13b)의 동작에 의해 기록 모드로 설정될 때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디지털 카메라(100)가 기록 모드로 설정되는 동안 셔터 버튼(13c)이 동작될 때, CPU(12)는 시간 발생기(3)가 영상 포착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영상 포착 신호에 응하여, CCD(2)는 렌즈(1)에 의해 형성된 광학 영상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써 수신하기 위하여 구동된다. 이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증폭기(5)에 의해 증폭되고, A/D 컨버터(6)에 의해, DRAM(7)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CPU(12)는 휘도 신호와 컬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DRAM(7)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신호 상에 휘도 신호 발생 처리와 컬러 신호 발생 처리를 수행한다. 발생된 휘도 신호와 컬러 신호는 압축/확장부(8)에 의해 압축되고, 영상 데이터로써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다.
한 개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640×480 도트(dot)의 화소로 구성된다.
동작 모드 설정 키(13b)의 동작에 의해 재생 모드로 설정될 때, 디지털 카메라(100)는 기록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현한다.
디지털 카메라(100)가 재생 모드로 설정될 때, CPU(12)는 영상 메모리(9)로부터 (압축된 휘도 신호와 압축된 컬러 신호인)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압축/확장부(8)가 영상 데이터를 확장하게 한다. 압축/확장부(8)에 의해 확장된 휘도 신호와 컬러 신호로 이루어져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는 비디오 신호 발생기(15)에 전송된다. 비디오 신호 발생기(15)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합성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에 첨부하고, 이 신호를 VRAM(16)에 써넣는다. VRAM(16)에 써넣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은 컬러 LCD(19)상에 표시된다.
프린터(200)의 구조는 도 2와 관련하여 이제 논의될 것이다.
프린터(200)는 CPU(20), 영상 메모리(22), 키 입력부(23), ROM(24), RAM(25), 컬러 프린터부(26) 및 입/출력부(27)를 구성한다. 구성부품들(22-27)은 버스(21)에 의해 CPU(20)에 연결된다.
도 2에서, 프린터(200)의 키 입력부(23)는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전원 키(23a), 표시 명령 키(23b) 및 선택 키(23c)와 같은 다양한 키를 갖는다.
영상 메모리(22)는,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고 RAM(25)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정지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변환시켜서 생긴 프린트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프린트 데이터는 3가지 색 즉,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의 한 세트(set)의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영상 메모리(22)는 적어도 한 세트의 정지화상의 프린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다.
ROM(24)은 CPU(20)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처리, 데이터 확장 처리, 프린팅 처리, 합성 프린팅 처리 등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을 보유한다. ROM(24)은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되는 패턴 데이터를 압축된 형태로 보유한다. 원하는 패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표시부(19)상에 표시된 부가적인 메뉴 데이터는 ROM(24)에 압축되어 저장된다.
도 3은 메뉴 데이터를 기초로 디지털 카메라(100)의 표시부(19)상에 표시된 패턴 선택 메뉴(31)를 보여준다. 패턴 선택 메뉴(31)는 좌측에 선택 가능한 패턴의 이름과 우측에 상기 패턴 이름에 대응하는 패턴을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패턴 선택 메뉴(31)에서, 4가지 형태의 패턴 즉, "별7", "별5", "육각형6", "삼각형3"은 선택 가능하다.
도 3에서, 참조 숫자 "32"는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패턴 선택 메뉴(31)에 도시된 원하는 패턴 이름에 위치한 커서(cursor)를 가리킨다. 이 커서(32)는 프린터(200)의 표시 명령 키(23c)를 동작시킴으로써 패턴 이름 아래에서 연속으로 움직인다.
패턴 선택 메뉴(31)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JPEG 시스템의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압축된 형태로 ROM(24)에 미리 저장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패턴 선택 메뉴(31)로부터 선택 가능한 4가지 타입의 패턴(33-36)과 ROM(24)에 압축되어 저장된 상기 패턴들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를 보여준다. 패턴(33-36)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관련한 패턴 이름들이 또한 ROM(24)에 저장된다.
