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979A -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979A
KR19990086979A KR1019980034943A KR19980034943A KR19990086979A KR 19990086979 A KR19990086979 A KR 19990086979A KR 1019980034943 A KR1019980034943 A KR 1019980034943A KR 19980034943 A KR19980034943 A KR 19980034943A KR 19990086979 A KR19990086979 A KR 19990086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ing
filling
solid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아키 시미즈
고지 센고쿠
모리오 다니구치
가츠유키 이와하타
Original Assignee
오츠까 구니히코
하우스 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220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65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463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181249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츠까 구니히코, 하우스 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까 구니히코
Publication of KR19990086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23L3/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23L3/18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in soli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25Packaging in aseptic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14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18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liquids or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의하면, 가열되고 살균된 식품은 공기에 노출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식품제품을 수용하는 포장은 짧은 시간 내에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작동을 위한 정밀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공기와 열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 무균성이 높은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수증기 하에서 고형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고형식품을 살균하는 살균부와, 역시 수증기 분위기에서 살균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본 발명은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증기로 고형식품을 살균한 후, 살균된 식품을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고 포장하거나, 또는 고형식품을 살균하는 공정에서 살균된 고형식품을 포장하는 공정까지의 모든 제조공정을 수증기 분위기에서 행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의 무균 포장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식품의 종류로는 카레, 스튜, 그라탱이 있다. 그러한 조리되고 살균된 식품은 무균 상태에서 용기 내에 수용된 후, 그 용기가 밀폐되도록 밀봉된다. 용기 내에 있는 식품을 제조하는 처리에 있어서, 감자, 당근 및/또는 고기 등과 같이 가공하지 않은 고형식품은 보통 120℃∼130℃의 온도에서 조리되고 살균된 후, 압력 하에서 순환공기 온도로 냉각된 후, 필요할 경우, 미리 살균된 카레소스나 화이트소스 등의 소스와 무균실 또는 청정실 내에서 혼합되고, 그후 용기 내에 수용되고, 그후 밀봉된다.
한편,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 59-115216는, 수증기 분위기 내의 100℃에서 커피를 용기에 충전하고(채우고) 용기를 밀봉한 후, 살균탱크 내에서 가열 및 살균하는 후속공정을 행하는, 포장식품의 제조 시스템을 공개하고 있다.
상기의 포장된 무균 식품을 제조하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면, 살균된 고형식품이 포장되고, 생산된 포장이 공기 중에서 밀봉된다. 이는 가열된 고형식품이 공기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고형식품의 산화를 가속화하게 된다. 포장식품은 그 포장 내에 담겨 있는 공기에 의해 더욱 산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식품을 장시간 동안 양질로 저장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냉각실 또는 청정실에 설치되어 있는 무균 수증기실 내로 공기가 진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식품은 정밀하게 제어된 압력 하에서 처리되어야 한다. 또한, 가압 수증기에 의해 살균된 고형식품이, 포장되고 그 포장이 밀봉되는 청정실로 운송되기 전에, 냉각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공지의 기술은 낮은 처리효율이라는 문제점이 뒤따른다. 끝으로, 포장실 내에서 살균식품에 부여되는 세균에 의한 2차 오염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의 용기 내에 있는 액상식품을 살균하는 공지의 기술은, 압력 하에서 가열되고 살균되기 때문에, 용기 내에 밀폐되어 수용되어 있는 액상식품이 부패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공지기술의 경우는, 처리된 고형식품은 밀폐된 상태에서 살균되므로 특이한 냄새가 발생하며, 드레인 수(drained water)에 의해 고형식품의 표면이 끈적끈적하고 누그러지기 때문에, 고형식품을 처리하는데는 적합하지 못하다. 만일 포장에 플라스틱 용기가 이용될 경우, 플라스틱 용기는 열이나 압력에 의해 빈번히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관리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공지기술의 상기 설명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고형식품을 살균하는 공정에서부터 식품 제품을 포장하는 공정까지의 모든 공정이 수증기 내에서 행해지므로, 가열 및 살균된 식품이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식품 제품을 수용하고 있는 포장을 단시간 내에 밀봉할 수 있게 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장치는 작동에 있어 정밀한 제어가 필요치 않으며, 공기와 열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 무균성이 극히 높은 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살균-식품포장부에서, 세균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압(常壓)의 수증기 내에서 식품을 살균하며, 별도로 설치되는 살균부와 포장부를 갖추지 않고, 처리실과 연결되는 제어시스템도 필요치 않으며, 따라서 전체 장치는 그 크기가 감소되고 간단화 되면서도 개선된 처리효율을 나타내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의 승압용 조압실 내의 제 1위치에 놓인 턴테이블을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의 승압용 조압실 내의 제 2위치에 놓인 턴테이블을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의 무균의 식품충전 및 포장장치의 밀봉장치와 그외의 구성부를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제 2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의 리테이너 반전장치의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의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를 이용하는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12. 절단부
14. 조리포트 16. 중량측정부
18. 네트컨베이어 20. 네트용기(net container)
22. 제 1수증기탱크 24. 팬
30. 호퍼 32. 액상식품 충전부
34. 제 2수증기탱크 36. 조리부
38. 액상식품 살균부 40. 무균저장탱크
44. 덮개 46. 밀봉장치
48. 제품 50. 냉각부
100.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110. 도입부
