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702B1 -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702B1
KR100260702B1 KR1019960000451A KR19960000451A KR100260702B1 KR 100260702 B1 KR100260702 B1 KR 100260702B1 KR 1019960000451 A KR1019960000451 A KR 1019960000451A KR 19960000451 A KR19960000451 A KR 19960000451A KR 100260702 B1 KR100260702 B1 KR 100260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macroblock
screen
compression encoding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938A (ko
Inventor
정재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702B1/ko
Publication of KR97006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동영상 압축 표준방식에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간의 시각 인식 특성을 이용하여 화면의 중앙쪽에 비해 외곽쪽의 데이타 발생량을 작게하여 전체 데이타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매크로블록단위로 화면의 중앙쪽인지 외곽쪽인지를 판단하는 영역판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영역판단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각 픽셀당 할당되는 비트수를 매크로블록별로 다르게 하거나, 이산여현변환시 모드를 다르게 한다. 또는 양자화레벨을 다르게 하고, 움직임 추정 및 보상시의 보간과 추림을 다르게 한다. 그래서,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속도를 마르게 하고, 데이타 발생량을 줄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2(a)도는 본 발병에 따른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2(b)도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
제3도는 제2도의 압축 부호화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영역판단부 40 : 영상압축부호화수단
41 : 샘플링레이트제어기 45 : 필드/프레임DCT모드선택기
50 : 비율제어기 56 : 적응예측기
57 : 동추정기
본 발명은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간의 시각특성상 화면의 외곽부분에 비해 중앙부분에 민감한 것을 이용하여 영상신호의 압축량을 다르게 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탈 동영상 압축 표준으로 제정된 MPEG II에서 제시한 압축 부호화 기법에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즉, 시간적 중복성(temporal redundancy) 제거를 위한 움직임추정(motion estimation)/보상(motion compensation)에 근거를 둔 DPCM, 공간적 중복성(spatial redundancy) 제거를 위한 이산여현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과 같은 변화부호화와 벡터양자화(vector quantization), 통계적 중복성 제거를 위한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압축 부호화 기법에 따라 디지탈 영상신호를 압축 부호화하는 장치를 제1도에 도시하였다.
제1도는 일반적인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한국통신 학회지 제 11권 제 8호, pp40, 1994. 8′에서 발췌한 것으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 프레임재구성기(frame re-ordering)(11)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일정크기(예를 들면, 16×16픽셀)의 매크로블록(macroblock; MB)단위로 나누고, 이를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12)로 출력한다.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12)는 입력되는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아울러 동추정기(26) 및 전방향해석기(20)로 출력한다. 동추정기(26)는 입력되는 각각의 매크로블록의 영상신호에 대해 필드(field)또는 프레임(frame)단위로 동추정을 수행한다. 즉, 동추정기(26)는 적응예측기(adaptive predictor)(25)를 통해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24)에 저장된 이전 필드 또는 프레임의 영상신호중 현재 입력되는 매크로블록의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움직임을 예측하는 동벡터(MV)를 검출한다. 동추정기(26)에서 얻어지는 동벡터(MV)는 적응예측기(25)로 출력되고, 아울러 가변장부호화기(VLC)(17)로 출력된다. 적응예측기(25)는 입력되는 동벡터(MV)를 이용하여 현재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와 가장 가까운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24)에 저장된 이전 필드 또는 프레임의 매크로블록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그래서, 제 1가산기(13)는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12)에서 출력되는 현재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와 적응예측기(25)에서 움직임 보상 예측된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의 차신호를 출력한다. 이 차신호는 이산여현변환기(DCT)(15)로 입력되고, 아울러 필드/프레임DCT선택기(14)로 입력된다. 여기서, 필드/프레임DCT선택기(14)는 영상의 움직임이 작은 경우 이산여현변환기(15)에서 이산여현변환을 프레임 DCT블록으로 하고, 영상의 움직임이 큰 경우 필드 DCT 블록으로 하도록 선택한다. 이산여현변환기(15)는 필드/프레임DCT선택기(14)의 선택에 따라 프레임 또는 필드단위로 8×8픽셀의 블록을 형성하여 이산여현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변환된 변환계수의 에너지는 주로 저주파쪽으로 모이게 된다. 양자화기(16)는 소정의 양자화과정을 통해 전술된 변환계수들을 일정레벨의 대표값들로 바꾸어준다. 가변장부호화기(17)는 상기 대표값들의 통계적 특성을 살려 가변장부호화함으로서 데이타를 더욱 압축시킨다. 동추정기(26)에서 얻어지는 동벡터(MV)도 입력받는 가변장부호화기(17)는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와 함께 다중화(MUX)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역양자화기(21) 및 역 이산여현변환기(IDCT)(22)는 양자화기(16)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데이타를 역양자화시킨 다음 역변환시켜 공간영역의 영상신호로 변환시킨다. 역이산여현변환기(2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제 2가산기(23)를 통해 적응예측기(25)의 움직임 보상 예측된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와 가산되어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24)에 저장된다.