패턴(33-36)에서, 컬러, 패턴 또는 특징은 별, 육각형, 삼각형 등의 윤곽선(33a-36a)의 바깥에 첨부되고,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는 컬러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컬러 등은 윤곽선(33a-36a)의 내부에 첨부되지 않고, 그 결과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에는 데이터가 없다. 특징 "메리 크리스마스"는 패턴(33과 34)에 제공된다. 특징 "즐거운 휴일"과 "1997"은 패턴(35와 36)에 제공된다. 패턴(33-36)은 예를 들면 축하장을 프린트하는데 이용된다.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 데이터 같은 패턴(33-36)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는 예를 들면, 640×480 도트의 화소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의 프린터(200)에서, RAM(25)은 CPU(20)가 실행하는 산술적인 동작을 위한 작업영역과 프린트에 사용되는 프린트 버퍼 메모리 영역을 갖는다.
컬러 프린터부(26)는 감열식 프린트 헤드를 포함하는 프린팅 메커니즘과 기록용지(202)를 위한 피딩 메커니즘을 갖고 있고, 컬러 프린트용 잉크 리본을 이용하여 완전 컬러의 영상을 프린트한다.
컬러 프린터부(26)에 의해 프린트되는 영상은, 합성 프린팅이 프린트 타입 지정 키(23d)에 의해 지정될 때,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37)과 합성된 패턴(35)의 합성 영상이 된다. 합성 프린팅이 지정될 때, 도 5에 도시된 합성 영상과 비슷한 영상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컬러 LCD(19)상에 또한 표시된다.
케이블(30)을 거쳐 디지털 카메라(100)의 입/출력부(14)에 연결된 입/출력부(27)는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100)와 교환한다.
이 프린터(200)의 동작은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이 프린터(200)는 디지털 카메라(100) 단독으로 기록된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정상 프린팅과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과 패턴을 합성하기 위한 합성 프린팅을 실행시킬 수 있고, 결과를 프린트한다. 정상 프린팅과 합성 프린팅은 프린트 타입 지정 키(23d)를 동작함으로써 서로 교환된다.
정상 프린팅은 논의될 것이다.
통신선(30)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200)를 연결하고, 동작 모드 설정 키(13b)를 동작시켜서 디지털 카메라를 재생 모드로 설정한다. 재생 모드의 설정에 응하여,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제 1 영상 데이터는 판독되고, CPU(12)의 제어 하에 압축/확장부(8)에 의해 확장된다. 컬러 LCD(19)는 확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 상황에서 프린터(200)의 표시 명령 키(23b)를 조작할 때, 대응하는 제어 신호는 통신 케이블(30)을 거쳐 디지털 카메라(100)에 전송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자마자, 디지털 카메라(100)의 CPU(12)는 영상 메모리(9)로부터 컬러 LCD(19)상에 현재 표시된 영상에 다음 영상 데이터를 판독해주고, 컬러 LCD(19)상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프린터(200)의 표시 명령 키(23b)를 동작할 때마다,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판독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은 컬러 LCD(19)상에 차례대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컬러 LCD(19)상에 표시되는 동안 프린터(200)의 선택 키(23c)를 동작할 때, 컬러 LCD(19)상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영상 데이터 전송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는 프린터(200)의 선택 키(23c)의 동작에 응하여 프린터(200)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0)에 보내진다. 이 제어 신호에 응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CPU(12)는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현재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프린터(200)에 전송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보내진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때, 프린터(200)는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RAM(25)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CPU(20)는 RAM(25)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확장한다. CPU(20)는 확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3가지 색 즉, 황색(Y), 자홍색(M) 및 청록색(C)의 한 세트의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프린트 데이터를 준비하고, 영상 메모리(22)에 저장한다. 이 영상 메모리(22)에 저장된 프린트 데이터를 기초로 컬러 프린터부(26)는, 프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하여 컬러 잉크 리본에 보유된 잉크들을 기록용지(202)의 위로 서로 옮긴다.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가 통신 케이블(30)에 의해 프린터(200)에 연결되고,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의 영상 데이터가 패턴 데이터와 합성되고, 결과가 프린터(200)에 의해 프린트되는 합성 프린팅의 동작에 대해 기술된다.
