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647A - Srtio₃계 입계절연형 유전체 - Google Patents

Srtio₃계 입계절연형 유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647A
KR19990086647A KR1019980019747A KR19980019747A KR19990086647A KR 19990086647 A KR19990086647 A KR 19990086647A KR 1019980019747 A KR1019980019747 A KR 1019980019747A KR 19980019747 A KR19980019747 A KR 19980019747A KR 19990086647 A KR19990086647 A KR 19990086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dielectric constant
oxide
srtio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5239B1 (ko
Inventor
구상윤
김주선
강석중
Original Assignee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윤덕용
Priority to KR101998001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239B1/ko
Priority to JP10183439A priority patent/JP3032819B2/ja
Priority to US09/348,625 priority patent/US6292355B1/en
Publication of KR19990086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Nb가 도핑된 SrTiO3의 입계에 BaO와 CaO가 첨가된 산화물을 액상으로 침투시켜 입계절연형 유전체를 제조하였다. 위의 방법으로 제조된 입계절연형 유전체는 높은 유전상수값과 낮은 유전손실값을 나타내었으며,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상수값의 변화가 적은 안정한 온도특성을 나타내었다.

Description

SrTiO₃계 입계절연형 유전체
본 발명은 높은 유전상수와 안정한 온도특성을 나타내는 SrTiO3계 유전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SrTiO3계 입계절연형 유전체(Grain Boundary Barrier Layer Capacitor, 이하 GBBLC라 부름)의 제조공정중 SrTiO3의 입계에 액상으로 침투시키는 이차상의 조성을 변화시켜 향상된 유전특성을 갖는 유전체에 관한 것이다.
GBBLC는 반도성 입자들 사이의 계면에 얇은 유전층을 형성시켜 유전층의 두께, 전극간의 거리를 매우 작게 만들어 높은 유전상수 값을 가지도록 하는 재료이다. 종래의 GBBLC의 제조공정은 반도성 소결체를 만드는 단계와 입계에 유전층을 형성시키는 산화물 침투 단계로 크게 나누어진다고 후지모토(M. Fujimoto and W. D. Kingery, "Microstructure of SrTiO3Internal Boundary Layer Capacitors During and After Processing and Resultant Electrical Properties,"J. Am. Ceram. Soc., 68 [4] 169-173 (1985)와 굿맨(G. Goodman, "Capacitors Based on Ceramic Grain Boundary Barrier Layers - a Review," Advances in Ceramics, vol. 1, Grain Boundary Phenomena in Electronic Ceramics, 215-231 (1981)등이 발표한바 있다. 반도성 소결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너(donor)를 첨가하여 환원분위기에서 소결한 반도성 다결정 시편의 입계에 유전층을 형성시켜야 하는데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에서 워니케(R. Wernicke, "Formation of second-phase layers in SrTiO3Boundary Layer Capacitors," Advances in Ceramics, vol. 1, Grain Boundary Phenomena in Electronic Ceramics, 261-271 ,1981)는 환원분위기에서 소결된 시편을 공기중에서 열처리하여 입계만을 선택적으로 산화시켜 만들었으나 이 GBBLC는 손실이 크고 외부 전기장이 걸릴 경우 입계부위에 형성되는 높은 국부전압을 견딜수 없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GBBLC는 낮은 융점을 갖는 PbO, Bi2O3, CuO 등의 산화물 액상을 소결체의 입계에 침투시켜 입계에 이차상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과제는 유전상수가 큰 SrTiO3계 입계절연형 유전체조성물의 제조에 있다. 일반적으로 유전상수는 SrTiO3계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침투된 산화물액상과 액상침투중 산화된 층의 두께가 얇을수록, 침투된 산화물의 유전상수가 높을수록 높다는 것은 워니케(R. Wernicke, "Two-Layer Model explaining the Properties of SrTiO3Boundary Layer Capacitors," Advances in Ceramics, vol. 1, Grain Boundary Phenomena in Electronic Ceramics, 215-231, 1981)가 발표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침투된 액상의 유전상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입계에 높은 유전률을 가지는 산화물인 BaO나 CaO 혹은 이들 혼합물을 기존의 산화물 침투 액상과 섞어 침투시킴으로써, 높은 유전상수값과 안정한 온도특성을 가지는 SrTiO3계 입계절연형 유전체(GBBLC)를 발명하였다.
도 1 (a)는 측정온도에 따른 유전상수값의 변화이다.
(b)는 측정온도에 따른 유전손실값의 변화이다.
도 2 (a)는 유전상수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b)는 0℃에서의 유전상수값을 기준으로 하여 온도에 따른 유전상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a)는 1300oC에서 8시간 열처리 한 경우 산화물의 침투시간에 따른
유전상수 값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b)는 1300oC에서 12시간 열처리 한 경우 산화물의 침투시간에 따른
유전상수 값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SrTiO3소결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BaO와 CaO를 포함하는 혼합 액상 형성 산화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소결체에 액상 형성 산화물을 침투시키는 제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SrTiO3소결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소결체에 액상 형성 산화물을 침투시키는 제3단계는 통상적인 방법과 동일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은 소결체에 액상 형성 산화물을 침투시키는 단계에서 BaO와 CaO를 첨가하는데 있다.
