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001A - 디스크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서의 탐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서의 탐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001A
KR19990087001A KR1019980049716A KR19980049716A KR19990087001A KR 19990087001 A KR19990087001 A KR 19990087001A KR 1019980049716 A KR1019980049716 A KR 1019980049716A KR 19980049716 A KR19980049716 A KR 19980049716A KR 19990087001 A KR19990087001 A KR 19990087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mirror signal
pickup
period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866B1 (ko
Inventor
유이치로우 도미시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1999008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29Methods and circuits to control the velocity of the head as it traverses the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4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involving track counting to determine position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Abstract

트랙제로크로스검출 탐색 제어방법에 관하여, 탐색중에 미러신호가 누락된 경우에도, 픽업을 목표트랙으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폭주탐색으로 인한 드라이브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탐색제어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1주기에서 디스크 반경방향에서의 1트랙을 나타내는 미러신호를 시스템제어용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서 1주기마다 카운트하면서, 상기 카운트 수가 목표트랙으로의 트랙수와 일치할 때까지 픽업을 이동시키는 탐색 제어방법에 있어서, CPU는 연속한 미러신호의 주기를 조사하여 전후의 주기에 차이가 있으면(도 4의 112단계), 상기 카운트수의 가산보정 또는 상기 트랙수의 감산보정중의 어느 하나의 보정모드를 실행한다(도 4의 118단계). 그리고, 포커스서보나 디스크에 결함이 있고, 후 미러신호가 규정시간내에 카운트되지 않는 경우에는, 픽업의 강제 정지모드를 실행한다(도 4의 122단계).

Description

디스크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서의 탐색 제어방법
본 발명은 CD(Compact Disc)나 CD-ROM(Compact Disc - Read Only Memory) 등 디스크 기록매체(이하 "디스크"라 칭함)의 재생장치에서의 탐색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CD-ROM 드라이브 등의 재생장치에서는 탐색(seek)을 실행할 때에, 현재트랙으로부터 목표트랙까지의 이동목표 트랙 수를 산출하여 두고, 통과한 트랙 수가 이동목표 트랙 수와 일치할 때까지 픽업을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통과한 트랙 수를 산출하는 방법의 하나로서는 트랙제로크로스(track zero cross) 검출 탐색이 알려져 있다.
트랙제로크로스 검출 탐색은,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픽업으로부터 검출되는 트래킹에러신호(tracking error signal)와 소정 기준전압과의 제로크로스점을 샘플링하고, 이에 의해 얻어지는 미러신호(mirror signal)를 1주기씩 시스템제어용 CPU에서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수가 이동목표 트랙 수와 일치할 때까지 픽업을 이동시키는 탐색방법이다. 즉, 미러신호는 그 1주기에서 트랙피치(track pitch) 방향에서의 1트랙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트랙제로크로스 검출 탐색은, 고속으로 목표트랙으로의 탐색을 행하는 점에서 특히 우수하지만, 흠이나 지문, 먼지, 오염 등의 디펙(defect)이 디스크에 있으면, 트래킹에러신호가 소정 기준전압과 제로크로스되지 않아 미러신호가 누락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디스크에 결함이 없는 경우에도 탐색중 서보에러, 특히 포커스 드롭(focus drop)에 의해서도 미러신호는 누락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CPU에 의한 미러신호의 카운트 수와 실제 통과한 트랙 수와의 사이에 미스카운트(mis count)가 발생하여, 정확한 탐색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탐색중에 미러신호의 미스카운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픽업을 목표트랙으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탐색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1주기에서 디스크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에서의 1트랙을 나타내는 미러신호를 시스템제어부에서 1주기마다 카운트하면서, 상기 카운트 수가 목표트랙으로의 트랙 수와 일치할 때까지 픽업을 이동시키는 디스크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서의 탐색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제어부는 연속한 미러신호의 주기를 조사하여 전후의 주기에 차이가 있으면, 상기 카운트수의 가산보정 또는 트랙수의 감산보정중의 어느 하나의 