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158A -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에 의한 눈의 테스트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하는 적녹테스트기 - Google Patents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에 의한 눈의 테스트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하는 적녹테스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158A
KR19990087158A KR1019980706551A KR19980706551A KR19990087158A KR 19990087158 A KR19990087158 A KR 19990087158A KR 1019980706551 A KR1019980706551 A KR 1019980706551A KR 19980706551 A KR19980706551 A KR 19980706551A KR 19990087158 A KR19990087158 A KR 1999008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red
target
film
predetermin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589B1 (ko
Inventor
나카가와 아키오
Original Assignee
나카가와 아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가와 아키오 filed Critical 나카가와 아키오
Publication of KR1999008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61B3/06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61B3/0325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provided with red and green targ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안경렌즈나 콘텍트렌즈의 미교정·과교정을 판정하는 적·녹 테스트기는 케이스(1)를 지니며, 이 케이스(1)내를 칸막이판(2)에 의해 좌우로 나눔과 동시에 이 칸막이판(2)의 좌우에 각각 적색용 램프(3R)와 녹색용 램프(3G)를 배치하고, 케이스(1)의 전면에는 유백색 스프린(4)을 개재하여 상기 칸막이판(2)의 좌측에 적색필름(5)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칸막이판(2)의 우측에 녹색필름(6)을 설치한다. 양 필름(5, 6)의 전면에는 상기 램프(3R, 3G)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좌우 동일한 크기의 고정시각마크(8, 9)를 흑색표시하고, 상기 램프(3G)를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킨 후에 이 램프(3G)와 적색용 램프(3R)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스위칭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피검자가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수정체의 조절을 가급적 억제한 상태로 적녹시표 테스트를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에 의한 눈의 테스트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하는 적녹 테스트기
원시, 정상시 및 근시를 판별하거나, 안경렌즈 또는 콘텍트렌즈의 미교정·과교정을 판정하는 테스트방법으로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적색배경에 흑색의 +(플러스)나 ○(원)형의 고정시각마크(visual fixation mark)를 표시하여 만든 적색시표(視標)와, 녹색의 배경에 적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와 동일한 고정시각마크를 표시하여 만든 녹색시표를 나란히 배치하고, 양 시표를 피검자에게 동시에 보여주는 방법이 있다. 이 테스트방법은 눈의 색수차를 응용한 것으로, 적색광과 녹색광의 파장차가 적색광과 녹색광이 각각 맺는 초점위치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 테스트방법은 다음과 같다.
백색의 평행 표준광이 눈의 수정체를 지나 입광하여 망막상에 초점을 맺는 경우, 장파장의 적색광은 망막의 후방에 초점을 맺으며, 단파장의 녹색광은 망막의 전방에 초점을 맺는다. 이 상태에서는 적색광의 초점과 녹색광의 초점이 망막으로부터 거의 같은 거리에 있기 때문에, 각각의 광을 배경으로 한 각 고정시각마크는 같은 정도의 명료함으로 보인다. 즉, 정상시의 눈이나 알맞은 교정안의 경우에는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의 각 고정시각마크가 같은 정도로 보인다.
그러나, 근시안의 경우에는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먼곳에서 온 표준광이 망막 바로 앞에 초점을 맺으므로, 녹색광의 초점보다 적색광의 초점이 망막에 가깝기 때문에, 적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가 녹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 보다 선명하게 보인다.
한편, 조절을 중지한 상태의 원시안의 경우에는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먼곳에서 온 표준광(평행광선)이 망막의 후방에 초점을 맺는다. 이와 같은 눈이 시표를 본 경우, 파장차에 의해 녹색광의 초점 쪽이 적색광의 초점보다도 망막에 가깝기 때문에, 녹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 쪽이 적색표시의 고정시각마크 보다도 선명하게 보인다.
물리 광학적으로는 상기 이론대로 백내장 수술후에 수정체가 없는 눈, 눈안에 렌즈를 삽입한 눈 및 70세 이상의 고령으로 조절력이 거의 없는 눈에 대해서는 상기 이론이 성립한다.
그러나, 생리 광학적으로는 조절력이 있는 원시안이나 정상시의 눈에서는 상기 이론대로 보이는 케이스가 거의 없다.