한편,부호화되어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의 데이타를 일정한 비트레이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가 저장되는 버퍼(18)의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양자화레벨로 양자화기(16)를 제어하여 전송비트비를 조절한다. 즉 비율제어기(rate control)(19)는 버퍼(18)의 데이타점유상태와 전방향해석기(20)에서 해석한 입력되는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양자화레벨(QL)을 가변하여 양자화기(16)로 출력하고, 아울러 가변장부호화기(17)로 출력한다. 가변장부호화기(17)는 입력받은 양자화레벨(QL)을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와 함께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MPEG II에서 제시한 압축 부호화방식의 효율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인간의 시각특성상 화면의 외곽부분에 비해서 중앙부분에 민감함을 이용하여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은 디지탈 동영상 압축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화면의 외곽쪽에 비해 중앙쪽에서의 영상 움직임에 민감한 인간의 시각 인식 특성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일정크기의 소블록단위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판단하는 영역 판단단계, 및 상기 영역판단단계의 판단에 따라 해당하는 상기 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화면의 중앙쪽에 비해 외곽쪽의 데이타 발생량을 작게 하여 압축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는 디지탈 동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화면의 외곽쪽에 비해 중앙쪽에서의 영상 움직임에 민감한 인간의 시각 인식 특성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매크로블록단위로 판단하는 영역판단부, 및 상기 영역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해당하는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화면의 중앙쪽에 비해 외곽쪽의 데이타 발생량을 작게 하여 압축 부호화하는 압축부호화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판단하는 영역판단부(30)와, 영역판단부(30)의 영역판단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압축량을 조절하여 압축 부호화하는 영상압축부호화수단(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영상압축부호화수단(40)은 제3도에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제3도는 제2(a)도의 영상압축부호화수단(4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의 종래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화면상의 영역에 따라 압축량을 다르게 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샘플링레이트(sampling rate)를 제어하는 샘플링레이트제어기(41)와, 이산여현변환시의 필드 또는 프레임 DCT선택 이외에 모드를 선택하는 필드/프레임DCT모드선택기(45), 및 영역판단신호를 추가로 포함하여 양자화레벨을 가변하는 비율제어기(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영상압축부호화수단(40)에는 또한 영역판단신호를 입력받아 움직임 추정/보상시의 보간 및 추림을 제어하는 변형된 동추정기(57)및 적응예측기(56)를 포함한다. 여기서,샘플링레이트제어기(41), 필드/프레임DCT모드선택기(45), 비율제어기(50), 동추정기(57) 및 적응예측기(56)중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모두를 혼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에 대한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2(b)도와 같은 화면상의 동영상을 보는 사람의 시각 인식 특성은 화면 중앙에서의 움직임에는 민감하나 빗금친 화면 외곽쪽에서의 움직임에는 덜 민감한 특성이 있다. 그래서, 이를 디지탈 동영상 압축방식에 도입하여 화면 중앙과 외곽쪽의 데이타량을 다르게 하므로써 전체 데이타 발생량을 줄일 수 있으며, 데이타처리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즉, 화면 중앙쪽은 화질이 좋게 될 수 있도록 데이타 발생량을 늘리고, 외곽쪽은 다소 화질이 떨어지더라도 데이타 발생량을 줄인다.
이를 위해, 제2(a)도에서 영역판단부(3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매크로블록(macro block; MB)단위로 판단한다. 각 매크로블록마다의 영역판단신호는 영상압축부호화수단(40)으로 입력된다. 영상압축부호화수단(40)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영역판단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압축율로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만약, 입력되는 현재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에 대한 영역판단신호가 화면중앙쪽이면 외곽쪽보다 데이타 발생량이 많도록 압축 부호화하고, 현재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에 대한 영역판단신호가 화면외곽쪽이면 중앙쪽보다 데이타 발생량이 적도록 압축 부호화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도를 통해 설명한다.