도 6에서, 좌측의 흐름은 프린터(200)내의 처리를 가리키고, 우측의 흐름은 디지털 카메라(100)내의 처리를 가리킨다. 디지털 카메라(100)와 프린터(200)가 통신 케이블(30)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둘 다 전원이 넣어지고, 합성 프린팅이 프린터(200)의 프린트 타입 지정 키(23d)에 의해 지정될 때, 이 흐름도에서의 처리는 시작된다.
처리가 시작될 때, 디지털 카메라(100)와 프린터(200) 사이의 데이터 링크(link)가 우선 만들어진다(A11 단계, B11 단계).
디지털 카메라(100)와 프린터(200) 사이의 데이터 링크가 만들어질 때,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데이터가 프린터(200)의 ROM(24)으로부터 판독되고, 프린터(200)로부터 입/출력부(27)를 거쳐 디지털 카메라(100)에 보내진다(A12 단계).
디지털 카메라(100)는 A12 단계의 프린터로부터 보내진,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데이터를 입/출력부(14)를 거쳐 수신한다. 이 메뉴 데이터는 RAM(11)에 저장된다(B12 단계).
디지털 카메라(100)의 CPU(12)는 압축/확장부(8)가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데이터를 확장하게 하고, 표시부(19)상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패턴 선택 메뉴(31)를 표시한다(B13 단계).
사용자는 패턴 선택 메뉴(31)의 패턴 중에서 원하는 패턴을 선택하기 위하여, 프린터(200)의 키 입력부(23)에 있는 키를 동작한다.
표시 명령 키(23b)의 동작에 응하여 패턴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상기 키 동작에 따른 제어 신호는 프린터(200)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0)에 전송된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CPU(12)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어느 패턴 이름 하에서도 패턴 선택 메뉴(31)상에 표시된 커서(32)를 연속으로 움직인다. 원하는 패턴 이름에 위치한 커서(32)로, 사용자는 패턴을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 키(23c)를 동작한다.
위에 기술한 동작으로 패턴을 선택했을 때, 선택된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 이름이 프린터(200)의 RAM(25)에 저장된다(A13 단계).
다음으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가 영상을 표시하도록 명령하기 위하여, 프린터(200)의 키 입력부(23)에 제공된 표시 명령 키(23b)를 동작한다. 표시 명령 키(23b)의 동작에 응하여, 제어 신호(표시 명령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된 표시 명령 신호는 입/출력부(27)를 거쳐 디지털 카메라(100)에 송신된다(A14 단계).
이 표시 명령 신호에 응하여, 디지털 카메라(100)는 영상 메모리(9)로부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연속으로 판독한다. 판독된 영상 데이터는 압축/확장부(8)에 의해 확장되고, VRAM(16)에 기록된다. 컬러 LCD(19)는 VRAM(16)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연속으로 표시한다(B16 단계).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컬러 LCD(19)상에 표시된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기 위하여 프린터(200)의 키 입력부(23)에 제공된 선택 키(23c)를 동작한다(A15 단계).
선택 키(23c)의 동작에 응하여, 프린터(200)의 CPU(20)는 이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영상 선택 신호)를 출력하고, 입/출력부(27)를 거쳐 디지털 카메라(100)에 송신한다(A16 단계). CPU(20)는 A13 단계에서 선택된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압축된 데이터)를 ROM(24)으로부터 판독하고, 입/출력부(27)를 거쳐 디지털 카메라(100)에 송신한다(A17 단계).