왜냐하면, 사람의 눈은 끊임없이 수정체가 조절을 행하고 있어, 인공적인 물리 광학계와 같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의 눈은 눈을 뜬 순간부터 생리적으로, 또 위생 본능적으로 외계의 유한거리의 물체에 핀트를 맞추기 때문에, 원시의 눈도 눈을 뜬 순간(0.5∼1초)에, 수정체를 팽창시켜, 보려고 하는 물체에 핀트를 맞추는 것이 보통이다. 즉, 피검자가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수정체의 조절에 의해, 적·녹 어느 쪽이든 시표 고정시각마크를 선명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수정체는 무조절 상태(정신을 차린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도 조절 안정상태(쉬는 상태)로 되는 팽창정도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정상시의 눈이나 원시안이라도 대부분의 경우, 적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 쪽이 선명하게 보이는 편이다.
현재, 범용되고 있는 국제안과학회의 기준에 근거한 원거리(5m앞)시력표에는 적·녹시표가 세트로 되어 있는 것이 많지만, 적·녹시표는 안굴절검사의 경우에 있어서, 수년간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또 사용한다 해도 판정이 부정확하기 때문에 유명무실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콘텍트렌즈의 보급에 따라 최근 몇 년 사이에에 , 콘텍트렌즈 처방의 최종단계로 적·녹시표에 의한 과교정의 체크가 행해지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콘텍트렌즈의 선정에 있어서 적·녹시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과교정된 눈의 경우에도 적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가 선명하게 보이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적·녹시표의 안이한 사용에 의해 콘텍트렌즈나 안경의 과교정이 생겨 근시의 진행이나 VDT피로의 원인이 되는 개연성이 상당히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피검자가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수정체의 조절을 가급적 억제한 상태에서 적·녹시표를 사용하여 행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하는 눈 테스트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자에게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과, 그 다음에, 상기 녹색시표와 적색시표를 동시에 보이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녹색시표와 상기 적색시표를 피검자에게 비교시킴으로써, 안굴절의 경향이나, 착용한 안경렌즈 또는 콘텍트렌즈의 적부를 판정하는 눈의 테스트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자에게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과, 그 다음에, 제 2녹색시표와 적색시표를 동시에 보이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녹색시표와 상기 적색시표를 피검자에게 비교시킴으로써, 안굴절의 경향이나, 착용한 안경렌즈 또는 콘텍트렌즈의 적부를 판정하는 눈의 테스트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자에게 녹색보다 파장이 짧은 색의 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과, 상기 시표를 소등한 후에 녹색시표와 적색시표를 동시에 보이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녹색시표와 상기 적색시표를 피검자에게 비교시킴으로써, 안굴절의 경향이나, 착용한 안경렌즈 또는 콘텍트렌즈의 적부를 판정하는 눈의 테스트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와,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과, 그 점등 후에 적색시표와 녹색시표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수단을 갖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하는 눈 테스트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녹색시표와, 적색시표와, 제 2녹색시표와,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 및 그 점등 후에, 적색시표와 제 2녹색시표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수단을 갖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하는 눈 테스트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녹색보다 파장이 짧은 색의 시표와,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와, 녹색보다 파장이 짧은 색의 상기 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과, 그 점등 후에, 적색시표와 녹색시표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수단을 갖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하는 눈 테시트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시, 정상시(正常視)및 근시를 판별하거나, 안경렌즈나 콘텍트렌즈의 미교정·과교정을 판정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하는 적녹(赤綠)테스트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녹색 테스트기의 제 1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적색 스위치기의 스위칭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스위칭회로의 작용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4C는 도 4A의 스위칭회로의 다른 작용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색 테스트기의 제 2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적색 테스트기의 스위칭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원시안에 녹색시표만을 응시시킨 상태의 초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정상시 눈의 초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근시안의 초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원시안의 초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기술적 배경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적색시표와 녹색시표를 사용하는 테스트에 관계되는 문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의 평행 표준광(엄밀하게는 590㎚ 부근의 황색광)이 눈의 수정체(S)를 지나 눈속으로 입광하여 망막(M)상에 초점(W)을 맺는 경우, 장파장의 적색광은 망막(M)의 후방에 초점(R)을 맺으며, 단파장의 녹색광은 망막(M)전방에 초점(G)을 맺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적색광의 초점(R)과 녹색광의 초점(G)이 망막(M)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에 있기 때문에, 각각의 색을 배경으로 한 각 고정시각마크는 같은 정도의 명료함으로 보이게 된다. 즉, 정상시의 눈 또는 알맞은 교정안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의 각 고정시각마크가 같은 정도로 보인다.
