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036A -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036A
KR19990086036A KR1019980018819A KR19980018819A KR19990086036A KR 19990086036 A KR19990086036 A KR 19990086036A KR 1019980018819 A KR1019980018819 A KR 1019980018819A KR 19980018819 A KR19980018819 A KR 19980018819A KR 19990086036 A KR19990086036 A KR 1999008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disk
inclination
til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7773B1 (ko
Inventor
유병열
김석중
손용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7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베이스와, 베이스 위에 설치된 홀더와,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물렌즈가 고정되는 보빈을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디스크와 대물렌즈 사이의 경사를 보정하는 경사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는 대물렌즈가 탑재되는 보빈을 디스크와 대물렌즈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에 대응되게 회동시킴으로써 대물렌즈의 광축과 디스크가 수직을 이루도록 대물렌즈의 경사를 보정하므로, 구동 응답속도가 빨라 고속용 광기록재생장치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본 발명은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휨이나 기울어짐에 의한 기록 또는 재생신호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대물렌즈와 디스크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은 광기록재생장치에 채용되어 기록매체인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비접촉식으로 턴테이블에 탑재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이다. 이 광픽업은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집속하여 디스크에 광스폿을 형성하는 대물렌즈를 구비하고, 이 대물렌즈는 디스크의 올바른 트랙 위치에 광스폿을 형성하도록 액츄에이터에 의해 디스크의 트랙 방향과 포커스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광픽업으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과정에서 디스크가 휘어져 있거나 광픽업 특히, 대물렌즈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경우, 기록 또는 재생신호에 열화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디스크의 휨이나 기울어짐에 의한 기록 또는 재생신호를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픽업 경사조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픽업(1)은 가이드레일(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가이드레일(2)은 디스크(5)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의 일측은 틸트서보용 모터(9)에 의해 승강된다.
디스크(5)의 휨이나 기울어짐에 의해 상기 광픽업(1)과 디스크(5)가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틸트서보용 모터(9)가 회전되고, 이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2)의 일측이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모터(7)에 설치된 힌지축(2a)을 중심으로 가이드레일(2) 및 이 가이드레일(2)에 탑재된 광픽업(1)이 회동되어 광픽업(1)은 디스크(5)와 나란하게 조정된다. 따라서, 광픽업(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디스크(5)에 수직으로 입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픽업 경사조정장치는 디스크(5)의 휨이나 기울어짐에 대응되게 틸트서보용 모터(9)를 구동하여 디스크(5)에 대한 광픽업(1)의 상대적인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대물렌즈(미도시)의 광축과 디스크(5)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조정되어 올바른 트랙 위치에 광스폿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록 또는 재생신호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디스크(5)에 광이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해, 광픽업(1) 및 가이드레일(2)을 회동시키므로, 조정해야할 부분의 질량이 커서 경사 조정을 위한 틸트서보용 모터(9)의 구동전력이 많이 필요하고 구동 응답속도가 느려, 고속으로 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광기록재생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속용 광기록재생장치에 적합하도록 대물렌즈와 디스크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픽업 경사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 11...홀더
13...회동부재 30,50...경사보정수단
31...구동모터 33...승강부
51...자석 55...틸트코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위에 설치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물렌즈가 고정되는 보빈을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디스크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경사를 보정하는 경사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보정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보정수단은, 일 자극이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면에 대향되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자석과; 다른 자극이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면에 대향되게 상기 제1자석의 상측에 설치된 제2자석과;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구동하는 틸트코일;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위에 고정 설치된 홀더(11)와, 상기 홀더(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재(13)와, 상기 회동부재(13)의 일측에 설치된 경사보정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13)는 대물렌즈(15)가 고정되는 보빈(17)을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홀더(11)에 그 회동축(13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17)은 상기 회동부재(13)와 서스펜더(19)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10) 위에 움직임 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보빈(17)에는 포커스 코일(21) 및 트랙 코일(23)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포커스 코일(21) 및 트랙 코일(23)과 마주하도록 한쌍의 자석(25a)(25b)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는 상기 보빈(17) 즉, 대물렌즈(15)를 디스크의 트랙 방향 및 포커스 방향으로 움직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보정수단(3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회동부재(13)를 회동시키는 승강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33)는 회동부재(13)의 일측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에 결합된 나사부재(34)와, 상기 나사부재(34)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부재(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너트부재(3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그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재(35)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33)는 도 2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디스크의 휨이나 기울어짐 등에 의한 디스크(미도시)와 대물렌즈(15) 사이의 상대적인 기울기를 검출하는 경사검출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검출수단은 상기 디스크쪽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미도시)과, 상기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17)의 상면 또는 광픽업의 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사검출수단의 검출 결과는 상기 경사보정수단(30) 즉, 구동모터(31)의 구동부에 피드백되어, 경사보정수단(30)으로 회동부재(13)를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켜 대물렌즈(15)의 광축과 디스크가 수직을 이루도록 대물렌즈(15)의 경사를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검출수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대물렌즈(15)가 디스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구동모터(31)가 구동되고 상기 승강부(33)는 상기 기울어짐에 대응되게 상기 회동부재(13)의 일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13) 및 이에 설치된 보빈(17)이 회동축(13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대물렌즈(15)의 광축이 디스크와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조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대물렌즈(15)는 디스크의 올바른 트랙위치에 광스폿을 형성하도록 트랙 코일(23)과 포커스 코일(21)의 구동에 따라 트랙 방향과 포커스 방향으로 움직이며, 동시에 그 광축이 상기 디스크와 수직을 이루도록 대물렌즈(15)와 디스크 사이의 경사가 보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분리 사시도로써, 경사보정수단(50)이 베이스(10)에 설치된 제1 및 제2자석(51)(52)과, 회동부재(13)의 일부에 감겨진 틸트코일(55)로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도 2와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제1자석(51)은 그 일극 예컨대, N극이 상기 회동부재(13)의 일측면(13b)에 대향되게 베이스(10)에 설치된다. 상기 제2자석(52)는 그 다른극 예컨대, S극이 상기 회동부재(13)의 일측면(13b)에 대향되게 상기 제1자석(51)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틸트코일(55)은 상기 회동부재(13)의 일측면(13b) 및 좌,우면(13c)(13d)에 걸쳐 감겨진다. 또한, 상기 틸트코일(55)은 상기 회동부재(13)의 일측면(13b)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감겨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틸트코일(55)에 일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거하여, 상기 틸트코일(55)의 상,하부는 예컨대, 아래쪽으로 힘을 받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13)의 일측이 아래쪽으로 당겨진다. 그러므로, 상기 홀더(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13)는 회동축(13a)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틸트코일(55)에 다른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면, 틸트코일(55)의 상,하부는 예컨대, 위쪽으로 힘을 받고, 이에 따라 회동부재(13)는 회동축(13a)을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대물렌즈(15)와 디스크 사이의 상대적인 기울기에 대응되게 상기 틸트코일(55)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면, 대물렌즈(15)의 광축과 디스크가 수직을 이루도록 디스크에 대한 대물렌즈(15)의 상대적인 경사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은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의 휨이나 기울어짐에 따른 디스크와 대물렌즈(15)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를 보정할 수 있도록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가 틸트코일(55)이 설치된 보빈(17)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는 디스크의 접선 방향으로의 휨이나 기울어짐에 따른 대물렌즈(15)와의 상대적인 경사를 보정할 수 있도록 보빈(17)의 다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의 휨이나 기울어짐에 따른 대물렌즈(15)와의 상대적인 경사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보빈(17)의 일측 및 다른측에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가 각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대물렌즈 경사보정장치의 변경에 대한 도면 및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는, 대물렌즈가 탑재되는 보빈을 디스크와 대물렌즈 사이의 상대적인 경사에 대응되게 회동시킴으로써 대물렌즈의 광축과 디스크가 수직을 이루도록 대물렌즈의 경사를 보정하므로, 구동 응답속도가 빨라 고속용 광기록재생장치에 적합하다.
또한, 종래의 경사조정장치에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력보다 훨신 적은 전력으로 상기 대물렌즈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광기록재생장치 등에 적합하다.