* 제1단계 : SrTiO3소결체는 SrTiO3에 Nb2O5나 La2O3와 같은 도너(donor)를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 분말을 냉간 가압 성형한 후 1,400oC 이상의 온도에서 수시간 동안 95N2-5H2와 같은 환원 분위기에서 소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 제2단계 : 액상 형성 산화물은 기존의 산화물 액상 형성 혼합물에 고온에서 BaO와 CaO가 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BaCO3와 CaCO3를 몰비를 다르게하여 정량으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 제3단계 : 본 발명의 액상 침투 공정은 산화분위기에서 행하며 SrTiO3계 입계절연형 유전체는 침투되는 액상에 BaO와 CaO로 될 수 있는 물질을 첨가하여 동시에 침투시킴으로써 높은 유전상수값을 가지도록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로, 액상침투 산화물에 첨가된 BaO는 입계에 존재하는 TiO2과잉산과의 반응을 통하여 입계에 높은 유전상수값을 가지는 BaTiO3상의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로, 상온에서 강유전성(ferroelectric)으로 온도 증가에 따라 유전상수가 증가하는 BaTiO3가 입계에 존재하여, 상온에서 상유전성(paraelectric)으로 온도 증가에 따라 유전상수가 감소하는 SrTiO3의 온도특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므로 전체 GBBLC는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상수 변화가 적은, 안정한 온도특성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로, 액상침투 산화물에 첨가된 CaO는 BaO에 의한 미세조직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BaO나 CaO, BaO와 CaO의 혼합물이 될 수 있는 물질이 일반 침투액상에 첨가될 경우 상기에 설명한 이유에 의하여 유전상수와 온도특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BaO와 CaO 제공물질로 BaCO3와 CaCO3를 택하고 침투액상으로서 Bi2O3를 택하였다. 그러나 일반 SrTiO3계 GBBLC의 제조에 사용되는 침투산화물인 PbO, PbO-Bi2O3-B2O3등과 그 혼합물 어느것에나 액상침투온도에서 BaO와 CaO가 될 수 있는 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설명되고 구체적으로 기술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SrTiO3에 0.2mol% Nb2O5도너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를 1,480oC에서 5시간동안 소결하였다. 액상 형성 산화물인 Bi2O3에 BaCO3와 CaCO3를 첨가하여 산화물 조성식을 표 1과 같이하여 침투 산화물의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에서는 Bi2O3를 기본으로 하여 BaO, CaO의 몰비를 변화시킨 액상 형성 산화물을 반도성 소결 시편에 산화분위기에서 침투시켰을때에 나타나는 유전특성과 유전상수의 온도의존성을 관찰하였다.
표 1
X CaO : BaO (mol 비) 조성 (mol 비)
0 : 0 100Bi2O3
0 0 : 1 0.8Bi2O3-0.2BaO
0.2 0.2 : 0.8 0.8Bi2O3-0.04CaO-0.16BaO
0.5 0.5 : 0.5 0.8Bi2O3-0.1CaO-0.1BaO
0.7 0.3 : 0.7 0.8Bi2O3-0.14CaO-0.06BaO
1.0 1 : 0 0.8Bi2O3-0.2CaO
상기의 혼합분말을 슬러리 상태로 만들어 미세하게 연마한 소결 시편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고르게 바른후, 산화 분위기에서 혼합물이 액상으로 되는 온도 이상인 1,300oC에서 4시간동안 침투시켰다. 액상이 침투된 시편은 최종두께가 500 ㎛가 되도록 양면을 미세 연마한 후 시편 양면에 은을 얇게 바르고 600oC에서 10분간 전극 열처리 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시편은 액체질소로 온도를 냉각한 후 다시 가열하면서 유전상수값와 유전상수값의 온도의존성을 측정하였다. 도 1의 (a)는 측정온도에 따른 유전상수값 변화이고, (b)는 측정온도에 따른 유전손실값의 변화이다.
도 1의 유전특성을 살펴보면, 액상형성 산화물내의 BaO와 CaO의 몰비가 1:1인 경우(X=0.5) 가장 높은 유전상수값과 낮은 유전손실값을 나타낸다. 반면 산화물 조성이 X=0, 1.0인 경우 낮은 유전상수값과 높은 유전손실값을 나타낸다. 즉 X=0.5인 경우 상온에서 2.8 x 104의 유전상수값을 가지나, X=0, 1.0인 경우에는 상온에서 약 1.0 x 104의 유전상수값을 나타낸다. 또한 유전손실은 X=0.5인 경우 상온에서 1%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3-5% 값을 보이는 X=0, 1.0인 경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낸다.
도 2는 유전상수의 온도의존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Bi2O3만 침투시킨경우와 액상없이 산화만시킨 시편의 유전상수값과 온도에 따른 변화량을 산화물 조성이 X=0.5인 경우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Bi2O3만 침투시킨 경우에 비하여 BaO와 CaO를 침투시킨 경우 더 높은 유전상수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입계에 BaO와 CaO가 존재하는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상수 변화가 적고 안정함을 보인다. 액상산화물의 조성이 X=0.5인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상수값 변화율은 ±10% 이내로 온도에 따른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2 >
도 3은 실시예1에서와 같은 소결체와 액상침투 산화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GBBLC의 액상형성 산화물의 침투시간에 따른 유전상수값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3의 (a)는 1,300oC에서 8시간 열처리 한 경우, (b)는 1,300oC에서 12시간 열처리 한 경우이다.
열처리 시간이 증가하여도 액상으로 침투시킨 산화물의 조성이 X=0.5인 경우 가장 높은 유전상수값을 가지고 있다. 열처리 시간이 8시간인 경우에는 2.2 x 104의 유전상수값을 나타내고, 12시간인 경우 1.8 x 104의 유전상수값을 나타낸다.
SrTiO3계 입계절연형 유전체 제조에 있어, 본 발명자들에 의해 개발된 BaO와 CaO가 첨가된 액상 산화물을 입계 이차상 형성 산화물로 사용할 경우 높은 유전상수값과 안정한 온도특성을 가지는 입계절연형 유전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입계절연형 유전체는 전자부품산업에 폭넓게 사용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유전상수가 큰 SrTiO3계 입계절연형 유전체에 있어서, 이차상을 형성하는 산화물의 조성에 1000∼1300℃에서 BaO나 CaO가 될 수 있는 물질의 혼합물을 첨가한 SrTiO3계 입계절연형 유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Bi2O3가 첨가되는 경우, BaO와 CaO의 조성비가 1:0에서 0:1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SrTiO3계 입계절연형 유전체.
KR1019980019747A 1998-05-29 1998-05-29 Srtio₃계입계절연형유전체 KR10028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747A KR100285239B1 (ko) 1998-05-29 1998-05-29 Srtio₃계입계절연형유전체
JP10183439A JP3032819B2 (ja) 1998-05-29 1998-06-30 SrTiO3 系粒界絶縁型誘電体
US09/348,625 US6292355B1 (en) 1998-05-29 1999-07-06 SrTiO3-based grain boundary barrier layer capac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747A KR100285239B1 (ko) 1998-05-29 1998-05-29 Srtio₃계입계절연형유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647A true KR19990086647A (ko) 1999-12-15
KR100285239B1 KR100285239B1 (ko) 2001-04-02

