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289A -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289A
KR19990085289A KR1019980017617A KR19980017617A KR19990085289A KR 19990085289 A KR19990085289 A KR 19990085289A KR 1019980017617 A KR1019980017617 A KR 1019980017617A KR 19980017617 A KR19980017617 A KR 19980017617A KR 19990085289 A KR19990085289 A KR 1999008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output
contou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9389B1 (ko
Inventor
배국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3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압축되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영상의 윤곽을 강조하는 윤곽 강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된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가변 길이 디코딩, 역양자화, 역 DCT, 및 움직임 보상 과정을 거쳐 압축되기 전의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 디코딩 장치에서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픽셀동안 순차 지연시키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의 각 픽셀들을 입력받아 인접하는 두 픽셀들간의 차 신호를 구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영상의 윤곽 부분을 검출하는 윤곽 검출부와, 상기 윤곽 검출부의 윤곽 검출 결과에 따라 윤곽을 강조할 부분을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윤곽 강조 선택부와, 윤곽 강조 신호를 발생하는 윤곽 신호 발생부와, 상기 윤곽 강조 선택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원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윤곽 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윤곽 강조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절환부로 구성되어, 디코딩된 영상 신호중에서 영상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한 부분에는 미리 정해둔 윤곽 강조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송신단에서의 DCT 과정에 의해 복원 영상의 경계선 부분이 선명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보상하여, 압축된 다음 복원되는 디지털 영상의 화질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본 발명은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영상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의 윤곽을 추출하여 강조하는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채널 및 고화질 방송을 위한 디지털 방송에서는 영상의 품질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하고 또한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는 압축(compression)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압축 기술은 어느 정도의 화질 열화를 감소하더라도 공간적 중복성(redundancy)을 제거하여 높은 압축율을 얻도록하여 전송 시간을 줄일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한 화면에서 서로 인접한 화소끼리는 거의 비슷한 값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서 공간 중복성 개념이 나왔다.
압축 과정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원영상을 픽셀(pixel) 단위로 처리하게 되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일정단위로 블록(block)화 한 다음, 이웃하는 블록간의 상관 관계를 낮추기 위하여 영상을 공간 영역으로부터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으로 변환하는 이산여현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 DCT) 과정을 행하게 된다.
상기 DCT 변환 과정을 거친 블록은 공간 주파수에 대응한 편중이 생겨 구해진 계수값들의 상관 관계가 적고 에너지가 저주파 영역쪽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보인다. 즉, DCT에 의한 영상의 주파수 영역을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맨위에 DC 값이 있고 우측과 아래로 내려가면서 주파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적은 고주파 영역의 값은 압축을 위해 버린다. 이는 고주파 부분의 정보, 즉 영상에서 화소간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는 부분(에지가 많은 부분 : 얼굴의 경계선, 코 경계선, 흩날리는 머리카락등)을 버리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저주파 영역의 값을 가지고 압축하고자 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엔코딩한 후 전송하게 된다.
압축된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수신기에서의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디코더는 도 1과 같다.