120. 예비가열실 130. 승압용 조압실
140. 가열/살균실 160. 감압/냉각실
170. 포장부 180. 냉각부
210. 상류측 배치부 212,220,240,252,272. 압출 실린더
230. 제어밸브 232. 수증기탱크
236,242,260,276. 게이트 밸브 248. 회전축
243,254,274. 턴테이블 245. 수증기 공급파이프
249. 레일 270. 구획실
280. 용기 홀드프레임 284. 불활성 기체 유입노즐
286. 덮개공급장치 288. 밀봉장치
290. 트리밍부 500.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502. 리테이너 반전장치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고형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그 고형식품을 상압의 수증기 내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살균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기 위한 포장부를 갖추어 구성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의하면, 액상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그 액상식품을 상압 수증기 내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살균된 액상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기 위한 포장부를 갖추어 구성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의하면, 고형/액상 혼합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그 고형/액상 혼합식품을 상압의 수증기 내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살균된 고형/액상 혼합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기 위한 포장부를 갖추어 구성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의하면, 고형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그 고형식품을 가압 수증기 내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고형식품을 냉각하기 위한 감압/냉각부와,
살균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기 위한 포장부를 갖추어 구성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포장부의 내부는 상압 하의 수증기 분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5관점에 의하면, 고형식품을 리테이너(retainer)에 충전하고 그 고형식품을 상압의 수증기 내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살균된 고형식품을,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 내에서, 상기 리테이너에서 포장용기 내로 운송하기 위한 고형식품 운송부와,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기 위한 포장부를 갖추어 구성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관점에 의하면, 고형식품을 리테이너에 충전하고 그 고형식품을 가압 수증기 내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고형식품을 냉각하기 위한 감압/냉각부와,
상기 살균 및 냉각된 고형식품을 수증기 분위기에서 리테이너로부터 포장용기 내로 운송하기 위한 고형식품 운송충전부와,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기 위한 포장부를 갖추어 구성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형식품 운송부의 내부와 포장부의 내부는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부는, 살균된 유동액상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기 위한 유동액상식품 충전부를 갖추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부의 상류측에 고형식품 예열부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의거해서 실현되며, 고형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그 고형식품을 가압 수증기 내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고형식품을 냉각하기 위한 감압/냉각부와, 살균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기 위한 포장부를 갖추어 구성되며, 상온(常溫)에서 배달될 수 있는 포장식품을 제조하기 적합한 장치이다.
각 포장용기(C)는, 예를들어 고기, 감자, 당근과 같은 고형식품과 카레소스를 수용하고 있으며 1인에게 제공되는 량의 카레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포장용기(C)는, 바닥이 막혀 있으며 일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보통 합성수지층과 배리어 재료층의 라미네이트(laminate)로 만들어진다. 용기는, 덮개가 개구를 덮기 위해 개구 상에 씌워질 때 밀폐되도록 밀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포장용기의 형상은 상기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파우치(pouch)형 용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1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100)는, 장치의 상류측부터 차례로, 가열 및 조리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C)를 장치(100) 내로 도입하고 대기와 연통되는 도입부(110)와, 예비가열실(120), 승압용 조압실(130)과, 가열/살균실(140)과, 감압/냉각부(160)와, 상압의 수증기가 충전되어 있는 포장부(170)와, 냉각부(180)를 갖추어 구성된다. 예비가열실(120)과, 승압용 조압실(130)과, 가열/살균실(140)과, 감압/냉각실(160) 및 상압의 수증기가 충전되어 있는 포장부(170)에는, 항상 수증기가 채워져 있다.
도입부(110)는 공급장치(도시생략)로부터 공급되며 소정량의 고형식품을 수용하고 있는 한쌍의 포장용기(C)를 정위치에 배치시키는 상류측 배치부(210)와, 상류측 배치부(210)에 배치된 한쌍의 포장용기(C)를 도 1에 도시된 X방향을 따라 예비가열실(120)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 실린더(212)를 갖추어 구성된다.
예비가열실(120)은, 포장용기(C)의 내부를 탈기시키고, 그 내부에 수증기를 공급하고, 포장용기(C) 내에 수용된 식품을 예열하기 위한 예비 가열기(122)를 갖추어 구성된다. 따라서, 고형식품 내에 남아 있던 공기까지도 예비가열실(120) 내에서 제거될 것이다. 예비가열실(120)에는, 예비 가열기(122)로부터, 보통 102℃∼120℃ 범위의 온도이며 0.1∼1.0kg/cm2(게이지 압) 범위의 압력인 수증기가 공급된다. 예비가열실(120)에는, 예열된 식품을 수용하고 있는 한쌍의 포장용기를 도 1의 Y방향을 따라 승압용 조압실(130)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 실린더(220)가 설치되어 있다.
승압용 조압실(130)은 제어밸브(230)를 거쳐 수증기탱크(232)와 연통되도록 유지된다. 수증기탱크(232)는 수증기 공급파이프(234)를 거쳐 수증기 발생기(도시 생략됨)에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밸브(gate valve)(236)가 예비가열실(120)과 승압용 조압실(130) 사이에 설치된다. 승압용 조압실(130)에는, 한쌍의 포장용기(C)를 도 1에 도시된 X방향을 따라 가열/살균실(140)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 실린더(240)가 설치되어 있다. 승압용 조압실(130)의 내부는 수증기에 의해 가열/살균실(140)의 내부와 동일한 온도와 압력으로 유지된다. 게이트 밸브(242)가 승압용 조압실(130)과 가열/살균실(1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243)이 승압용 조압실(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수직축(Z)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턴테이블(243)은 박스형 형상을 가지며, 세로측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내부에 나란히 배치되는 한쌍의 포장용기(C)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따라서, 한쌍의 포장용기(C)는, 그 용기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개구단(243a)을 통하여 턴테이블(243) 내로 및 그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턴테이블(243)의 다른 세로측부는 그 중앙에 실질적으로 원형 홀(243b)이 설치된다.