디지털 카메라(100)는 A16 단계에서 프린터(200)로부터 송신된 영상 선택 신호를 입/출력부(14)를 거쳐 수신하고,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영상 메모리(9)의 헤드 어드레스(head address)에 저장한다(B15 단계). 디지털 카메라(100)는 A17 단계에서 프린터(200)로부터 송신된 패턴 데이터(압축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RAM(11)에 저장한다(B16 단계).
영상 선택 신호와 일치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CPU(12)는 RAM(11)에 저장된 어드레스를 기초로 영상 메모리(19)로부터 영상 데이터(압축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압축/확장부(8)가 판독된 영상 데이터와 RAM(11)에 저장된 패턴 데이터를 RAM(11)에서 확장시키도록 한다(B17 단계).
CPU(12)는 영상 데이터를 패턴 데이터와 합성하기 위하여 B17 단계에서 확장된 패턴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위에 쓴다. 합성된 데이터는 RAM(11)에서 발생된다(B18 단계).
앞에서 언급했듯이, 도 4A-4D의 패턴에 있는 윤곽선(33a-36a) 내부의 패턴 데이터는 아무런 데이터도 포함하지 않는다. 컬러, 패턴 또는 특징은 윤곽선(33a-36a) 외부에 첨부되고,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는 컬러와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와 패턴 데이터 모두는 640×480 도트의 화소로 이루어져 있다. 패턴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 데이터 위에 쓰여질 때, 패턴 데이터의 윤곽선(33a, ..., 36a) 바깥쪽을 부분적으로 덮는 영상 데이터의 그 구획은 패턴 데이터에 의해 겹쳐서 써지고, 패턴 데이터의 윤곽선(33a, ..., 36a) 안쪽을 부분적으로 덮는 영상 데이터의 그 구획은 드러나고, 현재 상태로 나타난다.
CPU(12)는 컬러 LCD(19)상의 영상 데이터와 패턴 데이터의 합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B19 단계). 이는 사용자가 합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점검할 수 있게 한다. 계속하여, CPU(12)는 압축/확장부(8)가 RAM(11)에 준비된 합성 데이터를 압축하게 하고(B20 단계), 압축된 합성 데이터를 입/출력부(14)를 거쳐 프린터(200)에 송신한다(B21 단계).
프린터(200)는 B21 단계에서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송신된 합성 데이터를 입/출력부(27)를 거쳐 수신하고, 수신된 합성 데이터를 RAM(25)에 저장한다(A18 단계). 프린터(200)의 CPU(20)는 ROM(24)에 저장된 데이터 확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자극하고, 이 데이터 확장 프로그램과 일치하여 RAM(25)에 저장된 합성 데이터를 확장한다(A19 단계). CPU(20)는 확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3가지 컬러 즉, 황색(Y), 자홍색(M) 및 청록색(C)의 한 세트의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프린트 데이터를 준비한다.
CPU(20)는 영상 메모리(22)에 준비된, 기록용지상의 황색(Y), 자홍색(M) 및 청록색(C)의 개개의 컬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부분적으로 덮고, 결과를 프린트하도록 프린터부(20)를 활성화시킨다(A20 단계).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합성 영상은 프린트된다.
위에 기술된 모드에 따라서, 컬러 등은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과 합성되는 패턴의 윤곽선(33a, ..., 36a) 바깥쪽에만 제공되고,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의 윤곽선(33a, ..., 36a) 안쪽에는 어떠한 데이터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된 패턴들은 앞에 말한 패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스트링(string)의 특징을 제거하기 위한 패턴이 있다. 윤곽선(33a, ..., 36a)의 바깥쪽을 단지 가리고,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이 미리 결정된 모양으로 프린트되게 하는 패턴이 있다. 윤곽선(33a, ..., 36a)의 바깥쪽 구획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컬러 신호를 제거하고,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기록된 영상의 대응하는 구획만을 단색의 형태로 프린트되게 하는 패턴이 있다.
