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560A - 타이어제조방법및조립드럼 - Google Patents

타이어제조방법및조립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560A
KR19990083560A KR1019990015184A KR19990015184A KR19990083560A KR 19990083560 A KR19990083560 A KR 19990083560A KR 1019990015184 A KR1019990015184 A KR 1019990015184A KR 19990015184 A KR19990015184 A KR 19990015184A KR 19990083560 A KR19990083560 A KR 19990083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ace
central axis
expansion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064B1 (ko
Inventor
도미니끄 꼬르다일라뜨
뮤흘호프올리비에
빠니그헬브루노
Original Assignee
로버트 히에벨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히에벨,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filed Critical 로버트 히에벨
Publication of KR1999008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6Drums for the multiple stage building process, i.e. the building-up of the cylindrical carcass is realised on one drum and the toroidal expansion is realised after transferring on anothe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14Locking the beads on the drum; details of the drum in the bead locking areas, e.g. drum shou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경방향으로 팽창 가능한 타이어 제조용 조립 드럼(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드럼은 중심축(2)에 부착되고 조립되는 제품을 위한 수용면(3)을 제공하는 본체(10)를 가지며, 상기 수용면의 단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상기 드럼은 소직경측 수용면(3) 단부를 둘러쌀 수 있는 신축성 수단(31) 및, 두 가지 독립적인 팽창 상태로 드럼을 팽창시키는 수단(17, 56, 57)을 갖는다.

Description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조립 드럼{Assembly Drum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반경방향 팽창가능한 조립 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각 타이어 비드 내에 하나 이상의 보강 비드(bead) 와이어 및 카커스(carcass) 보강재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비드 내부에서 카커스 보강재는 접어올림부(turn-up)를 형성하고 타이어의 두 개의 비드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타이어의 제조에는, 상이한 직경의 비드를 수용할 위치를 스스로 제공하는 조립 드럼의 사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이한 직경을 수용할 필요 때문에 제품 결함 및 제조되는 타이어의 신뢰도와 품질 제어의 곤란성이 야기된다. 수동으로 조심스럽게 천천히 상이한 제품을 배치함으로써 이들 곤란성을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산업상 적합하지 않다.
더우기, 타이어 비드 내에 카커스 보강재의 접어올림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카커스 보강재 회전의 중심점에 카커스 보강재를 펼칠 필요가 있으며, 상이한 직경의 두 위치에서 동시에 수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축에 부착되고 조립되는 제품을 위한, 상이한 직경의 단부를 갖는 수용면을 제공하는 본체를 가지며, 소직경측 수용면 단부를 둘러쌀 수 있는 신축성 수단 및, 두 개의 독립된 팽창 상태로 드럼을 팽창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조립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신축성 수단은 원하는 시기에 제품을 수용할 통상의 원통형 표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팽창 수단은 드럼의 두 팽창 상태로 인하여 상이한 직경의 각 위치에 제품을 펼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 상이한 직경의 단부를 갖는 제 1 면을 사용하는 단계,
- 제 1 면의 소직경측 단부를 덮고 통상의 원통형 전체 수용면을 생성하기 위해서, 제 1 면의 대직경측 단부에서 직경과 대략 일치하는 제 2 면을 상기 제 1 면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 카커스 보강재를 상기 전체면에 놓는 단계,
- 카커스 보강재 각단에 금속 또는 고무 링형상(ring-shaped) 요소를 각각 놓는 단계,
