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518B1 -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1518B1 KR102111518B1 KR1020190047630A KR20190047630A KR102111518B1 KR 102111518 B1 KR102111518 B1 KR 102111518B1 KR 1020190047630 A KR1020190047630 A KR 1020190047630A KR 20190047630 A KR20190047630 A KR 20190047630A KR 102111518 B1 KR102111518 B1 KR 1021115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conveyor
- turntable
- food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제조장치는, 식품이 수용된 용기가 배치된 트레이; 상기 용기를 가열하고 상기 트레이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으로 이송된 상기 트레이를 피킹하는 턴테이블; 지면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및 상기 턴테이블이 안착되는 레일부; 및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턴테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 변화 시 상기 턴테이블을 상기 컨베이어와 함께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품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의 일단으로 이송된 트레이를 턴테이블에서 정확히 피킹하여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재료의 손질부터 준비하여 음식을 조리하여 먹었으나, 최근에는 반조리 식품, 가정식 대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 등이 등장하여, 가정에서 간편히 해당 식품을 개봉한 후 가열하는 정도로 조리하여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반조리 식품이나 HMR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식품으로, 식품제조장치에서 재료의 절단, 가공, 혼합, 가열 등의 조리 과정을 거친 후 이송, 검사 및 포장하여 제조하게 된다.
식품제조장치는 이러한 식품을 대량으로 균일하게 제조하기 위해 절단 장치, 가공 장치, 혼합 장치, 가열 장치, 이송 장치, 검사 장치, 포장 장치 등이 하나의 생산라인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관리되고 있다.
식품제조장치에서 제조된 식품들은 기본적으로 해당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첨가 재료, 가열 및 가공 등 조리 공정에 따라 식품의 품질이 향상되며, 통합시스템에서 각 공정에 대한 관리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여야 양질의 식품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식품은 용기에 담긴 후 트레이를 통해 이송되는데, 각 조리 공정 간 이송을 위한 이송 장치에서 이송 시간이 소요되고, 트레이의 이송 시간이 지체될수록 식품의 향 등이 과다하게 배출되어 최종 품질이 저하되므로, 이송 시간을 단축하고 조리 중인 식품을 효율적으로 이송하여야 식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특히, 식품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식품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에 의해 각 장치에 열팽창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열팽창에 의한 각 장치의 기계적인 위치 변화로 인해 이송되는 트레이의 설계 위치와 실제 위치가 달라져, 트레이가 정확하게 이송되지 않거나, 이송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트레이의 이송 불안정으로 인해 트레이가 지면에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가열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각 장치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컨베이어의 일단으로 이송된 트레이를 턴테이블에서 정확히 피킹하여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제조장치는, 식품이 수용된 용기가 배치된 트레이; 상기 용기를 가열하고 상기 트레이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으로 이송된 상기 트레이를 피킹하는 턴테이블; 지면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및 상기 턴테이블이 안착되는 레일부; 및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턴테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 변화 시 상기 턴테이블을 상기 컨베이어와 함께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트레이를 상기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이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열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과의 간격이 변화되는 이동 수직프레임; 및 상기 이동 수직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부에 안착되는 휠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방향으로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가 변화되면, 상기 휠모듈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이동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프로킷 기어; 상기 스프로킷 기어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스프로킷 기어가 회전되면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스프로킷 체인;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프로킷 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로킷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 샤프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내측에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내측 버너;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내측 버너 사이에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외측 버너; 및 상기 내측 버너 및 상기 외측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모듈은, 상기 이동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보조 플레이트;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플레이트; 상기 휠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휠 샤프트; 및 상기 휠 샤프트에 관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휠;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휠이 안착되는 가이드레일;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구비된 레그; 상기 레그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부에 안착되는 롤러; 상기 트레이를 피킹하는 이송핸드;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핸드를 회전시키는 터닝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핸드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에 이송된 상기 트레이의 위치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제조장치에 따르면, 가열부에 의해 컨베이어의 길이 변화 시 연결프레임이 턴테이블을 컨베이어와 함께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켜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킴에 따라, 이송핸드의 피킹 포인트가 유지되어 턴테이블이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피킹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 및 턴테이블(20)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가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것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 레일부(140), 턴테이블(2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1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40) 및 휠모듈(150)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40) 및 휠모듈(150)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20)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턴테이블(20)이 90° 회전된 것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턴테이블(2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의 내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의 정면 동작도이다.
도 17은 이송핸드(210)의 내측면 동작도이다.
도 18은 트레이(T)가 회전되어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이 이중 호퍼(260)로 낙하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호퍼(260)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 및 턴테이블(20)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가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것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 레일부(140), 턴테이블(2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1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40) 및 휠모듈(150)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40) 및 휠모듈(150)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20)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턴테이블(20)이 90° 회전된 것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턴테이블(2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의 내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의 정면 동작도이다.
도 17은 이송핸드(210)의 내측면 동작도이다.
도 18은 트레이(T)가 회전되어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이 이중 호퍼(260)로 낙하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호퍼(260)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제조장치는 식품이 수용된 용기(C)가 하나 이상 배치된 트레이(T), 용기(C)를 가열하고 트레이(T)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0), 컨베이어(10)의 일단(11)으로 이송된 트레이(T)를 피킹하는 턴테이블(20), 및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을 포장지에 포장하는 포장기(30)를 포함한다.
용기(C)에는 식품이 수용된다. 식품은 국, 찌개, 수프(soup)의 유체류 식품, 채소, 과일, 육류 등 고형의 고체류, 고체 및 유체가 혼합된 혼합류 식품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트레이(T)는 용기(C)를 이송한다. 트레이(T)에는 용기(C)가 하나 이상 배치된다. 트레이(T)는 다수의 용기(C)가 배치되어 트레이(T)와 함께 일체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트레이(T)에 4개의 용기(C)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트레이(T)에는 용기 수용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용기(C)는 용기 수용홀의 일부만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용기(C)의 일부는 트레이(T)를 관통하고, 나머지 일부는 트레이(T)에 지지될 수 있다. 트레이(T)의 측면에는 홈(H)이 형성된다. 홈(H)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컨베이어(10)는 트레이(T)를 이송한다. 컨베이어(10)는 트레이(T)를 식품제조장치의 생산 라인을 따라 이송한다. 이때, 트레이(T)가 이송되는 방향을 이송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컨베이어(10)는 트레이(T)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한다. 트레이(T)는 컨베이어(10)에 배치되어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방향으로 이송된다.
컨베이어(10)는 용기(C)를 가열한다. 컨베이어(10)는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용기(C)를 가열하여, 트레이(T)가 이송되는 동안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이 조리되게 할 수 있다.
