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548A - 프로그램안내표시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램안내표시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548A
KR19990083548A KR1019990015153A KR19990015153A KR19990083548A KR 19990083548 A KR19990083548 A KR 19990083548A KR 1019990015153 A KR1019990015153 A KR 1019990015153A KR 19990015153 A KR19990015153 A KR 19990015153A KR 19990083548 A KR19990083548 A KR 19990083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rogram guide
program
displayed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모토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9008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내용을 증가시켜도 시청자에게 있어서 보기 쉽고, 또한 대량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화면에는 헤어 라인 커서가 표시되고, 시청자가 이 커서에 대하여 좌우를 지정함으로써 프로그램표가 지정 방향으로 스크롤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헤어 라인 커서로부터의 시간축 방향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표시 영역 폭을 도 3의 (b)의 대수형 비선형 변화 곡선 A를 따라 작아진다. 이 때문에, 한정된 표시 화면내에 많은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을 표시할 수 있게 되고, 시간 간격을 등간격로 하고 있던 종래의 표시에 비하여 보다 많은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축 방향의 각 표시 영역폭 사이에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고, 시청자는 위화감 없이 프로그램 선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ROGRAM GUIDE}
본 발명은 예컨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이용되고,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방송업계에서도 위성 디지털 방송이 온세계에서 개시되기 시작하였다. 이 디지털 방송의 하나의 특징으로는 다채널화가 되어, 수 100 ch의 방송이 개시되고 있다. 이 다채널화에 의해 하루종일 영화를 방송하거나, 뉴스를 방송하는 전문 채널이 증가하여, 시청자에게 있어서 선택의 여지가 증가하여 편리해졌다.
그러나, 반대로 채널 선택의 범위가 넓어짐으로써, 어떤 채널에서 어떠한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는지, 또는 방송될지를 시청자가 간단히 찾기는 쉽지 않게 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이나 미국의 위성 디지털 방송, 또는 아날로그 방송이지만 다채널화가 진행되고 있는 미국의 CATV 등에서는, 1개의 채널에 예고(preview) 채널을 설치하여 프로그램 안내용 EPG(Electric Preview Guide) 데이터를 방송하여, 여기서 각 방송국이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모두 표시하고 있다.
그 표시 방법으로는 각 채널 번호(방송국명) 표시축과 시간축의 2차원 매트릭스 중에 프로그램명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시간축 방향은, 겨우 현재의 시각에서 2시간분 정도밖에 표시하고 있지 않지만, 그 이후는 시청자에게 있어서 어떤 프로그램이 방송될지는 불분명하였다. 더욱이, 다채널화에 따라, 원래는 표시해야 할 채널수가 증가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표시 사이즈 등의 문제로부터, 1회에 표시되는 채널수는 겨우 6∼8채널 정도이고, 모든 채널의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시청자에 대하여 수많은 스크롤 조작이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및 방법에서는 시간축 방향은 2∼3시간전 까지의 정보, 채널(방송국) 표시축 방향은 6∼8채널분의 정보밖에 한번에 표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시청자에게 있어서 극히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를 시간축 방향, 채널(방송국) 표시축 방향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시 정보량을 많게할 수 있고, 또한 시청자에게 있어서 보기 쉬운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더블 윈도우 표시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모식도와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특성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더블 윈도우상에서의 EPG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모식도와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특성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EPG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모식도와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특성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의 더블 윈도우상에서의 EPG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모식도와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특성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의 EPG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모식도와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특성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6은 제5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의 더블 윈도우상에서의 EPG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6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모식도와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특성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0은 제6 실시 형태의 EPG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7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모식도와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특성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22는 제7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3은 제7 실시 형태의 더블 윈도우상에서의 EPG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제8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모식도와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특성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25는 제8 실시 형태의 EPG 표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6은 제8 실시 형태의 EPG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시간축, 채널축의 복합 비선형 처리의 EPG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안테나
12: 튜너
13, 27: 디멀티플렉서
14, 28: 비디오 디코더
15: 오디오 디코더
16, 29: 화상 처리부
17: 백엔드 프로세서
18: 디스플레이
19: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20: 스피커
21: 튜너 제어기
22: CPU
23: 리모콘
24: 적외선 수신기
25: 메인 메모리
26: 튜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이용되고, 각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이용하여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의 표시축과 시간축으로 구성된 2차원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프로그램 내용을 삽입한 프로그램 안내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서 현재 시각 또는 시청자 지정 시각의 프로그램 안내 영역을 다른 영역보다 넓게 표시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따르면, 시청자가 보고 싶은 시간 또는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의 프로그램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영역은 좁게 하여 다수의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시간 간격 또는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의 표시폭 축방향 폭에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를 갖게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게 표시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시청자는 위화감 없이 프로그램 선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를 이용한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안테나(11)로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는 튜너(12)에 입력된다. 이 튜너(12)는 시청자가 시청하는 채널을 선택한다. 채널 선택은 시청자가 리모콘을 조작함으로써 실현된다. 튜너(12)의 출력 신호는 디멀티플렉서(DMUX)(13)에 부여되고, 디멀티플렉서(13)에서는 입력 신호가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로 분할된다.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14)로 보내지고,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15)로 보내진다. 비디오 디코더(14)로 디코드된 비디오 신호는 화상 처리부(16)에서 알맞게 화상 처리된 후, 백엔드 프로세서(17)로 보내진다. 이 백엔드 프로세서(17)로부터의 출력은 디스플레이(18)에 공급되어 표시된다. 오디오 디코더(15)의 출력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19)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20)에 공급된다.
한편, EPG 표시를 행하는 경우, 튜너(12)에는 프로그램 안내용 튜너 제어기(21)가 접속되어 있고, 이 튜너 제어기(21)는 복수의 채널을 어느 일정 시간마다 선국하도록 튜너(12)에 대한 제어를 행하며, 튜너(12)는 이 제어에 따라 각 채널의 텔레비전 신호를 취입하여 이 신호를 디멀티플렉서(13)로 입력한다. 디멀티플렉서(13)에서는, 비디오 스트림과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여,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14)로 보내지고, 데이터 스트림은 CPU(22)로 보내진다.
비디오 디코더(14)에서는, MPEG 데이터의 경우, 초기의 프로그램 안내용에 I 프레임만의 디코드를 행하고, 이 디코드 결과의 화상 데이타를 화상 처리부(16)로 공급한다. 화상 처리부(16)에서는 입력 화상 데이타를 소정의 사이즈 조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백엔드 프로세서(17)로 보내어 디스플레이(18)에 표시시킨다.
시청자가 리모콘(23)으로 프로그램 안내의 지시를 수신기에 대하여 행하면, 그 지시가 리모콘(23)의 적외선 수신기(24)로부터 CPU(22)로 보내지고, CPU(22)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프로그램 안내용 EPG 데이터를 취출하여 메인 메모리(25)에 저장하며, EPG 표시 화면을 전개하여 비디오 디코더(14)로 보낸다. 이것을 받아 비디오 디코더(14)는 지금까지 송출하고 있던 채널의 통상의 표시 상태로부터 EPG 표시로 전환하여 화상 처리부(16), 백엔드 프로세서(17)를 통해 디스플레이(18)에 프로그램 안내(EPG)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를 이용한 더블 윈도우 표시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단,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여기서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안테나(11)에 야기한 텔레비전 신호는 튜너(26)에도 입력된다. 이 튜너(26)는 이전의 튜너(12)를 대신하여 백엔드 처리를 실현한다. 튜너(26)에는 프로그램 안내용 튜너 제어기(21)가 접속되어 있다. 이 튜너 제어기(21)는 복수의 채널을 어느 일정 시간마다 선국하도록 튜너(26)에 대한 제어를 행하고, 튜너(26)는 이 제어에 따라 각 채널의 텔레비전 신호를 취입하여 이 신호를 디멀티플렉서(DMUX)(27)에 입력한다. 디멀티플렉서(27)에서는 비디오 스트림과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여,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28)로 보내지고, 데이터 스트림은 CPU(22)로 보내진다.
