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465B1 -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465B1
KR0157465B1 KR1019930028076A KR930028076A KR0157465B1 KR 0157465 B1 KR0157465 B1 KR 0157465B1 KR 1019930028076 A KR1019930028076 A KR 1019930028076A KR 930028076 A KR930028076 A KR 930028076A KR 0157465 B1 KR0157465 B1 KR 015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quantization level
macroblock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993A (ko
Inventor
박주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2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465B1/ko
Publication of KR95002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크로블록을 구성하는 블록들의 주파수변환영역 또는 DCT영역에서의 DC절대치합, 저주파절대치합, 엣지절대치합, 고주파절대치합을 구하여 블록영상데이타의 영상영역(단순, 엣지, 복잡, 평범)을 판단한다. 각각의 블록영역정보를 이용하여 매크로블록도 4개의 영역중 하나로 구분하여 각 매크로블록에 적절한 양자화레벨을 적용하므로써 시각적으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영상데이타 부호화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영상데이타의 처리단위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3도는 영상블록의 주파수영역구분을 나타내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전방향해석부 41 : 제1영역판단부
42 : 제2영역판단부 43 : 양자화레벨결정부
본 발명은 영상데이타를 부호화하여 데이타량을 압축하는 부호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CT영역의 에너지분포특성에 대응하는 영상특성에 따라 양자화레벨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므로써 시각적인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와서, 영상 및 음향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부호화하여 전송하거나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를 다시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호화 및 복호화시스템에서 데이타의 전송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전송데이타량을 보다 더 압축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신호의 부호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방식에는 변환부호화방식,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방식, 벡터양자화방식 및 가변장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방식등이 있다. 이 부호화방식들은 디지탈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용장성데이타(Redundancy Data)를 제거하여 전체 데이타량을 압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부호화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화면을 소정 크기의 블록들로 구분하고, 각 블록 또는 블록간의 차신호에 대해 소정의 변환을 행하여 영상데이타를 주파수영역의 변환계수로 변환한다. 각 블록에 대한 데이타변환방식에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WHT(Walsh-handamard Transform),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및 DST(Discrete Sine Transform)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변환계수들을 데이타특성에 따라 적절히 부호화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고 이를 다시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것은, HDTV, HD-VTR, 디지탈 VTR, 디지탈캠코더, 멀티미디어, 비디오폰 등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기술로서 인식되고 있고 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가변장부호화 및 복호화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경우, 입·출력데이타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버퍼가 마련되어 있다. 버퍼의 오버플로우나 언더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퍼의 충만도에 따라 양자화레벨을 조절하므로써 발생되는 데이타량을 조절한다. 부호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파라메타중에 하나인 양자화의 레벨을 어떻게 결정할 것이냐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종래의 양자화레벨(Quantization Level)은 출력단에 연결된 버퍼의 상태에 따라 주로 슬라이스단위로 조절된다. 이러한 양자화레벨결정방식은 출력되는 비트량이 정해졌을때 출력버퍼량에 따라서 양자화레벨을 적절히 조절하여 주므로 전체적인 비트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영상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많은 시스템에서 매크로블록단위로 데이타 특성을 검출하여 그 특성에 적절한 양자화레벨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매크로블록단위의 양자화레벨은 부호화하고자 하는 매크로블록의 주파수변환영역 또는 DCT영역에서 DC평균값, 저주파영역의 평균값, 엣지영역의 평균값, 고주파영역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데이타값에 따라 매크로블록의 영상특성을 판단하여, 이 영상특성에 가장 적절한 양자화레벨을 매크로블록단위로 공급한다.