컨베이어(10)는 용기(C)를 가열하는 동안 열을 전달받아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턴테이블(20)은 컨베이어(10)의 일단(11)으로 이송된 트레이(T)를 피킹한다(picking). 여기서, 컨베이어(10)의 일단(11)은 하나의 컨베이어(10)의 일측 단부로서, 하나의 컨베이어(10) 내에서 트레이(T)의 이송이 종료되는 위치이다.
턴테이블(20)은 컨베이어(10)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턴테이블(20)은 컨베이어(10)의 일단(11)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턴테이블(20)은 컨베이어(10)의 일단(11)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간격은 턴테이블(20)이 컨베이어(10)의 일단(11)으로 이송된 트레이(T)를 피킹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간격이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턴테이블(20)은 트레이(T)를 피킹한 후 다른 컨베이어(10)로 이송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 턴테이블(20)은 컨베이어(10)로부터 이송된 트레이(T)를 피킹하여 다른 컨베이어(10)로 이송할 수 있다.
턴테이블(20)은 트레이(T)를 피킹한 후 포장기(30)로 이송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측 턴테이블(20)은 컨베이어(10)로부터 이송된 트레이(T)를 피킹하여 포장기(30)로 이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장기(30)는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을 포장지에 포장할 수 있다.
포장기(30)는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을 포장한다. 즉, 용기(C)가 이송방향을 따라 가열되어 식품의 조리가 완료되면, 포장기(30)는 후술하는 턴테이블(20)로부터 트레이(T)를 이송 받거나 턴테이블(20)의 동작에 의해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을 제공받아 최종제품으로 포장한다.
포장기(30)는 용기(C)에서 조리된 식품을 포장지에 포장할 수 있다. 포장지에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기(30)는 공지의 포장기(30)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 및 턴테이블(2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 및 턴테이블(20)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는 트레이(T)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110), 이송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송방향을 따라 용기(C)를 가열하는 가열부(120), 이송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송부(110)를 지지하고, 가열부(12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수평프레임(130), 수평프레임(130)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수직프레임(170), 수평프레임(130)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고정 수직프레임(170)과의 간격이 변화되는 이동 수직프레임(160), 및 이동 수직프레임(160)에 구비되고, 레일부(140)에 안착되는 휠모듈(150)을 포함한다.
트레이(T)는 이송부(110)에 배치된다. 이송부(110)는 트레이(T)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부(110)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트레이(T)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부(110)는 트레이(T)를 컨베이어(10)의 일단(11)으로 이송한다. 이송부(1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수평프레임(130)은 외관을 형성한다. 수평프레임(130)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된다. 수평프레임(130)은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수평프레임(130)은 이송방향으로 한 쌍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프레임(130) 사이에는 수평프레임(130)의 지지를 위한 내부프레임(180)이 구비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30)은 이송부(110)를 지지한다. 이송부(110)는 수평프레임(130)에 지지된 상태로 작동하여 트레이(T)를 이송시킨다.
가열부(120)는 이송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열부(120)는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용기(C)를 가열한다. 가열부(120)는 용기(C)가 트레이(T)에 배치되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용기(C)를 가열하여,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이 조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120)는 컨베이어(10)의 내측에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내측 버너(121), 수평프레임(130)과 내측 버너(121) 사이에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외측 버너(123), 및 내측 버너(121) 및 외측 버너(123)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125)을 포함한다.
내측 버너(121)는 컨베이어(10)의 내측에 구비된다. 내측 버너(121)는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내측 버너(121)는 이송방향으로 구비되어, 이송부(110)에서 트레이(T)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는 도중 트레이(T)에 배치된 용기(C) 중 컨베이어(10)의 내측에 배치된 용기(C)를 가열할 수 있다.
외측 버너(123)는 컨베이어(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외측 버너(123)는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외측 버너(123)는 수평프레임(130)과 내측 버너(1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외측 버너(123)는 이송방향으로 구비되어, 이송부(110)에서 트레이(T)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는 도중 트레이(T)에 배치된 용기(C) 중 내측 버너(121)의 외측에 배치된 용기(C)를 가열할 수 있다.
내측 버너(121) 및 외측 버너(123)는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버너(121) 및 외측 버너(123)는 컨베이어(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배치될 수 있다.
가스 공급관(125)은 내측 버너(121) 및 외측 버너(123)에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 공급관(125)은 외부의 가스를 내측 버너(121) 및 외측 버너(123)에 공급하여, 내측 버너(121) 및 외측 버너(123)에서 가스를 연소시켜, 용기(C)를 가열할 수 있게 한다.
내측 버너(121) 및 외측 버너(123)가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이송부(110)에서 트레이(T)를 이송하는 도중 내측 버너(121) 및 외측 버너(123)가 용기(C)를 지속적으로 가열하므로, 이송 공정과 조리 공정이 동시에 실시될 수 있게 된다.
가열부(120)는 컨베이어(10)의 구성요소로 열을 전달한다. 이 경우, 가열부(120)는 수평프레임(13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30)은 가열부(12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수평프레임(130)은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30)의 길이가 변화되면, 이송방향으로 컨베이어(10)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즉, 가열부(120)가 수평프레임(130)에 열을 전달하면 수평프레임(13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120)의 작동이 중지되어 수평프레임(130)에 열을 전달하지 않게 되면, 증가했던 수평프레임(130)의 길이가 감소하여 원래의 길이로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부(110)도 가열부(12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길이가 변화될 수도 있다.
고정 수직프레임(170)은 수평프레임(130)에 구비된다. 고정 수직프레임(170)은 수평프레임(130)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수직프레임(170)은 수평프레임(13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수직프레임(170)은 지면에 고정된다. 고정 수직프레임(170)은 지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수직프레임(160)은 수평프레임(130)에 구비된다. 이동 수직프레임(160)은 수평프레임(130)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동 수직프레임(160)은 고정 수직프레임(170)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30)이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면, 이동 수직프레임(160)은 고정 수직프레임(170)과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수직프레임(170)의 위치는 고정되므로, 이동 수직프레임(160)만 상대적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이동 수직프레임(160)과 고정 수직프레임(170)과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휠모듈(150)은 이동 수직프레임(160)에 구비된다. 휠모듈(150)은 이동 수직프레임(160)의 단부에 구비된다.
휠모듈(150)은 이동 수직프레임(160)과 지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휠모듈(150)은 지면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휠모듈(150)은 이동 수직프레임(160)과 레일부(140)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휠모듈(150)은 레일부(14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동 수직프레임(160)과 고정 수직프레임(170)과의 간격(D1)이 변화되면, 휠모듈(150)이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제조장치는 레일부(140)를 포함한다.