비디오 디코더(28)에서는, MPEG 데이터의 경우, 초기의 프로그램 안내용으로 I 프레임만의 디코드를 행하고, 이 디코드 결과의 화상 데이타를 화상 처리부(29)로 공급한다. 화상 처리부(29)에서는 입력 화상 데이타를 소정 사이즈의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압축 처리를 행하여 내부 메모리에 보존된다.
시청자가 리모콘(23)으로 프로그램 안내의 지시를 수신기에 대하여 행하면, 그 지시가 리모콘(23)의 적외선 수신기(24)로부터 CPU(22)로 보내지고, CPU(22)는 백엔드 프로세서(17)에 대하여 화면 분할을 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발행하는 동시에, 화상 처리부(29)에 대하여 화상 사이즈의 세로를 절반으로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발행한다. 이 명령 발행을 받아 백엔드 프로세서(17)는 화면을 2분할하여 좌측 화면을 현재보고 있는 화상용으로 하고, 우측을 프로그램 안내용 화면으로 할당한다. 이것과 동시에 화상 처리부(16)는 디코더(14)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화상 데이타의 세로의 사이즈를 절반으로 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후, CPU(22)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프로그램 안내용 EPG 데이터를 취출하여 메인 메모리(25)에 취입하고, EPG 표시 화면을 전개하여 비디오 디코더(28)로 보낸다. 이것을 받아 비디오 디코더(28)는 지금까지 송출하던 채널의 통상의 표시 상태로부터 EPG 표시로 전환하여 화상 처리부(16), 백엔드 프로세서(17)를 통해 디스플레이(18)의 우측 화면에 EPG를 표시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EPG 표시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시에 있어서 특징으로 하는 점은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를 응용하고 있는 점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EPG 표시에 있어서, 각 표시 영역의 시간축 방향 영역 폭에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를 갖게 한다.
도 3의 (a)는 2채널이 할당된, 어느 방송국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화면의 세로 방향에 채널 번호를 배열하고, 가로 방향에 각 채널의 시간축 방향의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하는 시간(이제부터의 프로그램 내용)이라는 2차원의 표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에서 특징이 되는 점은 시간축 방향의 각 표시 영역 사이에 도 3의 (b)에 도시하는 비선형 변화를 갖게 하고 있는 점에 있다. 도 3의 (b)에는 비선형 변화의 예로서 A(1/Logm(N×T)), B(1/(N×T)), C(1/exp(N×T))가 표시되어 있지만, 도 3의 (a)에서는 곡선 A에 기초하여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곡선 B, C에 기초하여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3의 (a)에 있어서, 화면에는 헤어 라인 커서가 표시되어, 시청자가 이 커서에 대하여 좌우를 지정함으로써 프로그램표가 지정 방향으로 스크롤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헤어 라인 커서로부터 시간 방향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시간 간격이 도 3의 (b)의 곡선 A를 따라 작아진다. 이 때문에, 한정된 표시 화면내에 많은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할 수 있게 되고, 시간 간격을 등간격으로 하고 있던 종래의 표시에 비하여 보다 많은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축 방향의 각 표시 영역 사이에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를 갖게 하고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고, 시청자는 위화감 없이 프로그램 선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표시 슬롯내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수가 감소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여기서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서브 타이틀의 표시를 정지하고, 나아가서는 메인 타이틀을 요약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비선형 표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단계 S1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의 EPG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갱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시청자가 EPG 표시를 선택한 경우(단계 S2), 표시 형태의 메뉴를 표시하여(단계 S3), 시청자에게 선택하게 한다(단계 S4). 선택된 표시 형태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 루틴을 준비하고, 기점이 되는 시각(초기에는 현재 시각)을 메인 메모리(25)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5), 도 3의 (a)과 같이 헤어 라인 커서로 기점의 시간을 표시한다(단계 S6). 또한, 초기치는 현재의 시간으로 한다.
한편, 각 프로그램의 개시 시간을 EPG 데이터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7), 이 개시 시간 T=Ts에 대하여 우선, 현재의 시간 T=T1과의 차분(Td)으로서 하기 수학식 1을 구한다.
Td=Ts-T1
다음에 EPG 표시 화면 사이즈(DS)를 구한다(단계 S8). 이 조작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더블 윈도우 시스템 등의 고기능을 갖는 TV 수신기의 경우, 도 3의 (a)와 같이 EPG 표시 화면을 모든 화면에 나타낼 필요도 없고, 좌우 어느 한쪽의 화면에 대해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5에 더블 윈도우의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A∼E는 채널(방송국명)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Td 및 DS를 구한 후, 예컨대, 시청자가 비선형으로 변화하는 대수 함수(Log) 표시를 선택한 경우, 어떤 프로그램의 상대 표시 사이즈(Px)를 이하의 연산에 의해 산출한다(단계 S9). 단, 여기서는 대수 함수 Log의 베이스 m을 10으로 하고, 계수 N을 동일하게 10으로 한다.
Px=DS/Max(Pixel Number)×(1/Log10(N×Td))
(단, Pixel Number는 1라인 내에서의 유효 표시 화소수)
예컨대, 여기서, EPG의 모든 화면 표시의 경우에, 1시간후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의 경우는, 그 개시 위치는 하기 수학식 3이 되고, 또 2시간후의 경우는 하기 수학식 4가 된다.
Px=1×(1/Log10(10))=1
Px=1×(1/Log10(20))=0.77
다음에 프로그램 안내 표시의 시간축 방향의 실제의 사이즈를 기본 사이즈(Psz)를 이용하여 구한다(단계 S10). 예컨대 200 Pixel로 했을 경우, 2시간후의 프로그램의 안내 표시 영역의 시간축 방향의 기본 사이즈는 하기 수학식 5가 된다.
Pu=Px×Psz=0.77×200=154
다음에, 수학식 5에서 구해진 프로그램 안내 표시 사이즈를 기초로 어느 정도의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속에 넣는 것이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필요한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표시한다. 이하에 이 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EPG 데이터내의 프로그램명 등의 문자 정보를 독출하여(단계 S11), 그 프로그램명의 문자수 Pc를 카운트하고(단계 S12), 계속해서 서브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의 문자수 Pg를 카운트한다(단계 S13). 이 때, 단계 S12에서 카운트된 문자수에 대하여 수학식 5의 사이즈로부터 표시 문자수의 체크를 행한다.
이 방법은 우선, 문자 사이즈가 고정인 경우는, 문자의 X 방향(EPG 표시상에서의 시간 방향에 상당)의 화소 사이즈(Cs)를 조사하고(단계 S14), 만일 문자 사이에 갭(공백) Gp가 필요한 경우, 그 갭도 포함시킨 1문자 Cp의 X 방향의 사이즈를 하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구한다(단계 S14).
Cp=Cs+Gp
이 수학식 6에서 구해진 문자 사이즈를 수학식 5에서 구해진 표시 사이즈에 대하여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제산에 의해 표시 가능한 문자수 CC를 구한다(단계 S15).
