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854B1 - 물체중심부호화에서의양자화방법 - Google Patents

물체중심부호화에서의양자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854B1
KR100493854B1 KR1019950037923A KR19950037923A KR100493854B1 KR 100493854 B1 KR100493854 B1 KR 100493854B1 KR 1019950037923 A KR1019950037923 A KR 1019950037923A KR 19950037923 A KR19950037923 A KR 19950037923A KR 100493854 B1 KR100493854 B1 KR 100493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size
interval size
quantization interval
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173A (ko
Inventor
문주희
이상희
박광훈
유국렬
이진학
김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1995003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854B1/ko
Publication of KR97002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정명은 물체중심 부호화 등에서 영상내에서 임의의 형태를 지닌 물체를 부호화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용코자 하는 것으로, 물체중심부호화에서 신호정보를 부호화할 때 물체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 영역들인 배경, 드러난 배경, 움직임 보상 가능영역, 움직임 보상 불가능 영역에 각각 다른 양자화 크기를 적용하여 부호화하고, 그때의 양자화 크기는 전송버퍼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 양자화 기준값에 따라 정해진 양자화 간격크기를 적용토록 하여 영역별 양자화를 함으로써 화질이 개선되고 전송데이타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중심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체중심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방법
본 발명을 물체중심 부호화등에서 영상내에서 임의의 형태를 지닌 물체를 부호화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용코자 하는 것으로, 물체중심 부호화에서 신호정보를 부호화할 때 물체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 영역들인 배경, 드러난 배경, 움직임 보상 가능영역, 움직임 보상 불가능영역에 각각 다른 양자화 크기를 적용하여 부호화하고, 그때의 양자화 크기는 전송버퍼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 양자화 기준값에 따라 정해진 양자화 간격크기를 적용토록 하여 영역별 양자화를 함으로써 화질이 개선되고 전송데이타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중심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중심 부호화는 영상에서 실제 물체를 추출하고 물체별로 처리를 한다. 이 방식은 기존의 블럭중심 부호화 방식과는 달리 그 처리 단위가 실제 물체와 일체하므로 주관적 화질면에서 유리하고, 인간의 시각에 중요한 정보만을 추출, 전송함으로써 데이타 감축효과가 크다.
기존의 부호화 방식에서는 신호정보를 부호화 하는데 있어서 영상의 정보에 상관없이 블럭을 기반으로 일관되게 양자 부호화하였다.
그러나 물체중심의 부호화에 이용될 때에는 추출된 영역을 부호화하는 중요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동일하게 부호화하는 것이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부호화 정도를 다르게 하는 것보다 부호화 효율측면뿐 아니라, 화질의 측면에서도 크게 뒤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영상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한 후 분류된 물체들의 중요도에 따라 부호화 정도를 달리하여 부호화하는 물체중심의 부호화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중요도가 떨어지는 배경등에는 큰 오차를 허용하여 부호화하고 중요한 영역인 움직임 보상이 불가능한 영역등에는 작은 오차만을 허용하여 상세하게 부호화토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물체중심 부호화 과정에서 영상을 분할한 예를 나타낸다. 제 1 도와 같이 배경(background), 드러난 배경(uncovered background), 움직임 보상이 가능한 영역(MC Region), 움직임 보상이 불가능한 영역(MF Region) 등으로 분할된 영상은 각각을 부호화하여 전송한다.
일정한 전송율을 갖는 선로를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부호화된 데이타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발생되는 데이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부호화 하기 위한 양자화 간격 크기를 영역별로 조절한다.
이때 각 영역별 양자화 간격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 제 2 도와 같은 그래프를 사용한다.
제 2 도는 전송버퍼의 크기에 따라서 조절되는 양자화 기준값(Qindex)에 따른 각 영역별 양자화 간격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움직임 보상 불가능 영역의 양자화 간격 크기는 QMF, 움직임 보상이 가능한 영역의 양자화 간격크기는 QMC, 드러난 배경의 양자화 간격 크기는 QUB, 배경의 양자화 간격크기는 QBK 로 나타내기로 한다.
제 2 도의 그래프에서 움직임 보상이 불가능한 영역의 양자화 간격크기(QMF)는 다른 영역의 양자화 간격크기(QMC, QUB, QBK)에 비해서 양자화 기준값(Qindex)에 따른 양자화 간격크기의 변화가 작고, 배경의 양자화 간격 크기(QBK)는 다른영역의 양자화 간격의 3기에 비해서 양자화 기준값에 다른 양자화 간격 크기의 변화가 크다.
제 2 도의 그래프와 같은 영역별 양자화 간격크기의 변화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QMF = a * Qindex + A
OMC = b * Qindex + B
QUB = c * Qindex + C
QBK = d * Qindex + D
(여기서 a, b, c, d는 Qindex에 대한 양자화 크기의 변화비율을 나타내고, A, B, C, D는 양자화 크기를 보정하는 파라메타를 나타낸다.)
제 3 도는 위의 수식들에 의해서 얻어진 양자화 기준값(Qindex)에 따른 각 영역별 양자화 간격 크기를 나타내는 예이다.
이렇게 얻어진 각 영역별 양자화 간격 크기는 처리되는 영상의 크기와 전송속도에 의해 가중치를 곱하게 된다.
제 4 도는 영상의 크기와 전송속도에 의해 따른 가중치의 예이다.
이와 같이 하면 양자화 기준값(Qindex)만을 전송함으로써 각 영역별 양자화 간격크기 및 영상의 크기(CIF, 또는 QCIF)와 전송속도(10Kbps, 24Kbps, 48Kbps)에 따른 양자화 간격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호화되는 데이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체중심 부호화는 영상에서 실제 물체를 추출하고 물체별로 처리를 함으로써, 기존의 블럭중심 부호화 방식과는 달리 그 처리 단위가 실제 물체와 일치하므로 주관적 화질면에서 유리하고, 인간의 시각에 중요한 정보만을 추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감축효과가 크다.
제 1 도는 물체중심 영상 부호화 방법에서 영상분할 예시도,
제 2 도는 양자화 기준값과 각 영역별 양자화 간격 크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 3 도는 양자화 기준값과 각 영역별 양자화 간격 크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예시도,
제 4 도는 영상크기 또는 전송속도와 가중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예시도이다.