- 제 2 면을 수축시키고 제 1 면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 관련 링형상 요소 둘레에 카커스 보강재 각단을 각각 접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면의 팽창은 상기 제 1 면의 양단 사이에 존재하는 직경의 차이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드럼의 세 가지 상이한 상태 즉, 상부에 드럼 수축 및 칼라 전진 상태, 우하부에 드럼의 중간 상태 및, 좌하부에 드럼의 팽창상태를 도시한, 축방향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선(Ⅲ)을 따라 자른 드럼의 반경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잭의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f는 드럼의 크라운의 캠의 작동의 각 단계를 도시한 반경방향 단면의 개략도.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제조의 각 단계를 도시한 반경방향 부분 단면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립 드럼 2 : 중심축
3 : 수용면 5 : 플레이트
6, 7 : 지지요소 10 : 본체
11, 13 : 반원통 12 : 중심 크라운
14 : 로드 15 : 구멍
18, 19 : 수용홈 20 : 리프팅 장치
22 : 리프팅 핑거23 : 구동 잭
26 : 구멍 27 : 탄성 복귀 벨트
28 : 롤러30 : 신축성 수단
31 : 칼라 32 : 지지물
33 : 홈36, 37 : 지지링
38 : 원환형 실(chamber) 39 : 로드
40 : 베어링41, 42, 43 : 세그먼트
50 : 안내 비드 와이어 56, 57 : 제어 크라운
63, 73 : 폴 70, 71 : 구동 잭
도 1에 따르면, 반경방향으로 팽창 가능한 조립 드럼(1)은, 중심축(2)에 부착되고 조립되는 제품을 위한 수용면(3)을 제공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제작되는 타이어의 비드 와이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중심축(2)에 두 개의 축방향 이동성 반원통(semicylinder; 11, 13)을 포함하며, 상기 두 반원통(11, 13)은 중심축(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된 중심 크라운(12)에 의해 분할된다.
반원통(11, 13) 및 크라운(crown; 12)은 중심축(2) 둘레에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 41, 43, 42)로 각각 구성되며, 세그먼트(41, 42, 43)는 정열된다. 본체(10)의 조정을 확보하기 위해, 각 세그먼트(41, 43)는 로드(14)에 의해 대향 세그먼트(42)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는 세그먼트(42)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세그먼트(41, 43) 내부의 구멍(15) 내에 활주하며 장착된다.
드럼(1)이 팽창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세그먼트(41, 42, 43)는 상기 세그먼트(41, 43) 하에 각각 위치한 두 팽창실(17)의 작동에 의해 반경방향 이동 가능하고, 상기 팽창실은 팽창 가능하다. 이들 반경방향 이동에 있어서, 세그먼트(41, 43)는 로드(14)에 의해서 크라운(12)의 세그먼트(42)를 이끈다.
플레이트(5)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서 크라운(12)의 세그먼트(42)에 결속된다. 이들 플레이트(5)는, 반원통의 축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크라운(12)과 반원통(11, 13) 사이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한 부분적으로 세그먼트(41, 43)를 덮는다. 크라운(12)은 또한, 드럼(1)의 반경방향 팽창시 플레이트(5)의 축방향 유지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세그먼트(41, 43)는, 드럼(1) 외부를 향하는 측단에 지지 요소(6, 7)를 각각 수반하며, 상기 요소는 타이어의 비드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홈(18, 19)을 갖는다. 이들 수용홈(18, 19)은 상이한 직경을 가지며, 홈(19)은 본 실시예에서 최소직경을 가지며, 이에 의해서 비대칭 타이어 즉, 두 비드가 상이한 직경을 갖는 타이어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되는 제품을 위한 수용면(3)은 플레이트(5)의 외측면 그룹,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덮이지 않은 세그먼트(41, 43)의 영역 및, 지지 요소(6, 7)의 외측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핑거(finger)'라는 용어는 작은 단면의 윤곽(profile)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선택된 드럼(1)은 비대칭 타이어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며, 각 비드 내에 카커스 보강재의 접어올림부는 비드 와이어와 카커스 보강재 자체 사이에 배열된다. 따라서 드럼(1)은, 지지 요소(6, 7)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면(3) 각단에, 리프팅 장치(20)를 수반한다. 이하 단일의 리프팅 장치를 설명하며, 하나는 핑거 상의 평면(P) 좌측에 위치하고, 또 하나는 관련 홈의 것과 동일하지만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리프팅 장치(20)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중심축(2) 둘레에 원환형으로 분포되어 있고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리프팅 핑거(22)를 포함한다.