도 1을 보면,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 및 부가정보로 혼합(multiplexing)되어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에서 영상 정보만을 분리해내는 비트 스트림 분리부(101), 상기 비트 스트림 분리부(101)에서 분리된 영상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102), 상기 버퍼(1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 비트 스트림에서 오버헤드부분을 제거하고 순수한 영상 정보만을 추출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Variable-Length Decoding ; VLD)하는 VLD부(103), 상기 VLD부(103)에서 얻어진 일정 데이터를 역 양자화하여 DCT 계수값을 구하는 역 양자화부(104), 상기 역 양자화부(104)에서 구해진 DCT 계수값에서 원 영상의 픽셀값을 구하는 IDCT부(109), 상기 VLD부(103)에서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매크로 블록(macro block)의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값이 가리키는 특정 위치의 화면을 프레임 메모리(108)로부터 읽어들여 다음 화면을 만들어내는 움직임 보상부(106), 상기 IDCT부(105) 및 움직임 보상부(106)의 출력을 가산하여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107), 및 상기 가산기(107)의 출력을 일시 저장하여 상기 움직임 보상부(106)로 출력하는 프레임 메모리(108)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도 1에서 비트 스트림 분리부(101)는 저장 매체(CD등) 또는 수상기의 튜너부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을 읽어들여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 정보는 버퍼(102)에 일시 저장된 다음 VLD부(103)로 출력한다. 상기 VLD부(103)에서는 버퍼(1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비트스트림에서 각종 헤드 정보 및 오버 헤드 정보를 분리하여 순수한 영상 정보만을 얻게되는데, 이 영상 정보는 가변 길이 부호화(Variable-Length Coding)된 정보이므로 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한다. 즉, 상기 VLD부(103)는 순수한 영상 정보의 가변 길이 디코딩에 의해 양자화된 계수값과 양자화 매개변수(Quantizing factor)값과 매크로블럭당 움직임 벡터값을 구한 후, 구해진 계수값과 매개변수는 역 양자화부(104)로 출력하고 동시에, 움직임 벡터값은 움직임 보상부(106)로 출력한다.
상기 역 양자화부(104)에서는 상기 VLD부(103)에서 출력되는 양자화 계수값과 매개변수를 일정한 값으로 나누는 역 양자화 과정을 수행하여 DCT 계수값을 구한 후 IDCT부(105)로 출력하고, IDCT부(105)는 상기 DCT 계수값으로부터 원 영상의 픽셀값을 복원한다.
또한, 움직임 보상부(106)는 상기 VLD부(103)에서 출력되는 한 매크로블럭의 움직임 벡터값이 가리키는 처음 디코딩한 인트라 화면(I Picture)의 특정 위치의 화면을 프레임 메모리(108)로부터 읽어들여 그 다음 영상을 만들어낸 후 가산기(107)로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107)는 상기 IDCT부(105)에서 출력되는 원 영상의 픽셀값과 움직임 보상부(106)에서 만들어진 다음 영상을 합하여 디코딩된 영상 즉, 압축되기 전의 영상인 이미지 블록을 출력한다.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이 송신단의 영상 압축 과정에서 공간적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해 DCT 변환 과정을 거쳐 원 영상을 도 2에 표시된 바와같이 주파수 분포 영역으로 변환시키는데, 이때 DCT 변환 과정을 거친 이미지 블록은 저주파 영역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적은 고주파 영역의 정보는 양자화 과정에서 압축을 위해 버려지게 된다.
따라서, 압축된 영상을 도 1과 같은 디지털 영상 디코더에서 복원하면 이미 압축 과정에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영상의 경계선 부분이 선명하지 못하거나 뭉게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화질 열화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원된 영상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경계선 부분의 값을 강조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윤곽을 얻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영상 디코딩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DCT 변환에 의한 영상의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 판별 위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버퍼부 301∼304,501 : 지연기
400 : 윤곽 검출부 401,403,405 : 감산기
402,404,406 : 절대값 변환부 407 : 최대값 선택부
408∼410 : 비교기 411 : 앤드 게이트