그런데, 근시안의 경우에 먼곳에서 온 표준광(평행광선)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막(M)의 바로 앞에 초점(W)을 맺어, 녹색광의 초점(G)보다 적색광의 초점(R)쪽이 망막(M)에 가깝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적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가 녹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 보다 선명하게 보인다.
조절을 중지한(수정체의 팽창이 전혀 없는)상태의 원시안의 경우에 먼곳에서 온 표준광(평행광선)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막의 후방에 초점을 맺는다. 이와 같은 눈이 먼 쪽(5m앞의 시표)을 본 경우, 파장차에 의해 녹색광의 초점(G)쪽이 적색광의 초점(R)보다도 망막(M)에 가깝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녹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 쪽이 적색표시의 고정시각마크 보다도 선명하게 보인다.
물리 광학적으로는 상기 이론대로 백내장 수술후에 수정체가 없는 눈, 눈안에 렌즈를 삽입한 눈 및 70세 이상의 고령으로 조절력이 거의 없는 눈에 대해서는 상기 이론이 성립한다.
그러나, 생리 광학적으로는 조절력이 있는 원시안이나 정상시의 눈으로는 상기 이론대로 보이는 케이스가 거의 없다.
왜냐하면, 사람의 눈은 끊임없이 수정체가 조절을 행하고 있어, 인공적인 물리 광학계와 같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원시의 눈이 조절을 행하지 않고, 수정체를 완전하게 무조절(얇은)상태로 한 경우에 백색광선의 초점(W)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 되지만, 사람의 눈은 눈을 뜬 순간부터 생리적으로, 또 위생 본능적으로 외계의 유한거리의 물체에 핀트를 맞추기 때문에, 원시의 눈도 눈을 뜬 순간(0.5∼1초)에 도 12 중에 1점쇄선(S1)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정체(S)를 팽창시켜, 보려고 하는 물체에 핀트를 맞추는 것이 보통이다. 즉, 피검자가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수정체(S)의 조절에 의해, 적·녹 어느 쪽이든 시표 고정시각마크를 선명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수정체(S)는 무조절 상태(정신을 차린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도 조절 안정상태(쉬는 상태)로 되는 거의 1.0D(디옵터)정도의 팽창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정상시의 눈이나 원시안이라도 대부분의 경우, 적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 쪽이 선명하게 보이는 편이다.
현재, 범용되고 있는 국제안과학회의 기준에 근거한 원거리(5m앞)안굴절표에는 적·녹시표가 세트로 되어 있는 것이 많지만, 적·녹시표는 안굴절검사의 현장에서 수년간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또 사용한다 해도 판정이 부정확하기 때문에 유명무실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콘텍트렌즈의 보급에 따라 최근 몇 년 사이에, 콘텍트렌즈 처방의 최종단계로 적·녹시표에 의한 과교정의 체크가 행해지기 시작해 최근에는 콘텍트렌즈의 선정에 있어서 적·녹시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과교정된 눈의 경우에도 적색시표의 고정시각마크가 선명하게 보이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적·녹시표의 안이한 사용에 의해 콘텍트렌즈나 안경의 과교정이 생겨 근시의 진행이나 VDT피로의 원인이 되는 개연성이 상당히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다음에,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실시형태)
도 1∼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녹 테스트기의 제 1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적녹 테스트기는 폭이 긴 직사각형의 케이스(1)를 지니며, 이 케이스(1)내를 칸막이판(2)에 의해 좌우 2개의 실로 나누었다. 그리고, 좌우실의 후벽에서 각각 램프(3R, 3G)를 지지하고 있다. 케이스(1)의 전면에는 개구를 설치하였으며, 이 개구는 유백색 스크린(4)과, 적색필름(5) 및 녹색필름(6)의 적층시트로 막혀 있다. 유백색 스크린(4)의 전면에는 상기 칸막이판(2)의 좌측에 적색필름(5)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칸막이판(2)의 우측에 녹색필름(6)을 설치하고, 양 필름(5, 6)의 전면에는 상기 램프(3R, 3G)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좌우 동일한 크기의 굵은 +(플러스)형의 흑색 고정시각마크(8, 9)를 부착하였다. 한편, 이 적녹 테스트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용 램프(3G)를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킨 후에 적색용 램프(3R)와 녹색용 램프(3G)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후술하는 스위칭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적녹 테스트기에서는 고정시각마크(8)가 흑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적색필름(5)면이 적색시표를 구성하고, 고정시각마크(9)가 흑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녹색필름(6)면이 녹색시표를 구성한다.