이들 리프팅 핑거(22)는 드럼(1)의 중심에 대하여 수용홈(18)으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떨어진 외측에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조립되는 제품을 위한 베어링면(221)을 각각 제공한다. 핑거(22)는 세그먼트(41) 상에 반경방향 이동상태로 부착되며, 상기 핑거(22)는 드럼(1)의 팽창운동에 있어서 세그먼트(41)와 함께 필수적이다.
따라서, 리프팅 핑거(22)는, 베어링면(221)이 수용면(3)의 연장부를 이루는 휴지 상태로부터 베어링면(221)이 중심축(2)과 동축이며 수용면(3)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면을 이루는 전개 상태에 이르기까지, 드럼(1) 외부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팽창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리프팅 핑거(22)는 조립되는 제품에, 불연속적이고 원주상으로 분포된 복수의 베어링면(221)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개 상태에서, 베어링면(221)에 놓인 제품의 단부는 수용면(3)에 놓인 상기 제품의 중심부로부터 상승된다.
리프팅 핑거(22)의 자유단 즉,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은, 핀에 자유회전 상태로 부착되어 베어링면(221)을 수반하는 롤러(28)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28)는 리프팅 핑거(22)의 전개시 상승된 제품 내부에 응력 발생을 피할 수 있도록 하며, 핑거와 제품 사이에 "구름" 접촉 상태를 확보한다.
각 핑거(22)는 관련 지지 요소(6) 내부에 형성된 채널(60) 내부에서 활주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홈(18)에 대하여 드럼(1) 외측에 위치하는 각 지지 요소(6) 자유단은 반경방향에 수직인 면에서 U자형 단면을 나타내며, U자형 단면의 아암(arms)은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배열은 베어링면(221)에 놓일 제품을 위치시킬 때, 휴지 상태의 리프팅 핑거(22)가 상기 단부에 베어링면(221) 둘레 전체에 연장하는 수용면을 단부가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들 제품의 단부는 지지 요소(6)의 단부(61)의 U자형 외측면(62)에 의해 지지되며, 이에 의해 드럼(1)에 제품을 올바르게 위치시킬 수 있다.
드럼(1) 상의 각 리프팅 핑거(22)의 반경방향 내측단은 축방향 연장부(222)를 수반한다. 각 연장부(222)는 관련 세그먼트(41) 내부의 구멍 내에 수용되는 상기 핑거의 구동 잭(23) 상에 위치한다.
리프팅 핑거(22)의 반경방향 이동은 구동 잭(23)의 스트로크(stroke)에 의해 제한되며, 본체(10)에 대한 상기 핑거의 축방향 위치는, 연장부(222)가 가지는 구멍(26)에 의해 조절 가능하며 잭(23) 상측 결속 나사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리프팅 핑거(22)의 휴지 상태로의 복귀를 확보하기 위해, 탄성 복귀 벨트(27)는 일련의 축방향 연장부(222)를 둘러싼다.
더우기, 드럼(1)은 소직경측 수용면 단부 즉, 지지 요소(7)를 이루는 단부를 덮을 수 있는 신축성 수단(30)을 수반한다. 상기 신축성 수단(30)은 칼라(31)를 포함하는데, 상기 칼라의 직경은 플레이트(5)의 외측면의 직경과 일치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축 상태와 도 2의 축면(C)에 대하여 상부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지 요소(7)를 덮는 상태 사이에, 중심축(2)에 대하여 병진하도록 부착된다. 칼라(31)의 존재에 의해 통상의 원통형 전체면에 제품을 놓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제품을 위치시킬 때 기하학 및 응력을 고려하고, 이하에서는 수축 상태가 어떠한 방식으로 타이어 비드의 두 직경을 갖는 동안, 이들 기준을 지킬 수 있게 하는지 보여준다.
칼라(31)는 중심축(2)에 부착된 지지물(32)에 의해 지탱된다. 지지물(32)은 중심축(2)과 동심인 제 1 외부링(33)을 포함하는데, 상기 외부링은 수축 상태에서 칼라(31)를 덮으며, 칼라(31)는 제 1 외부링(33)과 제 2 내부링(37) 사이에 형성된 홈 안으로 활주한다.
중심축(2)과 역시 동심인 제 2 링(37)은, 본체(10)를 향하는 방향의 지지물(32) 측단에 위치하며, 칼라(31)의 안내를 돕는다.