턴테이블(243)의 상측 판(243c)은 턴테이블(243) 내에 수용되어 있는 포장용기(C)의 상측 개구를 덮는다. 특히, 상측 판(243c)은, 승압용 조압실(130)내에 놓인 수증기 공급파이프(245)의 개구단부(245a)와 턴테이블(243) 내에 수용된 포장용기(C)의 상측 개구와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수증기 공급파이프(245)의 개구단부(245a)로부터 불어온 수증기가 용기(C)의 개구를 통해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턴테이블(243)의 바닥부에는, 회전축(248)이 설치되므로, 턴테이블(243)은 그 회전축(248)을 중심으로 회전될 것이다. 특히, 턴테이블(24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단(243a)이 예비가열실(120)과 대향하는 제 1위치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단(243a)이 가열/살균실(140)과 대향하는 제 2위치 사이에서 90°만큼 회전될 수 있다. 턴테이블(243)의 제 1위치일때, 턴테이블(243)은 압출 실린더(220)에 의해 Y방향을 따라 개구단(243a)을 거쳐 그 내부로 밀려진 한쌍의 포장용기(C)를 받을 수 있다. 제 2위치에서는, 개구단(243a)을 통해 턴테이블(243) 내로 진입하는 압출 실린더(240)가 한쌍의 포장용기(C)를 턴테이블(243)로부터 가열/살균실(140) 내로 밀어 넣는다.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가열/살균실(140) 내에서, 승압용 조압실(130)로부터 공급된 한쌍의 포장용기(C)는 한쌍의 레일(249) 상에서 미끄러지듯이 이동되며,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은 소정의 온도와 압력을 보이는 수증기에 의해 소정 시간 동안 가열되고 살균된다. 특히, 압력은 0.45∼2.65kg/cm2이며, 1.00∼2.15kg/cm2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온도는 110∼140℃이며, 120∼13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열/살균실(140)에는, 가열 및 살균된 식품을 수용하고 있는 한쌍의 포장용기(C)를 도 1의 Y방향을 따라 감압/냉각실(160) 내로 보내기 위해, 압출 실린더(252)와 턴테이블(254)이 설치되어 있다.
감압/냉각실(160)은 수증기 압력을 제어된 방식에 의해 점차 단계적으로 상압까지 감압하도록 고안된다. 게이트 밸브(260)가 가열/살균실(140)과 감압/냉각실(160)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감압/냉각실(160)은 게이트 밸브(260)를 거쳐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구획실(270)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에는, 총 3개의 구획실(270)이 존재하며, 각 구획실(270)에는, 한쌍의 포장용기(C)를 적절할 때마다 다음의 구획실(270)이나 상압 수증기가 충전되어 있는 포장부(170)로 보내기 위해, 압출 실린더(272)와 턴테이블(27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획부(270)는 게이트 밸브(276)에 의해 서로 간에 분리되어 있다.
각 구획실(270)의 내부는, 각 쌍의 포장용기(C)가 그 내부로 공급되기 이전에 미리 진행된 처리실의 온도 및 압력과 동일한 온도 및 압력을 갖도록 조정된 후, 게이트 밸브(276)가 개방된다. 그 내부는 한쌍의 포장용기를 받은 후, 더 낮은 온도, 더 낮은 압력이 되도록 조정됨으로써, 냉각처리된다. 처리는 단계적으로 수행된다. 예를들어, 살균공정은 130℃에서, 3분간, 1.75kg/cm2의 압력 하에서 수행된다. 그후, 제 1구획실은 120℃, 1.048kg/cm2로 30초간 유지되며, 제 2구획실은 110℃, 0.43kg/cm2로 30초간 유지된 후, 한쌍의 포장용기가 제 3구획실로 공급된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압의 수증기가 충전되어 있는 포장부(170)에는, 카레소스를 용기 홀드프레임(280)에 의해 홀드되어 있는 포장용기에 충전하기 위한 소스 충전장치와, 불활성 기체 유입노즐(284)을 갖추고 덮개를 각 포장용기(C)의 상측개구 상에 공급하는 덮개 공급장치(286)와, 상기 포장용기(C)와 덮개를 결합시킴으로써 포장용기(C)를 밀폐하도록 밀봉하는 밀봉장치(288)와, 연속 덮개와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포장용기(C)를 절단하여 분리시키기 위한 트리밍(trimming)부(290)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부(180)에는, 이미 살균되고 밀봉된 각 포장용기(C)의 외면에 냉각수를 붓기 위한 샤워(shower)장치(도시생략)가 설치된다. 냉각수의 온도는 5∼40℃이며, 각 포장용기(C)는,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고형식품의 크기와 그 외의 다른 조건들에 따라 5∼30분 동안 냉각된다. 그러나, 냉각부(180)의 냉각수단은 샤워장치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각 포장용기(C)가 냉각용 냉각수 내에 잠기거나 냉각공기 내에 남겨짐으로써 용기에서 열을 제거하여 냉각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제 1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리된 식품을 수용하고 있는 한쌍의 포장용기(C)가 도입부(110) 내로 공급되고, 배치부(210) 상에 놓이고, 그후 압출 실린더(212)에 의해 예비가열실(120) 내로 이송된다.