상기 굵은 +(플러스)형의 고정시각마크(8, 9)는 흑색표시 대신에, 흑색 불투명 필름의 소정 위치에 2개의 굵은 +(플러스)형을 천공하여, 이 흑색 불투명 필름을 적색필름(5)과 녹색필름(6)의 전면에 밀착시켜서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시각마크(8)의 자체가 적색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고정시각마크(9)자체는 녹색으로 표시된다.
이 제 1실시형태에서의 각 램프의 점멸은 도 4A에 도시한 스위칭회로에 의해 행해진다. 즉, 이 스위칭회로에서는 메인 스위치(S2)를 갖춘 전기회로(15)에 플리커회로(16)를 설치하고, 이 플리커회로(16)와 직렬을 이루고, 서로 간에는 병렬을 이루는 램프(3R, 3G)를 접속함과 동시에, 램프(3R)와 플리커회로(16)사이에 펄스 카운트회로(17)를 설치하여, 램프(3G)와 플리커회로(16)사이와, 램프(3G)와 메인 스위치(S2)사이에 스위치 온으로 램프(3G)를 연속점등하고 스위치 오프로 램프(3G)를 점멸하는 수동 또는 자동 절환 스위치장치(S1)를 설치한다.
상기 플리커회로(16)는 도 4B에 3G로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펄스주기 및 펄스 연속시간의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또, 카운터회로(17)는 펄스의 카운트수의 변경이 가능하며, 설정수의 펄스를 카운트하면, 도 4B에 3R로 도시한 바와 같이, 1회만 램프(3R)를 점등한다. 또한, 도 4C에 3G로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3G)를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점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스위칭회로는 램프(3G)를 연속점등 또는 점멸시킬 수 있으며, 이 사이에 램프(3R)를 소정의 시간동안만 점등시킬 수 있다.
(제 2실시형태)
도 5∼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녹 테스트기의 제 2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적녹 테스트기는 폭이 넓은 직사각형 케이스(1)를 지니며, 이 케이스(1)내의 상부 중앙과 그의 하방 좌우에 3개의 램프(3g, 3R, 3G)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램프(3g)는 제 1녹색용 램프를 구성하고, 램프(3G)는 제 2녹색용 램프를 구성한다. 이들 램프는 케이스(1)내의 후벽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1)의 전면 개구는 유백색 스크린(4)을 포함하는 적층시트로 막혀 있다. 유백색 스크린(4)의 전면에는 상기 상부 중앙의 램프(3g)전방에 녹색필름(7)을 점착하고, 하방 좌우의 램프(3R, 3G)전방에는 각각 적색필름(5)과 녹색필름(6)을 점착하였다. 또, 각 필름(5, 6, 7)의 전면에는 상기 램프(3g)와 대응하는 위치에 굵은 ○(원)형을 천공하는 한편, 상기 램프(3R, 3G)와 대응하는 각 위치에 좌우 동일한 크기의 굵은 +(플러스)형을 천공한 흑색 불투명 필름(13)을 밀착시켜서 배치하였다. 이것에 의해, 굵은 ○(원)형을 제 1고정시각마크(10)로서 녹색표시하고, 각 굵은 +(플러스)형을 제 2고정시각마크(11, 12)로 하여 고정시각마크(11)에는 적색표시함과 동시에, 고정시각마크(12)에는 녹색표시하도록 하였다. 한편, 이 적녹 테스트기에는 상부 중앙의 램프(3g)를 일정시간 점등 또는 점멸시킨 후에 이것을 소등하고 상하좌우 램프(3R, 3G)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스위칭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녹적 테스트기에서는 적색표시한 제 2고정시각마크(11)자체가 적색시표를 구성하고, 녹색표시한 제 2고정시각마크(12)자체가 녹색시표를 구성한다.