레일부(140)는 지면에 배치된다. 레일부(140)는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레일부(140)에는 컨베이어(10) 및 턴테이블(20)이 안착된다.
컨베이어(10)는 레일부(140)에 안착된다. 이 경우, 고정 수직프레임(170)은 레일부(140)에 고정되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수직프레임(170)은 실시예에 따라 레일부(140)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 수직프레임(160)은 레일부(140)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휠모듈(150)은 레일부(140)에 안착될 수 있다. 휠모듈(150)을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턴테이블(20)은 레일부(140)에 안착된다. 턴테이블(20)은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20)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230), 바디(230)의 하부에 구비된 레그(240), 레그(240)에 구비되고 레일부(140)에 안착되는 롤러(250), 트레이(T)를 피킹하는 이송핸드(210), 및 바디(230)에 구비되고 이송핸드(210)를 회전시키는 터닝모듈(220)을 포함한다.
바디(230)는 외관을 형성한다. 바디(230)에는 턴테이블(20)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레그(240)는 바디(230)의 하부에 구비된다. 레그(240)는 바디(23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롤러(250)는 레그(240)에 구비된다. 롤러(250)는 레그(240)의 단부에 구비되어, 레일부(140)에 안착될 수 있다. 롤러(250)는 레일부(140)를 따라 회전되어, 턴테이블(20)이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송핸드(210)는 트레이(T)를 피킹(picking)한다. 이송핸드(2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송핸드(210)는 컨베이어(10)의 일단(11)으로 이송된 트레이(T)를 피킹한 후 다른 턴테이블(20) 또는 포장기(30)로 트레이(T)를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피킹하기 위해, 이송핸드(210)는 컨베이어(10)의 일단(11)에 이송된 트레이(T)의 위치와 동일 직선 상에 정확히 위치해야 한다.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피킹하기 위해 트레이(T)의 위치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정확한 위치를 피킹 포인트(P)(picking point)로 정의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터닝모듈(220)은 바디(230)에 구비된다. 터닝모듈(220)은 바디(23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터닝모듈(220)에는 이송핸드(210)가 구비될 수 있다. 터닝모듈(220)이 회전되면, 터닝모듈(220)은 터닝모듈(220)과 함께 이송핸드(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터닝모듈(220)은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피킹한 후 이송핸드(210)를 회전시켜 다른 컨베이어(10) 또는 포장기(30)로 트레이(T)를 이송시킬 수 있다.
터닝모듈(220)이 회전되어, 이송핸드(210)에 피킹된 트레이(T)가 포장기(30)로 이송되거나, 이송핸드(210)가 포장기(30)에서 동작하여 용기(C)의 식품을 포장기(30)로 제공하면, 포장기(30)가 조리가 완료된 식품을 포장지에 포장하여 최종제품으로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제조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가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것이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10), 레일부(140), 턴테이블(2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190)은 컨베이어(10)와 턴테이블(20)을 연결하여, 기설정된 간격(D2)을 유지시킨다.
먼저, 이송핸드(210)가 피킹 포인트(P)에 위치하기 위해, 턴테이블(20)이 컨베이어(10)의 일단(11)에 기설정된 간격(D2)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기설정된 간격(D2)은, 컨베이어(10)의 일단(11)에 이송된 트레이(T)가 이송핸드(210)의 피킹 포인트(P)에 위치되도록, 턴테이블(20)과 컨베이어(10)의 일단(11)이 형성하는 간격이다.
만약, 이송핸드(210)의 피킹 포인트(P)가 컨베이어(10)의 일단(11)에 이송된 트레이(T)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되면,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정확히 피킹하지 못해, 트레이(T)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T)와 함께 용기(C)가 지면에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턴테이블(20)은 이송핸드(210)가 피킹 포인트(P)에 위치되도록 컨베이어(10)와 기설정된 간격(D2)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연결프레임(190)은 컨베이어(10)와 턴테이블(20)을 연결한다. 연결프레임(190)은 일단(11)이 컨베이어(10)에 결합되고 타단이 턴테이블(20)에 결합된다. 연결프레임(190)은 이송핸드(210)의 피킹 포인트(P)를 맞추기 위한 기설정된 간격(D2)을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20)이 컨베이어(10)와 기설정된 간격이 유지되어 이송핸드(210)가 피킹 포인트(P)에 위치되므로, 턴테이블(20)이 트레이(T)를 안정적으로 피킹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컨베이어(10)는 가열부(12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이송방향으로 컨베이어(10)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프레임(130)이 가열부(12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길이가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평프레임(130)의 길이가 변화되어 이송방향으로 컨베이어(10)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턴테이블(20)이 트레이(T)를 정확히 피킹하기 위해서는 이송핸드(210)가 도 5의 (a)와 같이 피킹 포인트(P)에 위치해야 한다. 그러나, 컨베이어(10)의 길이가 변화되면 컨베이어(10)의 일단(11)의 위치가 변화된다. 이 경우, 도 5의 (b)와 같이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의 위치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이송핸드(210)가 피킹 포인트(P)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트레이(T)를 정확히 피킹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190)은 컨베이어(10)의 길이 변화 시 턴테이블(20)을 컨베이어(10)와 함께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시켜, 기설정된 간격(D2)을 유지시킨다.
즉, 연결프레임(190)은 평상 시 턴테이블(20)과 컨베이어(10) 사이의 기설정된 간격(D2)을 유지시켜 이송핸드(210)가 피킹 포인트(P)에 위치하게 하는데, 컨베이어(10)의 길이 변화 시에도 턴테이블(20)을 컨베이어(10)와 함께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시켜, 기설정된 간격(D2)을 유지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이송방향으로 수평프레임(130)의 길이가 변화되면 컨베이어(10)의 길이가 변화되어 컨베이어(10)의 일단(11)의 위치가 변화되는데, 고정 수직프레임(170)은 지면에 고정되고 이동 수직프레임(160)은 이동하여, 이동 수직프레임(160)과 고정 수직프레임(170)과의 간격(D1)이 변화된다. 이때 이동 수직프레임(160)에 구비된 휠모듈(150)이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연결프레임(190)은 일단(11)이 이동 수직프레임(160)에 결합되고, 타단이 턴테이블(2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이동 수직프레임(160)이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면 휠모듈(150)은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 수직프레임(160)에 고정 결합된 연결프레임(190)은 레일부(140)에 안착된 턴테이블(20)이 레일부(140)를 따라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턴테이블(20)의 롤러(250)가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10)의 길이 변화 시 연결프레임(190)이 턴테이블(20)을 컨베이어(10)와 함께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시켜, 기설정된 간격(D2)을 유지시킨다. 이 경우, 고정 수직프레임(170)과 이동 수직프레임(160) 사이의 간격(D1)이 변화되어 컨베이어(10)의 길이가 이송방향으로 변화되어도, 기설정된 간격(D2)이 유지됨에 따라 이송핸드(210)의 피킹 포인트(P)가 그대로 유지되어, 턴테이블(20)이 트레이(T)를 안정적으로 피킹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포장기(30)는 턴테이블(20)의 이송핸드(210)의 위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송 오차 범위 내에 배치되어, 이송핸드(210)로부터 트레이(T) 또는 용기(C)의 식품을 포장지에 포장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1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10)는,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수평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프로킷 기어(111), 스프로킷 기어(111)에 결합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스프로킷 기어(111)가 회전되면 트레이(T)를 이송시키는 스프로킷 체인(115), 및 수평프레임(13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스프로킷 기어(111)에 결합되며, 스프로킷 기어(1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 샤프트(113)를 포함한다.