하지만, 매크로블록의 영상특성을 판단함에 있어서 단순히 매크로블록을 구성하는 소블록들의 주파수영역별 절대치합의 평균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영상특성에 따른 다수의 영역중 단순영역과 엣지영역은 복잡영역에 비해 블록간의 경계선(Block artifact)이 시각적으로 크게 인식되므로 매크로블록 내에 엣지영역이 광범위하게 걸쳐 있지 않을 경우 엣지영역이 제대로 찾아지지 못하여 시각적으로 화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CT영역에서 영상신호의 특성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특성에 따라 다시 매크로블록에서 영상신호의 특성을 추출하여 매크로블록단위로 양자화레벨을 적용하므로써 시각적으로 더욱 화질이 개선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은 부호화되는 영상데이타를 공급받아, 이 입력영상데이타와 전송되기 위해 출력되는 영상데이타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가변되는 양자화레벨을 출력하는 단계와, DCT영역에서 에너지분포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지는 영역의 변환계수값들에 다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맞추어 블록의 영상영역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의 영역정보를 매크로블록단위로 입력받아 정해진 조건식에 맞추어 영상특성이 반영된 다수의 영역중 해당 매크로블록의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레벨을 조절하여 최적의 양자화레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장치는 DCT부와 양자화부 그리고 전송신호의 비트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구비하고, DCT부로 부터 인가되는 소정블록데이타의 변환계수값들을 에너지분포특성에 따라 DC, 저주파, 엣지, 고주파별로 절대치를 취하여 그 합을 구하고, 이 절대치합에 따라 블록의 영상영역을 판단하는 제1영역판단부와, 상기 제1영역판단부로 부터 인가되는 블록단위의 영역정보들을 사전 설정된 조건에 맞추어 다수의 블록들을 구비한 매크로블록의 영상특성이 반영된 다수의 영역중 해당 영역을 판단하는 제2영역판단부, 및 상기 제2영역판단부로 부터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역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버퍼에서 공급되는 슬라이스단위의 양자화레벨을 인가받아 최적의 양자화레벨을 결정하는 양자화레벨결정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라 양자화레벨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입력단을 통해 인가되는 소정크기의 블록단위 영상데이타를 주파수영역의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제1DCT부(11)를 구비한다. 제1DCT부(11)의 출력단에는 변환계수데이타들을 일정레벨의 대표값들로 바꾸어주는 제1양자화부(12)가 연결된다. 제1양자화부(12)의 출력단에는 양자화된 영상데이타를 데이타분포확률에 따라 가변장부호화시키는 제1가변장부호화부(13)가 연결되므로 입력되는 블록영상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여 프레임전체를 부호화시키는 인트라모드(Intra Mode)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입력단을 통해 인가되는 블록단위의 영상데이타와 소정의 궤환데이타사이의 오차데이타를 산출하는 제1가산기(ADD1)를 구비한다. 제1가산기(ADD1)의 출력단에는 오차데이타를 주파수영역의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제2DCT(21)가 연결된다. 제2DCT(21)의 출력단에는 변환계수들을 일정레벨의 대표값들로 바꾸어 주는 제2양자화부(22)가 연결된다. 제2양자화부(22)의 출력단에는 양자화된 데이타를 가변장부호화하여 데이타를 압축시키는 제2가변장부호화부(23)가 연결되어 현재 블록데이타와 운동보상된 블록데이타간의 차신호를 부호화시키는 인터코드(Inter Mode)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및 제2가변장부호화부(13,23)의 대응되는 출력단에 연결된 두 접점(a,b)을 모드선택신호(SM)에 따라 해당 접점을 절환접속시키는 제1스위치부(30)를 구비한다. 제1스위치부(30)의 출력단에는 전송데이타(VCD)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양자화레벨(SQUANT)을 출력시키는 버퍼(31)가 연결된다. 또한, 제1 및 제2양자화부(12,22)의 대응되는 출력단에 연결된 두 접점(d,e)을 모드선택신호(SM)에 따라 해당 접점을 절환접속시키는 제2스위치부(32)를 구비한다. 제2스위치부(32)의 출력단에는 선택된 모드의 양자화계수를 역양자화시킨 다음 역변환시켜 공간영역의 영상데이타로 변환시키는 역양자화부(33) 및 역 DCT부(34)가 연결된다. 역DCT부(34)의 출력단에는 역변환데이타와 소정의 궤환데이타를 가산하여 화면을 재구성하는 제2가산기(ADD2) 및 프레임메모리(35)가 연결된다. 프레임메모리(35)와 입력단 사이에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블록데이타를 프레임메모리(35)에서 찾아 블록간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벡터(MV)를 산출하는 동추정부(36)를 구비한다. 동추정부(36)의 출력단에는 동벡터(MV)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보상하는 동보상부(37)가 연결된다. 제1DCT부(11)의 출력단에는 또한 매크로블록단위의 양자화레벨(MQUANT)을 출력시키는 전방향해석부(40)가 연결된다. 전방향해석부(40)는 DCT변환에 의한 주파수분포특성을 이용하여 블록단위의 영역을 결정하는 제1영역판단부(41)와, 블록단위의 영역정보를 이용하여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역을 결정하는 제2영역판단부(42) 및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역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양자화레벨(MQUANT)을 출력시키는 양자화레벨결정부(43)로 구성되어진다.