보정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트랙폭은 디스크 각부분에서 거의 동일하므로, 정상적인 탐색동작시에는 전후의 트랙에서 각각 생성되는 미러신호의 주기가 크게 다를 수는 없고,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연속한 전후의 미러신호의 주기가 동일한 정도의 길이가 아니라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미러신호가 누락되는 이상이 디스크에 존재하거나 아니면 포카스서보가 에러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즉시 판단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이하와 같은 처리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경우의 대처방법의 하나로서, 본발명은 미러신호의 카운트수의 가산보정을 행하거나 또는 목표트랙으로의 트랙수의 감산보정을 행하는 보정모드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나 서보시스템에 이상이 있어서 미러신호가 누락되는 경우에도, 이들 보정모드중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면 탐색에 의한 픽업의 이동은 계속시키면서 목표트랙으로 벗어나는 일없이 픽업을 이동시킬 수 있고, 게다가 폭주탐색으로 인한 드라이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속한 미러신호의 주기에 차이가 발생한 경우의 다른 대처방법으로서 본 발명은 픽업을 강제 정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경우에는 폭주탐색을 즉시 정지시켜 드라이브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연속한 미러신호의 주기에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는, 탐색시에 피드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픽업의 이동속도에 따라서, 이동개시트랙으로부터 목표트랙까지의 디스크영역을 가속영역, 최고속영역, 감속영역으로 구분하여 정하게 되면, 각영역에 따른 적절한 판단이 가능해 진다. 즉, 실제 미러신호의 주기는 각영역마다의 픽업이동속도에 따라서 다르고, 따라서 연속한 미러신호의 주기의 차이라는 것은, 전 트랙의 미러신호의 주기 MI와 후 트랙의 미러신호의 주기 MO이 가속영역에서는 MI>MO, 최고속영역에서는 MI≒MO, 감속영역에서는 MI<MO의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가 된다.
또한 보정모드 또는 강제정지모드 중의 어느 모드를 실행하는가에 관해서도, 전 트랙의 미러신호의 개시단으로부터 임의의 규정시간내에 후속 트랙의 미러신호가 카운트된 경우에는 보정모드를 실행하고, 해당 규정시간을 초과하여 후속트랙의 미러신호가 카운트된 경우에는 강제정지모드를 실행하도록 한다. 즉 강제정지가 여러번 행해지면 탐색시간에 대폭적인 손실이 발생하므로, 규정시간을 초과하는 폭주탐색의 위험성이 극히 높은 경우에 한해서 강제정지모드를 실행함으로써 탐색시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의 규정시간은 가속영역, 최고속영역, 감속영역에 따라서 규정하여 두면 각영역마다 적절한 판단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ROM드라이브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디스크 트랙과 1트랙마다 생성되는 미러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피드모터에 의한 픽업의 속도변화와 상기 속도변화와 대응시켜서 도 2의 미러신호의 주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탐색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탐색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D-ROM드라이브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픽업(2), CPU(3), 피드모터(4), 서보시그널프로세서(5), 스핀들모터(Spindle Motor:SPM)(6), 및 디스크(7)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예서는 재생장치로서 도 1과 같이 구성된 CD-ROM 드라이브(1)에서, 픽업(2)을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가속영역 TA에 있는 현재트랙 TA3로부터 결함(defect) 즉, 흠 D가 있는 최고속영역 TB를 통과시켜, 감속영역 TC에 있는 목표트랙 TCend-5까지 이동시키는 탐색제어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한 가속영역 TA는, 시스템제어용 CPU(3)로부터의 피드제어신호를 받는 피드모터(4)가 픽업(2)을 이동개시 트랙(본 예에서는 트랙 TA3)으로부터 서서히 가속시키는 디스크영역이다. 또한 최고속영역 TB는 픽업(2)의 이동속도가 최고가 되는 디스크영역이고, 감속영역 TC는 피드모터(4)가 픽업(2)을 서서히 감속시켜서 목표트랙(본 예에서는 트랙 TCend-5)에서 정지시키는 디스크영역이다. 또한 이들 각 영역은 디스크상의 이동개시 트랙과 목표트랙으로의 트랙 수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CD-ROM드라이브(1)는 탐색 개시에 의해, 현재트랙 TA3에서의 서브코드를 독출하여 얻은 시간정보와, 목표트랙 TCend-5의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이동트랙 수를 산출한 후, 도 4에 도시한 탐색제어를 개시한다(100단계).
우선 픽업(2)이 현재트랙 TA3에서 트랙 TA4로 이동하면(도 2), CPU(3)는 트랙 TA4에 도달함으로써 생성되는 미러신호의 카운트 수를 1가산한다(도 4의 102단계). 이 시점에서 CPU(3)는 미러신호의 카운트 수가 이동트랙 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 즉 픽업(2)의 이동을 종료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4의 104단계). 여기에서 아직 상기 미러신호의 카운트 수와 이동트랙 수는 일치하지 않으므로 탐색제어가 계속된다.