Claims (5)

  1. 물체중심 부호화에서, 신호정보를 부호화할 때 물체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 배경영역, 드러난 배경영역, 움직임 보상가능영역, 움직임 보상 불가능영역에 따라 각기 다른 양자화 크기를 조절하여 신호정보를 부호화한 후 그 정보를 버퍼에 전송하고, 그 전송 버퍼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 양자화 기준값의 선택에 의해 해당 양자화 간격 크기가 적용되며, 상기 움직임 보상 불가능 영역의 양자화 간격크기(QMF)는 상기 다른 영역의 양자화 간격크기(QMC, QUB, QBK)에 비해서 양자화 기분값(Qindex)에 따른 양자화 간격 크기의 변화가 작고, 배경의 양자화 간격 크기(QBK)는 다른 영역의 양자화 간격의 크기에 비해서 양자화 기준값에 따른 양자화 간격 크기의 변화가 크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중심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영역별로 양자화 간격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하기식과 같은 수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중심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방법.
    하기식:
    QMF = a * Qindex + A
    QMC = b * Qindex + B
    QUB = c * Qindex + C
    QBK =d * Qindex + D
    (여기서 a, b, c, d는 Qindex에 대한 양자화 크기의 변화비율을 나타내고, A, B, C, D는 양자화 크기를 보정하는 파라메타를 나타낸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움직임 보상 불가능 영역의 양자화 간격크기OMF, 움직임 물체의 양자화 간격 크기QMC, 드러난 배경의 양자화 간격크기 QUB, 배경의 양자화 간격크기QBK 사이의 관계를 선형 혹은 비선형으로 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중심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버퍼 크기에 따라 양자화 관계를 정하고, 양자화 단계별로 양자화 간격 크기를 다르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중심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영역별 양자화 간격 크기는, 처리되는 영상의 크기와 전송속도에 따른 가중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중심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방법.
KR1019950037923A 1995-10-26 1995-10-26 물체중심부호화에서의양자화방법 KR100493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923A KR100493854B1 (ko) 1995-10-26 1995-10-26 물체중심부호화에서의양자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923A KR100493854B1 (ko) 1995-10-26 1995-10-26 물체중심부호화에서의양자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173A KR970025173A (ko) 1997-05-30
KR100493854B1 true KR100493854B1 (ko) 2005-08-04