상기 굵은 ○(원)의 고정시각마크(10)와 굵은 +(플러스)형의 고정시각마크(11, 12)는 흑색 불투명 필름(13)을 천공하지 않고, 상기 실시한 제 1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필름(5, 6, 7)의 해당위치 전면에 각각 흑색표시하여도 좋다. 또,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녹색필름(7)대신에 녹색보다도 파장이 짧은 색(자색, 감색, 청색등)의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제 2실시형태에서 각 팸프의 점멸은 도 8에 도시한 스위칭회로에 의해 행해진다. 즉, 이 회로는 상기 제 1실시형태에서의 전기회로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것이지만, 다른 점은 도 4A에서 램프(3G)대신에 램프(3g)를 배치하고, 램프(3R)를 램프(3G)와 병렬로 접속한 것이다.
따라서, 이 회로에서는 램프(3g)를 연속점등 또는 점멸시킬 수 있으며, 또 램프(3g)를 점등한 후, 램프(3R, 3G)를 동시에 소정시간 점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실시형태의 양 적녹 테스트기는 각각 상기 원거리(5m앞)시력표로 세팅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실시형태의 적녹 테스트기를 사용하여, 원시안이나 과교정안을 지닌 피검자에게 적색시표만 점멸상태 또는 연속적으로 점등하여 응시시키면, 피검자가 무의식적으로 수정체를 조절하므로, 어느 테스트기의 경우에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광(G)이 망막(M)상에 초점(G)을 맺는다. 이 상태를 수초간 계속하고 나서, 적색시표를 약 1초간 점등하여 피검자에게 보이면, 초점(R)쪽이 초점(G)보다도 망막(M)으로부터 멀기 때문에, 적색시표는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 이 경우, 눈이 초점을 적색시표측으로 조절하려고 하기 전에 적색시표는 꺼지므로, 눈은 다시, 녹색시표측에 초점이 만난다. 이것을 반복하여 행해 피검자에게 비교시킴으로써, 피검자가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활발한 초점조절(수정체의 조절)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또, 적색용 램프(3R)는 전형적으로, 녹색용 램프(3G)를 3회 내지 7회 점멸시킨 후, 1회 점등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에 의한 테스트 방법을 제 1실시형태에 도시한 적녹 테스트기를 사용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적색 필름(5)에는 HT024(영국 리 필터스 리미티드(Lee Filters Ltd.)제)를, 녹색필름(6)에는 HT124(영국 리 필터스 리미티드 제)를 사용하고, 고정시각마크(8, 9)의 치수는 +(플러스)아암의 폭을 1.5㎜, +(플러스)의 상하, 수평방향 길이를 20㎜로 하였다. 또, 적·녹새시표의 조도는 800cd/㎡으로 설정하였다.
시험 A(종래법)
종래대로, 적·녹색시표의 양 시표를 점등한 상태에서 양 시표를 응시시켜, 적·녹색시표 중 어느 고정시각마크가 확실히 보이는지를 피검자에게 질문하였다.
시험 B(본 발명법)
점등한 상태의 녹색시표만을 바라보게 하고, 4초에 한번 1초 동안만 적색시표를 녹색시표와 동시에 점등하여, 그 때에 적·녹색시표 중 어느 고정시각마크가 확실히 보이는지를 피검자에게 질문하였다.
시험 C(본 발명법)
녹색시표를 점등 1초, 소등 1초의 간격으로 수초간 점멸하고, 이어서 적색시표를 점등 1초, 소등 4초의 간격으로 점멸하며, 그 후에 적녹 동시에 점등하여, 그 때에 적·녹시표 중 어느 고정시각마크가 확실히 보이는지를 피검자에게 질문하였다.
다음에는 상기 실험 A, B, C에서의 판정결과를 나타낸다. 또, 이하의 판정결과에서는 적색을 R, 녹색을 G로 표시하고, 보인 쪽의 차를 부등호로 나타내고 있다.
피검자 1.정시안·24세·여성
ⅰ) 나안으로(주:이론적으로는 적녹 동일한 선명도로 보일 것임).
실험 A:R>G(적색 쪽이 선명), 실험 B:R=G(적녹동일),
실험 C:R=G(적녹동일)
ⅱ) 동일 피검자에게 Sph(구면렌즈: Spherical lens)-0.5D(디옵터)의 凹렌 즈를 착용시킨 원시상태로(주:이론상으로는 녹색쪽이 선명하게 보일 것임).