CC=Pu/Cp
이 수학식 7에서 구해진 표시 가능 문자수 CC에 대하여 Pc 및 Pc+Pg와의 문자수를 비교하여(단계 S16, S17, S18), 표시 내용을 결정한다(단계 S19, S20, S21). 결정 방식의 일례로서는
단계 S16, S19:
If((CC>=(Pc+Pg))
Then 모든 문자 표시
단계 S17, S20:
If((CC<(Pc+Pg))&&(CC>=PC))
Then 프로그램명만 표시
단계 S18, S21:
If(CC<Pc)
Then 문자 표시 없음 등이 있다.
여기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문자 표시 처리가 완료했는지 체크하고, 완료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단계 S7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단계를 실행한다(단계 S22).
상기 처리 플로우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종래의 EPG 표시와 달리, 시간 방향에 대하여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를 가변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친 프로그램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를 갖게 하고 있기 때문에, 시청자는 위화감 없이 시청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기술한다.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문자의 사이즈가 가변인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을 시간 방향만의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한 경우에, 또한 문자 사이즈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에 연동하여 가변시킨 경우의 모식도((a)는 표시예, (b)는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곡선의 예)를 나타내고, 도 7은 비선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7의 단계 S31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의 EPG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갱신, 저장한다. 여기서 시청자가 EPG 표시를 선택한 경우(단계 S32), 표시 형태의 메뉴를 표시하여(단계 S33), 시청자에게 선택을 하게 한다(단계 S34). 선택된 표시 형태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 루틴을 준비하고, 기점이 되는 시각(초기는 현재의 시각)을 메인 메모리(25)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35), 도 6의 (a)와 같이 헤어 라인 커서로 기점의 시간을 표시한다(단계 S36). 또한 초기치는 현재의 시간으로 한다.
한편, 각 프로그램의 개시 시간을 EPG 데이터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37), 이 개시 시간 T=Ts에 대하여, 우선, 현재의 시간 T=T1과의 차분(Td)으로서 하기 수학식 8을 구한다.
Td=Ts-T1
다음에 EPG 표시 화면 사이즈(DS)를 구한다(단계 S38). 이 조작은 예컨대 더블 윈도우 시스템 등의 표시 기능을 갖는 TV 수신기의 경우, 어느 한쪽 화면에 대하여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8에는 모든 화면을 EPG 표시용으로 반투명 처리를 이용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Td 및 DS를 구한 후, 예컨대, 시청자가 대수 함수 Log 표시를 선택한 경우(도 6의 (b)의 곡선 A), 어떤 프로그램의 상대 표시 사이즈(Px)를 이하의 연산에 의해 산출한다(단계 S39). 단, 여기서는 대수 함수 Log의 베이스 m을 10으로 하고, 계수 N을 동일하게 10으로 한다.
Px=DS/Max(Pixel Number)×(1/Log10(Nx Td))
(단, Pixel Number는 1라인내에서의 유효 표시 화소수)
예컨대, EPG를 모든 화면 표시의 경우에, 1시간후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의 경우는 그 개시 위치는 하기 수학식 10이 되고, 또 3시간후의 경우는 하기 수학식 11이 된다.
Px=1×(1/Log10(10))=1
Px=1×(1/Log10(30))=0.68
다음에 프로그램 안내 표시의 시간축 방향의 실제 사이즈를 기본 사이즈(Psz)를 이용하여 구한다(단계 S40). 예컨대 200 Pixel로 했을 경우, 2시간후의 프로그램의 안내 표시 영역의 시간축 방향의 기본 사이즈는 하기 수학식 12가 된다.
Pu=Px×Psz=0.68×200=135
다음에, 수학식 12에서 구해진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를 기초로 어느 정도의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속에 넣을 필요가 있는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문자 사이즈를 변경하여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표시한다. 이하에 이 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EPG 데이터내의 프로그램명 등의 문자 정보를 독출하여(단계 S41), 그 프로그램명의 문자수 Pc를 카운트하고(단계 S42), 계속해서 서브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의 문자수 Pg를 카운트한다(단계 S43). 여기서, 표시 문자수의 총 수를 산출하여(단계 S44), 그 각각의 문자수와 수학식 12에서 구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로부터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
이 결정 방법은 우선, 표시 문자수로서 Pc 또는 Pg에서의 문자수가 많은 쪽을 선택한다. 선택된 문자수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 Pu를 하기 수학식 13과 같이 제산한다(단계 S45).
Fsz=Pu/Max(Pc|Pc+Pg))
이 Fsz에 대하여 우선, 메인 메모리(25)내에 저장되어 있는 최소 문자 사이즈의 임계치(Fmin)에 비하여(단계 S46), 이 Fmin보다 큰 경우, Fsz에 가장 가까운 문자 폰트 사이즈로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47), 만일, 여기서, 임계치 Fmin보다 Fsz가 작은 경우, 우선, Pc와 Pg를 비교하여, Pc 쪽이 작은 경우, 하기 수학식 14를 이용하여 다시 Fsz를 구한다(단계S48, S49).
Fsz=Pu/Pc
여기서 Pc를 선택하고 있는 이유는 시청자에게 있어서 프로그램명이 서브 타이틀 등의 프로그램 부가 정보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시, Fsz와 Fmin을 비교하여(단계 S46), 만일, Fsz가 Fmin보다 큰 경우, Fsz에 가장 가까운 작은 쪽의 문자 폰트 사이즈로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47).
만일, 단계 S46에서, 아직 Fsz가 Fmin보다 작은 경우, 이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에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단념하고, 문자 표시 없음으로 한다(단계 S50).
여기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문자 표시 처리가 완료했는지 체크하고, 완료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단계 S37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단계를 실행한다(단계 S51).
상기의 처리 플로우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을 시간 방향만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한 경우에, 문자 사이즈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에 연동하여 가변시키고 있기 때문에, 표시 슬롯이 작아져도 표시 문자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시청자에 의해 대부분의 프로그램 안내를 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기술한다. 여기서는 비선형 처리에 의한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시간 방향으로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하고, 또 표시 문자수를 가변시킨 경우의 모식도((a)는 표시예, (b)는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곡선과 EPG 표시 슬롯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를 나타내고, 도 10은 비선형 처리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며, 도 11은 같은 처리를 더블 윈도우 표시에 적용시킨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단계 S61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의 EPG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갱신, 저장한다. 여기서 시청자가 EPG 표시를 선택한 경우(단계 S62), 표시 형태의 메뉴를 표시하여(단계 S63), 시청자에게 선택을 하게 한다(단계 S64). 선택된 표시 형태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 루틴을 준비하고, 기점이 되는 시각(초기는 현재의 시각) T0을 메인 메모리(25)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65), 도 9의 (a)와 같이 헤어 라인 커서로 기점의 시간을 표시한다(단계 S66). 또한, 초기치는 현재의 시간으로 한다.
한편, 각 프로그램의 개시 시간 Ts를 EPG 데이터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67), 비선형 처리 루틴으로 넘긴다(단계 S68). 비선형 처리 루틴에서는 대수 함수 Logm(T)(단, 대수 함수 Log의 베이스 m은 임의의 값이고, 계수 N도 임의의 값임)를 독출하여(단계 S69), 수학식 15에 따라 각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 St를 검출하고(단계 S70), 모든 St에 대해서 검출될 때까지 단계 S67∼S70을 반복 실행한다(단계 S71).
St=Logm(N(Ts-T0))
이 수학식 15에서 구해진 표시 개시 위치와 시간의 관계는 도 9의 (b)의 경우와 같이 대수 함수 Log가 된다.