이어서 CPU(3)는 트랙 TA4의 미러신호의 주기 MA4를 검출한 후 상기 주기 MA4를 시스템내의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하고(도 4의 106단계), 이를 직전트랙 TA3의 주기와 비교하지만(도 4의 110단계), 직전트랙 TA3은 탐색개시 트랙이므로 그 주기는 저장되어 있지 않다(도 4의 108단계). 따라서 CPU(3)는 도 4의 102단계로 되돌아가 트랙 TA5로 픽업(2)가 이동함으로써 생성되는 미러신호의 카운트 수를 가산한 후, 그 주기 MA5를 조사하여 저장한다(도 4의 106단계).
그리고 CPU(3)은 저장완료된 직전 주기 MA4에 대해서 현재주기 MA5가 이상길이인지의 여부를 비교판단한다(도 4의 108,110단계). 여기에서 트랙 TA4, TA5는, 도 3에 도시한 픽업(2)의 가속영역 TA에 위치하고, 상기 가속영역 TA에서는 픽업(2)이 디스크의 전 트랙 TI(트랙 TA4)로부터 후 트랙 T0(트랙 TA5)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트랙을 횡단하는 시간이 점점 짧아진다. 이 때문에 전 트랙 TI의 미러신호의 주기 MI과 후 트랙 T0의 미러신호의 주기 MA4의 관계는 Mi>MO으로 일반화 가능하다. 상기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는, 후 트랙 TO가 디스크의 결함이나 서보에러의 영향으로 미러신호를 얻을 수 없는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CPU(3)는 Mi>MO의 관계가 주기 MA4와 주기 MA5에서도 성립되는지를 조사한다(도 4의 112단계). 여기에서, 트랙 TA5에는 흠 등이 없고(도 2), 트랙 TA5의 미러신호의 주기 MA5는 트랙 TA4의 미러신호의 주기 MA4보다도 짧으므로(도 3),MI>MO의 관계가 성립된다. 따라서 CPU(3)는 도 4의 102단계로 되돌아가 트랙 TA5이후에 관해서도 상기와 같은 탐색제어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다음으로, CPU(3)는 최고속영역 TB의 트랙 TB4, TB5에 이어서 트랙 TB6에 관해서 미러신호의 카운트 수 가산과 주기체크를 행한다(도 4의 102,106단계). 여기에서 도 2를 보면, 디스크에는 트랙 TB6에서 TB16에 걸쳐서 미러신호를 생성할 수 없는 흠 D가 있으므로, CPU(3)는 트랙 TB6의 시단으로부터 시작되어 종단이 트랙 TB16이 되는 주기 MB6을 트랙 TB6의 주기로서 RAM에 저장한다(도 4의 106단계).
그리고, 현재주기 MB6이 직전주기 MB5에 대해서 최고속영역에서의 미러신호의 주기관계 MI≒MO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비교 판단하지만(도 4의 110,112단계), 현재주기 MB6은 직전주기 MB5보다도 약 10트랙 주기만큼 길어, 양자의 사이에는 MB5≒MB6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CPU(3)는 현재주기 MB6이 트랙 TB6에 후속하는 트랙에서 생성되는 미러신호가 누락된 결과 얻어진 이상한 주기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해 도 4의 114단계를 실행한다.
도 4의 114단계에서는, 포커스서보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포커스서보에 에러가 있으면 디스크로부터의 반사 광량이 적어져서 미러신호를 생성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포커스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서보시그날 프로세서(5)가 포커스드롭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신호를 CPU(3)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CPU(3)는, 폭주탐색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픽업(2)의 강제정지모드를 실행하고(도 4의 120단계), 제어신호를 이용해 모든 서보시스템을 정지시킨 후 일단 탐색제어를 종료시킨다(도 4의 122단계). 그후 픽업(2)의 정지위치에서 서브코드를 독출하여 현재시간을 확인하고 목표트랙 TCend-5와의 편차를 트랙 수로 환산하여, 탐색제어를 도 4의 100단계로부터 재시도하여 목표트랙 TCend-5까지 픽업(2)를 이동시킨다.