예비가열실(120) 내에서, 포장용기(C) 내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는 모두 배출되고, 포장용기(C)는 예비 가열기(122)로부터 공급된 수증기에 의해 소정 온도와 소정 압력에서 예열된다. 그후, 미리 가열된 포장용기(C)는, 게이트 밸브(236)가 열릴때, 압출 실린더(220)에 의해 승압용 조압실(130) 내로 이송된다.
수증기가, 소정 온도 및 소정 압력인 수증기탱크로부터 승압용 조압실(130)로 공급됨으로써, 승압용 조압실(130) 내부에서 압력을 승압시킨다. 승압용 조압실(130) 내의 한쌍의 포장용기(C)는, 턴테이블(243)에 의해 90°만큼 회전된 후, 게이트 밸브(242)가 열릴때, 압출 실린더(240)에 의해 가열/살균실(140) 내로 이송된다.
가열/살균실(140)내에서, 승압용 조압실(130)로부터 공급된 한쌍의 포장용기(C)는 한쌍의 레일(249) 상에서 미끄러지도록 이동되며,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은 소정 온도 및 소정 압력을 나타내는 수증기에 의해 소정시간 동안 가열되고 살균된다. 가열 및 살균된 포장용기(C)는 턴테이블(254)에 의해 90°회전된 후, 게이트 밸브(260)를 거쳐 감압/냉각실(160) 내로 이송된다.
수증기 압력은 감압/냉각실(160)의 구획실(270) 내에서 제어된 방식으로 점차 단계적으로 상압까지 감압되며, 따라서 포장용기(C) 내의 고형식품은 약 100℃까지 냉각될 것이다. 각 구획실(270)에는 압출 실린더(272)와 턴테이블(274)이 설치되며, 따라서 포장용기(C)는 게이트 밸브(276)가 개방될 때 대기압의 수증기가 충전된 포장부(170) 내로 최종적으로 공급된다.
대기압의 수증기가 충전된 포장부(170) 내에서, 카레소스가 수증기 분위기에서 용기 홀드프레임(280)에 의해 홀드된 포장용기(C) 내로 공급된 후, 불활성 기체가 유입되는 상황에서 덮개가 포장용기(C) 상에 덮이게 된다. 그후, 연속 덮개와 서로 결합된 다수의 포장용기(C)는, 트리밍부(290)에서 서로 절단되어 분리된다.
냉각부(180) 내에서, 냉각수가 포장용기(C)의 외면에 부어지는 상황에서 포장용기(C)가 냉각된다.
이하에는, 제 2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를 설명한다. 제 2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500)는 본 발명의 제 6관점에 의거해서 실현되며, 고형식품을 리테이너에 충전하고 그 고형식품을 가압 수증기 내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고형식품을 냉각하기 위한 감압/냉각부와, 상기 살균 및 냉각된 고형식품을 수증기 분위기에서 리테이너로부터 포장용기 내로 운송하기 위한 고형식품 운송충전부와, 고형식품을 수용하고 있는 포장용기를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기 위한 포장부를 갖추어 구성된다.
리테이너는 보통 금속이나 내열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각 리테이너는, 측벽부와 바닥부를 갖추어 구성되며, 그 바닥부에는 다수의 수증기 홀이 제공되어 있다. 원할 경우, 측벽부에도 다수의 수증기 홀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500)를 도시하는 도 5를 참고하여, 두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만을 고려하여 제 2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제 2실시예의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500)를 이용하게 되면, 조리된 식품을 수용하는 리테이너(R)가 도입부(110)로 공급된 후,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된다. 그후, 리테이너(R) 내에 수용되어 있는 조리된 식품은, 제 2실시예의 처리동작 동안 포장용기(C) 내로 운송된다. 따라서, 감압/냉각실(160)과 상압의 수증기가 충전된 포장부(170)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 반전장치(502)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할때, 리테이너 반전장치(502)는 용기 홀드프레임(504)에 의해 홀드되며, 컨베이어 체인(510)에 의해 수평으로 운송되며 살균 및 조리된 고형식품을 수용하고 있는 리테이너(R)는 컨베이어 체인(510)의 단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리테이너 홀드부재(512)에 의해 수용된다. 리테이너 홀드부재(512)는, 리테이너(R)를 홀드한 상태에서 회전축(514)을 중심으로 약 150°만큼 회전함으로써, 리테이너(R)의 개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리테이너(R) 내의 고형식품을 호퍼(520) 내로 떨어지게 한다. 포장용기(C)가 호퍼(520)의 아래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도 6에는 도시 생략됨), 리테이너(R) 내에 수용된 고형식품이 포장용기(C) 내로 이동된다. 그후, 고형식품을 수용하고 있는 포장용기(C)는 처리작동을 위해, 상압의 수증기가 충전된 포장부(170)와 냉각부(180) 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예의 작동은, 조리된 카레에 대해서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는 조리되거나 또는 반만 조리된 그라탱이나 스튜를 포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10)의 제 3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10)의 제 3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의해 실현되고, 상압의 수증기에서 포장용기를 고형/액상 혼합식품으로 충전하고 고형/액상 혼합식품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와, 살균된 고형/액상 혼합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역시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밀봉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저온살균된 무균식품이란 상압의 수증기에서 살균되는, 즉 100℃ 이하의 온도에서 살균되고, 20∼-5℃의 온도범위에서 통상적으로 배달되고, 저장되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은 냉장식품과 매일 배달되기에 적당한 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저온살균 처리는 F90에서 2분 이상 및 F100에서 1∼30분 사이의 시간동안 수행된다. 그 처리의 결과, 매일 배달되는 식품 및 냉장식품은 살균의 정도에 따라 20∼5℃ 및 10∼-5℃의 각 온도범위에서 1∼180일간 저장될 수 있다.
