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582B1 -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 Google Patents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582B1
KR100220582B1 KR1019960016409A KR19960016409A KR100220582B1 KR 100220582 B1 KR100220582 B1 KR 100220582B1 KR 1019960016409 A KR1019960016409 A KR 1019960016409A KR 19960016409 A KR19960016409 A KR 19960016409A KR 100220582 B1 KR100220582 B1 KR 10022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contour
control signal
encoder
back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649A (ko
Inventor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1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582B1/ko
Priority to JP9125123A priority patent/JPH1070723A/ja
Priority to CN97112415A priority patent/CN1172401A/zh
Priority to GB9710031A priority patent/GB2313245A/en
Publication of KR97007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005Statistical coding, e.g. Huffman, run length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내의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을 분리하여 그 정보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기는, 인가되는 프레임에 상응하는 윤곽선 신호에 기초하여 물체 및 배경 영역을 구분하는 마스킹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마스킹 정보와 윤곽선 신호내에 포함되어 있는 물체 추출 데이타를 이용하여 양자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마스킹 정보에 의해 인가되는 프레임을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으로 각각 분리하여 소정 블럭단위로 전송하는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에 의해 양자화가 처리가 결정되면, 전송률에 따라 설정된 양자화스텝정보를 변경한 양자화스텝정보로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부터 전송되는 물체 영역에 대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 1 부호화부(300),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에 의해 양자화 처리가 결정되면, 전송률에 따라 설정된 양자화스텝정보로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부터 전송되는 물체 영역에 대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 2 부호화부(400) 및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선 신호와 제 1 및 제 2 부호화부(300, 40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부호화된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멀티플렉서(500)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장치의 불록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부호화부의 상세한 블록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부호화부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
200 : 물체 및 배경 분리부 210, 310 : 감산기
220, 320 : DCT 230, 330 : 양자화부
240, 340 : 엔트로피 부호화기 250 , 350 : 전송버퍼
260, 360 : 역양자화부 270, 370 : 역DCT
280, 380 : 가산기 290, 390 : 움직임 예측부
295, 395 : 양자화스텝 제어부 300 : 제 1 부호화부
400 : 제 2 부호화부 500 : 멀티플렉서
본 발명은 물체 및 배경으로 구성된 프레임 영상에 대한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 영상을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으로 분리하고 영역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영상전화, 고선명 텔레비젼 또는 영상 회의 시스템과 같은 디지탈 영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 신호의 각 라인이 화소라 지칭되는 일련의 디지탈 데이타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 영상(비디오) 프레임을 규정하는데는 상당량의 디지탈 데이타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의 전송채널의 유효 주파수 대역은 제한되기 때문에, 특히 영상 전화 및 영상 회의 시스템과 같은 저전송 영상신호 부호화 시스템에서, 상당량의 디지탈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데이타 압축기능이 필요하다.
한편, 저전송 영상신호 부호화 시스템에서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중 하나로 물체별 분석-합성 부호화 방법이 있다. 이 물체별 분석-합성 부호화 방법에 따르면, 움직임 물체들을 갖는 입력 영상신호는 물체에 따라 분할되며, 각 물체의 움직임, 윤곽 및 화소 데이타를 규정하는 3가지의 파라미터는 그 특성상 각기 상이한 부호화 경로를 통해 처리된다.