본체(10)에 대향하는 방향의 측단에서, 지지물(32)은 중심축(2)과 동심인 원환형 실(chamber; 38)을 갖는데, 상기 원환형 실 내부에서 칼라(31)를 구동하는 피스톤(381)이 축방향으로 활주하며, 로드(39)에 의해서 연결된다. 각 로드(39)의 칼라(31)와의 연결은, 칼라(31)와 일체가 되며 칼라의 병진 안내를 보장하는 베어링(40)에 상기 로드를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로드(39)는 또한 모터에 의해 움직인다.
더우기, 드럼(1)은 두 가지 상이한 팽창 상태로 드럼(1)을 팽창시키는 수단을 갖는다. 이들 팽창 수단은 물론 상기 팽창실(17)을 포함한다.
팽창 수단은 또한, 중심축과 동축인 두 개의 제어 크라운(56, 57)을 포함하는데, 본체(10)의 세그먼트(6, 7)로 각각 이루어진 각단에 근접한 드럼(1) 본체의 축방향 외부에서 중심축(2)에 회전상태로 부착된다. 단일 크라운이 사용될 수 있지만, 두 개의 크라운을 사용하는 것이, 드럼의 양단 사이에 동시 팽창을 확보하기 위해 적합하게 선택된다.
더우기, 각 크라운(56, 57)은, 중심축(2)에 부착된 지지링에 회전상태로 부착되며 지지링과 일체가 된다. 소형이므로, 크라운(57)에 관한 지지링은 제 2 내부링(37)에 의해 형성되며, 크라운(57)과 협력하는 내부 원통형 견부(shoulder; 372)를 수반하며, 크라운(56)은 견부(362)를 대칭적으로 갖는 지지링(36)에 부착된다.
각 세그먼트(6, 7)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링(36, 37)이 가지는 반경방향으로 향하는 구멍(361, 362) 내부에, 제어 크라운(56, 57)에 의해 수반되는 캠(561, 571)과 연동하는 폴(pawl; 63, 73)을 가진다.
드럼(1)에 가능한 팽창 상태는 상기 크라운(56, 57)의 각위치(angular position)에 의존한다. 크라운(56, 57)의 회전 및 그에 따른 각위치와 캠(561, 571)의 각위치에 따라서, 폴(63, 73)은 상이한 반경방향 위치 영역을 가지며, 이에 의해서 드럼(1)의 반경방향 팽창을 제한하며, 구멍(361, 362)은 폴(63, 73)의 즉, 반경방향 세그먼트(41, 43)의 안내를 확보한다.
크라운(56, 57)의 회전 및 그 각위치의 제어는 잭에 의해 처리된다. 이들 잭은 상기 잭의 정적 상태 이외의 상태에서 동일하며, 이하 도 4에 도시한 잭(70)만을 설명한다.
잭(70)은 일측에 멈추개(stops; 711, 711´) 및 타측에 멈추개(713, 713´)에 의해 경계지어 지는 두 실(chamber)을 포함한다. 잭(70)은 또한, 단부 멈추개(701´) 및, 멈추개(713, 713´)와 협력하는 단부(702´)와 함께 피스톤(701) 내부에서 활주하는 로드(702)를 갖는 활주 피스톤(701)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701)은 또한 멈추개(711)와 협력하는 중간 멈추개(712)를 가지며, 멈추개(701´)는 멈추개(702´)와 협력한다.
따라서, 잭(70)의 실(chamber)은 공기 공급구를 통하여 각각 공급받는 상이한 구획으로 분할된다.
- 고정 멈추개(711)와 중간 멈추개(712) 사이에서 정의되는 구획(731)은 구멍(721)을 통해 공급받으며,
- 중간 멈추개(712)와 단부(702´) 사이에서 정의되는 구획(732)은 구멍(722)을 통해 공급받으며,
- 단부(702´)와 고정 멈추개(713) 사이에서 정의되는 구획(733)은 구멍(723)을 통해 공급받는다.