Family

ID=3751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747A KR100285239B1 (ko) 1998-05-29 1998-05-29 Srtio₃계입계절연형유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053B1 (ko) 2019-04-09 2021-02-02 주식회사 아이지티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 반응기 및 이를 구비한 가스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219B2 (ja) * 1989-02-22 1994-08-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ス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5239B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479B1 (ko) 자기콘덴서및그제조방법
KR100278417B1 (ko) 유전체 세라믹과 이것의 제조방법,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과
KR100841506B1 (ko) 유전체 자기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1513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278416B1 (ko) 유전체 세라믹과 그 제조방법,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과 그 제조방법
KR100326950B1 (ko)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및 적층 세라믹 부품
KR20060059191A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CA1098303A (en) Method of producing a dielectric with perowskite structure
CN106348753B (zh) 陶瓷电容介电材料
JPH0123434B2 (ko)
US5672378A (en) Method for making a BaTiO3 powder mixture the powder mixture and method for making a Y5V ceramic body therefrom
KR20050092438A (ko) 박막 용량 소자용 조성물, 고유전율 절연막, 박막용량 소자, 박막 적층 콘덴서 및 박막 용량 소자의제조방법
JP3032819B2 (ja) SrTiO3 系粒界絶縁型誘電体
US4367265A (en) Intergranular insulation type semiconductive ceram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EP0418394B1 (en) Process for producing ceramic capacitors having varistor characteristics
KR20010050132A (ko) 유전체 세라믹 재료 및 모놀리식 세라믹 전자 부품
US4700265A (en) Low temperature sintered ceramic capacitor with a temperature compensating cap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285239B1 (ko) Srtio₃계입계절연형유전체
US7060144B2 (en)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0380720B1 (ko)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CA1296880C (en) Method for making a bismuth doped neodymium barium titanate
KR970003341B1 (ko) 티탄산 스트론튬계 입계절연형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JP4508858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法
KR940011059B1 (ko) 입계형 반도성 자기콘덴서
JP2934387B2 (ja) 半導体磁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