다음에, 수학식 11에서 구해진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기초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를 구하여, 또 어느 정도의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속에 넣는 것이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필요한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표시한다. 이하에 이 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최초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와 다음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 St1을 이용하여 그 차분으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 Pu를 구한다(단계 S72).
Pu=St1-St0
또, EPG 데이터내의 프로그램명 등의 문자 정보를 독출하여(단계 S73), 그 프로그램명의 문자수 Pc를 카운트하고(단계 S74), 계속해서 서브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의 문자수 Pg를 카운트한다(단계 S75). 우선 단계 S73에서 카운트된 문자수에 대하여, 수학식 16의 사이즈로부터 표시 문자수의 체크를 행한다. 이 방법은 우선, 문자 사이즈가 고정인 경우는, 문자의 X 방향(EPG 표시상에서의 시간 방향에 상당)의 화소 사이즈(Cs)를 조사하여(단계 S76), 만일 문자 사이에 갭(공백) Gp가 필요한 경우, 그 갭도 포함시킨 1문자 Cp의 X 방향의 사이즈를 하기 수학식 17을 이용하여 구한다(단계 S77).
Cp=Cs+Gp
이 수학식 17에서 구해진 문자 사이즈를 수학식 16에서 구해진 표시 사이즈에 대하여 수학식 18과 같이 제산함으로써, 표시 가능한 문자수 CC를 구한다(단계 S78).
CC=Pu/Cp
이 수학식 18에서 구해진 표시 가능 문자수 CC에 대하여 Pc 및 Pc+Pg와의 문자수를 비교하여(단계 S79, S81, S83), 표시 내용을 결정한다(단계 S80, S82, S84). 결정 방식의 일례로서는
단계 S79, S80:
If(CC>=Pc+Pg))
Then 모든 문자 표시
단계 S81, S82:
If((CC<(Pc+Pg)&&(CC>=Pc))
Then 프로그램명만 표시
단계 S83, S84:
If(CC<Pc)
Then 문자 표시 없음 등이 있다.
여기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문자 표시 처리가 완료했는지 체크하고, 완료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단계 S67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단계를 실행한다(단계 S85).
상기 처리 플로우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시간 방향으로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하고, 또 표시 문자수를 가변시키고 있기 때문에, 표시 슬롯의 크기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기 쉬운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기술한다. 여기서는 비선형 처리에 의한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하고, 또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에 의해 표시 문자 사이즈를 가변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표시의 개시 위치를 시간 방향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한 경우로 또한 문자 사이즈를 가변시킨 경우의 EPG 표시의 양식도((a)는 표시예, (b)는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곡선과 EPG 표시 슬롯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를 나타내고, 도 13은 비선형 처리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며, 도 14는 와이드 화면에서의 투과에 의한 EPG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의 단계 S91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의 EPG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갱신, 저장한다. 여기서 시청자가 EPG 표시를 선택한 경우(단계 S92), 표시 형태의 메뉴를 표시하여(단계 S93), 시청자에게 선택을 하게 한다(단계 S94). 선택된 표시 형태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 루틴을 준비하고, 기점이 되는 시각(초기는 현재의 시각) T0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95), 도 12의 (a)와 같이 헤어 라인 커서로 기점의 시간을 표시한다(단계 S96). 또한, 초기치는 현재의 시간으로 한다.
한편, 각 프로그램의 개시 시간 Ts를 EPG 데이터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97), 비선형 처리 루틴으로 넘긴다(단계 S98). 비선형 처리 루틴에서는, 대수 함수 Logm(T)(단, 대수 함수 Log의 베이스 m은 임의의 값이고, 계수 N도 임의의 값임)를 독출하여(단계 S99), 상기 수학식 15에 따라 각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 St를 검출하고(단계 S100), 모든 St에 관하여 검출이 완료할 때까지 단계 S97∼S100을 반복한다(단계 S101).
St=Logm(N(Ts-T0))
이 수학식 19에서 구해진 표시 개시 위치와 시간의 관계는 도 12의 (b)와 같이 대수 함수 Log가 된다.
다음에, 수학식 19에서 구해진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기초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를 구하여, 또 표시 문자수의 총계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속에 넣기 위해서 문자 사이즈를 산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필요한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표시한다. 이하에 이 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최초에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 St0과 다음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 St1을 이용하여 그 차분으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 Pu를 구한다(단계 S102).
Pu=St1-St0
다음에 EPG 데이터내의 프로그램명 등의 문자 정보를 독출하여(단계 S103), 그 프로그램명의 문자수 Pc를 카운트하고(단계 S104), 계속해서 서브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의 문자수 Pg를 카운트한다(단계 S105). 여기서, 표시 문자수의 총수를 산출하여(단계 S106), 그 각각의 문자수와 수학식 20에서 구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로부터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
이 결정 방법은 우선, 표시 문자수로서 Pc 또는 Pg에서의 문자수가 많은 쪽을 선택한다. 선택된 문자수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 Pu를 수학식 21과 같이 제산한다(단계 S107).
Fsz=Pu/(Max(Pc|(PC+Pg)))
이 Fsz에 대하여 우선, 메인 메모리(25)내에 저장되어 있는 최소 문자 사이즈의 임계치(Fmin)에 비하여(단계 S108), 이 Fmin보다 큰 경우, Fsz에 가장 가까운 작은 쪽의 문자 폰트 사이즈로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109). 만일, 여기서, 임계치 Fmin보다 Fsz가 작은 경우, 우선, Pc와 Pg를 비교하여 Pc가 Pg보다 작은 경우, 수학식 22를 이용하여 다시 Fsz를 구한다(단계 S110, S111).
Fsz=Pu/Pc
여기서 Pc를 선택하고 있는 이유는 프로그램명이 서브 타이틀 등의 프로그램 부가 정보보다 시청자에게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시, Fsz과 Fmin을 비교하여(단계 S112), 만일, Fsz 쪽이 Fmin보다 큰 경우, Fsz에 가장 가까운 작은 쪽의 문자 폰트 사이즈로 문자라고 표시한다(단계 S113).
만일, 단계 S112에서, 아직 Fsz 쪽이 Fmin보다 작은 경우, 이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에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단념하고, 문자 표시 없음으로 한다(단계 S114).
여기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문자 표시 처리가 완료했는지 체크하고, 완료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단계 S97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단계를 실행한다(단계 S115).
상기 처리 플로우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시간 방향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한 경우에, 문자 사이즈를 가변하여 EPG 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이 작아져도 많은 프로그램 안내를 제시할 수 있다.
다음에 제5 실시 형태로서, 채널(방송국) 표시축 방향에 있어서의 비선형 처리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를 채널(방송국) 방향만의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한 경우에,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에 의해, 표시 문자수를 동적으로 변화시킨 경우의 모식도((a)는 표시예, (b)는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곡선의 예)를 나타내고, 도 16은 비선형 처리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며, 도 17은 같은 처리를 더블 윈도우 표시에 적용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16의 단계 S121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의 EPG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갱신, 저장한다. 여기서 시청자가 EPG 표시를 선택한 경우(단계 S122), 표시 형태의 메뉴를 표시하여(단계 S123), 시청자에게 선택을 하게 한다(단계 S124). 선택된 표시 형태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 루틴을 준비하고, 또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방송국)을 기점으로 하여(단계 S125), 도 15의 (a) 또는 도 17과 같이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의 표시 영역을 하이라이드로 표시한다(단계 S126).
한편, 각 수신 가능한 채널 번호를 EPG 데이터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127), 이 채널 번호(Cn)에 대하여, 우선, 현재 수신중인 채널의 채널 번호 또는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채널 번호(Cp)와의 차분의 절대치(Cd)로서 하기 수학식 23을 구한다.