스프로킷 기어(111)는 수평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스프로킷 기어(111)는 구동부(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구동부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은 스프로킷 기어(111)를 회전시킨다.
스프로킷 체인(115)은 스프로킷 기어(111)에 결합된다. 스프로킷 체인(115)은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경우, 수평프레임(13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T)는 스프로킷 체인(115)에 접촉될 수 있다. 스프로킷 기어(111)가 회전되면, 스프로킷 체인(115)이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이 경우, 스프로킷 체인(115)이 회전되어 스프로킷 체인(115)에 배치된 트레이(T)가 이송방향으로 이송된다.
스프로킷 샤프트(113)는 수평프레임(130)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수평프레임(130)이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경우, 스프로킷 샤프트(113)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3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스프로킷 샤프트(113)는 스프로킷 기어(111)에 결합된다. 스프로킷 기어(111)가 회전되면, 스프로킷 샤프트(113)가 회전된다. 이 경우, 스프로킷 기어(111)의 회전력을 반대편 스프로킷 체인(1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송부(110)가 스프로킷 기어(111), 스프로킷 체인(115), 스프로킷 샤프트(1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간단한 구성으로 트레이(T)를 이송방향으로 일정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이송부(110)에 의해 트레이(T)가 이송되는 동안 가열부(120)가 용기(C)를 가열하여 식품이 조리되어 이송 공정 및 조리 공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40) 및 휠모듈(15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40) 및 휠모듈(150)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40) 및 휠모듈(150)의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모듈(150)은 이동 수직프레임(160)에 결합되는 보조 플레이트(151), 보조 플레이트(151)에 수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플레이트(153), 휠 플레이트(153)에 구비되는 휠 샤프트(157), 및 휠 샤프트(157)에 관통되게 결합되어,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되는 휠(155)을 포함한다.
보조 플레이트(151)는 이동 수직프레임(16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보조 플레이트(151)는 이동 수직프레임(16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휠 플레이트(153)는 보조 플레이트(151)에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라, 휠 플레이트(153)는 보조 플레이트(151)에 수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지면에 배치된 레일부(140)의 경우 지면에 미세한 경사 내지 굴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레일부(140)와 휠 사이의 높이 간격을 맞추기 위해, 휠 플레이트(153)는 보조 플레이트(151)에 수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플레이트(151)에는 돌기부(15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휠 플레이트(153)에는 돌기부(154)가 일정 간격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유동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플레이트(151)에는 휠 플레이트(153)가 이탈되지 않도록 휠 플레이트(153)를 지지하는 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휠 샤프트(157)는 휠 플레이트(153)에 구비된다. 휠 샤프트(157)는 휠 플레이트(153)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휠 샤프트(157)에는 휠(155)이 결합된다. 이 경우, 휠 샤프트(157)는 휠(155)의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휠(155)은 휠 샤프트(157)에 관통되게 결합된다. 휠(155)은 휠 샤프트(157)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휠(155)은 레일부(140)에 안착된다. 휠(155)은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된다. 이 경우, 휠(155)은 레일부(140)를 따라 회전되거나 컨베이어(10)의 무게에 의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40)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3), 및 베이스 플레이트(143) 상에 배치되고, 휠(155)이 안착되는 가이드레일(141)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43)는 지면에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43)는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43)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41)은 베이스 플레이트(143) 상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41)은 베이스 플레이트(14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휠(155)은 가이드레일(141)에 안착된다. 이 경우, 휠(155)은 가이드레일(14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컨베이어(10)의 길이 변화 시 이동 수직프레임(160)이 이동하게 되고, 이동 수직프레임(160)에 구비된 휠(155)은 가이드레일(141)을 따라 이동된다.
이동 수직프레임(160)의 단부에는 조절나사(161)가 구비될 수 있다. 조절나사(161)는 이동 수직프레임(160)을 일시적으로 지면에 고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동 수직프레임(160)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필요 없을 경우에 휠(155)이 가이드레일(141)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조절나사(161)를 지면에 접촉시켜 이동 수직프레임(160)을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2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20)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턴테이블(20)이 90° 회전된 것이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턴테이블(20)의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20)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230), 바디(230)의 하부에 구비된 레그(240), 레그(240)에 구비되고 레일부(140)에 안착되는 롤러(250), 트레이(T)를 피킹하는 이송핸드(210), 바디(230)에 구비되고 이송핸드(210)를 회전시키는 터닝모듈(220), 턴테이블(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중 호퍼(260), 및 바디(230)에 구비되고, 이중 호퍼(26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모듈(27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230), 레그(240), 롤러(250)에 대하여는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이하에서는 특징이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이중 호퍼(260)는 턴테이블(20)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중 호퍼(260)는 바디(23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중 호퍼(260)는 포장기(30)에 인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중 호퍼(260)는 포장지(P)에 식품이 투입되도록, 포장지(P)의 입구(E)에 삽입된다. 즉, 이중 호퍼(260)는 깔때기와 같은 기능을 하여, 포장지(P)의 입구(E)에 삽입되어, 이중 호퍼(260)로 투입된 식품이 포장지(P)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다. 이중 호퍼(260)의 상세한 특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승하강모듈(270)은 턴테이블(20)의 일측에 구비된다. 승하강모듈(270)은 바디(230)에 구비될 수 있다. 승하강모듈(270)은 이중 호퍼(26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킨다. 승하강모듈(27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송핸드(210)는 상술한 것과 같이 컨베이어(10)의 일단으로 이송된 트레이(T)를 피킹한다. 이송핸드(210)는 트레이(T)를 피킹한 후 트레이(T)를 회전시킨다. 트레이(T)를 회전시키면 용기(C)도 함께 회전되며,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이 자중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낙하된다. 이때, 이송핸드(210)는 이중 호퍼(260)에 식품을 낙하시켜, 이중 호퍼(260)로 식품을 투입시킨다. 이송핸드(210)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터닝모듈(220)은 바디(230)에 구비된다. 터닝모듈(220)에는 이송핸드(210)가 구비된다. 터닝모듈(220)은 이송핸드(210)를 회전시킨다. 이때, 터닝모듈(220)은 지면과 수평한 평면 내에서 이송핸드(21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모듈(220)은 지면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는 턴테이블 플레이트(221), 이송핸드(210)가 구비되고,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업다운 플레이트(223),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에 구비되어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승하강시키는 랙잭(225), 및 바디(230)에 구비되고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에 결합되어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227)를 포함한다.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는 외관을 형성한다.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는 지면에 수평하게 구비된다.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는 바디(230)에 상대 회전된다. 이 경우,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는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된다. 즉,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는 지면에 대한 수직선을 중심축으로 회전된다.