제3도에서, 샘플링레이트에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프레임재구성기(42)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일정크기의 매크로블록단위로 나누고, 샘플링레이트제어기(41)는 영역판단부(30)의 영역판단신호에 따라 각 매크로블록내의 휘도신호(luminence)와 색신호(chrominance)를 나타내는 비트수를 제어한다. 즉, 모든 픽셀(pixel)에 대해 8비트를 할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것을 5∼10비트 사이에서 적응적으로 할당한다. 예를 들어, 현재 매크로블록내의 휘도신호와 색신호에 대해 중앙쪽으로 갈수록 10비트에 가까운 많은 비트를 할당하고, 외곽쪽으로 갈수록 5비트에 가까운 적은 비트를 할당한다.
프레임재구성기(42)에서 출력되는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는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43)로 입력된다.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43)는 입력되는 매크로블록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아울러 동추정기(57) 및 전방향해석기(51)로 출력한다. 동추정기(57)는 입력되는 각각의 매크로블록의 영상신호에 대해 필드 또는 프레임단위로 동추정을 수행한다. 즉, 동추정기(57)는 적응예측기(56)를 통해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55)에 저장된 이전 필드 또는 프레임의 영상신호중 현재 입력되는 매크로블록의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움직임을 예측하는 동벡터(MV)를 검출한다. 동추정기(57)에서 얻어지는 동벡터(MV)는 적응예측기(56)로 출력되고, 아울러 가변장부호화기(48)로 출력된다. 적응예측기(56)는 입력되는 동벡터(MV)를 이용하여 현재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와 가장 가까운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55)에 저장된 이전 필드 또는 프레임의 매크로블록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한편, 움직임 보상 예측에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동추정기(57) 및 적응예측기(56)에 영역판단부(30)의 현재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에 대한 영역판단신호를 입력하고, 동추정기(57)및 적응예측기(56)는 움직임 추정 및 보상에 있어 입력된 영역판단신호에 따라 보간(interpolation)과 추림(decimation)을 가변한다. 즉,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43)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매크로블록 영상신호가 화면상의 외곽쪽이면 중심쪽에 비해 보간 수행량을 줄이고, 추림 수행량을 많이 하도록 하여 처리속도를 높이고, 데이타발생량을 줄인다.
그래서, 제 1가산기(44)는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43)에서 출력되는 현재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와 적응예측기(56)에서 움직임 보상 예측된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의 차신호를 출력한다. 이 차신호는 이산여현변환기(DCT)(46)로 입력되고, 아울러 필드/프레임DCT모드선택기(45)로 입력된다. 여기서, 필드/프레임DCT모드선택기(45)는 영상의 움직임이 작은 경우 이산여현변환기(46)에서 이산여현변환을 프레임 DCT 블록으로 하고, 영상의 움직임이 큰 경우 필드 DCT 블록으로 하도록 선택한다. 만약, 이산여현변환시에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필드/프레임DCT모드선택기(45)는 영역판단부(30)의 영역판단신호에 따라 현재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의 위치가 화면상의 중앙쪽이면 8×8, 외곽쪽이면 4×4 DCT를 수행하도록 모드를 선택한다. 또는 전체 8×8 DCT를 수행하되 외곽쪽에서는 홀수 또는 짝수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만 수행시켜 전체DCT계산량을 줄이고, 처리속도를 빠르게한다. 이산여현변환기(46)는 필드/프레임DCT모드선택기(45)의 선택에 따라 프레임 또는 필드단위로 8×8또는 4×4픽셀의 블록을 형성하여 이산여현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변환된 변환계수의 에너지는 주로 저주파쪽으로 모이게 된다. 양자화기(47)는 소정의 양자화과정을 통해 전술된 변환계수들을 일정레벨의 대표값들로 바꾸어준다. 가변장부호화기(48)는 상기 대표값들의 통계적 특성을 살려 가변장부호화함으로서 데이타를 더욱 압축시킨다. 동추정기(57)에서 얻어지는 동벡터(MV)도 입력받는 가변장부호화기(48)는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와 함께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역양자화기(52) 및 역이산여현변환기(IDCT)(53)는 양자화기(47)에서 출력되는 앙자화데이타를 역양자화시킨 다음 역변환시켜 공간영역의 영상신호로 변환시킨다. 역이산여현변환기(5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제 2가산기(54)를 통해 적응예측기(56)의 움직임 보상 예측된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와 가산되어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55)에 저장된다.