따라서, 잭(70)은 크라운(56)의 세 가지 각위치에 대응하는 다음 세 가지 가능한 상태를 갖는다.
- 잭(70)이 단일 구멍(721)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 복귀 상태, 이 상태에서 단부(702´)는 고정 멈추개(713) 및 단부 멈추개(701´)와 접촉하며, 상기 상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크라운(56)의 상태에 대응한다.
- 잭(70)이 구멍(721, 723)을 통해 공급받는 중간 상태, 이 상태에서 단부(702´)는 고정 멈추개(713´) 및 단부 멈추개(701´)와 접촉한다. 실(chamber) 내부의 공기압의 차이는, 그로 인해 단부(701´)가 단부(702´)를 누를 때 단부(702´)가 고정 멈추개(713´)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정도이다. 상기 상태는 도 5c 및 도 5d에 도시한 크라운(56)의 상태에 대응한다.
- 마지막으로, 잭(70)이 단일 구멍(722)을 통해 공급받는 배기 상태, 이 상태에서 단부(702´)는 고정 멈추개(713)와, 멈추개(712)는 고정 멈추개(711)와 접촉하며, 상기 상태는 도 5e 및 도 5f에 도시한 크라운(56)의 상태에 대응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Z"를 닮은 형상의 캠(561)을 도시하는데, 상기 두 개의 캠(561, 571)은 동일하며, 폴(63)에 대한 상이한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다.
- 도 5a는 드럼(1)의 수축 상태에 대응하며, 도 2의 상부에 도시한 바와 같다.
- 도 5b, 도 5c, 도 5d 및, 도 5e는 드럼(1)의 제 1 팽창 상태에 대응하며, 도 2의 우하부에 도시한 "중간 상태"에 해당한다.
- 도 5f는 드럼(1)의 최대 팽창 상태에 대응하며, 도 2의 좌하부에 도시한 "팽창 상태"에 해당한다.
크라운(56, 57)의 원주 위치는 잭(70, 71)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모터 구동 조작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반경방향 카커스 보강재를 갖는 승용차 타이어 제조 방법을 도 6a 내지 도 6h 및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상기 타이어는, 하나 이상의 보강 비드 와이어를 포함하며 카커스 보강재가 비드 와이어와 카커스 보강재 자체 사이에 배열된 접어올림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상이한 직경을 갖는 비드 및, 카커스 보강재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는 드럼(1) 및, 중심축(2)과 동축으로 축방향 이동 가능한 안내 비드 와이어(50)를 포함한다. 이들 안내 비드 와이어(50)는, 그 원주상에 분포된 물림 에지를 갖는 비드 와이어 수송링을 각각 포함하며, 드럼(1) 상의 비드 와이어의 동심적 유지를 보장한다.
처음엔,
- 드럼(1)은 수축 상태에 있으며, 팽창실(17)은 수축되어 있다.
- 칼라(31)는 제 1 링(33) 하에서 수축되어 있다.
- 잭(70, 71)은 수축 상태에 있다.
- 폴(63, 73)은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캠(58, 59) 내에서 최저부 반경방향 위치에 있다.
- 리프팅 장치(20)는 휴지 상태에 있으며, 리프팅 핑거(22)의 베어링면(221)은 수용면(3)을 연장한다.
드럼(1)의 다른 요소들을 휴지 상태로 유지하면, 칼라(31)는 베어링(40)의 안내를 받으며 병진되고, 상기 칼라는 지지 요소(7)를 덮으며 제품을 위치시키기 위한 통상의 원통형 전체면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그 후, 직물 코드(cords)의 플라이(ply)가 놓이며, 상기 플라이는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단독으로 상기 전표면 상의 카커스 보강재(A)를 이룬다.