업다운 플레이트(223)는 지면에 수평하게 구비된다. 업다운 플레이트(223)는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의 일측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업다운 플레이트(223)는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의 4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업다운 플레이트(223)는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의 하부에 구비된다. 업다운 플레이트(223)는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랙잭(225)의 동작에 의해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와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다.
업다운 플레이트(223)에는 상술한 이송핸드(210)가 구비된다. 이송핸드(210)는 업다운 플레이트(223)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업다운 플레이트(223)가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의 4측면에 모두 구비되는 경우, 이송핸드(210)는 총 4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의 이송핸드(21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랙잭(225)은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에 구비된다. 랙잭(225)은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랙잭(225)은 업다운 플레이트(223)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랙잭(225)은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승하강시킨다. 즉, 랙잭(225)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랙잭(225)은 유압 서보 피스톤으로 실시될 수 있다.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의 상부에는 랙잭(225)에 제어신호 및 유압을 공급하는 로터리 모듈(229)이 구비될 수 있다. 로터리 모듈(229)은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와 함께 회전된다. 로터리 모듈(229)은 랙잭(225)에 연결된다. 로터리 모듈(229)은 랙잭(225)이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승하강시키도록 랙잭(225)에 제어신호 및 유압을 공급한다.
회전장치(227)는 바디(230)에 구비된다. 회전장치(227)는 바디(230)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장치(227)는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에 결합된다. 회전장치(227)는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장치(227)는 제어부(미도시)의 신호를 받아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는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된다.
이하, 턴테이블(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베이어(10)의 일단으로 트레이(T)가 이송된다. 이때, 이송핸드(210)는 상술한 것과 같이 트레이(T)의 피킹 포인트에 위치된다.
로터리 모듈(229)은 랙잭(225)에 제어신호 및 유압을 공급하여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승하강시킨다. 여기서,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피킹할 수 있도록, 랙잭(225)은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하강시킨다.
랙잭(225)은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하강시켜, 이송핸드(210)가 피킹 포인트를 따라 하강되어 트레이(T)를 피킹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한다.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피킹할 수 있는 위치로 도달되면,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피킹한다. 이때, 이송핸드(210)는 트레이(T)의 측면에 형성된 홈(H)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피킹하면, 로터리 모듈(229)은 다시 랙잭(225)에 제어신호 및 유압을 공급하여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승하강시킨다. 여기서,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랙잭(225)은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승강시킨다.
이후, 회전장치(227)는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를 회전시킨다. 회전장치(227)가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를 회전시키면, 턴테이블 플레이트(221)와 함께 업다운 플레이트(223)가 회전된다. 이송핸드(210)는 업다운 플레이트(223)와 함께 회전된다. 이 경우, 턴테이블 플레이트(221), 업다운 플레이트(223), 이송핸드(210)는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된다.
이때, 이송핸드(210)는 컨베이어(10)의 일단(11)으로 이송된 트레이(T)를 피킹한 후 다른 턴테이블(20)(20) 또는 포장기(30)로 트레이(T)를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이송핸드(210)는 트레이(T)를 포장기(30)로 이송한다. 도 12의 경우, 이송핸드(210)가 용기(C)가 배치된 트레이(T)를 피킹하여 포장기(30)에 인접된 이중 호퍼(260)로 이송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랙잭(225)은 이송핸드(210)를 이중 호퍼(260)로 하강시킨다. 이때, 랙잭(225)은 트레이(T)가 이중 호퍼(260)와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송핸드(210)의 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17을 참조하여 이송핸드(210)의 구조 및 상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의 정면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의 내측면도이며,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의 정면에서 바라본 동작도이고, 도 17은 이송핸드(210)의 내측면에서 바라본 동작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는, 터닝모듈(220)에 결합되는 외측 몸체(211), 외측 몸체(211)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 몸체(212), 내측 몸체(212)에 구비되고 내측 몸체(212)에 상대 회전되는 핑거 플레이트(213), 핑거 플레이트(213)에 구비되고 트레이(T)의 홈(H)에 결합되는 핑거(214), 내측 몸체(212)에 구비되고 핑거 플레이트(213)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모듈(215), 및 외측 몸체(211)에 구비되어 풀리모듈(21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16)를 포함한다.
외측 몸체(211)는 이송핸드(2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외측 몸체(211)는 터닝모듈(220)에 결합된다. 외측 몸체(211)는 업다운 플레이트(223)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 몸체(212)는 외측 몸체(211)와 함께 이송핸드(210)의 외관을 형성한다. 내측 몸체(212)는 외측 몸체(211)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 몸체(212)는 트레이(T)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내측 몸체(212)는 외측 몸체(211)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내측 몸체(212)은 외측 몸체(211)와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핑거 플레이트(213)는 내측 몸체(212)에 구비된다. 핑거 플레이트(213)는 내측 몸체(212)의 표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핑거 플레이트(213)는 내측 몸체(212)에 상대 회전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핑거(214)는 핑거 플레이트(213)에 구비된다. 핑거(214)는 핑거 플레이트(213)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핑거(214)는 트레이(T)에 형성된 홈(H)에 결합된다. 이 경우, 핑거(214)는 홈(H)에 대응되는 크기 및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핑거(214)는 핑거 플레이트(213)의 회전 시 핑거 플레이트(213)과 함께 회전된다.