Cd=abs(Cs-Cn)
다음에 EPG 표시 화면 사이즈(DS)를 구한다(단계 S128). 이 조작은 예컨대 더블 윈도우 시스템 등의 고기능을 갖는 TV 수신기의 경우, 도 15의 (a)와 같이 EPG 표시 화면을 모든 화면에 나타낼 필요도 없고, 어느 한쪽 화면에 대하여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7은 그 더블 윈도우에서의 EPG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Cd 및 DS를 구한 후, 예컨대, 시청자가 대수 함수 Log 표시를 선택한 경우, 어떤 프로그램의 상대 표시 사이즈(Px)를 이하의 연산에 의해 산출한다(단계 S129). 단, 여기서는 Log의 베이스 m을 10으로 하고, 계수 N을 동일하게 10으로 한다.
Px=DS/Max(Pixel Number)×(1/Log10(N×Cd))
(단, Pixel Number는 1라인내에서의 유효 표시 화소수)
예컨대, 여기서, EPG의 모든 화면 표시의 경우에, 옆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의 경우는, 그 개시 위치는 하기 수학식 25가 되고, 또 2개 옆의 경우는 하기 수학식 26이 된다.
Px=1×(1/Log10(10))=1
Px=1×(1/Log10(20))=0.77
다음에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채널 표시축 방향의 사이즈를 기본 사이즈(Psz)를 이용하여 구한다(단계 S130). 예컨대 200 Pixel로 한 경우, 2개 옆의 프로그램의 채널(방송국)의 안내 표시 영역의 기본 사이즈는 하기 수학식 27이 된다.
Pu=Px×Psz=0.77×200=154
다음에, 상기 수학식 27에서 구해진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를 기초로 어느 정도의 문자를 그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속에 넣는 것이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필요한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표시한다. 이하에 이 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EPG 데이터내의 프로그램명 등의 문자 정보를 독출하여(단계 S131), 그 프로그램명의 문자수 Pc를 카운트하고(단계 S132), 계속해서 서브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의 문자수 Pg를 카운트한다(단계 S133). 우선 단계 S132에서 카운트된 문자수에 대하여 수학식 5의 사이즈로부터 표시 문자수의 체크를 행한다.
이 방법은 우선, 문자 사이즈가 고정인 경우는, 문자의 X 방향(EPG 표시상에서의 시간 방향에 상당)의 화소 사이즈(Cs)를 조사하여(단계 S134), 만일 문자 사이에 갭(공백) Gp가 필요한 경우, 그 갭도 포함시킨 1문자 Cp의 X 방향의 사이즈를 수학식 6을 이용하여 구한다(단계 S134).
Cp=Cs+Gp
이 수학식 28에서 구해진 문자 사이즈를 수학식 27에서 구해진 표시 사이즈에 대하여 수학식 29와 같이 제산함으로써 표시 가능한 문자수 CC를 구한다(단계 S135).
CC=Pu/Cp
이 수학식 29에서 구해진 표시 가능 문자수 CC에 대하여 Pc 및 Pc+Pg와의 문자수를 비교하여(단계 S136, S138, S140), 표시 내용을 결정한다(단계 S137, S139, S141). 결정 방식의 일례로서는
단계 S136, S137:
If(CC>=Pc+Pg))
Then 모든 문자 표시
단계 S138, S139:
If((CC<(Pc+Pg))&&(CC>=Pc))
Then 프로그램명만 표시
단계 S140, S141:
If(CC<Pc)
Then 문자 표시 없음 등이 있다.
여기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문자 표시 처리가 완료했는지 체크하고, 완료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단계 S127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단계를 실행한다(단계 S142).
상기 처리 플로우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종래의 EPG 표시와 달리, 채널(방송국)축 방향에 대하여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가 가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채널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기술한다. 여기서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문자의 사이즈가 가변인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을 시간 방향만의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한 경우에, 또한 문자 사이즈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에 연동하여 가변시킨 경우의 모식도((a)는 표시예, (b)는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곡선의 예)를 나타내고, 도 19는 비선형 처리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며, 도 20은 와이드 화면에서의 반투과 처리에 의한 EPG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19의 단계 S151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의 EPG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갱신, 저장한다. 여기서 시청자가 EPG 표시를 선택한 경우(단계 S152), 표시 형태의 메뉴를 표시하여(단계 S153), 시청자에게 선택을 하게 한다(단계 S154). 선택된 표시 형태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 루틴을 준비하고, 또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방송국)을 기점으로 하여(단계 S155), 도 18의 (a)와 같이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의 표시 영역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단계 S156).
한편, 각 수신 가능한 채널 번호를 EPG 데이터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157), 이 채널 번호(Cn)에 대하여 우선, 현재 수신중인 채널의 재널 번호 또는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번호(q)와의 차분의 절대치(Cd)로서 하기 수학식 30을 구한다.
Cd=abs(Cp-Cn)
다음에 EPG 표시 화면 사이즈(DS)를 구한다(단계 S158). 이 조작은 예컨대 더블 윈도우 시스템 등의 고기능을 갖는 TV 수신기의 경우, 어느 한쪽 화면에 대하여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20에는 모든 화면을 EPG 표시용으로 반투명 처리를 이용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Td 및 DS를 구한 후, 예컨대, 시청자가 대수 함수 Log 표시를 선택한 경우, 어떤 프로그램의 상대 표시 사이즈(Px)를 이하의 연산에 의해 산출한다(단계 S159). 단, 여기서는 대수 함수 Log의 베이스 m을 10으로 하고, 계수 N을 동일하게 10으로 한다.
Px=DS/Max(Pixel Number)×(1/Log10(N×Cd))
(단, Pixel Number는 1라인내에서의 유효 표시 화소수)
예컨대, 여기서, EPG의 모든 화면 표시의 경우에, 바로 옆의 채널(방송국)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의 경우는, 그 개시 위치는 하기 수학식 32가 되고, 또 3개 옆의 경우는 하기 수학식 33이 된다.
Px=1×(1/Log10(10))=1
Px=1×(1/Log10(30))=0.68
다음에,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채널 번호(방송국명) 표시축 방향의 사이즈를 기본 사이즈(Psz)를 이용하여 구한다(단계 S160). 예컨대 200 Pixel로 한 경우, 2개 옆의 채널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기본 사이즈는 하기 수학식 34가 된다.
Pu=Px×Psz=0.68×200=135
다음에, 수학식 12에서 구해진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를 기초로 어느 정도의 문자를 그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속에 넣을 필요가 있는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문자 사이즈를 변경하여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표시한다. 이하에 이 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EPG 데이터내의 프로그램명 등의 문자 정보를 독출하여(단계 S161), 그 프로그램명의 문자수 Pc를 카운트하고(단계 S162), 계속해서 서브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의 문자수 Pg를 카운트한다(단계 S163). 여기서, 표시 문자수의 총 수를 산출하여(단계 S164), 그 각각의 문자수와 수학식 12에서 구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로부터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
이 결정 방법은, 우선, 표시 문자수로서 Pc 또는 Pg에서의 문자수가 많은 쪽을 선택한다. 선택된 문자수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 Pu를 수학식 13과 같이 제산한다(단계 S165).