이 때, 물체내의 영상 데이타 또는 화소들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물체별 분석-합성 부호화 기법에서는 영상 데이타에 포함된 공간적 리던던시(redundancy)만을 제거하는 변화 부호화 기법이 주로 이용된다. 영상 데이타 압축을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변화 부호화 기법들중의 하나는 블록 단위 DCT(이산 코사인 변환) 부호화로서, 이 부호화 기법은 한 블록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 예를 들면, 88개의 화소 블록을 한 세트의 변환계수 데이타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DCT변환된 블럭은 양자화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기존에는 해당 블럭의 영상이 물체부분인지 배경부분인지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양자화스텝정보로 양자화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인간의 시각은 물체부분의 이동에 민감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민감하지 않은 배경부분을 물체부분과 동일한 양자화스텝정보로 양자화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채널의 유효 주파수 대역이 제한된 경우에, 전반적인 화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미지내의 물체 및 배경 영역을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물체 및 배경 영역에 대해 발생 비트량에 따른 전송율을 참조하면서 전송되는 영상에 대한 차별적 양자화를 수행하여 전반적인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부호화기는, 물체 영역 및 배경영역으로 구성된 프레임에 상응하는 윤곽선 신호가 인가되면, 윤곽선 신호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재구성된 윤곽선 신호에 의거하여 프레임의 물체 영역에 대한 윤곽선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윤곽선에 대한 정보와 윤곽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물체 추출 데이타에 기인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응되는 마스킹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마스킹 정보에 기인하여 소정 블럭단위의 양자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마스킹 정보에 의거하여 인가되는 현재 프레임에서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을 소정 블럭단위로 분할하여 각각 전송하는 물체 및 배경 분리부;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가 물체 영역을 의미하는 경우에, 현재 데이타 전송률에 따라 설정된 제 1 양자화스텝정보(Qp)를 변경한 제 2 양자화스텝정보(Qp')으로 물체 및 배경 분리부로부터 전송되는 물체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소정 블럭단위로 압축 부호화하는 제 1 부호화부;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가 배경 영역을 의미하는 경우에, 현재 데이타 전송률에 따라 설정된 제 1 양자화스텝정보(Qp)에 따라 물체 및 배경 분리부로부터 전송되는 배경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소정 블럭단위로 압축 부호화하는 제 2 부호화부; 및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전송되는 부호화된 윤곽선 신호와 제 1 부호화부 및 제 2 부호화부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부호화된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의 블럭도로서,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 제 1 부호화부(300), 제 2 부호화부(400) 및 멀티 플렉서(500)로 구성된다.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는 현재 인가되는 프레임의 윤곽선 신호(Contour Signal)가 인가되면, 부호화하여 라인(10)을 통해 멀티플렉서(500)로 제공하고, 부호화된 윤곽선 신호를 다시 복호화하여 현재 프레임에 대한 윤곽선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윤곽선에 의해 생성된 마스킹(Masking) 정보를 라인(12)을 통해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 제공하고, 마스킹 정보에 의해 양자화 처리되는 블럭단위로 양자화 제어신호를 라인(18) 및 라인(20)을 통해 제 1 부호화부(300) 및 제 2 부호화부(400)로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는 라인(12)을 통해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마스킹 정보에 기인하여 인가되는 현재 프레임에서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체 영역은 소정 블럭단위로 라인(14)을 통해 제 1 부호화부(300)로 제공하고, 분리된 배경 영역은 소정 블럭단위로 라인(16)을 통해 제 2 부호화부(400)로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부호화부(300)는 라인(18)을 통해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블럭단위의 물체 영역의 데이타를 압축 부호화하여 멀티 플렉서(5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부호화부(400)는 라인(20)을 통해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정보에 근거하여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블럭단위의 배경 영역의 데이타를 압축 부호화하여 멀티 플렉서(500)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멀티 플렉서(500)는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윤곽선 신호와 제 1 부호화부(300) 및 제 2 부호화부(40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부호화된 데이타를 미도시된 복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 1 부호화부(300)의 상세한 블럭도로서, 감산기(210), DCT(220), 양자화부(230), 엔트로피 부호화기(240), 전송버퍼(250), 역양자화부(260), 역 DCT(270), 가산기(280), 움직임 예측부(290), 양자화스텝 제어부(295)로 구성된다.
감산기(210)는 소정 블럭단위로 인가되는 현재 프레임의 물체 영역의 데이타와 이전 프레임의 물체 영역의 데이타간의 차분신호를 구하여 DCT(2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CT(220)는 감산기(210)로부터 제공되는 차분신호를 DCT 변환계수로 변화한 후에, 양자화부(2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양자화부(230)는 양자화스텝 제어부(295)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스텝정보에 기인하여 DCT(220)로부터 전송되는 DCT 변환계수를 양자화하여 엔트로피 부호화기(240)와 역 양자화부(260)로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엔트로피 부호화기(240)는 양자화부(23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된 물체 영역의 데이타를 가변길이 부호화하여 전송버퍼(25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전송버퍼(250)는 엔트로피 부호화기(240)로부터 가변길이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물체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멀티플렉서(500)로 출력함과 동시에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타의 출력상태(전송율)에 따라서 설정되는 양자화스텝정보를 양자화스텝 제어부(295)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역 양자화부(260) 및 역 DCT(270)는 양자화부(230)로부터 전송되는 양자화된 물체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역 양자화 및 역 DCT하여 가산기(28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가산기(280)는 역 DCT된 데이타와 이전 프레임에 의해서 예측된 물체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가산한 결과를 움직임 예측부(29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움직임 예측부(290)는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소정 블럭의 물체 영역에 대한 데이타와 가산기(280)로부터 제공되는 가산 결과에 따른 물체 영역의 데이타간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가산기(280) 및 감산기(2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양자화스텝 제어부(295)는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물체 영역을 의미하는 양자화 제어신호와 전송버퍼(25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스텝정보에 의거한 양자화스텝정보로 양자화부(230)의 양자화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 2 부호화부(400)의 상세 블럭도로서, 감산기(310), DCT(320), 양자화부(330), 엔트로피 부호화기(340), 전송버퍼(350), 역양자화부(360), 역 DCT(370), 가산기(380), 움직임 예측부(390) 및 양자화스텝 제어부(395)로 구성된다.