F90에서 2분 이상 열에 의해 살균하는 것은 식품을 적어도 90℃에서 2분 이상 가열하여 얻는 효과를 의미한다.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10)는 카레나 스튜에 이용되는 감자와 당근 등의 식품재료와 소스 등의 액상식품을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살균하기 위한 제 2수증기탱크(34)(살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수증기탱크(34)는 그에 대하여 상류측으로 배치되고 예열부로서 작용하는 제 1수증기탱크(22)와 연결된다.
복수의 네트용기(net container)(20)로 구성된 네트컨베이어(net conveyor)(18)는 제 1수증기탱크(22) 내에 설치된다. 네트용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위치에 고정된다. 네트컨베이어의 선두 단부는 제 1수증기탱크(22)의 바깥쪽으로 위치하며, 각 식품재료의 소정량의 중량을 재고 그것을 네트용기(20)에 공급하는 결합된 중량측정부(16)는 네트컨베이어(18)의 선두 단부의 위쪽에 배치된다.
식품재료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12)와 절단된 식품재료를 소정의 조리 조건에서 조리하는 조리포트(14)는 결합된 중량측정부(16)에 대해 상류측에 배치된다.
고형식품은 제 1수증기탱크(22)에서 식품의 살균온도 부근의 온도까지 예열된다. 고형식품의 온도를 탱크 내의 수증기 분위기의 온도에 근접한 온도 직전으로 하는 예열동작의 결과, 가열에 의한 살균처리 동안 고형식품 표면에 물방울 응축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물방울의 응축 때문에 고형식품이 늘어져서 용기 바닥에 늘어붙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다음 단계에서 부가될 소스가 물방울 응축에 의해 희석될 염려가 최소화되어, 완성된 식품의 맛이 저하될 어떤 가능성도 방지된다.
제 1수증기탱크(22)와 조리포트(14)는 조리포트(14)가 가열되기 전에 고형식품을 예열하고 살균하도록 조작된다. 고형식품이 예비가열부에서 가열된 결과, 제 2수증기탱크(34)의 가열 및 살균조건은 제2수증기탱크(34)에서의 가열과 살균동작에 필요한 시간이 고형식품의 가열과 조리에 필요한 시간보다 짧아지도록 완화된다.
팬(24)은 네트용기(20)의 아래에 배치되어 식품재료가 가열될 때 제 1수증기탱크에서 생성되는 물방울을 받는다. 팬(24)은 제 1수증기탱크(22)로부터의 물방울에 의해 팬 안에 모이는 물을 운반하도록 파이프를 구비한다.
호퍼(30)는 네트컨베이어(18)의 끝부분 아래쪽에 구성되어 네트용기(20)의 아래위가 반전될 때 네트용기(20)에서 떨어지는 식품재료를 받는다.
제품용기를 운반하는 컨베이어(28)는 제 2수증기탱크(34) 내에 설치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 2수증기탱크(34)가 제 1수증기탱크(22)와 연결되어 있으나, 제 1수증기탱크(22)와 제 2수증기탱크(34)가 반드시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품용기 공급장치(도시 생략)는 컨베이어(28)의 선두 단부에 배치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컨베이어(28)에 제품용기를 공급한다.
제품용기(26)는 어떤 모양이라도 좋다. 그들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성형제조될 수도 있고, 저온살균 처리를 견딜 수 있다면 어떤 재료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제품용기로 사용되는 재료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품용기(26)는 뜨거운 물, 과산화수소, 과초산 등의 화학제 또는 자외선으로 미리 살균되었더라도 제 2수증기탱크(34)의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살균된다.
조리부(36)에서 조리된 액상식품을 제품용기(26)에 충전하기 위해 액상식품 충전부(32)는 제품용기(26)에 식품을 공급하는 고형식품 충전부에 대하여 하류측에 배치된다(호퍼(30)가 배치된 곳).
액상식품 충전부(32)는 조리부(36), 액상식품 살균부(38), 무균저장탱크(40)와 연결된다.
액상식품은 조리부(36)에서 가열되고 조리된다. 조리된 액상식품은 무균 저장탱크(4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기 전에, 액상식품 살균부(38)에서 극고온 살균(Ultra High Temperature Srerilization, UHT살균)에 의해 살균되거나, 또는 살균되지 않는다.
조리된 액상식품이 살균된 경우, 액상식품 충전부(32)는 식품재료 조리의 최종적인 처리 단계와 저온살균이 수행되는 위치, 즉 제품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28)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품 데움부(product warming section)는 각 용기에 수용된 고형식품과 액상식품을70℃의 온도에서 약 10분간 데워서 서로 잘 섞이도록, 포장되고 밀봉된 제품(48)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50)에 대하여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제품용기(26)에 수용된 고형식품과 액상식품은 그들이 컨베이어(28)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압의 제 2수증기탱크에서 저온살균된다. 용기 안의 식품은 그들이 저온살균될 때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경우, 저온살균에 드는 시간은 조리동작이 끝났을 때 조리에 드는 시간보다 짧거나 바람직하게는 같기 때문에, 식품은 살균을 위하여 더 가열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과도한 가열이 방지된다.
제품용기(26)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28)는 식품의 살균 및 조리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이동속도 제어수단(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제품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장치(46)는 제품용기를 운반하는 컨베이어(28)의 끝부분 근처에서 제 2수증기탱크(34) 내에 위치한다.