Fs=pu/(Max(pc|Pc+Pg))
이 Fsz에 대하여 우선, 메인 메모리(25)내에 저장되어 있는 최소 문자 사이즈의 임계치(Fmin)와 비교하여(단계 S166), 이 Fmin보다 큰 경우, Fsz에 가장 가까운 작은 쪽의 문자 폰트 사이즈로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167). 만일, 여기서, 임계치 Fmin보다 Fsz가 작은 경우, 우선, Pc와 Pg를 비교하여 Pc가 Pg보다 작은 경우, 수학식 14를 이용하여 다시 Fsz를 구한다(단계 S168, S169)
Fsz=Pu/Pc
여기서 Pc를 선택하고 있는 이유는 프로그램명이 서브 타이틀 등의 프로그램 부가 정보보다 시청자에게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시, Fsz와 Fmin을 비교하여(단계 S166), 만일, Fsz가 Fmin보다 큰 경우, Fsz에 가장 가까운 작은 쪽의 문자 폰트 사이즈로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167).
만일, 단계 S166에서, 아직 Fsz가 Fmin보다 작은 경우, 이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에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단념하고, 문자 표시 없음으로 한다(단계 S170).
여기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문자 표시 처리가 완료했는지 체크하고, 완료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단계 S155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단계를 실행한다(단계 S171).
상기 처리 플로우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를 시간 방향만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한 경우에, 문자 사이즈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에 연동하여 가변시키고 있기 때문에, 표시 슬롯이 좁아져도 많은 프로그램 안내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기술한다. 여기서는 비선형 처리에 의한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채널 번호 표시 스크롤 방향으로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하고, 또 표시 문자수를 가변시킨 경우의 모식도((a)는 표시예, (b)는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곡선과 EPG 표시 슬롯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를 나타내고, 도 22는 비선형 처리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며, 도 23은 같은 처리를 더블 윈도우 표시에 적용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22의 단계 S181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의 EPG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갱신, 저장한다. 여기서 시청자가 EPG 표시를 선택한 경우(단계 S182), 표시 형태의 메뉴를 표시하여(단계 S183), 시청자에게 선택을 하게 한다(단계 S184). 선택된 표시 형태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 루틴을 준비하고, 또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방송국)을 기점(Cn)으로 하여(단계 S185), 도 21의 (a)와 같이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 표시 영역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단계 S186).
한편, 각 수신 가능한 채널 번호를 EPG 데이터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187), 비선형 처리 루틴으로 넘긴다(단계 S188). 비선형 처리 루틴에서는, 대수 함수 Logm(Cd)(단, Log의 베이스 m은 임의의 값이고, 계수 N도 임의의 값임)를 독출하여(단계 S189), 하기 수학식 37에 따라 각 채널(방송국) Cp의 표시 개시 위치 St를 검출하고(단계 S190), 모든 St가 검출될 때까지 단계 S187∼S190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St=Logm(N(abs(Cp-Cn)))
이 수학식 37에서 구해진 표시 개시 위치와 시간의 관계는 도 21의 (b)와 같이 대수 함수 Log가 된다.
다음에, 수학식 37에서 구해진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기초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를 구하여, 또 어느 정도의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속에 넣는 것이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필요한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표시한다. 이하에 이 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 St0과 다음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 St1을 이용하여 그 차분으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 Pu를 구한다(단계 S192).
Pu=St1-St0
또, EPG 데이터내의 프로그램명 등의 문자 정보를 독출하여(단계 S193), 그 프로그램명의 문자수 Pc를 카운트하고(단계 S194), 계속해서 서브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의 문자수 Pg를 카운트한다(단계 S195). 우선 단계 S193에서 카운트된 문자수에 대하여 수학식 16의 사이즈로부터 표시 문자수의 체크를 행한다.
이 방법은, 우선, 문자 사이즈가 고정인 경우는, 문자의 X 방향(EPG 표시상에서의 시간 방향에 상당)의 화소 사이즈(Cs)를 조사하여(단계 S196), 만일 문자 사이에 갭(공백) Gp가 필요한 경우, 그 갭도 포함시킨 1문자 Cp의 X 방향의 사이즈를 수학식 17을 이용하여 구한다(단계 S197).
Cp=Cs+Gp
이 수학식 39에서 구해진 문자 사이즈를 수학식 38에서 구해진 표시 사이즈에 대하여 수학식 40과 같이 제산함으로써 표시 가능한 문자수 CC를 구한다(단계 S198).
CC=Pu/Cp
이 수학식 40에서 구해진 표시 가능 문자수 CC에 대하여 Pc 및 Pc+Pg와의 문자수를 비교하여(단계 S199, S201, S203), 표시 내용을 결정한다(단계 S200, S202, S204). 결정 방식의 일례로서는
단계 S199, S200:
If(CC>=(Pc+Pg))
Then 모든 문자 표시
단계 S201, S202:
If((CC<(Pc+Pg))&&(CC>=Pc))
Then 프로그램명만 표시
단계 S203, S204:
If(CC<Pc)
Then 문자 표시 없음 등이 있다.
여기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문자 표시 처리가 완료했는지 체크하고, 완료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단계 S187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단계를 실행한다(단계 S205).
상기 처리 플로우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채널 방향으로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하는 경우에, 표시 문자수를 가변시키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에 따라 시각적으로 적절한 프로그램 안내를 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를 기술한다. 여기서는 비선형 처리에 의한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하고, 또 프로그램 안내 표시 사이즈에 의해 표시 문자 사이즈를 가변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채널 방향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한 경우에 또한 문자 사이즈를 가변시킨 경우의 EPG 표시의 모식도((a)는 표시예, (b)는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 곡선과 EPG 표시 슬롯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를 나타내고, 도 25는 비선형 처리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며, 도 26은 같은 처리를 더블 윈도우 표시에 적용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25의 단계 S211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의 EPG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갱신, 저장한다. 여기서 시청자가 EPG 표시를 선택한 경우(단계 S212), 표시 형태의 메뉴를 표시하여(단계 S213), 시청자에게 선택을 하게 한다(단계4). 선택된 표시 형태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 루틴을 준비하고, 또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방송국)을 기점(Cn)으로 하여(단계 S215), 도 24와 같이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 표시 영역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단계 S216).
한편, 각 수신 가능한 채널 번호를 EPG 데이터로부터 독출하여(단계 S217), 비선형 처리 루틴으로 넘긴다(단계 S218). 비선형 처리 루틴에서는, Logm(Cd)(단, 대수 Log의 베이스 m은 임의의 값이고, 계수 N도 임의의 값임)를 독출하여(단계 S219), 하기 수학식 41에 따라, 각 채널(방송국) Cp의 표시 개시 위치 St를 검출하고(단계 S220), 모든 St를 검출할 때까지 단계 S217∼S220을 반복 실행한다(단계 S221).
St=Logm(N(abs(Cp-Cn)))
이 수학식 41에서 구해진 개시 위치와 시간의 관계는 도 24와 같이 대수 함수 Log가 된다.
다음에, 수학식 19에서 구해진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기초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사이즈를 구하여, 또 표시 문자수의 총계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사이즈 속에 넣기 위해서 문자 사이즈를 산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필요한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표시한다. 이하에 이 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최초에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 St0과 다음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 St1을 이용하여 그 차분으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 Pu를 구한다(단계 S222).
Pu=St1-St0
다음에 EPG 데이터내의 프로그램명 등의 문자 정보를 독출하여(단계 S223), 그 프로그램명의 문자수 Pc를 카운트하고(단계 S224), 계속해서 서브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의 문자수 Pg를 카운트한다(단계 S225). 여기서, 표시 문자수의 총 수를 산출하여(단계 S226), 그 각각의 문자수와 수학식 20에서 구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로부터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
이 결정 방법은 우선, 표시 문자수로서 Pc 또는 Pg에서의 문자수가 많은 쪽을 선택한다. 선택된 문자수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 사이즈 Pu를 하기 수학식 43과 같이 제산한다(단계 S227).