위에 기술된 모드에 따라서, 사용자는 패턴 선택 메뉴(31)에서 원하는 패턴 이름으로 커서(32)를 움직이기 위하여 표시 명령 키(23b)를 동작하고, 원하는 패턴을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 키(23c)를 동작한다. 그러나, 패턴을 선택하는 방법은 기술된 방법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패턴은 사용자가 프린터(200)의 특정 키(예를 들면, 선택 키(23c))를 동작하는 횟수와 일치하여 선택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에 대응하는 숫자 키를 동작시켜 패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프린터(200)는 복수의 숫자 키로 제공된다. 그런 경우들에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도 3의 패턴 선택 메뉴(31)에서 "육각형6"에 대응하는 패턴을 선택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선택 키(23c)를 세 번 동작하던가 또는 숫자 키 "3"을 동작할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를 필요로 하는 종래의 프린팅 시스템은 값이 비싸고, 퍼스널 컴퓨터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은 복잡하고, 영상을 단지 프린트만 할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에 기록된 영상을 프린트하는 것은 어렵고 더디었다.
본 발명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가 필요 없는 프린팅 시스템은 값이 싸고,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이 간단하고, 교환되는 데이터의 양이 줄고, 삽화 같은 패턴과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을 프린트하려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영상을 프린트하기 전에 점검할 수 있어 앞으로의 이용이 주목된다.

Claims (12)

  1.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한 영상 포착 유닛(1-6)과 상기 영상 포착 유닛(1-6)에 의해 포착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메모리(9)를 지닌 영상 기록 장치(100)와;
    전송로(30)를 거쳐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전송로(30)에 의해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에 연결된 프린팅 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 장치(200)는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되는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와;
    상기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상기 패턴 데이터를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에 송신하기 위한 패턴 송신 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는 상기 패턴 송신 유닛(20)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패턴 수신 유닛(12);
    상기 패턴 수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패턴 데이터를 상기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기 위한 합성 데이터 발생기(12); 및
    상기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로(30)를 거쳐 상기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영상 공급 유닛(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가 상기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19)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3.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한 영상 포착 유닛(1-6);
    상기 영상 포착 유닛(1-6)에 의해 포착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 유닛(8); 및
    상기 압축 유닛(8)에 의해 압축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메모리(9)를 갖는 영상 기록 장치(100)와;
    전송로(30)를 거쳐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전송로(30)에 의해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에 연결된 프린팅 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 장치(200)는 상기 영상 메모리(9)에 압축된 형태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되는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와;
    상기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상기 압축된 패턴 데이터를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에 송신하기 위한 패턴 송신 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는 상기 패턴 송신 유닛(20)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압축된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패턴 수신 유닛(12);
    상기 패턴 수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압축된 패턴 데이터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 유닛(8);
    상기 확장 유닛(8)에 의해 확장된 상기 패턴 데이터를 상기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기 위한 합성 데이터 발생기(12); 및
    상기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로(30)를 거쳐 상기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영상 공급 유닛(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가 상기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19)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가 상기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 유닛(8)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압축 유닛(8)에 의해 압축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공급 유닛(12)으로부터 상기 전송로(30)를 거쳐 상기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고;
    상기 프린팅 장치(200)가 상기 영상 공급 유닛(12)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 유닛(20)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 유닛(20)에 의해 확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프린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6.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한 영상 포착 유닛(1-6);
    상기 영상 포착 유닛(1-6)에 의해 포착된 복수의 정지 화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메모리(9);
    상기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19); 및
    외부의 명령에 응하여 상기 영상 메모리(9)와 상기 표시 유닛(19)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12)을 구비하는 영상 기록 장치(100)와;
    전송로(30)를 거쳐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전송로(30)에 의해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에 연결된 프린팅 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팅 장치(200)는 상기 영상 메모리(9)로부터 복수의 정지 화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19)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명령 신호를 상기 전송로(30)를 거쳐 상기 제어 유닛(12)에 보내기 위한 표시 명령 유닛(23b, 20);