제2도는 제1도 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타의 블록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제1도와 같은 부호화과정은 8(수평)×8(수직)화소단위의 블록데이타로 DCT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다수의 블록데이타로 구성되는 소정크기의 매크로블록(Macroblock)단위로 동추정 및 동보상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매크로블록은 16×16 내지 32×16의 크기를 갖으며, 여기서는 32(수평)×16(수직)의 경우를 예로 들었다. 1408×16의 슬라이스(Slice)는 버퍼의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양자화레벨(또는 양자화스텝사이즈)을 적용하는 단위이다.
제1도에서,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블록단위의 영상데이타(VIN)는 제1DCT부(11)에서 주파수영역이 데이타로 변환되고, 이때 변환된 변환계수의 에너지는 주로 저주파쪽으로 모이게 된다. 또한, 입력된 영상데이타(VIN)는 소정의 궤환데이타와 제1가산기(ADD1)에서 오차데이타를 산출한다. 이 오차데이타는 제2DCT부(21)에서 주파수영역의 데이타로 변환된다. 제1양자화부(12)와 제2양자화부(22)는 소정의 양자화과정을 통해 대응되는 변환계수들을 일정레벨의 대표값들로 바꾸어준다. 즉, 제1양자화부(12) 및 제2양자화부(22)의 양자화레벨은 주파수에 따른 인간의 공간적인 시각특성을 고려하여 전방향해석부(40)에서 구한다. 양자화레벨이 크면 출력되는 부호의 양은 작아지고 오차는 커진다. 반대로 양자화레벨이 작으면 출력되는 부호의 양은 커지고 오차는 작아진다. 양자화된 DCT계수에 대해 제1 및 제2가변장부호화부(13,23)는 이 대표값들의 통계적 특성을 살려 가변장부호화하므로써 전송되는 데이타(VCD)를 압축시킨다. 제1스위치부(30)는 제1가변장부호화부(13) 및 제2가변장부호화부(23)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타들을 대응되는 접점(a,b)으로 인가받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모드선택신호(SM)에 제어를 받아 해당 접점을 접속시켜 선택된 모드의 가변장부호화데이타를 출력시킨다. 그러면, 버퍼(31)는 제1스위치부(30)에서 공급되는 압축데이타량과 버퍼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량이 같아지도록 소정의 양자화레벨(SQUANT)을 출력한다. 여기서는 버퍼(31)로부터 출력되는 양자화레벨(SQUANT)을 버퍼상태검출치라고 하겠다. 버퍼상태검출치(SQUANT)는 전방향해석부(40)로 인가되어 최적의 양자화레벨(MQUANT)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 양자화레벨(MQUANT)결정과정은,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화면과 화면간에는 유사한 부분이 많으므로, 약간의 움직임이 있는 화면인 경우 그 움직임을 추정하여 동벡터(MV)를 산출하고, 이 동벡터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보상하여 주면 인접한 화면간의 차신호는 매우 작으므로 전송데이타를 더욱 압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제2스위치부(32)는 제1 및 제2양자화부(12,22)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계수를 대응되는 접점(d,e)에 각 인가받고, 소정의 인트라 및 인터를 나타내는 모드선택신호(SM)에 제어를 받아 해당 접점의 양자화계수를 출력한다. 역양자화부(33) 및 역DCT부(34)는 제2스위치부(32)에서 선택되어 출력되는 양자화계수를 역양자화시킨 다음 역변환시켜 공간영역의 영상데이타로 변환시킨다. 