Family

ID=3730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923A KR100493854B1 (ko) 1995-10-26 1995-10-26 물체중심부호화에서의양자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423B1 (en) * 1998-09-18 2001-07-03 Sarnoff Corporation Intra-frame quantizer selection for video compression
KR100643453B1 (ko) * 2001-11-17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브젝트 기반 비트율 제어방법
KR100624404B1 (ko) * 2002-01-05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람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416A (ko) * 1992-06-15 1994-03-23 모리시타 요이찌 비트율 감축장치
KR940010804A (ko) * 1992-10-31 1994-05-26 윤종용 영상특성을 고려한 데이타양자화율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940013233A (ko) * 1992-11-24 1994-06-25 정용문 영상 전화기의 버퍼 제어방법 및 장치
KR950022993A (ko) * 1993-12-16 1995-07-28 김광호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960009732A (ko) * 1994-08-31 1996-03-22 배순훈 윤곽선 부호화 장치
KR960028437A (ko) * 1994-12-14 1996-07-22 배순훈 영상 데이타 부호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416A (ko) * 1992-06-15 1994-03-23 모리시타 요이찌 비트율 감축장치
KR940010804A (ko) * 1992-10-31 1994-05-26 윤종용 영상특성을 고려한 데이타양자화율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940013233A (ko) * 1992-11-24 1994-06-25 정용문 영상 전화기의 버퍼 제어방법 및 장치
KR950022993A (ko) * 1993-12-16 1995-07-28 김광호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960009732A (ko) * 1994-08-31 1996-03-22 배순훈 윤곽선 부호화 장치
KR960028437A (ko) * 1994-12-14 1996-07-22 배순훈 영상 데이타 부호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173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0832A (ko) 고선명 텔레비젼의 적응 양자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부호기
KR930011724A (ko) 활동 비데오 압축 시스템
JPH1169353A (ja) 動画像の符号化によるブロック化現象除去方法
JPH0746596A (ja) イントラ−ブロックdc変換係数量子化方法
JP3703299B2 (ja) ピクチャ中央の画質を最適化するためのビデオ符号化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EP0527446B1 (en) Motion compensation using minimum bits per motion block as criterion for block matching
KR100232098B1 (ko) 퍼지 제어를 이용한 mpeg 영상 신호의 전송율 제어 장치
KR0181075B1 (ko) 적응 윤곽선 부호화 방법
KR100493854B1 (ko) 물체중심부호화에서의양자화방법
CN1131878A (zh) 编码带有静止目标的图象信号的装置
US5650822A (en) Process for source coding
US58964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contour image of an object in a video signal
KR100389893B1 (ko) 영상 특성 분류법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
US20050140781A1 (en)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0220582B1 (ko)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Corte-Real et al. A very low bit rate video coder based on vector quantization
KR0157465B1 (ko) 영상데이타의 영상특성에 따른 양자화레벨결정방법 및 그 장치
CN1201587C (zh) 块一编制数据的编码
Leone et al. An H. 261-compatible fuzzy-controlled coder for videophone sequences
US5861923A (en) Video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daptive quantization technique
JP2004248124A (ja) 階層的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階層的画像復号装置
KR100273459B1 (ko) 영상데이터의 비트열 제어방법
JPH07236138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H0316491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H03255792A (ja) 画質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627

Effective date: 200503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10024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627

Effective date: 200503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