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285A - 토크컨버터베어링 - Google Patents

토크컨버터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285A
KR19990083285A KR1019990013681A KR19990013681A KR19990083285A KR 19990083285 A KR19990083285 A KR 19990083285A KR 1019990013681 A KR1019990013681 A KR 1019990013681A KR 19990013681 A KR19990013681 A KR 19990013681A KR 19990083285 A KR19990083285 A KR 19990083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orque converter
driven unit
bearing
converte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363B1 (ko
Inventor
슈타글롤란트
플라이흐하인쯔
기버스빈프리트
오스토프한스-헤르만
슈타인코프얀-헬게
세프텔요셉파울
얀센그레고르
슈퇴버만프레트
벡커에버하르트
뒬만토마스
Original Assignee
마리오 파텍
만네스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오 파텍, 만네스만 아게 filed Critical 마리오 파텍
Publication of KR1999008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5Support of gearboxes, e.g. torque arms, or attachment to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86Gea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륜체용 토크 컨버터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토크 컨버터 베어링은 밖으로 통하는 기어축(gear shaft)을 구비한 기어 하우징 및 피동 유닛(unit)의 하우징(housing)과 함께 배치되며, 풀림이 가능하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기어 하우징에 고정되는 평판형 기본체(basic body)를 구비하며, 상기 피동 유닛의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관통공(passage opening)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토크 지지체(torque stay)로부터 생겨나며 기어축을 작동하게 하는 전단력(shearing force)을 조금만 발생시키게 하기 위해서 이와 동시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torsional moment)가 진동을 빈약하게 하고 첨두 부하(peak load)를 감소시키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토크 컨버터는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플라스틱-링체(ring body: 16)가 피동 유닛(2b)의 하우징(5)을 향하는 전면까지 방사상 외측으로 넓혀진 에지 영역(17)과 함께 각각의 관통공(15)에 일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에지 영역은 조립 과정에서 상기 피동 유닛의 하우징(5)과 토크 컨버터 베어링(7)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이 있는 패킹 부재(packing element)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토크 컨버터 베어링 {TORQUE CONVERTER BEARING}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 제 1항의 발명 주제에 의한 토크 컨버터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DE 40 21 054로 부터 모터와 차륜체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 컨버터 베어링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두 개의 평행한 베어링 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두 개의 베어링 표면 중 한 면은 상기 모터 하우징에 배치되며,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생겨난 토크(torque)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은 추가적으로 차륜체의 한 면에 고정되며, 이때 다른 베어링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차륜체 하우징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 모터축과 고정 위치사이의 간격은 매우 클 수 있다. 상기 모터와 차륜체 사이의 결합은 크기 차례대로 겹쳐 넣어 맞추어진 톱니에 의한 플랜지 연결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에 있어서, 토크는 확실하고 움직임이 빈약하게 지지되며, 기어축(gear shaft)이 토크 지지체(torque stay)로부터 생겨난 전단력(shearing force)을 통해서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크기 차례대로 겹쳐 넣어 맞추어지면서 일치하는 톱니가 증가되는 톱니의 허용오차에 의거하여 증가되는 구조물의 크기 및 요구 사항과 함께 실제적으로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크 지지체(torque stay)로부터 생겨나며 기어축을 작동하게 하는 전단력(shearing force)을 조금만 발생시키게 하고 이와 동시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torsional moment)가 진동을 빈약하게 하고 첨두 부하(peak load)를 감소시키며, 톱니가 풀릴 때 처럼 칫수의 정확성(high dimensional accuracy)을 높일 필요없는 토크 컨버터 베어링을 제조하는데 있다.
이러한 방법의 문제점은 청구항 제1항에 명시된 특징들을 통해서 해결된다. 후속 청구항 제2항 내지 제7항에 제시되는 특징들을 통해서 본 발명에 의한 구동 유닛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추가적인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링체(ring body)가 피동 유닛의 하우징을 향하는 전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넓어진 에지 영역과 함께 각각의 관통공에 일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에지 영역은 조립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과 토크 컨버터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이 있는 패킹 부재(packing element)를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발생하는 첨두 부하를 약화시킨다.
만약 기본체(basic body)가 중심 개구를 형성하고, 조립 과정에서 구동축(driving shaft)이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고정 부재가 상기 개구의 방사상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면 발생하는 토크에 대해 동일한 지지체가 생겨나게 된다. 또한 상기 개구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구동축까지 배치되는 관통공은 상기 동일한 지지체를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관통공이 상기 하우징을 향하는, 상기 기본체의 계단형 돌기부(projection) 및 굴곡된 에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의 조립디 간단해 진다. 이로써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이 간단한 금속 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정 위치의 간격 각도가 90°와 150°사이에 존재한다면, 발생하는 원심력의 보정(補整: compensation)이 명백히 감소하게 된다.
만약 상기 플라스틱-링체가 유리 섬유가 함유된 폴리아미드(polyamide)로 형성된다면, 플라스틱 내부의 적은 댐핑 방법(damping way)에 있어서 양호한 댐핑 특성(damping characteristic fearure)이 나타난다.