역DCT부(34)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는 소정의 궤환데이타와 제2가산기(ADD2)에서 가산되어 프레임메모리(35)에 저장되므로써 화면을 재구성한다. 즉, 이러한 과정은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서 계속되는데 한 프레임의 모든 처리가 끝나면 프레임메모리(35)에는 이미 압축전송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저장된다. 그 화면은 수신측 혹은 재싱시에 재현되는 그림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화면이 입력되면 동추정부(36)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블록데이타를 프레임메모리(35)에 저장된 프레임데이타에서 찾아 2개 블록간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벡터(MV)를 산출한다. 이 동벡터(MV)는 복호화시스템에서 이용되기 위해 수신측으로 전송되고, 또한 동보상부(37)로 전송된다. 동보상부(37)는 프레임메모리(35)의 프레임데이타에서 동벡터(MV)에 상응하는 블록데이타를 독출하여 제1가산기(ADD1)로 공급한다. 그러면, 제1가산기(ADD1)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VIN)와 동보상부(37)에서 출력되는 블록데이타간의 오차데이타를 산출하고, 이 오차데이타는 다시 부호화되어 수신측으로 전송된다.
한편,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이 반영된 매크로블록단위의 양자화레벨을 결정하기 위해서 먼저, 제1DCT부(11)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영역의 데이타들은 전방향해석부(40)의 제1영역판단부(41)로 인가된다. 제1영역판단부(41)는 우선 각 DCT영역을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한다. 첫째, 단순영역; 둘째, 엣지영역; 세째, 복잡영역; 네째, 앞의 어느 영역에도 포함되지 않은 평범한 영역이다.
이러한 4개의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규칙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의 맨좌측상단부분은 DC에 해당하고, 그 다음 구역은 저주파영역 즉, L영역에 해당한다. L영역 다음에 위치한 소정 구역은 엣지영역 즉 E영역에 해당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구역은 고주파영역 즉 H영역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DCT영역은 좌상이 DC에 해당하고, 우측하단쪽으로 갈수록 점점 높은 주파수성분을 갖는다. 즉, 저주파주쪽으로 갈수록 에너지는 커진다. 이 4개의 데이타(DC, L, E, H)별로 변환계수들을 절대치 취하여 합산한다. 각 블록에 대해서 이 4개의 데이타타(DC, L, E, H)별 절대치의 합들은 다음의 표 1에 도시한 4가지의 조건들중 우선순위에 따라 어느 하나만을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제1영역판단부(41)는 현 블록의 영역을 결정한다.
여기서, a, b, c, d, e, k는 상수로서 시뮬레이션결과 35, 180, 100, 10, 500, 3의 값을 가진다.
그런다음, 전방향해석부(40)의 제2영역판단부(42)는 제1영역판단부(41)로부터 인가되는 매크로블록단위의 8개블록에 대한 각 영역정보를 다음의 표 2에 도시한 4가지의 조건에 따라 매크로블록의 영역을 결정한다.
이렇게 하여 모든 매크롭르록은 4가지 영역중에 하나로 분류되어진다. 또한, 전방향해석부(40)의 양자화레벨결정부(43)는 제2영역판단부(42)로부터 인가되는 현 매크로블록의 해당 영역정보를 인가받고, 버퍼(31)에서 궤환되는 슬라이스단위의 양자화레벨(SQUANT) 즉, 버퍼상태검출치를 인가받아 매크로블록단위의 양자화레벨(MQUANT)을 결정한다. 양자화레벨(MQUANT)결정은 다음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한다.