한편,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의 데이타를 일정한 비트레이트로 전송하기 위하여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가 저장되는 버퍼(49)의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양자화레벨로 양자화기(47)를 제어하여 전송비트를 조절한다. 즉, 비율제어 기(50)는 버퍼(49)의 데이타점유상태와 전방향해석기(51)에서 해석한 입력되는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양자화레벨(QL)을 가변하여 양자화기(47)로 출력하고, 아울러 가변장부호화기(48)로 출력한다. 만약, 양자화레벨을 가변시키는 데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비율제어기(50)는 영역판단부(30)의 영역판단신호에 따라 화면의 중앙과 외곽을 구분하여 양자화레벨을 차별적으로 가변시킨다. 즉, 현재 매크로로블록이 외곽쪽이면 중앙쪽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양자화레벨을 사용하여 처리속도를 높인다. 가변장부호화기(48)는 입력받은 양자화레벨(QL)을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와 함께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위와 같이 영역판단부(30)의 영역판단에 근거하여 매크로블록마다 화면 중앙쪽과 외곽쪽을 구분하여 샘플링레이트, DCT모드, 양자화레벨, 움직임 추정 및 보상시의 보간과 추림 등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의 것들을 혼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디지탈 동영상 압축 표준방식에서 화면의 외곽쪽 움직임에 비해 중앙쪽 움직임에 민감한 인간의 시각 인식 특성을 이용하여 압축 부호화하여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고, 데이타 발생량을 줄일 수 잇도록 하여 효율을 좀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2)

  1. 디지탈 동영상 압축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화면의 외곽쪽에 비해 중앙쪽에서의 영상 움직임에 민감한 인간의 시각 인식 특성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일정크기의 소블록단위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판단하는 영역판단단계; 및 상기 영역판단단계의 판단에 따라 해당하는 상기 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화면의 중앙쪽에 비해 외곽쪽의 데이타 발생량을 작게 하여 압축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판단단계는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화면상에서 중앙쪽에 위치할 것인지 외곽쪽에 위치할 것인지를 매크로블록단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호화단계는 상기 영역판단단계의 영역판단에 따라 입력되는 매크로블록의 영상신호에 대해 픽셀당 할당되는 비트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호화단계는 상기 영역판단단계의 영역판단에 따라 입력되는 매크로블록의 영상신호에 대해 변환환부호화의 모드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호화단계는 상기 영역판단단계의 영역판단에 따라 입력되는 매크로블록의 영상신호에 대해 양자화레벨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호화단계는 상기 영역판단단계의 영역판단에 따라 입력되는 매크로블록의 영상신호에 대해 움직임 추정 및 보상수행시 보간과 추림 수행량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7. 디지탈 동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화면의 외곽쪽에 비해 중앙쪽에서의 영상 움직임에 민감한 인간의 시각 인식 특성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매크로블록단위로 판단하는 영역판단부; 및 상기 영역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해당하는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화면의 중앙쪽에 비해 외곽쪽의 데이타 발생량을 작게 하여 압축 부호화하는 압축부호화수단을 포함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판단부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매크로블록단위로 하여 화면의 외곽쪽에 위치할 것인지 중앙쪽에 위치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호화수단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일정크기의 매크로블록단위로 나누고, 각 매크로블록에 대해 샘플링레이트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픽셀당 할당되는 비트수를 다르게 하여 출력하는 프레임재구성기; 및 상기 영역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프레임재구성기의 각 매크로블록에 대한 픽셀당 비트수를 제어하는 샘플링레이트제어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호화수단은 현재 화면을 위한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 이전 화면의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 상기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 필드 또는 프레임내의 영상신호중 상기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로부터 읽어낸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움직임을 예측하는 동벡터를 검출하는 동추정기; 및 상기 동추정기에서 얻어지는 동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매크로블록 영상신호와 가장 가까운 상기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 필드 또는 프레임내의 매크로블록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적응예측기를 구비하고, 상기 영역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동추정기와 적응예측기에서 움직임 추정 및 보상 수행시 보간과 추림 수행량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호화수단은 상기 제 1필드/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와 상기 적응예측기의 움직임 보상 예측된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의 차신호를 구하는 가산기; 상기 차신호를 입력받아 필드 또는 프레임단위의 블록으로 이산여현변환하는 이산여현변환기; 상기 이산여현변환기의 변환계수를 양자화 및 가변장부호화하여 출력하고, 양자화데이타를 역양자화 및 역이산여현변환하며, 상기 적응예측기의 움직임 보상 예측된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와 가산하여 상기 제 2필드/프레임메모리에 저장하는 수단; 및 상기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영역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이산여현변환기에서 8×8또는 4×4픽셀단위로 이산여현변환되도록 변환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호화수단은 상기 제 1필드/프레임메모리로부터 읽어낸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신호에서 움직임 정도를 해석하는 전방향해석기, 및 상기 버퍼의 데이타점유상태와 상기 전방향해석기에서 해석한 움직임 정도에 따라 양자화레벨을 가변하는 비율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영역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비율제어기에서 양자화레벨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장치.