그 후, 두 개의 고무 합성물 윤곽(profile; P´, P˝)은 수용홈(18, 19)의 축방향 위치 외부에 카커스 보강재(A)의 측단부(A´, A˝) 상에 놓인다. 이들 윤곽(P´, P˝)은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변형 단면을 가지지만, 다른 단면형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더우기, 충분히 단단한 윤곽(P´, P˝)을 갖기 위해서, 표준 ASTM:D-1646에 따라 측정한, 70 이상의 무니(Mooney) ML (1+4) 점도를 갖는 고무 합성물이 적합하게 선택된다.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핑거가 전개되고 카커스 보강재(A)에 대하여 강성 변화점을 이루는 점(R´, R˝) 둘레에 카커스 보강재(A)의 접어올림이 일어날 때, 상기 윤곽을 감싸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윤곽(P´, P˝)은 각 리프팅 장치(20)의 리프팅 핑거(22)의 베어링면(221) 상에 놓인다.
칼라(31)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39)를 구동함으로써 제 1 링(33)을 향해 수축된다. 카커스 보강재(A)가 칼라의 표면에 고착되지 않도록, 칼라의 표면이 선택되고/선택되거나 다루어진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 후, 드럼(1)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상태로 변화하며, 지지 요소(7)가 약간의 응력을 가지고 카커스 보강재의 단부(A˝)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며, 대직경측 지지 요소(6)에 놓인 단부(A´)에 더 큰 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중간 상태에서 드럼(1) 팽창의 이러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진행이 필요하다.
- 팽창실(17)은 수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변위가 일어나며, 동시에 캠(561, 571) 내에 구멍(361, 371) 내부에서 안내되는 폴(63, 73)의 도 5b에서 도시한 한계 위치로의 변위가 일어난다. 폴(63, 73)의 잠김은 본체(10)의 세그먼트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며 결과적으로 중간 상태를 규정한다.
잭(70, 71)을 중간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유체를 구멍(721, 723)을 통해 잭(70,71)에 공급함으로써, 크라운(56, 57)은 도 5c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한다. 그러면, 팽창실(17)의 공기 공급은 정지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럼(1)은 중간 상태를 유지하고 폴(63, 73)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361, 362) 내부로 재하강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기계부품 사이의 전통적인 움직임 제한 내에서 유지된다.
드럼은 중간 상태를 유지하며, 리프팅 핑거(22)는 잭(23)의 작동에 의해 전개된다. 그러면 윤곽(P´, P˝)은 상승되고 점(R´, R˝) 둘레를 구르고, 카커스 보강재(A)의 단부(A´, A˝) 또한 상승된다.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단부는 어느 표면에도 놓이지 않은 상태로 자유롭게 유지된다.
그러면, 비드 와이어(T´, T˝)를 수반하는 안내 비드 와이어(50)는, 상기 보강재가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드 와이어(T´, T˝)에 각각 접촉하게 될 때까지, 카커스 보강재(A)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전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직조된(braided)" 비드 와이어 즉, 스트랜드(strands)나 코드(cords)가 한 겹 이상 감겨있는 코어(core)에 의해 형성된 비드 와이어가 선택되었다.
도 6f에 따르면, 구동 잭(23)은 공급을 중단하고, 리프팅 핑거(22)는 복귀 벨트(27)에 의해 휴지 상태로 복귀하며, 카커스 보강재(A)의 단부(A´, A˝)는 단독으로 비드 와이어(T´, T˝)를 누른다.
그러면, 안내 비드 와이어(50)의 전진은 드럼(1)의 팽창 상태로의 팽창과 동시에 일어나고, 비드 와이어(T´, T˝)는 커커스 보강재(A)의 단부(A´, A˝)를 이끌어 도 6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곽(P´, P˝) 둘레에 접어올림부를 형성한다.
비드 와이어(T´, T˝)가 원하는 최종 상태에 대응하는 축방향 위치에 있으면, 상기 비드 와이어는 이완되고 드럼의 그 팽창 상태로의 팽창은 끝나며, 비드 와이어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위치를 고정하고, 비드 와이어(T´, T˝) 및 윤곽(P´, P˝)은 도 6h에 명백히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홈(18, 19) 내에 수용된다.