감산기(310)는 소정 블럭단위로 인가되는 현재 프레임의 배경 영역에 대한 데이타와 이전 프레임의 배경 영역에 대한 데이타간의 차분신호를 구하여 DCT(3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CT(320)는 감산기(310)로부터 전송되는 배경 영역에 대한 차분신호를 DCT 변환계수로 변화한 후에, 양자화부(3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양자화부(330)는 양자화스텝 제어부(395)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스텝정보에 기인하여 DCT(320)로부터 전송되는 DCT 변환계수를 양자화한 후, 그 양자화된 결과신호를 엔트로피 부호화기(340)와 역양자화부(360)로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엔트로피 부호화기(340)는 양자화부(33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된 배경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가변길이 부호화하여 전송버퍼(35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전송버퍼(350)는 엔트로피 부호화기(340)로부터 가변길이 부호화되어 입력되는 배경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멀티플렉서(500)로 출력함과 동시에 가변길이 부호화된 데이타의 출력상태(전송율)에 따라서 설정되는 현재의 양자화스텝정보를 후술하는 양자화스텝 제어부(395)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역 양자화부(360) 및 역 DCT(370)는 양자화부(33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된 데이타를 역양자화 및 역 DCT하여 가산기(38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가산기(380)는 역 DCT된 데이타와 이전 프레임의 배경 영역에 대한 데이타에 의해서 예측된 데이타를 가산하여 움직임 예측부(39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움직임 예측부(390)는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배경 영역의 데이타와 가산기(380)로부터 제공되는 가산된 배경 영역에 대한 데이타간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상기 가산기(380) 및 감산기(3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양자화스텝 제어부(395)는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배경 영역을 의미하는 양자화 제어신호와 전송버퍼(35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스텝정보에 의거하여 설정되는 양자화스텝정보로 양자화부(3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체 및 배경 영역을 포함하는 현재 프레임 영상이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 인가될 때, 인가되는 현재 프레임에 상응하는 윤곽선 신호가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 인가된다. 인가되는 윤곽선 신호는 물체 및 배경 영역을 포함하는 현재 프레임 영상에 대한 물체의 윤곽선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윤곽선 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윤곽선 데이타와 현재 프레임내의 물체와 배경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갖는 물체 추출 데이타(object extraction data)를 포함한다. 여기서 현재 프레임내의 물체와 배경은 각각 '1'과 '0'으로 표현된다.
윤곽선 및 양자화 처리부(100)는 윤곽선 신호가 인가되면, 먼저 윤곽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윤곽선 데이타를 체인(Chain) 부호화 기법 또는 다각형 근사화 기법과 같은 종래의 윤곽선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그리고 부호화된 윤곽선 데이타와 상술한 물체 추출 데이타로 구성된 윤곽선 신호를 복호기(미도시됨)로 전송하기 위하여 라인(10)을 통해 멀티플렉서(500)로 전송함과 동시에 부호화된 윤곽선 데이타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윤곽선 데이타에 기인하여 현재 프레임내의 물체에 대한 윤곽선을 재구성한다. 그리고, 재구성된 윤곽선과 상술한 물체 추출 데이타에 기인하여 현재 프레임에 대한 마스킹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재구성 윤곽선을 이용하여 재정의된 물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화소는 예를 들어 1로 표현되고, 재정의된 배경에 해당하는 나머지 화소는 예를 들어 0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마스킹 정보는 현재 프레임내에 포함되는 재정의된 물체 화소 및 재정의된 배경 화소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가 된다. 이러한 마스킹 정보는 라인(12)을 통해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 전송된다.