밀봉장치(46)는 시트형 덮개(44)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덮개(44)는 뜨거운 물, 과산화수소, 과초산 등의 화학제 또는 자외선으로 살균되었더라도 제 2수증기탱크(34)의 수증기에서 살균된다.
각 제품용기(26)의 상부 개구는 덮개(44)로 닫혀지고, 밀봉장치(46)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덮개가 시트형태였으나, 그 대신 아치형태나 평평한 형태로 성형제조된 덮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밀봉장치(46)는 각 제품용기를 절단하고 분리하기 위한 트리밍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또한 트리밍장치는 독립된 부분으로서 밀봉장치(46)에 대하여 하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질소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불활성 기체 충전노즐(도시생략)은 밀봉부(46)에 대하여 상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배치에 의하여 각 제품용기(26)의 위쪽 공간의 수증기는 불활성 기체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대체는 특히 용기가 성형제조된 경우 제품용기의 형태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수증기를 불활성 기체로 대체하는 동작은 불활성 기체 공급노즐을 통하여 불활성 기체가 용기의 위쪽 공간으로 흐르도록 하여 실현된다. 용기의 위쪽 공간으로 공급되는 불활성 기체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약 50℃ 사이이며, 불활성 기체는 1∼600m/min, 바람직하게는 3∼60m/min의 속도로 공급된다.
상기 조건을 준수함으로써 분산된 불활성 기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최소화하여 불활성 기체가 확실하게 충전된 위쪽 공간 외의 다른 공간은 수증기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냉각부(50)는 제품용기를 운반하는 컨베이어(28)의 끝부분에 대하여 하류측에 배치된다. 식품 제품(48)을 수용하는 각 제품용기가 밀봉장치(46)에 의해 밀봉된 후, 제품은 냉각부(50)에 의해 소정 온도 레벨로 냉각되어 20∼-5℃의 온도범위에서 저장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무균 식품충전/포장장치의 제 3의 실시예에 의하여 고형 및 액상식품의 혼합식품이 저온살균되고 용기에 넣어졌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의 관점에서 설명한 전술한 고형식품 또는 액상식품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의 제 4의 실시예가 하기에서 설명된다. 상기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의 제 4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의해 실현되며, 상압의 수증기에서 고형식품으로 리테이너를 충전하고 고형식품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와,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살균된 고형식품을 리테이너로부터 포장용기로 운송하기 위한 식품운송부와, 역시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 제 3의 실시예와 다른 용어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리테이너는 상부에 위치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바닥 또는 바닥과 측벽을 통하여 뚫린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여 수증기가 고형식품을 통하여 쉽게 유입되도록 하여, 고형식품의 살균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킨다.
리테이너의 통과구멍은 고형식품이 그 구멍을 통하여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3∼5mm의 지름을 갖는다. 리테이너는 저온살균을 견딜 수 있다면 어떤 재료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리테이너에 사용되는 재료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를 포함한다. 리테이너의 재료로 금속을 사용할 경우, 금속은 열을 잘 전달하기 때문에 고형식품의 가열과 살균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살균된 고형식품이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되어 살균된 제품용기로 운송될 때, 도 6에 도시된 리테이너 반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수증기 분위기에서 위아래가 반전된다.
살균된 고형식품을 운송한 뒤, 필요하다면, 분리되어 살균된 액상식품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액상식품은, 저장을 위한 조건 하에서 즉, 저온에서 이동되는 동안 살균될 수 있다. 액상식품은 살균되는 동안 가열되고 조리될 수 있다. 상기 액상식품이 미리 준비되는 경우, 준비된 액상식품은 바람직하게는 질소기체 등의 불활성 기체를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유지되는 무균탱크에 저장된다.
이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의 제 4의 실시예에 의해 무균식품을 준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 8의 순서도를 설명하면서 제 4실시예를 설명한다.
(1) 식품 사전처리(예열)
각 식품재료는 계속되는 살균처리 후에 부족하거나 남지 않은 채 조리동작이 끝나도록 사전처리(준비)된다.
a. 부채꼴 일본 래디시 21중량부, 부채꼴 당근 18중량부와, 얇게 자른 타르토(tarto) 26중량부를 100℃에서 5분 간 끓인다.
b. 깍은 우엉 9중량부를 100℃에서 20분간 끓인다.
c. 시다케(shihtake) 버섯 3중량부를 100℃에서 5분간 끓인다.
d. 30mm×30mm×2mm로 자른 돼지고기 24중량부를 100℃에서 20분간 끓인다.
e. 5mm×2mm×3mm의 정방형으로 자른 곤약 14중량부와 5mm×20mm×8mm의 정방형으로 자른 튀긴 두부 5중량부를 준비한다(끓이지 않는다).
(2) 식품충전
상부에 개구를 갖고, 바닥과 측벽에 뚫린 직경 3mm의 다수의 구멍을 갖는 지름 80mm, 높이 150mm의 원통형 스테인레스 스틸 리테이너에 미리 준비된 식품재료를 충전한다.
(3) 식품의 살균(개방 살균)
리테이너에 수용된 식품재료는 수증기 분위기(100℃)에서 10분간 유지된 채 살균되고, 조리된다.
(4) 제품용기의 살균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졌으며, 10mm의 넓은 테두리(내부 직경: 120mm×90mm×45mm)를 갖는 쟁반형 제품용기에는 분무기로 35% 과산화수소 용액이 분무되고, 건조 및 살균을 위하여 160℃의 뜨거운 공기가 주입된다.