드럼(1)의 이러한 제 2 팽창은 크라운(56, 57)을 구동하는 잭(70, 71)에 의해 수행되며, 이에 의해 도 5e에 도시한 상기 잭의 배기 상태에 이르기까지 상기 크라운이 회전한다. 그러면, 팽창실(17)은 공급받고 재전개될 수 있으며, 이는 폴(63, 73)이 도 5f에 도시한 상태에 이르기까지 반경방향 변위의 새로운 자유도를 가지기 때문이며, 드럼(1)의 팽창 상태에 대응한다. 드럼을 수축시키기 위해 크라운(56, 57)을 도 5a에 도시한 각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팽창실(17)의 압력을 완화시키고 구멍(721)을 통해 잭(70, 71)에 공급함으로써 충분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드럼의 반경방향 팽창을 수행하기 위해 팽창실 이외의 요소를 상상할 수 있으며, 드럼의 반경방향 위치를 크라운의 원주 위치에 지배받도록 하는 시스템을 갖는 제어 크라운은 팽창실의 선택과는 무관하다.
타이어의 다른 제품을 살펴본다. 본 발명은 제조의 이러한 부분에는 관련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 수많은 방법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제조의 이러한 특성부에 대하여 언급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2 단계 제조 과정의 경우에 있어서, 소위 "마무리(finishing)" 드럼 상의 상이한 직경의 플랜지(flange)의 언급은 필요하다.
그 후, 타이어의 가황처리가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타이어는 상단에 최소 직경을 갖는 프레스(press)로 보내어 지고, 이러한 비대칭성을 고려하기 위해, 프레스는 상부 비드 주조를 위한 베어링 크라운을 포함하는 상판(upper bed)과 함께 사용되며, 유사한 신축성 장치가 하판(lower bed)을 갖춘다. 더우기, 타이어는 프레스에 인도되며 비대칭성에 따른 어려움 없이 주형으로부터 분리된다.

Claims (9)

  1. 중심축에 부착되고 조립되는 제품을 위한 수용면(3)을 제공하는 본체(10)를 가지며, 상기 수용면의 단부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타이어 제조용 조립 드럼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소직경측 수용면(3) 단부를 덮을 수 있는 신축성 수단(31) 및, 두 독립적 팽창 상태로 드럼(1)을 팽창시키는 수단(17, 56, 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신축성 수단은, 수축 상태와 소직경측 수용면(3) 단부를 덮는 위치 사이에서 중심축(2)에 대하여 부착된 병진성 칼라(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수단은 중심축과 동심인 하나 이상의 제어 크라운(56, 57)을 포함하며, 상기 크라운은 드럼 일단의 근처에서 드럼(1) 본체(10)의 축방향 외측에서 중심축(2)에 회전상태로 부착되고, 드럼(1)에 가능한 팽창 상태는 상기 크라운의 각위치(angular position)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4.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10)의 단부는 하나 이상의 폴(63, 73)을 제어 크라운(56, 57)이 갖는 캠(561, 571) 내부로 이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56, 57)은 중심축(2)와 동심인 링(36, 37) 상에 회전상태로 부착되며, 폴(63, 67)과 협력하는 안내 슬롯(slot; 361, 37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크라운(57)은 칼라(31)의 안내 요소(4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중심축(2) 둘레에 원주상으로 나란히 놓인 복수의 세그먼트(41, 43)를 포함하며, 각 세그먼트(41, 43)는 폴(63, 73)을 제어 크라운(56, 57)이 갖는 캠(561, 571) 내부로 이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드럼.