    상기 표시 명령 유닛(23b, 20)으로부터의 명령을 기초로, 상기 표시 유닛(19)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 유닛(23c, 20);
    상기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되는 복수형의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 메모리(24);
    상기 복수형의 패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표시 유닛(19)상에 표시되는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뉴 데이터 메모리(24);
    상기 표시 유닛(19)상에 표시된 상기 메뉴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메뉴와 일치하여 상기 복수형의 패턴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패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패턴 선택 유닛(23b, 23c, 20); 및
    상기 패턴 데이터 메모리(24)로부터 상기 패턴 선택 유닛(23b, 23c, 20)에 의해 선택된 상기 패턴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패턴 데이터를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에 송신하기 위한 패턴 송신 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는 상기 패턴 송신 유닛(20)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패턴 수신 유닛(12);
    상기 패턴 수신 유닛(12)에 의해 수신된 상기 패턴 데이터를 상기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기 위한 합성 데이터 발생기(12); 및
    상기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로(30)를 거쳐 상기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영상 공급 유닛(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2)은 상기 표시 유닛(19)이 상기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8. 영상 기록 장치(100)의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합성되는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 메모리(24)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되고, 영상 기록 장치(100)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프린트되는,
    전송로(30)를 거쳐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전송로(30)에 의해 영상 기록 장치(1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데이터 메모리(24)에 저장된 상기 패턴 데이터를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에 송신하기 위한 패턴 송신 유닛(20)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프린트되는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기록 장치(100)에 있는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되고, 상기 전송로(30)를 거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10. 정지 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한 영상 포착 유닛(1-6);
    상기 영상 포착 유닛(1-6)에 의해 포착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메모리(9);
    상기 프린팅 장치(200)에 의해 프린트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영상 공급 유닛(12); 및
    상기 영상 메모리(9)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와 패턴 데이터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 데이터 발생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공급 유닛(12)이 상기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린팅 장치(200)에 공급하는,
    전송로(30)에 의해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팅 장치(2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합성되는 상기 패턴 데이터를 상기 프린팅 장치(200)로부터 상기 전송로(30)를 거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데이터 발생기(12)에 의해 상기 패턴 데이터와 합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19)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KR1019980706612A 1996-12-25 1997-12-19 프린팅 시스템 KR19990087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45842 1996-12-25
JP345842 1996-12-25
PCT/JP1997/004712 WO1998030020A1 (en) 1996-12-25 1997-12-19 Prin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215A true KR19990087215A (ko) 1999-12-15

Family

ID=6595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612A KR19990087215A (ko) 1996-12-25 1997-12-19 프린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72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6960B1 (en) Printing system, photograph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combining method
JP2000069405A (ja) 電子画像形成及び印刷システム
EP0886959B1 (en) Printing system
JP3767043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KR19990087215A (ko) 프린팅 시스템
JPH07307956A (ja) カラープリンタ
JPH10271370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3907766B2 (ja) デジタルプリントシステム
US20010033734A1 (e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0069403A (ja) 印刷装置
JP3497061B2 (ja) プリンタに一体結合したディジタルカメラの撮影画像編集システム
JPH11122577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プリンタ、及び、デジタルスチル画像の撮影システム
JP3933102B2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3134289B2 (ja) 画像情報登録方法及び装置
JP3750675B2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H10181142A (ja)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装置
JP4153376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4083776B2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3204617B2 (ja) 通信装置
JP2001111953A (ja) 画像データ記録装置、プリンタ、電子カメラおよび電子アルバム
JPH02292974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0092436A (ja) 電子的画像印刷システムとこれに使用する電子的撮像装置及び画像印刷装置
JPH11122564A (ja) 画像処理装置
JP200510234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H1155612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