(5) 살균/조리된 식품재료를 제품용기로 운송(식품 운송)
살균/조리된 식품을 수용하는 리테이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분위기에서 리테이너 반전장치에 의해 위아래가 반전되어 식품재료가 살균된 식품용기로 옮겨진다.
(6) 소스의 살균과 처리(소스 준비와 무균 저장)
돼지고기 부용(bouillon)은 내장을 끓여 포트에서 따로 준비되어, 질소분위기의 무균탱크에 저장된다.
(7) 소스 충전
수증기 분위기에서, 무균탱크에 저장된 돼지고기 부용 180중량부를 살균되고 조리된 식품재료를 수용하는 제품용기로 넣는다.
(8) 질소기체 대체
돼지고기 부용을 수용하는 각 제품용기의 위쪽 공간의 수증기는, 수증기 분위기의 용기 안으로 질소기체를 불어넣음으로써 5℃에서 질소기체로 대체된다.
(9) 덮개 살균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며, 10mm의 넓은 테두리(내부 직경: 120mm×90mm×10mm)를 갖는 아치형 덮개가, 용기의 경우와 같이 살균된다.
(10) 제품용기 밀봉(수증기에서 밀봉)
수증기 분위기에서 각 제품용기의 위쪽 공간의 수증기가 질소기체로 대체된 후, 용기는 즉시 살균된 덮개로 덮이고, 테두리는 열에 의해 밀봉되어, 냉장 및 저장되는 돼지고기 부용제품이 제조된다.
(11) 데우기(데움부)
제품을 수용하는 제품용기는 70℃에서 10분간 데워져서 부용과 식품재료가 서로 잘 섞이도록 한다.
(12) 제품의 냉각
만들어진 제품은 수증기 분위기에서 꺼내져, 5℃에서 저장되기 전에, 5℃에서 60분간 냉각된다.
상기 예에서 준비된 돼지고기 부용 제품은 10℃에서 30일간 저장되며, 용기를 개봉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조리기에서 가열하여 맛과 느낌과 외관을 평가한다.
맛: 상기 제품은 밀봉과 살균 시에 느껴지는 수증기 냄새가 없다. 상기 제품은 양호한 형태를 갖으며 미조소스(miso-sauce) 향을 갖는 좋은 맛이다.
느낌: 상기 제품은 야채가 잘 조리된 좋은 느낌을 제공하며 야채가 너무 익은 무른 느낌이 전혀 없다.
외관: 각 식품재료는 원래의 형태와 색조를 유지하여 색상의 변형이 전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균 식품충전/포장장치는 개방된 상태에서 용기에 식품을 충전하고, 용기가 수증기 분위기에서 식품을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된 식품은 직접 수증기와 접촉된 채 유지되어 살균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얻어진 무균식품은 열에 의한 맛, 느낌과 외관의 손상이 거의 없다. 밀봉된 상태에서 살균되는 경우, 식품에서는 밀봉과 살균 시 느껴지는 수증기 냄새가 나지 않는다. 상기 식품은 방금 조리된 식품의 향을 갖는 좋은 형태와 맛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의하면, 살균 및 포장을 포함하는 모든 처리 단계가 수증기 하에서 행해지고, 식품은 공기에 한번도 노출되지 않으며, 식품용기는 복잡한 제어처리 없이도 짧은 시간에 밀봉될 수 있도록 살균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는 무균성이 높고, 공기와 열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 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의해 생성된 식품은 살균된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부에서의 2차적인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는 별도로 설치되는 살균부와 포장부 및 처리실을 연결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단순화될 수 있으며, 또한 향상된 처리효율을 나타낸다.

Claims (10)

  1.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있어서,
    고형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고형식품을 상압의 수증기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역시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살균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2.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있어서,
    액상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액상식품을 상압의 수증기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역시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살균된 액상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3.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있어서,
    고형/액상 혼합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고형/액상 혼합식품을 상압의 수증기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역시 상압의 수증기에서 살균된 고형/액상 혼합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4.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있어서,
    고형식품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고형식품을 가압 수증기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고형식품을 냉각하기 위한 감압/냉각부와,
    역시 수증기 분위기에서 살균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의 내부는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6.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있어서,
    고형식품을 리테이너에 충전하고 고형식품을 상압의 수증기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살균된 고형식품을 리테이너로부터 포장용기로 운송하는 고형식품 운송부와,
    역시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에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7.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에 있어서,
    고형식품을 리테이너에 충전하고 고형식품을 가압 수증기에서 살균하는 살균부와,
    고형식품의 냉각하는 감압/냉각부와,
    수증기 분위기에서 살균되고 냉각된 고형식품을 리테이너로부터 포장용기로 운송하는 고형식품 운송충전부와,
    역시 수증기 분위기에서 고형식품을 수용하는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고형식품 운송부의 내부와 포장부의 내부는 상압의 수증기 분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9. 제 1항 또는 제 4항 내지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포장부는 포장용기를 살균된 유동액상 식품으로 충전하기 위한 유동액상 식품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형식품 예비가열부가 살균부에 대하여 상류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KR1019980034943A 1997-08-28 1998-08-27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KR19990086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220197A JP3176571B2 (ja) 1997-08-28 1997-08-28 無菌食品充填包装装置
JP97-232201 1997-08-29
JP29463197A JP3181249B2 (ja) 1997-10-27 1997-10-27 容器入り低温殺菌食品の製造方法
JP97-294631 1997-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979A true KR19990086979A (ko) 1999-12-15

Family

ID=2653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943A KR19990086979A (ko) 1997-08-28 1998-08-27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99195B1 (ko)
KR (1) KR19990086979A (ko)
DE (1) DE69802357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18B1 (ko) * 2019-04-24 2020-05-15 (주)쎌텍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