실험 A:R>G, 실험 B:R<G(녹색쪽이 선명), 실험 C:R<G
ⅲ) Sph+0.5D의 凸렌즈를 착용시켜 근시상태로(주:당연히 적색쪽이 선명하게 보일 것임).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피검자 2.원시안(Sph+1.0D)·26세·남성
ⅰ) 나안으로(주:이론상으로는 녹색쪽이 선명하게 보일 것임).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ⅱ) 동일 피검자에게 Sph+1.0D의 凸렌즈를 착용시킨 정시상태로.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ⅲ) Sph+0.5D의 凸렌즈를 착용시켜 원시 미교정 상태로{주: ⅰ)과 동일한 결과가 될 것임).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피검자 3.근시안으로 적절하게 교정한 콘텍트렌즈를 착용한 자·22세·여성
ⅰ) 콘텍트렌즈를 착용하여(주:이론상으로는 녹색과 적색은 동일할 것임).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ⅱ) 동일 피검자에게 Sph-0.5D의 凹렌즈를 착용시킨 과교정(원시측)상태로(주:이론상으로는 녹색쪽이 선명하게 보일 것임).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ⅲ) Sph+0.5D의 凸렌즈를 착용시킨 근시상태로(당연히 적색쪽이 선명하게 보일 것임).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피검자 4.근시안으로 과교정한 콘텍트렌즈 착용자·27세·여성(주요문제:눈의 피로)
ⅰ) 콘텍트렌즈를 착용하여(주:이론상으로는 녹색쪽이 선명하게 보일 것임).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피검자 5.원시안(Sph+0.75D)고령으로 조절력이 거의 없는 자·66세·남성
ⅰ) 나안으로(주:이론상으로는 녹색쪽이 선명하게 보일 것임).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ⅱ) 완전하게 교정한 안경렌즈를 착용하여.
실험 A:R=G, 실험 B:R=G, 실험 C:R=G
이상의 판정결과로부터, 수정체 조절력이 없는 고령자나 눈속 렌즈착용의 무수정체 눈에 대해서는 이론에 가까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수정체 조절력이 있는 자에 대해서는 실험 A의 방법은 무의미하다고 말할 수 있다.
실험 B와 C의 비교:실험의 결과로서는 B, C 어느 쪽도 효과의 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상기 실험은 도 1에 도시한 흑색표시의 고정시각마크에 의해 행하였으나, 도 5에 도시한 천공에 의한 고정시각마크(각 고정시각마크 자체를 적·녹색시표로 하는 것)로서 행한 경우에는 피검자의 판단이 보다 명확하였다. 그 이유는 시야가 넓은 색의 배경인 경우에는 눈의 시감도(視感度)곡선이나 잔색효과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제 2실시형태에 도시한 적녹 테스트기를 사용하여, 상기 피검자 1에 대해서, 상부 중앙의 제 1고정시각마크(10)(녹색표시)를 5초간 점등 또는 점멸한 상태로 보인 후에 이것을 소등하고, 곧바로 상하좌우의 제 2고정시각마크(11)(적색표시)와 제 2고정시각마크(12)(녹색표시)를 동시에 점등하여 어느 고정시각마크가 확실하게 보이는지를 질문하는 실험을 행하였으며, 판정결과는 상기 실험 B, C의 결과와 같았으나, 피검자의 응답은 보다 명확하였다. 그 이유는, 전혀 다른 형태의 고정시각마크(10)를 응시한 후에, 다시 적·녹의 고정시각마크(11, 12)를 동시에 보였기 때문에 판단을 내리기가 쉬웠다고 생각된다.
또한, 적색필름(5), 녹색필름(6, 7)은 상기 제 1실시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제 1고정시각마크의 치수는 두께 2㎜, 직경 10㎜, 중앙 절단부의 폭을 2㎜로 하며, 제 2고정시각마크(11, 12)의 치수는 아암의 폭을 1.5㎜, 상하좌우 길이를 20㎜로 하였다.