Claims (3)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물렌즈가 고정되는 보빈을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디스크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경사를 보정하는 경사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보정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보정수단은,
    일 자극이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면에 대향되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자석과;
    다른 자극이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면에 대향되게 상기 제1자석의 상측에 설치된 제2자석과;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구동하는 틸트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KR1019980018819A 1998-05-25 1998-05-25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KR10029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819A KR100297773B1 (ko) 1998-05-25 1998-05-25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819A KR100297773B1 (ko) 1998-05-25 1998-05-25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036A true KR19990086036A (ko) 1999-12-15
KR100297773B1 KR100297773B1 (ko) 2001-08-07

Family

ID=3752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819A KR100297773B1 (ko) 1998-05-25 1998-05-25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243B1 (ko) * 1999-10-2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243B1 (ko) * 1999-10-2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7773B1 (ko)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774B1 (ko) 경사 조정 가능한 광픽업 구조체
US4694442A (en) Disc reader with obliquity correction
JPS6030017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WO2005112012A1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230250B1 (ko) 광디스크 기울어짐에 의한 수차를 보정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100403586B1 (ko) 광픽업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391043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틸트조정장치
US20020181386A1 (en) Disk reproducing device
KR100297771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US200702973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Disc Skew Correction
KR100297773B1 (ko) 대물렌즈 경사조정장치
JP3191424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プレーヤ
KR20030069459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 장치와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 장치
KR100322572B1 (ko) 광픽업장치
KR100319857B1 (ko) 광픽업장치
JPS60160034A (ja) 光学式デイスク・プレ−ヤ
JPH02130735A (ja) 光ヘッドの傾角調整装置
JP2004355711A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具えた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JP3771083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87309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1357553A (ja) 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調整方法
KR0181820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용 대물렌즈의 경사측정 고정장치
JPH0610489Y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648569Y2 (ja) 光ヘッドにおける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部の高さ制御装置
JPH01269244A (ja) 光学式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