KR102120083B1 (ko) * 2020-05-11 2020-06-08 (주)쎌텍 식품제조장치
KR102120086B1 (ko) * 2020-05-11 2020-06-08 (주)쎌텍 식품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1355C2 (de) * 1999-01-15 2001-02-08 Jens Ba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onend aseptischen Abfüllen von Produkt in Behältnisse
US7402326B2 (en) 2003-03-27 2008-07-22 Nisshin Foods Inc. Process for producing cooked noodles
EP1462010A1 (en) * 2003-03-27 2004-09-29 Nisshin Foods Inc. Process for producing cooked noodles
EP1525806B1 (en) * 2003-10-22 2007-09-19 Nisshin Foods Inc. Process for producing cooked noodles
GB0710228D0 (en) * 2007-05-29 2007-07-11 Mars Inc Packaged cereal products
DE102007037606A1 (de) 2007-08-07 2009-02-19 Mar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packen eines Materials in ein Verpackungsbehältnis
DE102007037605A1 (de) 2007-08-07 2009-02-12 Mars Incorporate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eines Materials
DE102010012211A1 (de) 2010-03-19 2011-09-22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ißabfüllen von Getränken
AU2013245327B2 (en) * 2012-04-04 2016-10-27 Nestec S.A.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multi-compartment products containing wet and dry components
DE102013107223B4 (de) * 2013-07-09 2017-12-07 Sig Technology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falten, Befüllen und Verschließen von Packungsmänteln
DE102015103961A1 (de) 2015-03-17 2016-09-22 Kron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s Inertgases in einer Getränkeabfüllanlage
EP3095333B1 (en) * 2015-05-22 2019-10-23 Mar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packed product
CN109275835A (zh) * 2017-07-21 2019-01-29 广州卓诚食品科技有限公司 无菌罐装的工艺方法及无菌罐装系统
US20190159486A1 (en) * 2017-11-29 2019-05-30 IXON Food Technology Limited Method for Preparing Food
WO2019200249A1 (en) 2018-04-13 2019-10-17 Nqv8 Llc Sanitizing package -ready pre-quantified units of food
CN109436437B (zh) * 2018-12-22 2023-08-22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高速泡罩装盒一体机
CN112550870B (zh) * 2020-12-09 2022-04-29 黄山小罐茶业有限公司 一种多泡装小罐茶的连续化生产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55081A (en) * 1965-06-17 1969-06-18 Paul Eisler Improvements in Packaging
JPS59115216A (ja) 1983-10-17 1984-07-03 上島「コ−ヒ−」株式会社 罐入りコ−ヒ−の
CA2094211A1 (en) * 1992-05-13 1993-11-14 Richard Andrew Chordash Process for aseptically packaging a multi-component food product
DE9320570U1 (de) * 1993-07-17 1994-11-10 Khs Masch & Anlagenbau Ag Vorrichtung zum Füllen und Verschließen von Behältern
KR0153368B1 (ko) * 1994-06-16 1998-10-01 오쯔까 구니히꼬 식품살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18B1 (ko) * 2019-04-24 2020-05-15 (주)쎌텍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
KR102120083B1 (ko) * 2020-05-11 2020-06-08 (주)쎌텍 식품제조장치
KR102120086B1 (ko) * 2020-05-11 2020-06-08 (주)쎌텍 식품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9195A1 (en) 1999-03-03
DE69802357T2 (de) 2002-07-11
DE69802357D1 (de) 2001-12-13
EP0899195B1 (en)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6979A (ko)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US5320856A (en) Method of making complex food articles having prolonged shelf-life
US20050123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packaged products
US5436432A (en) Microwave autoclave apparatus
EP2164756B1 (en) Packaged food products
CN113925122A (zh) 微波干馏系统,使用微波干馏系统加热食物产品的方法,以及配制用于微波干馏的食物产品
EP0051251B1 (en)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and packing of food products, in particular fish products, of long keeping quality
US4805524A (en) Process for preparing elaborated food products and installation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IL31791A (en) Method and device for placing microorganisms and / or enzymes
EP06921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nd sterilizing food
CA2385559C (en) Temperature coordinated through-line food packaging system
KR20110032998A (ko) 식품 살균 장치
KR20200140859A (ko) 밀폐된 용기 내의 간편식품의 저온 살균
JP3181249B2 (ja) 容器入り低温殺菌食品の製造方法
JPH07255388A (ja) 食品加熱処理方法及び装置
EP0592710B1 (en) A method of producing complex food articles ready for consumption and having prolonged shelf-life
CN114642247A (zh) 食品蒸煮灭菌和无菌包装一体化设备及加工方法
JP3176571B2 (ja) 無菌食品充填包装装置
GB2449726A (en) Stabilized packaged food product
JPH099937A (ja) 食材の殺菌方法
US20100028509A1 (en) Process For Producing Aseptic Packaged Pasta Product Storable at Room Temperature
BE1011290A6 (nl) Werkwijze om voedingen te verwarmen en machine ervoor.
JPH0646770A (ja) 無菌パック米飯の製造法
KR19990023787A (ko)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의 제조장치,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제조장치의 살균방법 및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의 제조방법
JP3069281U (ja) ス―プ類の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209

Effective date: 200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