또, 제 1, 제 2고정시각마크의 조도는 800cd/㎡로 설정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렌즈나 콘텍트렌즈의 조정이 적정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으므로, 피검자에게 최적인 안경렌즈나 콘텍트렌즈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업상 이용성은 극히 높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Claims (22)

  1. 피검자에게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과,
    그 다음에, 상기 녹색시표와 적색시표를 동시에 보이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녹색시표와 상기 적색시표를 피검자에게 비교시킴으로써, 안굴절의 경향이나, 착용한 안경렌즈 또는 콘텍트렌즈의 적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은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멸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은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계속적으로 점등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4. 피검자에게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과,
    그 다음에, 제 2녹색시표와 적색시표를 동시에 보이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녹색시표와 상기 적색시표를 피검자에게 비교시킴으로써, 안굴절의 경향이나, 착용한 안경렌즈 또는 콘텍트렌즈의 적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은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멸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은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점등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7. 피검자에게 녹색보다 파장이 짧은 색의 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과,
    상기 시표를 소등한 후에 녹색시표와 적색시표를 동시에 보이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녹색시표와 상기 적색시표를 피검자에게 비교시킴으로써, 안굴절의 경향이나, 착용한 안경렌즈 또는 콘텍트렌즈의 적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녹색보다 파장이 짧은 색의 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은 이 시표를 일정시간 점멸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녹색보다 파장이 짧은 색의 시표를 일정시간 보이는 스텝은 이 시표를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점등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테스트방법.
  10.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와,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 및 그 점등 후에 적색시표와 녹색시표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수단을 갖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의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은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멸상태로 점등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의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은 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점등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시표가 적색용 램프와, 그 앞에 설치된 적색필름과, 적색필름에 설치된 흑색 고정시각마크로 구성되며, 상기 녹색시표는 녹색용 램프와, 그 앞에 설치된 녹색필름과, 녹색필름에 설치된 흑색 고정시각마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필름 및 녹색필름이 유백색 스크린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시표가 적색용 램프와, 그 전면의 적색필름과, 적색필름에 점착된 적색용 불투명 필름과, 이 적색용 불투명 필름에 천공된 고정시각마크로 구성되며, 상기 녹색시표는 녹색용 램프와, 그 전면의 녹색필름과, 녹색필름에 점착된 녹색용 불투명 필름과, 이 녹색용 불투명 필름에 천공된 고정시각마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16. 제 1녹색시표와,
    적색시표와,
    제 2녹색시표와,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 및 그 점등 후에 적색시표와 제 2녹색시표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수단을 갖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의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은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멸상태로 점등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의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은 제 1녹색시표를 일정시간 계속적으로 점등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시표가 적색용 램프와, 그 앞에 설치된 적색필름과, 적색필름에 설치된 흑색 고정시각마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녹색시표의 각각은 녹색용 램프와, 그 앞에 설치된 녹색필름과, 녹색필름에 설치된 흑색 고정시각마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필름 및 녹색필름이 유백색 스크린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시표가 적색용 램프와, 그 전면의 적색필름과, 적색필름에 점착된 적색용 불투명 필름과, 이 적색용 불투명 필름에 천공된 고정시각마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녹색시표의 각각은 녹색용 램프와, 그 전면의 녹색필름과, 녹색필름에 점착된 녹색용 불투명 필름과, 이 녹색용 불투명 필름에 천공된 고정시각마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스트기.
  22. 녹색보다 파장이 짧은 색의 시표와,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와,
    녹색보다 파장이 짧은 색의 상기 시표를 일정시간 점등시키는 수단과, 그 점등 후에 적색시표와 녹색시표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수단을 갖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테시트기.