풀리모듈(215)은 내측 몸체(212)에 구비된다. 풀리모듈(215)은 핑거 플레이트(213)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풀리모듈(215)은 구동부(2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핑거 플레이트(213)를 회전시킨다. 핑거 플레이트(213)가 회전되면 핑거(214)가 회전되고, 핑거(214)에 결합된 트레이(T)가 함께 회전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구동부(216)는 외측 몸체(211)에 구비된다. 구동부(216)는 풀리모듈(215)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구동부(216)는 서보모터 및 기어부(G)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216)가 서보모터로 실시되는 경우, 기어부(G)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핑거 플레이트(213)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리모듈(215)은, 외측 몸체(211) 및 내측 몸체(212)를 관통하며, 회전력을 전달받는 슬라이딩 구동축(215a), 내측 몸체(212)에 구비되고, 슬라이딩 구동축(215a)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215b), 내측 몸체(212)에 구비되고 핑거 플레이트(213)에 결합되는 종동풀리(215c), 및 구동풀리(215b) 및 종동풀리(215c)를 연결하여 구동풀리(215b)의 회전력을 종동풀리(215c)로 전달하는 풀리벨트(215d)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구동축(215a)은 외측 몸체(211) 및 내측 몸체(21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구동축(215a)의 일단은 외측 몸체(211)에 배치되고, 타단은 내측 몸체(212)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구동축(215a)은 구동부(216)에 연결된다. 슬라이딩 구동축(215a)은 구동부(2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풀리(215b)로 전달한다. 슬라이딩 구동축(215a)은 구동부(216)로부터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 구동축(215a)은 구동부(216)의 기어부(G)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구동풀리(215b)는 내측 몸체(212)에 구비된다. 구동풀리(215b)는 내측 몸체(2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동풀리(215b)는 슬라이딩 구동축(215a)의 타단에 결합된다. 구동풀리(215b)는 슬라이딩 구동축(215a)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종동풀리(215c)는 내측 몸체(212)에 구비된다. 종동풀리(215c)는 내측 몸체(2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종동풀리(215c)는 핑거 플레이트(213)에 결합된다. 종동풀리(215c)는 핑거 플레이트(213)를 회전시킨다. 종동풀리(215c)는 핑거 플레이트(213)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핑거 플레이트(213)와 함께 회전된다.
풀리벨트(215d)는 내측 몸체(212)에 구비된다. 풀리벨트(215d)는 구동풀리(215b) 및 종동풀리(215c)를 연결한다. 풀리벨트(215d)는 구동풀리(215b)의 회전력을 종동풀리(215c)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구동축(215a)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핑거 플레이트(213)로 전달되어, 핑거 플레이트(213)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이송핸드(210)는 피킹 포인트에 위치한 트레이(T)를 피킹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핸드(210)는 일단이 외측 몸체(211)에 구비되고 타단이 내측 몸체(212)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 외측 몸체(211)에 구비되고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에 관통되는 부싱(218a, 218b), 및 일단이 외측 몸체(211)에 구비되고 타단이 내측 몸체(212)에 결합되며 내측 몸체(212)를 트레이(T)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격 피스톤(219)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는 외측 몸체(211)에 구비된다.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는 일단이 외측 몸체(211)에 구비된다.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의 타단은 내측 몸체(212)에 결합된다.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의 타단은 내측 몸체(21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부싱(218a, 218b)은 외측 몸체(211)에 구비된다. 부싱(218a, 218b)은 외측 몸체(211)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부싱(218a, 218b)은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에 의해 관통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이격 피스톤(219)이 동작하여, 내측 몸체(212)가 트레이(T) 방향으로 이동되면,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가 부싱(218a, 218b)에서 슬라이딩된다.
이격 피스톤(219)은 일단이 외측 몸체(211)에 구비된다. 이격 피스톤(219)은 일단이 외측 몸체(211)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이격 피스톤(219)은 타단이 내측 몸체(212)에 결합된다.
이격 피스톤(219)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 피스톤(219)은 길이가 연장 또는 감소되게 작동될 수 있다.
트레이(T)가 피킹 포인트에 위치하면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피킹하기 위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격 피스톤(219)이 작동하여 피스톤의 길이가 연장되게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 피스톤(219)은 내측 몸체(212)를 트레이(T)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격 피스톤(219)의 동작 시,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외측 몸체(211)는 고정되고 내측 몸체(212)가 트레이(T)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는 부싱(218a, 218b)에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가 부싱(218a, 218b)에서 슬라이딩되면, 외측 몸체(211)와 내측 몸체(212)가 이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샤프트(217a, 217b)는 외측 몸체(211)에 구비되고, 일단이 종동풀리(215c)의 내면에 결합되며 핑거 플레이트(213)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제1슬라이딩 샤프트 (217a) 및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슬라이딩 샤프트(217b)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는 외측 몸체(211)에 구비된다.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의 타단은 외측 몸체(211)에 배치되고, 일단은 종동풀리(215c)에 배치된다.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는 제1부싱(218a, 218b)을 관통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는 내측 몸체(212)가 외측 몸체(211)로부터 이동 시 내측 몸체(212)를 외측 몸체(211)에 지지한다.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의 일단은 종동풀리(215c)에 결합된다. 이때,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의 일단은 종동풀리(215c)의 내면에 결합된다. 이 경우, 종동풀리(215c)는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의 일단의 외면에 상대 회전될 수 있다.
핑거 플레이트(213)는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의 일단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의 일단에는 핑거 플레이트 삽입홈(J)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핑거 플레이트 삽입홈(J)에는 핑거 플레이트(213)가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의 일단에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핑거 플레이트(213)가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 샤프트(217b)는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슬라이딩 샤프트(217b)는 제1슬라이딩 샤프트(217a)와 함께 외측 몸체(211) 및 내측 몸체(212)를 지지한다. 제2슬라이딩 샤프트(217b)는 내측 몸체(212)가 외측 몸체(211)로부터 이동 시 내측 몸체(212)를 외측 몸체(211)에 지지한다.
내측 몸체(212)가 외측 몸체(211)로부터 이동 시 슬라이딩 구동축(215a)은 구동부(216)로부터 슬라이딩된다. 즉, 외측 몸체(211)와 내측 몸체(212)가 이격되는 거리만큼 슬라이딩 구동축(215a)이 구동부(216)로부터 슬라이딩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구동축(215a)은 기어부(G)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구동축(215a)은 구동부(216)에 대해 슬라이딩 되더라도 구동부(216)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부(216)에서 전달하는 회전력을 구동풀리(215b)로 전달할 수 있다.
이격 피스톤(219)이 작동하여 내측 몸체(212)를 트레이(T)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핑거 플레이트(213)의 핑거(214)가 트레이(T)의 홈(H)에 결합된다. 핑거(214)가 트레이(T)의 홈(H)에 결합되면 피킹(picking)이 완료된다.
핑거(214)가 트레이(T)의 홈(H)에 결합되어 피킹이 완료되면, 랙잭(225)이 동작하여 업다운 플레이트(223)가 상승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것과 같이 회전장치(227)가 동작하여, 턴테이블 플레이트(221)가 회전되어, 다른 턴테이블(20) 또는 포장기(30)로 트레이(T)를 이송시킬 수 있다.