이와 같이 양자화레벨을 가변시킴으로써 단순영역과 엣지영역에서는 양자화에러를 줄이고, 복잡한영역에서는 양자화에러를 크게 하여 전체적으로 화질이 향상된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제1 및 제2양자화부(12,22)는 대응되는 제1 및 제2DCT부(11,21)로부터 N×N블록변환계수를 공급받아 전방향해석부(40)를 통해 양자화레벨(MQUANT)를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N×N블록데이타의 각 변환계수를 양자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는, 단순한 블록값의 평균치를 사용하여 매크로블록을 4영역중 하나로 분류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각각의 DCT블록을 우선 4영역으로 분류하고 매크로블록내의 DCT블록분류결과를 이용하여 매크로블록을 4영역중 하나로 구분하므로 시각적으로 화질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1. DCT부와 양자화부 그리고 전송신호의 비트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DCT부로 부터 인가되는 소정블록데이타의 변환계수값들을 에너지분포특성에 따라 DC, 저주파, 엣지, 고주파별로 절대치를 취하여 그 합을 구하고, 이 절대치합에 따라 블록의 영상영역을 판단하는 제1영역판단부; 상기 제1영역판단부로 부터 인가되는 블록단위의 영역정보들을 사전 설정된 조건에 맞추어 다수의 블록들을 구비한 매크로블록의 영상특성이 반영된 다수의 영역중 해당 영역을 판단하는 제2영역판단부; 및 상기 제2영역판단부로 부터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역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버퍼에서 공급되는 슬라이스단위의 양자화레벨을 인가받아 최적의 양자화레벨을 결정하는 양자화레벨결정부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영역들은 단순영역, 엣지영역, 복잡영역, 평범한영역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레벨결정장치.
  3. 소정 크기의 블록들로 분할된 영상데이타를 DCT변환하여 주파수영역의 데이타로 변환시키고, DCT영역에서의 에너지분포특성을 이용하여 매크로블록단위의 양자화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되는 영상데이타를 공급받아, 이 입력영상데이타와 전송되기 위해 출력되는 영상데이타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가변되는 양자화레벨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DCT영역에서 에너지분포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지는 영역의 변환계수값들에 따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맞추어 블록의 영상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블록의 영역정보를 매크로블록단위로 입력받아 정해진 조건식에 맞추어 영상특성이 반영된 다수의 영역중 해당 매크로블록의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양자화레벨를 조절하여 최적의 양자화레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화레벨결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단위영상영역은 상기 DCT영역의 에너지 분포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지는 DC, 저주파, 엣지, 고주파별로 변환계수값들의 절대치를 구하는 단계; 상기 DC, 저주파, 엣지, 고주파별로 각 절대치의 합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DC, 저주파, 엣지, 고주파별로 구한 절대치의 합에 따라 영상특성이 반영된 다수의 영역들중 해당 블록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레벨결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영역판단단계는 다음과 같은 조건중 우선순위에 따라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레벨결정방법.
    여기서, a, b, c, d, e, k는 사전 설정된 상수이고, E는 블록단위의 엣지영역절대치합, H는 블록단위의 고주파영역절대치합, L은 블록단위의 저주파영역절대치합을 나타낸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블록단위의 영상영역판단단계는 매크로블록을 구성하는 블록들의 영역정보를 인가받아 그 블록들의 영역중 과반수 이상이 단순영역이면 매크로블록의 영역을 단순영역으로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DCT블록이 엣지영역이면 엣지영역으로 판단하고, 모든 DCT블록이 복잡영역이면 복잡영역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평범한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레벨결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최적의 양자화레벨 출력단계는 상기 매크로블록의 영역이 단순영역 및 엣지영역이면 양자화레벨을 감소시키고, 복잡한 영역이면 양자화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레벨결정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최적의 양자화레벨 출력단계는 상기 매크로블록의 영역이 평범한 영역이면 입·출력데이타의 비트레이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가변되는 슬라이스단위의 양자화레벨을 매크로블록단위의 양자화레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레벨결정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영역에서의 최적의 양자화레벨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레벨결정방법.