500 : 윤곽 강조 선택부 502 : 오아 게이트
600 : 영상 신호 발생부 700 : 절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는, 압축된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가변 길이 디코딩, 역양자화, 역 DCT, 및 움직임 보상 과정을 거쳐 압축되기 전의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 디코딩 장치에서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픽셀동안 순차 지연시키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의 각 픽셀들을 입력받아 인접하는 두 픽셀들간의 차 신호를 구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영상의 윤곽 부분을 검출하는 윤곽 검출부와, 상기 윤곽 검출부의 윤곽 검출 결과에 따라 윤곽을 강조할 부분을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윤곽 강조 선택부와, 윤곽 강조 신호를 발생하는 윤곽 신호 발생부와, 상기 윤곽 강조 선택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절환되어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원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윤곽 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윤곽 강조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절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퍼부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한 픽셀씩 순차 지연시키는 제 1 내지 제 4 지연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윤곽 검출부는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상기 버퍼부의 제 1 지연기의 출력과의 차신호를 구한 후 그 차신호에 절대값을 취하는 제 1 연산부와, 상기 버퍼부의 제 1 지연기의 출력과 제 2 지연기의 출력과의 차신호를 구한 후 그 차신호에 절대값을 취하는 제 2 연산부와, 상기 버퍼부의 제 2 지연기의 출력과 제 3 지연기의 출력과의 차신호를 구한 후 그 차신호에 절대값을 취하는 제 3 연산부와, 상기 제 1, 제 3 연산부의 출력을 각각 입력받아 그중 최대값을 선택 출력하는 최대값 선택부와, 상기 최대값 선택부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값보다 작으면서, 제 2 연산부의 출력이 제 2 기준값보다 크고 제 3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버퍼부의 제 2 지연기로 입력되는 픽셀과 제 2 지연기에서 출력되는 픽셀 간이 영상의 윤곽 부분이라고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윤곽 강조 선택부는 상기 윤곽 검출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한 클럭 지연시키는 지연기와, 상기 윤곽 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지연기의 출력을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지연기의 수는 윤곽 강조 신호로 강조할 픽셀 수에 따라 정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윤곽 발생부는 상기 윤곽 검출부에서 검출된 윤곽 부분의 영상을 강조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으로서 발생하는데, 검출된 윤곽 부분의 강조 정도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윤곽 강조 장치에 의해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경계선이 추출되면 입력되는 영상이 아닌 윤곽 강조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그 부분을 강조함으로써, 디지털 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디코딩된 이미지 블록을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는 버퍼부(300), 상기 버퍼부(300)의 출력을 입력받아 영상의 경계부위(윤곽부위)를 검출하는 윤곽 검출부(400), 상기 윤곽 검출부(400)의 검출 결과에 따라 윤곽을 강조할 부분을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윤곽 강조 선택부(500), 강조할 윤곽의 형태를 발생시키는 윤곽 신호 발생부(600), 및 상기 윤곽 강조 선택부(50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버퍼부(300)의 출력 신호 또는 상기 윤곽 신호 발생부(600)에서 윤곽 강조된 영상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절환부(700)로 구성된다.
상기 버퍼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딩된 이미지 블록을 입력받아 한 픽셀을 지연시키는 제 1 지연기(301), 상기 제 1 지연기(301)의 출력을 입력받아 한 픽셀을 지연시키는 제 2 지연기(302), 상기 제 2 지연기(302)의 출력을 입력받아 한 픽셀 지연시키는 제 3 지연기(303), 및 상기 제 3 지연기(303)의 출력을 입력받아 한 픽셀 지연시키는 제 4 지연기(304)로 구성된다.