한편 도 4의 114단계에서 포커스서보가 정상인 경우에는, 이어서 트랙 TB6의 미러신호의 다음에 카운트되는 미러신호(본 예에서는 트랙 TB17의 미러신호)가 주기 MB6의 시단으로부터 규정시간내에 카운트됐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도 4의 116단계). 여기에서 규정시간은, 가속영역 TA, 최고속영역 TB, 감속영역 TC의 각 영역에 관해서 전 미러신호의 개시단으로부터 후속 미러신호가 카운트될 때까지의 시간간격으로, CPU(3)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트랙 TB6의 미러신호의 다음에 카운트되는 미러신호(본 예에서는, 트랙 TB17의 미러신호)가 규정시간내에 카운트되는 경우, CPU(3)는 미러신호의 미스카운트 보정모드를 실행하고(도 4의 118단계), 규정시간내에 카운트되지 않은 경우에는 탐색폭주의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픽업(2)의 강제정지모드를 실행한다(도 4의 120단계).
도 4의 118단계의 미스카운트 보정모드에서는, CPU(3)가 미리 저장하고 있는 직전주기 MB5로 현재주기 MB6을 나누는 연산을 행하고, 상기 결과로부터 얻어진 몫만큼의 카운트 수를 미러신호의 카운트 수에 가산하는 플러스 수정을 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현재주기 MB6이 400μsec이고 직전주기 MB5가 40μsec인 경우, CPU 3은 400/40=10으로 연산하여 10을 플러스 카운트하여 현재 카운트를 보정한다.
이와 같은 미러신호의 카운트 보정을 행하지 않는 경우, 픽업(2)은 미스카운트된 10트랙만큼 더 외주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감속영역 TC의 목표트랙 TCend-5를 통과하고 또한 디스크의 최종트랙 TCend를 초과하여, 최종트랙 TCend로부터 실존하지 않는 5트랙 외방의 가상트랙을 목표트랙으로 오인하므로, 피드모터(4)의 구동을 받으면서 감속중인 픽업(2)이 격돌·정지하여 픽업(2) 등 드라이브를 파손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서 본 예의 CD-ROM 드라이브(1)에서는, 상기와 같이 미러신호의 미스카운트 보정을 행하므로, 디스크 상에 흠 등의 결함이 있어 미러신호가 누락된 경우에 있어서도, 픽업(2)을 목표트랙 TCend-5로 벗어남없이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탐색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미러신호의 미스카운트 보정 후에는, 트랙 TB17이후 1트랙마다 상기와 같은 탐색제어를 반복하여 실행하고(도 4의 102∼114단계), 감속영역 TC에 있는 목표트랙 TCend-5에 도달하면 현재 카운트 수가 이동트랙 수와 일치하므로 픽업(2)의 이동이 종료되고(도 4의 104단계), 그에 따라 탐색제어도 종료한다(도 4의 122단계).
한편 도 4의 116단계에서 트랙 TB6의 미러신호의 다음에 카운트된 미러신호(본 예에서는 트랙 TB17의 미러신호)의 카운트시간이 규정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탐색폭주의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픽업(2)의 강제정지모드를 실행하고(도 4의 120단계), 탐색제어를 종료시킨다(도 4의 122단계). 그리고, 이 경우 픽업(2)의 정지위치에서 서브코드를 독출하여 현재시간을 확인하고 목표트랙 TCend-5와의 편차를 트랙 수로 환산하여, 본 예의 탐색제어를 도 4의 100단계로부터 재시도하여 목표트랙 TCend-5까지 픽업(2)을 이동시킨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탐색폭주를 미연에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미러신호의 미스카운트 보정과 픽업의 강제정지를 병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그중의 어느 하나만을 실행하도록 하는 탐색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CPU(3)에서의 미러신호의 카운트수를 보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목표트랙으로의 이동트랙 수를 적절하게 감산하는 것으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의 탐색제어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크의 내주에서 외주로 픽업을 이동시키는 탐색제어의 예를 나타냈지만, 디스크의 외주에서 내주로 픽업을 이동시키는 탐색제어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러신호의 정확한 카운트를 방해하는 흠이나 지문, 오염 등과 같은 결함이나 포커스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픽업을 이동목표트랙으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게다가 미러신호의 미스카운트로 의한 탐색폭주를 억제하여 픽업 등을 포함하는 드라이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주기에서 디스크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에서의 1트랙을 나타내는 미러신호를 시스템제어부에서 1주기마다 카운트하면서, 상기 카운트 수가 목표트랙으로의 트랙수와 일치할 때까지 픽업을 이동시키는 디스크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서의 탐색 제어방법에 있어서,
연속한 미러신호의 주기를 조사하는 과정과,
상기 조사한 미러신호의 전후의 주기에 차이가 있으면, 상기 카운트 수의 가산보정 또는 상기 트랙수의 감산보정중의 어느 하나의 보정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제어방법.