Fsz=pu/(Max(pc|(Pc+Pg)))
이 Fsz에 대하여 우선, 메인 메모리(25)내에 저장되어 있는 최소 문자 사이즈의 임계치(Fmin)와 비교하여(단계 S228), 이 Fmin보다 큰 경우, Fsz에 가장 가까운 작은 쪽의 문자 폰트 사이즈로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229). 만일, 여기서, 임계치 Fmin보다 Fsz이 작은 경우, 우선, Pc와 Pg를 비교하여(단계 S230), Pc가 Pg보다 작은 경우, 수학식 43을 이용하여 다시 Fsz를 구한다(단계 S231).
Fsz=Pu/Pc
여기서 Pc를 선택하고 있는 이유는 프로그램명이 서브 타이틀 등의 프로그램 부가 정보보다 시청자에게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시, Fsz와 Fmin을 비교하여(단계 S232), 만일, Fsz가 Fmin보다 큰 경우, Fsz에 가장 가까운 문자 폰트 사이즈로 문자를 표시한다(단계 S233). 만일, 단계 S232에서, 아직 Fsz가 Fmin보다 작은 경우, 이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에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단념하고, 문자 표시 없음으로 한다(단계 S234).
여기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문자 표시 처리가 완료했는지 체크하고, 완료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단계 S215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단계를 실행한다(단계 S235).
상기 처리 플로우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EPG 표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개시 위치를 채널 방향에 대하여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신축한 경우에, 문자 사이즈를 가변시키고 있기 때문에, 표시 슬롯이 좁아져도 많은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27과 같이 시간축과 채널(방송국) 표시축의 양쪽에 비선형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또, 예컨대, 문자 사이즈를 가변시키는 경우, 프로그램명의 폰트 사이즈와 서브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의 문자 사이즈를 별도의 사이즈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채널화된 방송의 EPG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현재의 시각에서 2∼3시간이라는 부근의 프로그램 안내뿐만 아니라, 반나절 이상 떨어진 시간의 프로그램 정보로서의 EPG 표시도 가능해지고, 또 비선형 처리에 의해, 시청자가 알기 쉬운 EPG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EPG 표시 슬롯의 시간축에 대하여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에 가깝거나, 또는 시간축에서의 1/T에 의한 비선형 변화 비선형 처리를 행하고, 채널(방송국) 표시축 방향에서도, 동일하게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에 가까운, 또는 각 채널의 표시축 방향의 폭 사이에 대수형의 비선형 변화를 갖게 하여 표시 내용을 증가시켜도 시청자에게 있어서 보기 쉽고, 또 시청자에게 있어서 대량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이용되고, 1 또는 2 이상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이용하여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의 표시축과 시간축으로 구성된 2차원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프로그램 내용을 삽입한 프로그램 안내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서 현재 시각 또는 시청자 지정 시각의 프로그램 안내 영역을 다른 영역보다 넓게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현재의 시각 또는 시청자 지정 시각과 프로그램 개시 시각 사이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이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의 표시 사이즈 및 표시 위치를 시간축 방향에 비선형으로 압축함과 동시에, 비선형 처리가 시행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에 따라 표시 내용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현재 수신중인 채널의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 또는 프로그램 안내 화면상의 표시 기점이 되는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으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화면상에 표시하는 다른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까지의 표시 거리를 산출하고, 이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의 표시 사이즈 및 표시 위치를 상기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의 표시축 방향에 비선형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비선형 처리가 시행된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에 따라 표시 내용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시간축의 비선형 처리는, 상기 현재의 시각 또는 시청자 지정 시각을 기점으로서 프로그램 안내 화면을 표시할 때에, 현재의 시각 또는 시청자 지정 시각을 기점(T=0)으로 하고, 표시하는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Ts)에 대하여 표시 영역의 압축률을 1/Logm(N×Ts), 1/exp(N×Ts), 1/(N×Ts) 또는 Logm(N×Ts)(단, 대수 함수 Log의 베이스 m은 임의의 값으로 하고, N은 임의의 계수로 함)중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 표시축의 비선형 처리는, 현재 수신중인 채널의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 또는 프로그램 안내 화면상에서 시청자에 의해 지정된 채널 번호 방송국명의 위치를 기점(D=0)으로, 표시해야 할 채널명 또는 방송국명의 표시 슬롯까지의 직선 표시 거리(Dp)에 대하여 표시 영역의 압축률을 1/Logm(N×Ts), 1/exp(N×Ts), 1/(N×Ts) 또는 Logm(N×Dp)(단, Log의 베이스 m은 임의의 값으로 하고, N은 임의의 계수로 함)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비선형 표시 형태를 시청자가 임의로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프로그램 안내 표시에 사용되는 표시 문자 사이즈가 고정된 경우, 프로그램당 표시 문자수를 카운트하는 제1 카운트 수단과, 1개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의 문자 사이즈와 표시 슬롯 사이즈와의 관계로부터 프로그램명과 부가 정보마다 표시 가능한 문자수를 카운트하는 제2 카운트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운트 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각 프로그램명, 부가 정보마다의 표시 가능한 문자수 정보에 따라 각 문자를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에 표시 가능한 문자수의 총계가, 상기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당 문자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모든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당 문자수보다 적고 프로그램명의 문자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프로그램명만을 표시하며, 프로그램명의 문자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표시 가능한 수의 문자만 표시하거나 또는 아무런 문자도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프로그램 안내 표시에 사용되는 표시 문자 사이즈가 가변인 경우, 프로그램당 표시 문자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과, 이 카운트 수단으로 얻어진 표시 문자수와 그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의 사이즈와의 관계로부터 표시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표시 문자 사이즈 결정 수단과, 이 표시 문자 사이즈 결정 수단으로 결정되는 표시 문자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부가 정보를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타이틀을 표시할 수도 없는 경우에는 문자를 표시하지 않도록, 문자 표시를 동적으로 판단하여 제어하는 문자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장치.
  10.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이용되고, 각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안내 데이터와 현재의 시각을 이용하여 채널 번호 또는 방송국명의 표시축과 시간축으로 구성된 2차원의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 프로그램 내용을 삽입한 프로그램 안내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 표시 슬롯내에서 현재 시각 또는 시청자 지정 시각의 프로그램 안내 영역을 다른 영역보다 넓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표시 방법.