또한, 윤곽 검출부(4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상기 버퍼부(300)의 제 1 지연기(301)의 출력과의 차 신호를 구하는 제 1 감산기(401), 상기 제 1 감산기(401)의 출력에 절대값을 취하는 제 1 절대값 변환부(402), 상기 제 1 지연기(301)의 출력과 제 2 지연기(302)의 출력과의 차 신호를 구하는 제 2 감산기(403), 상기 제 2 감산기(403)의 출력에 절대값을 취하는 제 2 절대값 변환부(404), 제 2 지연기(302)의 출력과 제 3 지연기(303)의 출력과의 차 신호를 구하는 제 3 감산기(405), 상기 제 3 감산기(405)의 출력에 절대값을 취하는 제 3 절대값 변환부(406), 상기 제 1, 제 3 절대값 변환부(402,406)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중에서 최대값을 선택하는 최대값 선택부(407), 상기 최대값 선택부(407)의 출력값과 제 1 기준값(ref1)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1 비교기(408), 상기 제 2 절대값 변환부(404)의 출력값과 제 2, 제 3 기준값(ref2,ref3)을 각각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2, 제 3 비교기(409,410),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비교기(408∼410)의 출력이 모두 논리 '1'이 되어야만 '1'을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41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기준값(Ref1~Ref3)은 미리 설정되는 값으로서, 윤곽으로 판단할 영상의 경계 범위에 따라 정해진다. 즉, 경계가 심한 부분만을 윤곽 강조 부분으로 할 것인지, 경계가 심하지 않은 부분도 윤곽 강조 부분으로 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상기 윤곽 강조 선택부(500)는 상기 윤곽 검출부(400)의 출력을 입력받아 이를 한 클럭 지연시키는 제 5 지연기(501), 및 상기 윤곽 검출부(400)의 출력과 제 5 지연기(501)의 출력을 입력받아 둘 중 하나라도 논리 '1'값을 가지면 논리 '1'을 출력하는 오아 게이트(50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연기의 수는 수평으로 윤곽 강조를 몇 픽셀까지 할 것인지에 따라 정해진다. 즉, 윤곽의 폭을 결정한다. 예컨대, 도 4와 같이 하나의 지연기(502)를 사용한 경우에는 윤곽 부분으로 검출된 픽셀의 인접 픽셀에 대해서도 윤곽 강조를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윤곽 신호 발생부(600)는 윤곽으로 나타내기 위한 윤곽 강조 신호(ref4)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버퍼로 구성된다. 상기 윤곽 강조 신호(Ref4)는 휘도 신호 또는 색 신호 또는 휘도 신호와 색 신호가 합성된 신호로서, 검출된 윤곽 부분의 영상을 원 영상 신호와 관계없이 임의로 만들어주기 위해 발생되는 신호이며, 검출된 윤곽 부분의 강조 정도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된 도 1과 같이 디코딩된 후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버퍼부(300)에 입력되어 각 지연기(301∼304)에서 순차적으로 1픽셀씩 지연된 형태로 일시 저장되면서 동시에 윤곽 검출부(400)로도 출력된다.
상기 윤곽 검출부(400)는 버퍼부(300)에 일시 저장되는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의 경계 부위 즉, 제 1 지연기(301)에서 1픽셀 지연되어 출력되는 픽셀(A1)과 제 2 지연기(302)에서 다시 1 픽셀 지연되어 출력되는 픽셀(A2) 사이가 경계 부위인지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윤곽 검출부(400)의 감산기(401)에서는 버퍼부(300)의 입력 신호(A0)와 제 1 지연기(301)의 출력 신호(A1)의 차 신호(A0-A1)를 구한 후 제 1 절대값 변환부(402)에서 그 차신호(A0-A1)에 절대값을 취한다(|A0-A1|). 또한, 제 2 감산기(403)에서는 버퍼부(300)의 제 1 지연기(301)의 출력 신호(A1)와 제 2 지연기(302)의 출력 신호(A2)의 차 신호(A1-A2)를 구한 후 제 2 절대값 변환부(404)에서 그 차신호(A1-A2)에 절대값을 취하고(|A1-A2|), 제 3 감산기(405)에서는 제 2 지연기(302)의 출력 신호(A2)와 제 3 지연기(303)의 출력 신호(A3)의 차 신호(A2-A3)를 구한 후 제 3 절대값 변환부(406)에서 그 차신호(A2-A3)에 절대값을 취한다(|A2-A3|).