1주기에서 디스크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에서의 1트랙을 나타내는 미러신호를 시스템제어부에서 1주기마다 카운트하면서, 상기 카운트 수가 목표트랙으로의 트랙수와 일치할 때까지 픽업을 이동시키는 디스크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서의 탐색 제어방법에 있어서,
연속한 미러신호의 주기를 조사하는 과정과,
상기 조사한 미러신호의 전후의 주기가 상기 픽업의 가속,감속,최고속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관계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관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전 미러신호의 개시단으로부터 규정시간내에 후속미러신호를 카운트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규정시간내에 후속미리신호를 카운트한 경우에는 보정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규정시간을 초과하여 후속미러신호를 카운트한 경우에는 픽업의 강제정지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제어방법.
1주기에서 디스크 기록매체의 반경방향에서의 1트랙을 나타내는 미러신호를 시스템제어부에서 1주기마다 카운트하면서, 상기 카운트 수가 목표트랙으로의 트랙수와 일치할 때까지 픽업을 이동시키는 디스크 기록매체의 재생장치에서의 탐색제어방법에 있어서,
연속한 미러신호의 주기를 조사하는 과정과,
상기 조사한 전후의 주기에 차이가 있으면 픽업의 강제정지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제어방법.
KR1019980049716A 1998-05-21 1998-11-19 디스크기록매체의재생장치에서의탐색제어방법 KR100312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39860A JPH11328689A (ja) 1998-05-21 1998-05-21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再生装置におけるシーク制御方法
JP1998-139860 1998-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001A true KR19990087001A (ko) 1999-12-15
KR100312866B1 KR100312866B1 (ko) 2001-12-28

Family

ID=1525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716A KR100312866B1 (ko) 1998-05-21 1998-11-19 디스크기록매체의재생장치에서의탐색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95254B1 (ko)
JP (1) JPH11328689A (ko)
KR (1) KR100312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5777A1 (en) * 2000-08-18 2002-02-28 Cygnu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diction of hypoglycemic events
GB0029120D0 (en) * 2000-11-29 2001-01-10 Lsi Logic Europ Ltd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rupt detection in an optical disc environment
US6981165B2 (en) * 2002-09-03 2005-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n interrupt from a real-time clock to increment a program clock
JP2005317112A (ja) 2004-04-28 2005-11-10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
KR100799811B1 (ko) * 2005-03-17 2008-01-3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디스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401A (ja) * 1991-08-23 1993-03-05 Kyocera Corp 光デイスク装置のトラツクアクセス装置
KR0129968B1 (ko) * 1994-06-30 1998-04-18 김광호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횡단트랙 계수회로
JPH08255356A (ja) * 1995-03-20 1996-10-0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2842358B2 (ja) * 1996-02-13 1999-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トラックカウント装置
KR100272097B1 (ko) * 1997-07-16 2000-11-15 윤종용 광디스크재생장치의초기화시데크편차에따른슬레드이동시간조절방법
SG92617A1 (en) * 1997-09-30 2002-11-19 Thomson Brandt Gmbh Device for reading from and/or writing to optical recording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95254B1 (en) 2001-09-25
JPH11328689A (ja) 1999-11-30
KR100312866B1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419B1 (ko) 광기록 재생장치의 고속서치방법
EP0713217A2 (en) Optical disks and reproduction thereof
US200200036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rotary memory device
KR100312866B1 (ko) 디스크기록매체의재생장치에서의탐색제어방법
US6091680A (en) Focus control apparatus
JPH06274901A (ja) 情報処理装置
US6608809B2 (en) Seek operation on different recording density regions based on the reflection of a boundary area
EP1288925A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 recording medium is single-layer or multi-layer
JP2000348357A (ja) 光ピックアップのトラックジャンプの制御方法
US6133562A (en) Optical disk apparatus
JP4343221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224834B1 (ko) 슬레드 탐색 속도의 프로파일 구성장치 및 방법
JPH0362329A (ja) トラッキングサーボ機構
JP2731395B2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のアドレス検出装置
JP3918945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2192079A (ja) ピツクアツプ復帰装置
JP2005018873A (ja) 光ディスク装置、並びに光ディスク装置のシーク制御方法
JP4725403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7334949A (ja) 光ディスク読み取り装置
JPH0676501A (ja) 移動トラックカウント回路並びにヘッド速度制御回路及び高速アクセス制御回路
JPH07220416A (ja) トラック検索装置
JPH0877571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8106637A (ja) 光ディスク情報再生装置
JPH08321147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9212877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