KR1019990015153A 1998-04-28 1999-04-28 프로그램안내표시장치및방법 KR19990083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19630 1998-04-28
JP10119630A JPH11313291A (ja) 1998-04-28 1998-04-28 番組案内表示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48A true KR19990083548A (ko) 1999-11-25

Family

ID=1476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153A KR19990083548A (ko) 1998-04-28 1999-04-28 프로그램안내표시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32590B1 (ko)
EP (1) EP0954172A3 (ko)
JP (1) JPH11313291A (ko)
KR (1) KR19990083548A (ko)
CN (1) CN12346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625B1 (ko) * 1999-10-30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스크롤링 방법 및 이에 대한 기록매체
KR100601623B1 (ko) * 1999-10-29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Epg 데이터 시간 표시 장치 그 방법
KR101329579B1 (ko) * 2011-02-07 2013-11-15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8084B1 (en) 1992-12-09 2007-01-23 Sedna Patent Serv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virtual objects
US9286294B2 (en) 1992-12-09 2016-03-15 Comcast Ip Holdings I, Llc Video and digital multimedia aggregator content suggestion engine
US9924234B2 (en) 1998-07-23 2018-03-20 Comcast Ip Holdings I, Llc Data structure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US6754905B2 (en) 1998-07-23 2004-06-22 Diva Systems Corporation Data structure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AU5006699A (en) 1998-07-23 2000-02-14 Diva Systems Corporation Interactive user interface
US6904610B1 (en) 1999-04-15 2005-06-07 Sedna Patent Services, Llc Server-centric customized interactive program guide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environment
US6754271B1 (en) 1999-04-15 2004-06-22 Diva Systems Corporation Temporal slice persistence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interactive program guide
US7096487B1 (en) 1999-10-27 2006-08-22 Sedna Patent Servic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realtime and non-realtime encoded content
ATE359669T1 (de) 1999-10-27 2007-05-15 Sedna Patent Services Llc Vielfache videoströme unter verwendung von slice- basierter kodierung
US7146633B2 (en) * 2000-01-12 2006-12-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WO2002010894A1 (en) * 2000-07-28 2002-02-07 Tomomi Ichikawa Multiple-screen
US8032909B2 (en) * 2001-07-05 2011-10-04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ing and electronic program guides
US8122465B2 (en) * 2001-07-05 2012-02-21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ing to set video usage permissions
US7793326B2 (en) 2001-08-03 2010-09-07 Comcast Ip Holdings I, Llc Video and digital multimedia aggregator
US7908628B2 (en) 2001-08-03 2011-03-15 Comcast Ip Holdings I, Llc Video and digital multimedia aggregator content coding and formatting
JP3909683B2 (ja) * 2002-05-23 2007-04-25 ソニー株式会社 番組表示制御装置および番組表示制御方法
JP4346892B2 (ja) 2002-10-31 2009-10-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方法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430330B2 (ja) * 2002-11-20 2014-02-2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機器
JP4344185B2 (ja) * 2003-01-28 2009-10-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サブ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742487B (zh) * 2003-01-28 2010-09-29 夏普株式会社 信息服务器装置和客户机终端装置
JP2004336734A (ja) * 2003-04-17 2004-11-25 Sharp Corp 無線端末、ベース機器、ワイヤレスシステム、無線端末の制御方法、無線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289025B2 (ja) 2003-05-28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機器制御処理装置、表示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557135B1 (ko) * 2004-04-13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영상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다수 채널 표시 및 채널변경 방법
US20060168621A1 (en) * 2004-10-05 2006-07-27 Ravinder Chandhok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information on a device
WO2006112894A1 (en) * 2005-04-18 2006-10-26 Thomson Licensing High density interactive media guide
JP2008182287A (ja) * 2005-04-28 2008-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番組ガイド表示装置
JP5103384B2 (ja) * 2005-05-17 2012-12-19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番組ガイド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JP4830379B2 (ja) * 2005-07-13 2011-12-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72377B1 (ko) 2005-08-09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송수신기
JP4752450B2 (ja) * 2005-10-25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91286B1 (ko) * 2005-11-16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70081389A (ko) * 2006-02-11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Epg 정보를 이용하여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epg제공 장치 및 방법
JP5282028B2 (ja) * 2006-04-24 2013-09-04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オンスクリーン・メニュー・システム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190650B2 (en) * 2006-05-02 2012-05-29 Microsoft Corporation Efficiently filtering using a web site
KR20070113002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 채널 정보 처리 방법, 및 데이터 구조
US20070300256A1 (en) * 2006-06-26 2007-12-27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manage an electronic program guide
JP4767216B2 (ja) * 2007-06-05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ダイジェスト生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07739B2 (en) * 2007-11-20 2013-03-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JP5144242B2 (ja) * 2007-12-17 2013-02-13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8856657B2 (en) * 2008-04-30 2014-10-07 Bally Gaming, Inc. User interface for managing network download and configuration tasks
US8291322B2 (en) * 2009-09-30 2012-10-1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a three-dimensional media guidance application
CN102769791B (zh) * 2011-05-03 2015-04-01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节目信息的方法及相关系统
US9154813B2 (en) 2011-06-09 2015-10-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ple video content in a composite video stream
CN104380295B (zh) * 2012-12-31 2018-12-18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体外血液处理数据界面
CN103647988A (zh) * 2013-11-15 2014-03-19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的信号源节目预告方法及装置
US11025983B2 (en) * 2014-12-04 2021-06-01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ing relevant field based on time of day
EP3570554A1 (en) * 2018-05-16 2019-11-20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Method for a program guide and corresponding apparatus
EP3892002A1 (en) 2018-12-06 2021-10-13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Electronic program guide, method for an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corresponding device
CN111131871B (zh) * 2019-12-03 2021-03-1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播放节目时显示epg用户界面的方法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2477A (en) * 1991-11-01 1993-05-18 Motorola, Inc. Method for sizing message characters for a display
US5623613A (en) * 1994-11-29 1997-04-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programming information
US5793438A (en) * 1995-11-13 1998-08-11 Hyundai Electronics America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enhanced presentation
JPH09200580A (ja) 1996-01-12 1997-07-31 Sony Corp 番組ガイド送出装置
JP4420474B2 (ja) * 1996-02-14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JP3702524B2 (ja) 1996-02-14 2005-10-0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EP0798921B1 (en) 1996-03-29 2004-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television signals and program display method
JP3385342B2 (ja) 1996-03-29 2003-03-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JP3502507B2 (ja) * 1996-07-12 2004-03-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US6151059A (en) * 1996-08-06 2000-11-21 Starsight Telecast,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interactive areas
US6028600A (en) * 1997-06-02 2000-02-22 Sony Corporation Rotary menu wheel interfa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623B1 (ko) * 1999-10-29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Epg 데이터 시간 표시 장치 그 방법
KR100601625B1 (ko) * 1999-10-30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스크롤링 방법 및 이에 대한 기록매체
KR101329579B1 (ko) * 2011-02-07 2013-11-15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8839296B2 (en) 2011-02-07 2014-09-16 JVC Kenwood Corporation Program guide generation apparatus, program guid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guide generation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4685A (zh) 1999-11-10
EP0954172A2 (en) 1999-11-03
US6532590B1 (en) 2003-03-11
EP0954172A3 (en) 2001-04-18
JPH11313291A (ja) 1999-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3548A (ko) 프로그램안내표시장치및방법
US8261304B2 (en) Digital television and channel editing method thereof
US8418200B2 (en) Method of acquir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program guide method appropriate for the same, and program guide apparatus
US78612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ewing time and TV ratings based on viewer grade
EP2475167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JP2003527001A (ja) データベースオブジェクトを格付け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200801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user profile
JP2001515678A (ja) エレクトロニック・テレビジョン・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用のhd−sdガイド・コンバータ
JP2000507408A (ja) テレビ番組と関連テキストを表示する方法と装置
CA25089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levision programs and related text
US8776127B2 (en) Method of television program suggestion and apparatus therefor
JP2001521324A (ja) 電子番組ガイド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50193416A1 (en) Method of access and handling service lists
KR20030019596A (ko)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방법 및 방송 프로그램 표시 장치및 방송 수신기
KR19990041788A (ko) Epg 정보를 이용한 채널선택 장치 및 방법
KR100577361B1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및 방법
KR100370019B1 (ko) 티브이의 캡션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85854A (ko) 프로그램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73008A (ko) 선호 채널 설정 및 전환방법
KR100288151B1 (ko) 한글자막방송 수신기의 문자정보 모드 처리방법
KR0146989B1 (ko) 텔레비젼에서의 채널 선국 방법
JP3065128U (ja) 映像出力装置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KR20010100720A (ko)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탐색방법
KR0167099B1 (ko) 특정채널 시청중 부화면을 이용한 타채널 탐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