상기 윤곽 검출부(400)의 최대값 선택부(407)는 상기 제 1 절대값 변환부(402)의 출력(|A0-A1|)과 제 3 절대값 변환부(406)의 출력(|A2-A3|)을 비교하여 두 절대값 중에서 가장 큰 값 즉, 최대값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윤곽 검출부(400)의 제 1 비교기(408)는 상기 최대값 선택부(407)의 출력과 제 1 기준값(Ref1)을 비교하여 최대값 선택부(407)의 출력이 제 1 기준값(Ref1)보다 크면 논리 '0'의 신호를 출력하고, 작으면 논리 '1'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 2 비교기(409)는 상기 제 2 절대값 변환부(404)의 출력과 제 2 기준값(Ref2)을 비교하여 제 2 절대값 변환부(404)의 출력(|A1-A2|)이 제 2 기준값(Ref2)보다 크면 논리 '1'의 신호를 출력하고, 작으면 논리 '0'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 3 비교기(410)는 상기 제 2 절대값 변환부(404)의 출력과 제 3 기준값(Ref3)을 비교하여 제 2 절대값 변환부(404)의 출력(|A1-A2|)이 제 3 기준값(Ref3)보다 크면 논리 '0'의 신호를 출력하고, 작으면 논리 '1'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비교기(408∼410)의 출력은 앤드 게이트(411)로 입력되고 앤드 게이트(411)는 입력 신호들에 대해 논리곱을 행하여 영상 신호의 윤곽 경계부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앤드 게이트(411)는 특성상 입력 신호가 모두 논리 '1'의 신호이어야 논리 '1'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값 검출부(407)의 출력이 제 1 기준값(Ref1)보다 작고(|A0-A1|< Ref1 and |A2-A3|< Ref1), 제 2 절대값 변환부(404)의 출력(|A1-A2|)이 제 2 기준값(Ref2)보다 크고 제 3 기준값(Ref3)보다 작으면(Ref2 < |A1-A2| < Ref3), 앤드 게이트(411)의 출력이 논리 '1'의 신호가 되면서 지연된 신호(A1)와 신호(A2) 간이 영상의 윤곽 부분이라고 판단하게 된다.
상기 윤곽 검출부(400)의 앤드 게이트(411)에서 출력되는 윤곽 검출 신호는 윤곽 강조 선택부(500)의 제 5 지연기(501)로 입력되어 한 클럭 지연된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 5 지연기(501)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는 각각 오아 게이트(502)로 입력된다. 상기 오아 게이트(502)는 특성상 상기 앤드 게이트(411)의 출력 신호 또는 제 5 지연기(501)에서 1 클럭 지연된 신호중 어느 하나라도 논리 '1'의 신호이면 논리 '1'의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신호는 윤곽을 강조할 부분을 선택하는 신호로서 절환부(700)로 입력된다.
한편, 윤곽 신호 발생부(60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신호(Ref4)를 버퍼링하여 윤곽을 강조하는 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절환부(700)는 상기 윤곽 강조 선택부(500)에서 출력되는 선택을 위한 제어 신호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윤곽 발생부(600)에서 출력되는 윤곽 강조를 위한 신호 또는 버퍼부(300)의 제 4 지연기(304)에서 출력되는 신호 즉, 원 영상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에 의하면, 디코딩된 영상 신호중에서 윤곽 부분을 판별하여 영상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한 부분에는 미리 정해둔 윤곽 강조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송신단에서의 DCT 과정에 의해 복원 영상의 경계선 부분이 선명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보상하여, 압축된 다음 복원되는 디지털 영상 화면이 보다 선명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압축된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가변 길이 디코딩, 역양자화, 역 DCT, 및 움직임 보상 과정을 거쳐 압축되기 전의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픽셀동안 순차 지연시키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의 각 픽셀들을 입력받아 인접하는 두 픽셀들간의 차 신호를 구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영상의 윤곽 부분을 검출하는 윤곽 검출부와,
    상기 윤곽 검출부의 윤곽 검출 결과에 따라 윤곽을 강조할 부분을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윤곽 강조 신호를 발생하는 윤곽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절환되어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원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윤곽 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윤곽 강조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절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한 픽셀씩 순차 지연시키는 제 1 내지 제 4 지연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검출부는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와 상기 버퍼부의 제 1 지연기의 출력과의 차신호를 구한 후 그 차신호에 절대값을 취하는 제 1 연산부와,
    상기 버퍼부의 제 1 지연기의 출력과 제 2 지연기의 출력과의 차신호를 구한 후 그 차신호에 절대값을 취하는 제 2 연산부와,
    상기 버퍼부의 제 2 지연기의 출력과 제 3 지연기의 출력과의 차신호를 구한 후 그 차신호에 절대값을 취하는 제 3 연산부와,
    상기 제 1, 제 3 연산부의 출력을 각각 입력받아 그중 최대값을 선택 출력하는 최대값 선택부와,