    여기서, MQUANT는 매크로블록단위의 최적의 양자화레벨이고, SQUANT는 입·출력데이타의 비트레이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가변되는 슬라이스단위의 양자화레벨이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영역에서의 최적의 양자화레벨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레벨결정방법.
    여기서, MQUANT는 매크로블록단위의 최적의 양자화레벨이고, SQUANT는 입·출력데이타의 비트레이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가변되는 슬라이스단위의 양자화레벨이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잡영역에서의 최적의 양자화레벨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레벨결정방법.
    여기서, MQUANT는 매크로블록단위의 최적의 양자화레벨이고, SQUANT는 입·출력데이타의 비트레이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가변되는 슬라이스단위의 양자화레벨이다.
KR1019930028076A 1993-12-16 1993-12-16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015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076A KR0157465B1 (ko) 1993-12-16 1993-12-16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076A KR0157465B1 (ko) 1993-12-16 1993-12-16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993A KR950022993A (ko) 1995-07-28
KR0157465B1 true KR0157465B1 (ko) 1998-11-16

Family

ID=1937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076A KR0157465B1 (ko) 1993-12-16 1993-12-16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4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13B1 (ko) * 2002-01-22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KR100720004B1 (ko) * 2007-03-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역양자화방법
KR100720005B1 (ko) * 2007-03-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방법
KR101339764B1 (ko) * 2013-02-20 2013-1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fa를 이용하여 획득한 샘플링된 컬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854B1 (ko) * 1995-10-26 2005-08-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물체중심부호화에서의양자화방법
KR100720003B1 (ko) * 2006-08-18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복호화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13B1 (ko) * 2002-01-22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KR100720004B1 (ko) * 2007-03-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역양자화방법
KR100720005B1 (ko) * 2007-03-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방법
KR101339764B1 (ko) * 2013-02-20 2013-1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fa를 이용하여 획득한 샘플링된 컬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993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343B1 (ko) 양자화레벨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0155784B1 (ko) 영상데이타의 적응형 가변장 부호화/복호화방법
JP3888597B2 (ja) 動き補償符号化装置、及び動き補償符号化復号化方法
CA1333501C (en) Hierarchic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mmunicating image sequences
US66581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KR100203710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US5534927A (en) Method of performing high efficiency coding of image signal and system therefor
US20030185303A1 (en) Macroblock coding technique with biasing towards skip macroblock coding
KR0139154B1 (ko) 신경망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US6252905B1 (en) Real-time evaluation of compressed picture quality within a digital video encoder
US200500365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on of scanning mode in dual pass encoding
JPH1093966A (ja) 画像符号化装置
KR100961760B1 (ko) 이산코사인변환 계수를 참조하는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KR0162203B1 (ko) 양자화스텝사이즈의 가변을 이용한 적응적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229796B1 (ko) 열화영상에 대한 보상기능을 갖는 영상 복호화 시스템
US550874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quantization level to be modified by a motion vector
KR0157465B1 (ko)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JPH01228384A (ja) 領域分割を用いた動画像符号化方式
KR970003100B1 (ko) 적응적으로 강제 인트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JPS63284974A (ja) 画像圧縮方式
KR0134342B1 (ko) 동작추정에 의한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213283B1 (ko) 동영상 부호화기
KR0152036B1 (ko)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 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0148150B1 (ko) 영상데이타의 복잡도에 따른 적응양자화스텝사이즈 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0166728B1 (ko) 에지특성을 고려한 영상신호부호화장치 및 양자화레벨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