또한,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마스킹 정보에 기인하여 소정 블럭단위의 양자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마스킹 정보로 이루어진 현재 프레임에 대응되는 프레임 영상을 양자화 처리 블럭에 대응되는 블럭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마스킹 블럭내에 존재하는 데이타 값에 따라 해당 블럭이 배경 화소로 구성된 블럭인지 물체 화소로 구성된 블럭인 지를 의미하는 양자화 제어신호를 라인(18) 및 라인(20)을 통해 제 1 부호화부(300) 및 제 2 부호화부(400)로 각각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마스킹 블럭내에 존재하는 화소의 데이타에 1이 전혀 존재하지 않으면, 상응하는 양자화 블럭이 배경 영역에 해당되는 블럭임을 의미하는 양자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반면에, 화소의 데이타에 1이 1개라도 존재하면 상응하는 양자화 블럭이 물체 영역에 해당되는 블럭임을 의미하는 양자화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는 라인(12)을 통해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마스킹 정보에 근거하여 라인(8)을 통해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을 구성하는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을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을 각각 부호화할 수 있는 소정 블럭단위로 분할하여 물체 영역에 해당되는 블럭은 라인(14)을 통해 제 1 부호화부(300)로 전송하고, 배경 영역에 해당되는 블럭은 라인(16)을 통해 제 2 부호화부(400)로 전송한다.
제 1 부호화부(300)는 라인(18)을 통해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에 의해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물체 영역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한다.
즉, 감산기(210)는 소정 블럭단위로 인가되는 물체 영역의 데이타와 움직임 예측부(39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블럭단위의 물체 영역의 데이타간의 차분 신호를 구하여 DCT(220)로 전송한다. DCT(220)는 인가된 차분신호를 DCT 변환계수로 변환한 다음에 양자화부(230)로 전송한다.
양자화부(230)는 양자화스텝 제어부(295)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스텝정보(Qp')에 의해서 양자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양자화스텝 제어부(295)는 라인(18)을 통해 상기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와 상기 전송버퍼(250)로부터 제공되는 바로 전의 발생비트량에 따른 양자화스텝정보에 의거하여 양자화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가 물체 영역을 의미하는 경우에, 전송버퍼(25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스텝정보(Qp)에 기설정된 임계값을 곱하여(Qp기설정된 임계값) 얻어진 새로운 양자화스텝정보(Qp')로 상기 양자화부(230)의 양자화 동작을 제어한다. 기설정된 임계값은 0 에서 1 레벨 사이의 중간값(예를 들어 0.5)으로 한정하게 되는데, 이는 인간의 시각에 민감한 물체 영역의 양자화를 배경 영역의 양자화보다 세밀하게 양자화하여 물체 영역에 대한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양자화부(230)에서 양자화된 물체 영역의 데이타는 엔트로피 부호화기(240) 및 전송버퍼(250)를 통해 멀티플렉서(500)로 제공된다. 그리고, 역양자화부(260)와 역 DCT(270)의 동작에 의해서 복호화된 데이타는 가산기(280) 및 움직임 예측부(290)등에 의해 다음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처리는 순수한 영상 데이타를 중심으로 기재하였으나, 제 1 부호화부(300)는 부가정보에 해당되는 양자화스텝 제어부(295)로부터 출력되는 스텝정보(Qp')와 움직임 예측부(290)로부터 출력되는 움직임벡터 등도 전송버퍼(250)를 통해 멀티플렉서(5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엔트로피 부호화기(240)와 전송버퍼(250) 사이에 멀티플렉서(미도시됨)를 더 구비한다.
한편,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2 부호화부(400)는 양자화스텝 제어부(395)를 제외하고는 제2도에 도시된 제 1 부호화부(30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게 구동된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양자화스텝 제어부(395)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양자화스텝 제어부(395)는 라인(20)을 통해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가 배경 영역을 의미하는 경우에, 전송버퍼(35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스텝정보(Qp)에 의거하여 양자화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양자화된 배경 영역의 데이타는 엔트로피 부호화기(340) 및 전송버퍼(350)를 통해 멀티플렉서(500)로 제공될 뿐 아니라 역 양자화부(360)와 역 DCT(370) 처리로 복호화된 이미지 데이타는 가산기(380) 및 움직임 예측부(390) 등에 의해서 다음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시 이용되도록 한다.