KR1019960000451A 1996-01-11 1996-01-11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260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451A KR100260702B1 (ko) 1996-01-11 1996-01-11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451A KR100260702B1 (ko) 1996-01-11 1996-01-11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938A KR970060938A (ko) 1997-08-12
KR100260702B1 true KR100260702B1 (ko) 2000-07-01

Family

ID=1944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451A KR100260702B1 (ko) 1996-01-11 1996-01-11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7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8943B1 (en) 2017-05-09 2018-01-02 Sony Corporation Accessibility for the hearing impaired using measurement and object based audio
US10051331B1 (en) 2017-07-11 2018-08-14 Sony Corporation Quick accessibility profiles
US10303427B2 (en) 2017-07-11 2019-05-28 Sony Corporation Moving audio from center speaker to peripheral speaker of display device for macular degeneration accessibility
US10650702B2 (en) 2017-07-10 2020-05-12 Sony Corporation Modifying display region for people with loss of peripheral vision
US10805676B2 (en) 2017-07-10 2020-10-13 Sony Corporation Modifying display region for people with macular degeneration
US10845954B2 (en) 2017-07-11 2020-11-24 Sony Corporation Presenting audio video display options as list or matri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290A (ko) * 2002-07-09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신호 코딩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303A (ja) * 1992-10-21 1994-05-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画像符号化装置
JPH06334995A (ja) * 1993-03-25 1994-12-02 Sony Corp 動画像符号化又は復号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303A (ja) * 1992-10-21 1994-05-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画像符号化装置
JPH06334995A (ja) * 1993-03-25 1994-12-02 Sony Corp 動画像符号化又は復号化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8943B1 (en) 2017-05-09 2018-01-02 Sony Corporation Accessibility for the hearing impaired using measurement and object based audio
US10650702B2 (en) 2017-07-10 2020-05-12 Sony Corporation Modifying display region for people with loss of peripheral vision
US10805676B2 (en) 2017-07-10 2020-10-13 Sony Corporation Modifying display region for people with macular degeneration
US10051331B1 (en) 2017-07-11 2018-08-14 Sony Corporation Quick accessibility profiles
US10303427B2 (en) 2017-07-11 2019-05-28 Sony Corporation Moving audio from center speaker to peripheral speaker of display device for macular degeneration accessibility
US10845954B2 (en) 2017-07-11 2020-11-24 Sony Corporation Presenting audio video display options as list or matri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938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3377A (en) Method for quantizing intra-block DC transform coefficients using the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KR100788220B1 (ko) 품질기반 영상압축
KR101538704B1 (ko) 보간 필터를 적응적으로 사용하여 영상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03054B1 (ko) 정지영상과동영상부호화를위한양자화매트릭스
US6697531B2 (en) Image coding and decoding using a position and shape map
KR100295006B1 (ko) 비디오 프레임 시퀀스 인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950005620B1 (ko) 적응 dct/dpcm부호기에 의한 영상신호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US5227878A (en) Adaptive coding and decoding of frames and fields of video
US200700980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decoding
US6252905B1 (en) Real-time evaluation of compressed picture quality within a digital video encoder
EP2806639A1 (en) Video image decoding device, video image and coding device, video image decoding method and video image coding method
JPWO2008084745A1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化装置
KR20100099723A (ko)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화상 부호화 방법, 및 화상 복호 방법
KR20100074276A (ko)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화상 부호화 방법, 및 화상 복호 방법
KR100305485B1 (ko) 화질을최적화하기위한화상처리방법및디지탈비디오부호화기시스템
KR100229796B1 (ko) 열화영상에 대한 보상기능을 갖는 영상 복호화 시스템
KR20080108538A (ko) 비디오 코딩 방법
KR100260702B1 (ko)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384327B1 (ko) 블록-기반코딩시스템에서코딩모드를선택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100566290B1 (ko) 스캔 테이블을 이용한 영상 주사방법과 그를 적용한 이산코사인 변환 장치
KR0157465B1 (ko)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66498A (ko) 동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10104058A (ko) 동영상 부호화기의 부호화 모드에 따른 적응적 양자화기
KR100213283B1 (ko) 동영상 부호화기
KR102239193B1 (ko) 영상 압축 장치 및 영상 압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