  8. 상이한 직경의 단부를 가지는 제 1 면을 사용하는 단계,
    제 1 면의 소직경측 단부를 덮고 통상의 원통형 전체 수용면을 생성하기 위해서, 제 1 면의 대직경측 단부에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 2 면을 상기 제 1 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카커스 보강재를 상기 전체면에 놓는 단계,
    금속 또는 고무 링형상 요소를 각각 카커스 보강재 각단에 놓는 단계,
    제 2 면을 수축시키고 제 1 면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카커스 보강재 각단을 각 관련 링형상 요소 둘레에 접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면의 팽창은 상기 제 1 면 양단 사이에 존재하는 직경의 차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19990015184A 1998-04-28 1999-04-28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조립 드럼 KR100559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5698A FR2777827A1 (fr) 1998-04-28 1998-04-28 Tambour d'assemblage pour la fabrication de pneumatiques
FR98/05698 1998-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60A true KR19990083560A (ko) 1999-11-25
KR100559064B1 KR100559064B1 (ko) 2006-03-10

Family

ID=952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184A KR100559064B1 (ko) 1998-04-28 1999-04-28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조립 드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53434B1 (ko)
JP (1) JPH11333944A (ko)
KR (1) KR100559064B1 (ko)
CN (1) CN1119233C (ko)
BR (1) BR9901406A (ko)
DE (1) DE69905965T2 (ko)
ES (1) ES2193616T3 (ko)
FR (1) FR2777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6274B1 (en) 1998-07-23 2003-01-14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tires
ATE287790T1 (de) * 2000-10-27 2005-02-15 Michelin Soc Tech Reifenaufbautrommel
ES2284942T3 (es) * 2001-11-28 2007-11-16 Bridgestone Corporation Metodo de produccion de cubiertas y maquina de moldear cubiertas.
JP4495912B2 (ja) * 2003-01-14 2010-07-07 三菱樹脂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および容器
DE102005044231A1 (de) * 2005-09-16 2007-03-29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hrzeugluftreifen mit geklemmtem Lagenumschlag
WO2013051310A1 (ja) * 2011-10-06 2013-04-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試験装置及び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試験方法
FR3043936B1 (fr) * 2015-11-25 2017-11-24 Michelin & Cie Tambour et procede d’assemblage d’un adaptateur de pneumatique sur une jante
FR3066430B1 (fr) 2017-05-22 2020-10-30 Michelin & Cie Tambour et procede d'assemblage d'un adaptateur de pneumatique sur une jante
JP6993874B2 (ja) * 2017-12-28 2022-01-14 Toyo Tire株式会社 シート部材の巻き取り方法及び巻き取り筒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5545A (en) * 1933-10-30 1936-06-23 Nat Standard Co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drum built tires
US2440662A (en) * 1945-10-31 1948-04-27 Nat Standard Co Apparatus for building tires
DE1198054B (de) * 1964-03-06 1965-08-05 Continental Gummi Werke Ag Aufbauvorrichtung fuer Rollbalgrohlinge, Reifenrohlinge oder aehnlich aufgebaute Hohlkoerperrohlinge
JPH04153028A (ja) * 1990-10-18 1992-05-26 Bridgestone Corp グリーンケース及びグリーンタイヤの製造方法
JPH10180901A (ja) * 1996-12-25 1998-07-0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5965T2 (de) 2003-11-27
CN1233554A (zh) 1999-11-03
DE69905965D1 (de) 2003-04-24
JPH11333944A (ja) 1999-12-07
EP0953434A1 (fr) 1999-11-03
CN1119233C (zh) 2003-08-27
BR9901406A (pt) 2000-03-21
KR100559064B1 (ko) 2006-03-10
ES2193616T3 (es) 2003-11-01
EP0953434B1 (fr) 2003-03-19
FR2777827A1 (fr) 199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356B1 (en) Assembly drum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EP1674248B1 (en) High crown single stage tire building drum
EP1674249B1 (en) A method of making a tire using a high crown single stage tire building drum
EP3037249B1 (en)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RU2288099C2 (ru) Барабан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н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заворота кромок вверх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вулканизованных шин
EP2698243A1 (en) Sleeveless tire building drum
CN108698347B (zh) 用于构建轮胎的工艺和成套装备
KR100559064B1 (ko)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조립 드럼
KR20100108538A (ko)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타이어 제조 드럼
WO2001008874A1 (en) Tyre assembling apparatus
JP2006168367A (ja) タイヤ製造ドラム用の交錯させられたビード固定セグメント
US68806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tires
JP4290274B2 (ja)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組立体ドラム
US64089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res
US6983782B2 (en) Assembly drum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US6615891B2 (en) Tire building drum
EP1412169B1 (en) Carcass shaping method and drum for manufacturing a tyre for vehicle wheels
EP3511157B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pneumatic tire
US200300419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tires
JP2008296553A (ja)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タイヤ成型ドラム
JP2001038821A (ja) タイヤの製造装置およびタイ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