멀티 플렉서(500)는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된 윤곽선 신호(부호화된 윤곽선 데이타와 물체 추출 데이타를 포함한 정보)와 제 1 및 제 2 부호화부(300)(40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물체 및 배경 영역에 대한 부호화된 데이타를 미도시된 복호기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내의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을 차별적으로 양자화함으로써 저전송에 따른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물체 영역 및 배경 영역으로 구성된 프레임에 상응하는 윤곽선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윤곽선 신호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재구성된 윤곽선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프레임의 물체 영역에 대한 윤곽선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상기 윤곽선에 대한 정보와 상기 윤곽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물체 추출 데이타에 기인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응되는 마스킹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마스킹 정보에 기인하여 소정 블럭단위의 양자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 상기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마스킹 정보에 의거하여 인가되는 현재 프레임에서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을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물체 영역과 배경 영역을 상기 소정 블럭단위로 분할하여 각각 전송하는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 상기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가 물체 영역을 의미하는 경우에, 현재 데이타 전송률에 따라 설정된 제 1 양자화스텝정보(Qp)를 변경한 제 2 양자화스텝정보(Qp')으로 상기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부터 전송되는 물체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상기 소정 블럭단위로 압축 부호화하는 제 1 부호화부(300); 상기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화 제어신호가 배경 영역을 의미하는 경우에, 현재 데이타 전송률에 따라 설정된 제 1 양자화스텝정보(Qp)에 따라 상기 물체 및 배경 분리부(200)로부터 전송되는 배경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상기 소정 블럭단위로 압축 부호화하는 제 2 부호화부(400); 및 상기 윤곽선 정보 처리 및 양자화 제어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전송되는 부호화된 윤곽선 신호와 제 1 부호화부(300) 및 제 2 부호화부(40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부호화된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호화부(300)는 상기 제 1 양자화스텝정보(Qp)에 기설정된 임계값을 곱셈하는 방식에 의해 얻어진 상기 제 2 양자화스텝정보(Qp')로 상기 물체 영역에 대한 데이타를 양자화하도록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의 범위는 0에서 1 레벨의 중간값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KR1019960016409A 1996-05-16 1996-05-16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KR10022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409A KR100220582B1 (ko) 1996-05-16 1996-05-16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JP9125123A JPH1070723A (ja) 1996-05-16 1997-05-15 映像信号符号化システム用エンコーダ
CN97112415A CN1172401A (zh) 1996-05-16 1997-05-16 应用自适应量化技术的视频信号编码器
GB9710031A GB2313245A (en) 1996-05-16 1997-05-16 Video signal enco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409A KR100220582B1 (ko) 1996-05-16 1996-05-16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649A KR970078649A (ko) 1997-12-12
KR100220582B1 true KR100220582B1 (ko) 1999-09-15

Family

ID=1945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409A KR100220582B1 (ko) 1996-05-16 1996-05-16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5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13B1 (ko) * 2002-01-22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KR100720004B1 (ko) * 2007-03-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역양자화방법
KR100720005B1 (ko) * 2007-03-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방법
KR100937542B1 (ko) 2002-04-25 2010-01-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세그먼트된 계층화 이미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036B1 (ko) * 1999-08-27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세그먼테이션 방법 및 장치
BR0205954A (pt) * 2001-08-31 2004-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étodo de codificação de imagem, método de decodificação de imagem e aparelhos para os mesmos
KR100720003B1 (ko) * 2006-08-18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복호화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213B1 (ko) * 2002-01-22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KR100937542B1 (ko) 2002-04-25 2010-01-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세그먼트된 계층화 이미지 시스템
KR100720004B1 (ko) * 2007-03-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역양자화방법
KR100720005B1 (ko) * 2007-03-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649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620B1 (ko) 적응 dct/dpcm부호기에 의한 영상신호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US5025482A (en) Image transformation coding device with adaptive quantization characteristic selection
JP3888597B2 (ja) 動き補償符号化装置、及び動き補償符号化復号化方法
US5848195A (en) Selection of huffman tables for signal encoding
US66749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compression encoding and decoding using adaptive transform
KR20010110629A (ko) 동화상 정보의 압축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1124846A (ja) 画像符号化装置
KR100220582B1 (ko) 적응적 부호화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기
KR100325884B1 (ko) 3차원 칼라 초음파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시스템
KR100389893B1 (ko) 영상 특성 분류법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장치
JP2004511978A (ja) 動きベクトルの圧縮
JPH09326024A (ja) 画像符号及び復号化方法とその装置
KR100220583B1 (ko) 적응적 부호화기를 갖는 영상 부호화기
KR19990067355A (ko) 동작추정방법
KR100203712B1 (ko) 영상신호 부호화시스템에 있어서 양자화장치 및 방법
US6125211A (en) Progressive image transmission
JPH0681308B2 (ja) フレ−ム間符号化における量子化雑音抑圧方式
KR0181067B1 (ko) 호환성을 갖는 동영상 부호화기
KR100213283B1 (ko) 동영상 부호화기
KR100530566B1 (ko) 적응적 변환방법을 이용하는 영상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및 그 방법
KR0178225B1 (ko) 영상기기의 부호화장치
KR0129579B1 (ko) 전처리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기
KR0130167B1 (ko) 동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JPS63111791A (ja) 動画像信号の符号化方法とその符号化装置
KR100449706B1 (ko) 개선된 프랙탈 영상 압축 및/또는 복원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