KR1019980706551A 1996-12-24 1997-12-22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에 의한 눈의 테스트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하는 적녹테스트기 KR100524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355958A JP3120274B2 (ja) 1996-12-24 1996-12-24 赤色視標と緑色視標による赤緑テスト器
JP355958/1996 1996-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158A true KR19990087158A (ko) 1999-12-15
KR100524589B1 KR100524589B1 (ko) 2006-03-17

Family

ID=1844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551A KR100524589B1 (ko) 1996-12-24 1997-12-22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에 의한 눈의 테스트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하는 적녹테스트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97142A (ko)
EP (1) EP0966916B1 (ko)
JP (1) JP3120274B2 (ko)
KR (1) KR100524589B1 (ko)
CN (1) CN1191782C (ko)
AT (1) ATE344636T1 (ko)
AU (1) AU728597B2 (ko)
CA (1) CA2247473A1 (ko)
DE (1) DE69736929T2 (ko)
WO (1) WO1998027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741A (ja) 2002-07-31 2004-02-26 Nidek Co Ltd 検眼装置
EP2114238A1 (en) * 2007-02-14 2009-11-11 The Institute For Eye Research Limited Characterization of optical systems
JP4980780B2 (ja) * 2007-04-20 2012-07-18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US8659757B2 (en) 2011-06-09 2014-02-25 Carson Optical, Inc. Visual testing method for evaluating chromatic aberration
DE202014011502U1 (de) 2013-03-12 2021-07-05 Visibly, Inc. Computergesteuerte Refraktions- und Astigmatismusbestimmung
CN103767671B (zh) * 2014-02-11 2015-07-01 张仕郎 双色轴位散光表
JP6405662B2 (ja) * 2014-03-26 2018-10-17 株式会社ニコン 眼用レンズ評価方法、眼用レンズ、視力測定装置および眼用レンズ適性検査装置
KR101715577B1 (ko) * 2016-11-09 2017-03-10 박준철 썬글라스 색상선정장치
CN110967868A (zh) * 2019-11-29 2020-04-07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终端及视力测试方法
CA3178536A1 (en) * 2020-09-24 2022-03-31 Shamir Optical Industry Ltd.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vision of a subject
CN112971701A (zh) * 2021-03-02 2021-06-18 河南省儿童医院郑州儿童医院 具有防止侧片窥视的眼科检查红绿眼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9238A (en) * 1979-01-25 1980-07-29 Asahi Megane Kouki Kk Astigmometry visual mark
US4660945A (en) * 1983-01-25 1987-04-28 Trachtman Joseph 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on training
US4861154A (en) * 1986-08-06 1989-08-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Automated visual assessment system with steady state visual evoked potential stimulator and product detector
US5684561A (en) * 1992-05-26 1997-11-04 Daphne Eye Technologies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refraction of the eye
US5436681A (en) * 1994-04-12 1995-07-25 Michaels; Brian A. Apparatus and method for screening individuals for ametropic conditions
CA2214260C (en) * 1997-08-29 2007-01-16 Eyelogic Inc.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ey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47473A1 (en) 1998-07-02
CN1191782C (zh) 2005-03-09
DE69736929D1 (de) 2006-12-21
AU7870398A (en) 1998-07-17
WO1998027862A1 (fr) 1998-07-02
EP0966916B1 (en) 2006-11-08
EP0966916A4 (en) 2000-04-12
KR100524589B1 (ko) 2006-03-17
US5997142A (en) 1999-12-07
DE69736929T2 (de) 2007-05-24
JPH10179518A (ja) 1998-07-07
JP3120274B2 (ja) 2000-12-25
EP0966916A1 (en) 1999-12-29
CN1215985A (zh) 1999-05-05
ATE344636T1 (de) 2006-11-15
AU728597B2 (en) 200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0843B1 (ko) 안과용 렌즈
US58672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on of visual disabilities
KR100524589B1 (ko) 적색시표와 녹색시표에 의한 눈의 테스트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하는 적녹테스트기
JPH05126A (ja) 眼科装置
US9072434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night and day corrective ophthalmic prescription
Charman Night myopia and driving
CN107847314A (zh) 高清和景深扩展人工晶状体
EP0221145B1 (en) Indirect ophthalmoscopy lens for use with slit lamp biomicroscope
CA2273943C (en) Improving colour discrimination
BRADLEY et al. Effects of target distance and pupil size on letter contrast sensitivity with simultaneous vision bifocal contact lenses
US20060058874A1 (en) Double bifocal intraocular lens-spectacle telescopic device for low vision use
US4943151A (en) Scheiner-principle vernier optometer
US7524058B2 (en) Magnifying glass as well as a spectacle frame provided with one or two such magnifying glasses
Peli Treating with spectacle lenses: a novel idea!?
JPH08152583A (ja) 老眼矯正用コンタクトレンズ
CN2496050Y (zh) 具矫正近视功能的镜片
Ciner et al. The Impact of Aging on Healthy Eyes
US201600738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night vision
CN201159802Y (zh) 小孔防疲劳护目镜
US201000736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visual aberration
Miller Refractions and reflections
Salmon et al. Visual function
SU1685431A1 (ru) Способ освещени операционного пол при операци х на глазу
Pollack THE LIMITATIONS OF DYNAMIC SKIAMETRY
Fossarello et al. Colour discrimination in congenital stationary night blind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