    상기 제 2 연산부의 출력과 최대값 선택부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들과 각각 비교하여 영상의 윤곽 부분을 검출하는 비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최대값 선택부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값보다 작으면서, 제 2 연산부의 출력이 제 2 기준값보다 크고 제 3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버퍼부의 제 2 지연기로 입력되는 픽셀과 제 2 지연기에서 출력되는 픽셀 간이 영상의 윤곽 부분이라고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논리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윤곽 검출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한 클럭 지연시키는 지연기와, 상기 윤곽 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지연기의 출력을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지연기의 수는 윤곽 강조 신호로 강조할 픽셀 수에 따라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발생부는
    상기 윤곽 검출부에서 검출된 윤곽 부분의 영상을 강조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으로서 발생하는데, 검출된 윤곽 부분의 강조 정도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KR1019980017617A 1998-05-15 1998-05-15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KR10026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617A KR100269389B1 (ko) 1998-05-15 1998-05-15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617A KR100269389B1 (ko) 1998-05-15 1998-05-15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289A true KR19990085289A (ko) 1999-12-06
KR100269389B1 KR100269389B1 (ko) 2000-10-16

Family

ID=1953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617A KR100269389B1 (ko) 1998-05-15 1998-05-15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3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046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KR100576164B1 (ko) * 1998-07-10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녹화재생기의 영상신호 특성 보상방법
KR100870015B1 (ko) * 2002-08-13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164B1 (ko) * 1998-07-10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녹화재생기의 영상신호 특성 보상방법
KR100870015B1 (ko) * 2002-08-13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윤곽 강조 장치 및 그 방법, 이를이용한 디지털 표시 장치
KR20040047046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9389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762B1 (ko) 화상부호화를 위한 효율적인 2차원 데이타의 주사선택회로
US6434197B1 (en) Multi-functional transcoder for compressed bit streams
KR100599017B1 (ko) 영상 데이터 압축 장치 및 그 방법
JP3888597B2 (ja) 動き補償符号化装置、及び動き補償符号化復号化方法
US8811493B2 (en) Method of decoding a digital video sequence and related apparatus
US6628713B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encoding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EP14076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scalable coded video signal from a non-scalable coded video signal
EP0680217B1 (en) Video signal decod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blocking effects
KR100229796B1 (ko) 열화영상에 대한 보상기능을 갖는 영상 복호화 시스템
KR100269389B1 (ko) 디지털 영상의 윤곽 강조 장치
JP3623056B2 (ja) 動画像圧縮装置
JPH11177981A (ja) 適応的ブロック現象除去機能を有する復号化器及び適応的ブロック現象除去復号化方法
US20080253447A1 (en) Video Transcoding with Selection of Data Portions to be Processed
JP4214562B2 (ja) 復号装置
KR100260702B1 (ko)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571685B1 (ko) 영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와 방법 및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JP2000036963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復号化装置
KR0157465B1 (ko)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237636B1 (ko) 블록킹효과 개선장치
KR0172902B1 (ko) 엠펙 ii 부호기
JP3599909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
KR0128858B1 (ko) 화면 변화에 대한 부호화 모드 결정장치
KR20010011309A (ko) 저 복잡도의 동영상 인코더 장치 및 방법
JP2002016923A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KR20040066397A (ko) 디지털 영상압축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