다른 턴테이블(20)로 트레이(T)를 이송하는 경우, 상술한 동작이 반대로 동작하여,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다른 턴테이블(20)로 이송한다.
포장기(30)로 트레이(T)를 이송하는 경우, 회전장치(227)는 이송핸드(210)가 이중 호퍼(260)에 위치되도록 턴테이블 플레이트(22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제어부는 랙잭(225)을 제어하여 이송핸드(210)가 이중 호퍼(260)의 상측에 적정한 이격거리를 형성하도록 업다운 플레이트(223)를 승하강시킨다.
이송핸드(210)가 이중 호퍼(260)에 위치되면, 이송핸드(210)는 트레이(T)를 회전시켜 이중 호퍼(260)로 식품이 투입되도록 한다. 이송핸드(210)가 트레이(T)를 회전시켜 용기(C)가 회전되면,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이 자중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낙하된다. 이때,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이 이중 호퍼(260)에 낙하하여, 조리가 완료된식품이 이중 호퍼(260)로 투입된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레이(T)를 피킹한 핑거 플레이트(213)가 회전되어, 트레이(T)와 함께 트레이(T)에 배치된 용기(C)가 회전되도록 한다. 즉, 도 17의 (a)와 같이 핑거(214)가 지면과 수평하게 트레이(T)를 피킹한 상태에서, 핑거 플레이트(213)가 회전되면서 핑거(214)와 함께 트레이(T)가 회전되어 도 17의 (b) 및 (c)와 같이 트레이(T)가 회전된다.
이때, 상술한 것과 같이, 도 17의 (b)와 같이 구동부(216)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이 풀리모듈(215)로 전달되고, 핑거 플레이트(213)는 풀리모듈(2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때, 상술한 것과 같이, 핑거 플레이트(213)는 내측 몸체(212)에 대해 상대회전하여 핑거(214)가 트레이(T)를 피킹한 상태에서 회전된다.
최종적으로, 도 17의 (c)와 같이 트레이(T)가 회전된다. 이 경우,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이중 호퍼(260)로 투입된다.
턴테이블(20)이 상술한 구성요소들로 구성되어, 이중 호퍼(260)로 트레이(T)를 피킹한 후 이송하며, 이중 호퍼(260)와 적절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트레이(T)의 위치, 높이,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이중 호퍼(260)에 식품이 안정적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이하에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호퍼(2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트레이(T)가 회전되어 용기(C)에 수용된 식품이 이중 호퍼(260)로 낙하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호퍼(260)의 확대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호퍼(260)는 포장지(P)에 식품이 투입되도록, 포장지(P)의 입구(E)에 삽입된다. 즉, 이중 호퍼(260)는 깔대기와 같은 기능을 하여, 포장지(P)의 입구(E)에 삽입되어, 이중 호퍼(260)로 투입된 식품이 포장지(P)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다.
포장기(30)는 이중 호퍼(260)를 통해 포장지(P)의 내부로 투입된 식품을 포장한다. 포장기(30)는 포장기(30)의 입구(E)에 형성된 실링라인(S)을 따라 포장지(P)를 실링한다. 포장기(30)는 공지의 포장기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승하강모듈(270)은 턴테이블(20)의 일측에 구비된다. 승하강모듈(270)은 바디(230)에 구비될 수 있다. 승하강모듈(270)은 이중 호퍼(26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킨다. 승하강모듈(270)은 이중 호퍼(260)에 식품이 적절하게 투입되도록 이중 호퍼(260)를 승하강시켜 용기(C)와 이중 호퍼(260)의 간격을 조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모듈(270)은, 턴테이블(20)의 일측에 고정 구비되는 지지브라켓(271), 이중 호퍼(260)가 안착되는 이중 호퍼 브라켓(272), 및 지지브라켓(271)에 구비되고, 이중 호퍼 브라켓(272)에 연결되어, 이중 호퍼 브라켓(272)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터(273)를 포함한다.
지지브라켓(271)은 턴테이블(20)의 일측에 고정 구비된다. 지지브라켓(271)은 바디(230)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271)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중 호퍼 브라켓(272)에는 이중 호퍼(260)가 안착된다. 이중 호퍼 브라켓(272)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며, 지지브라켓(271)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프터(273)는 지지브라켓(271)에 구비된다. 리프터(273)는 이중 호퍼 브라켓(272)에 연결된다. 리프터(273)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중 호퍼 브라켓(272)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킨다. 이 경우, 리프터(273)는 이중 호퍼(260)에 식품이 적절하게 투입되도록 이중 호퍼 브라켓(272)을 승하강시켜 용기(C)와 이중 호퍼(260)의 간격을 조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호퍼(260)는 포장지(P)의 입구(E)에 삽입되는 외측 호퍼(261), 및 식품이 투입되고 외측 호퍼(261)의 내측에 삽입되며 포장지(P)의 입구(E)와 이격되는 내측 호퍼(265)를 포함한다.
외측 호퍼(261)는 이중 호퍼(260)의 외관을 형성한다. 외측 호퍼(261)는 포장지(P)의 입구(E)에 삽입된다. 이 경우, 외측 호퍼(261)는 포장지(P)의 내부로 삽입된다. 외측 호퍼(261)는 이중 호퍼 브라켓(272)에 안착될 수 있다.
외측 호퍼(261)에는 접촉부(262)가 구비된다. 접촉부(262)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262)는 하측 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접촉부(262)에는 포장지(P)의 내면이 접촉된다. 이 경우, 접촉부(262)에는 포장지(P)의 입구(E)의 내면이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262)가 포장지(P)의 내면에 접촉되어 포장지(P)의 내면을 확장되게 지지하여, 식품이 포장지(P)로 원활하게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접촉부(262)가 포장지(P)의 입구(E)를 확장시켜, 식품이 포장지(P)의 내부로 원활하게 투입되도록 한다.
외측 호퍼(261)는 식품이 통과하는 개구부(263)가 형성된다. 개구부(263)는 접촉부(262)의 단부에 형성된다. 개구부(263)는 포장지(P)의 입구(E)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263)를 통해 이중 호퍼(260)로 투입된 식품이 포장지(P)로 투입된다.
내측 호퍼(265)에는 식품이 투입된다. 내측 호퍼(265)는 외측 호퍼(261)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 경우, 식품은 내측 호퍼(265)를 통해 포장지(P)로 투입된다.
내측 호퍼(265)는 포장지(P)의 입구(E)와 이격된다. 식품이 내측 호퍼(265)로 투입되면 내측 호퍼(265)를 통해 포장지(P)에 식품이 투입되는데, 내측 호퍼(265)가 포장지(P)의 입구(E)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모두 이격되게 배치되어, 식품이 포장지(P)의 입구(E)에 묻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포장기(30)가 포장지(P)를 실링할 때 포장지(P)의 입구(E)에 식품이 잔존하지 않아 식품을 포장지(P)에 청결하게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내측 호퍼(265)에는 투입부(266)가 형성된다. 투입부(266)는 외측 호퍼(261)의 개구부(263)를 관통한다. 투입부(266)는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투입부(266)는 개구부(263)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투입부(266)는 포장지(P)의 입구(E)보다 포장지(P)의 내부로 돌출되어, 포장지(P)의 입구(E)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투입부(266)는 포장지(P)의 실링라인(S)을 통과하여, 포장지(P)의 내부로 돌출된다.
내측 호퍼(265)에 식품이 투입되면, 식품이 투입부(266)를 통해 포장지(P)의 입구(E)를 지나서 바로 포장지(P)의 내부로 투입되므로, 식품이 포장지(P)의 입구(E) 및 실링라인(S)에 묻지 않게 되어, 식품을 청결하게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입부(266)는 포장지(P)의 내면과 일정간격(A) 이격되게 배치된다. 내측 호퍼(265)에 식품이 투입되면, 식품이 투입부(266)를 통해 포장지(P)의 입구(E)를 지나서 바로 포장지(P)의 내부로 투입되고, 투입부(266)가 내면과 일정간격(A)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식품이 포장지(P)의 입구(E) 및 실링라인(S)에 더욱 더 묻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컨베이어 20 : 턴테이블
30 : 포장기 T : 트레이
30 : 포장기 T : 트레이
Claims (10)
- 식품이 수용된 용기가 배치된 트레이;
상기 용기를 가열하고 상기 트레이를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으로 이송된 상기 트레이를 피킹하는 턴테이블;
지면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및 상기 턴테이블이 안착되는 레일부; 및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턴테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 변화 시 상기 턴테이블을 상기 컨베이어와 함께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는 식품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트레이를 상기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이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열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 수직프레임과의 간격이 변화되는 이동 수직프레임; 및
상기 이동 수직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부에 안착되는 휠모듈;
을 포함하는 식품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방향으로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가 변화되면, 상기 휠모듈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식품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이동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식품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프로킷 기어;
상기 스프로킷 기어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스프로킷 기어가 회전되면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스프로킷 체인;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프로킷 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로킷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 샤프트;
를 포함하는 식품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내측에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내측 버너;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내측 버너 사이에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외측 버너; 및
상기 내측 버너 및 상기 외측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
을 포함하는 식품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모듈은,
상기 이동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보조 플레이트;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플레이트;
상기 휠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휠 샤프트; 및
상기 휠 샤프트에 관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휠;
을 포함하는 식품제조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휠이 안착되는 가이드레일;
을 포함하는 식품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구비된 레그;
상기 레그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부에 안착되는 롤러;
상기 트레이를 피킹하는 이송핸드;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핸드를 회전시키는 터닝모듈;
을 포함하는 식품제조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핸드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에 이송된 상기 트레이의 위치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는 식품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7630A KR102111518B1 (ko) | 2019-04-24 | 2019-04-24 |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7630A KR102111518B1 (ko) | 2019-04-24 | 2019-04-24 |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748A Division KR102120083B1 (ko) | 2020-05-11 | 2020-05-11 | 식품제조장치 |
KR1020200055749A Division KR102120086B1 (ko) | 2020-05-11 | 2020-05-11 | 식품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1518B1 true KR102111518B1 (ko) | 2020-05-15 |
Family
ID=7067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7630A KR102111518B1 (ko) | 2019-04-24 | 2019-04-24 |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151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748A (ja) * | 1992-06-30 | 1994-01-25 | Kyowa Kogyosho:Kk | ハンバーガー調理における冷凍パティの調理方法及び装置 |
KR19990086979A (ko) * | 1997-08-28 | 1999-12-15 | 오츠까 구니히코 |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
KR100782711B1 (ko) * | 2001-11-21 | 2007-12-05 | 주식회사 포스코 | 트리퍼 이동형 신축 벨트콘베어 |
KR101066294B1 (ko) * | 2009-04-03 | 2011-09-20 | (주)상신종합식품 | 소용량 단위로 조리가 가능한 식품생산시스템 |
-
2019
- 2019-04-24 KR KR1020190047630A patent/KR1021115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748A (ja) * | 1992-06-30 | 1994-01-25 | Kyowa Kogyosho:Kk | ハンバーガー調理における冷凍パティの調理方法及び装置 |
KR19990086979A (ko) * | 1997-08-28 | 1999-12-15 | 오츠까 구니히코 | 무균식품 충전 및 포장장치 |
KR100782711B1 (ko) * | 2001-11-21 | 2007-12-05 | 주식회사 포스코 | 트리퍼 이동형 신축 벨트콘베어 |
KR101066294B1 (ko) * | 2009-04-03 | 2011-09-20 | (주)상신종합식품 | 소용량 단위로 조리가 가능한 식품생산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2451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food articles | |
JP4253164B2 (ja) | 製袋包装機の横シール機構および製袋包装機 | |
US9776753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veying piece goods in a filling machine | |
KR101234529B1 (ko) | 두부 자동 절단장치 | |
KR102281478B1 (ko) | 식품제조장치 | |
JP2008094427A (ja) | 製袋包装システム | |
US4936072A (en) | Container filler and sealer with two directional flexing chain | |
KR20150010545A (ko) |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 |
KR102120083B1 (ko) | 식품제조장치 | |
KR102120086B1 (ko) | 식품제조장치 | |
KR102111518B1 (ko) |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식품제조장치 | |
CN109159971A (zh) | 调节装置及装箱设备 | |
EP2673196B1 (en) | Container sealing apparatus | |
CN108082577A (zh) | 一种具有高效包装能力的食品包装机 | |
CN117125432B (zh) | 一种预制菜样品检测用转运系统 | |
CN114671095B (zh) | 一种果蔬脆片包装袋封口机 | |
KR102384454B1 (ko) | 쿠키용 반죽 와이어 컷팅 및 정렬 장치 | |
CN107856903A (zh) | 玻璃制品自动装箱系统 | |
CN209112510U (zh) | 调节装置及装箱设备 | |
JP4636727B2 (ja) | 製袋包装機の横シール機構及び製袋包装機 | |
JP2016096757A (ja) | 層状食品製造装置及び方法 | |
CN219447521U (zh) | 一种面点粉包装设备 | |
KR101470797B1 (ko) | 식품 포장 장치 | |
CN217730871U (zh) | 一种多部件成品检测装箱一体化系统 | |
CN220764890U (zh) | 预制菜加工用装盒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