설비가 간단하고 쉬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동 유닛의 하우징은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는 하우징 밖으로 돌출하고, 조립시에 그 돌출된 부분이 플라스틱 링체와 결합되며, 그 자유단(free end)은 리테이너 링(retainer ring)으로 지지되며, 상기 리테이너 링은 볼트에 형성된 방사상 너트로 고정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토크 컨버터 베어링은 조밀하고 작은 공간에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계속해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토크 컨버터 베어링이 포함된 기어 하우징의 입체도
도 2는 도 1에 의한 플랜지 연결로 이루어진 차륜체의 측면도.
도 3은 플라스틱 링체를 구비한 고정 위치의 횡단면도.
-참고 번호 리스트-
1 기어 하우징1a 기어
2 기어축/-축선2a 유닛
3 외측 톱니4 외부면
5 하우징5a 차륜체
5b 유닛6 주행휠
7 토크 컨버터 베어링8,9 베어링 표면
10 기본체11 에지 영역
12 틈새13 중심 개구
14 나사14a 고정 부재
15 관통공15a 고정 위치
16 플라스틱 링체17 에지 영역
18 고정 볼트18a 개구부
19 리테이너 링20 방사상 너트
도 1은 피동 유닛(2b)의 바깥쪽으로 뻗으며 외측 톱니(3)가 형성된 기어축(gear shaft: 2)을 구비한 기어(1a)의 기어 하우징(1)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어축(2)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외부면(4)이 상기 기어 하우징(1)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어 하우징(1)으로 토크 컨버터 베어링(torque converter bearing: 7)이 상기 외부면(4)에 고정된다.
도 1에 의하면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은 하부 베어링 표면(8) 및 상부 베어링 표면(9)을 구비하고, 여기에서 상부 베어링 표면(9)은 공통의 평면에 놓이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기준 표면(reference surface)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 표면(8, 9)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은 평판 형태의 기본체(basic body:10)로 형성되며, 굴곡된 에지 영역(edge area: 11)을 구비하며, 상기 기어 하우징(1)으로부터 상기 굴곡된 에지 영역(11)은 상기 베어링 표면(9)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베어링 표면(8)까지 급격히 만곡함으로써 생겨나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정한 간격은 기본체(10) 제조시 사용되는 금속판의 두께 보다 크다. 상기 기본체(10)의 굴곡된 형태 이외에 상기 기본체(10)의 평평한 판위에 배치되는 계단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1도에 의하면 사다리꼴 모양의 기본체(10)는 그 중앙에 중심 개구부(13)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기어축(2)이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은 상기 평평한 베어링 표면(8)과 함께 베어링 표면 보다 이전에 형성된 상기 기어 하우징(1)의 외부면(4)에 연결된다.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은 고정 부재(14a)로서의 나사(14)에 의해 상기 기어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위쪽에 굴곡된 두 개의 에지 영역(11)은 항상 관통공(15)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은 피동 유닛(5b)으로서의 차륜체(5a)의 하우징(5)(도 2에 도시됨)에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을 고정시키는 고정위치(15a)로서 사용된다. 도 1로부터 상기 관통공(15)의 중심점이 상기 중앙에 위치하는 개구(13) 및 상기 기어축(2)에 대해 방사상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관통공(15)의 간격 각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약 120°로 정해진다. 각도 범위는 90°와 150°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길게 형성된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에 있어서 간격 각도는 거의 180°로 정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의한 플랜지 연결로 연결된 피동 유닛의 하우징(5) 및 상기 기어(1a)와 하우징(5)사이에 배치되는 토크 컨버터 베어링(7)의 배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하우징(5)내에 차륜(6)이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차륜은 주행면의 섹션(section)과 함께 상기 하우징(5)의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기어축(2)은 상기 차륜축의 내부 톱니에 끼워 진다(도시되지 않음). 그러나 도 2에서 상기 기어축(2)의 회전 축(rotation axis)이 상기 구동하는 차륜(6)의 회전 축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 의한 소형으로 형성된 차륜체(5a)는 직육면체꼴 하우징(5)의 외부 윤곽을 통해서 상기 관통공(15)의 최대 간격을 서로 제한한다. 상기 차륜(6)은 하우징(5) 내부의 가장 큰 공간을 차지한다. 소형 구조를 실현하면서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5)의 에지 영역만이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의 상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에지 영역(11)의 보디(body)가 상기 하우징(5)까지의 틈새(clearance: 12)를 생기게 한다. 상기 틈새에서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이 상기 차륜체(5a)의 하우징(5)에 고정된다.
도 3은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의 고정 위치(15a)를 확대한 횡단면도이다. 상기 관통 보어(passage bore: 15)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링체(plastic ring body: 16)가 도시되어 있다. 플라스틱으로서 특히 유리 섬유가 함유된 폴리 아미드(polyamide)가 사용되며, 이러한 혼합이 진동을 완충시키고 적은 진동폭을 생기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체(16)가 에지 영역(17)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넓어지게 됨으로써 확실히 결합된 링체(16)는 상기 관통공(15)을 통해서 안으로 밀쳐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상기 넓어진 에지 영역(17)은 상기 하우징(5)을 향하는 전면에 형성되며, 조립 과정에서 하우징(5)과 토크 컨버터 베어링(7)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의 패킹 부재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은 상기 차륜체(5a)와 직접 연결되지 않게 된다. 상기 차륜체의 베어링 표면과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 사이에 플레인 와셔(plain washer)와 같은 형태의 탄성 버퍼(buffer)가 배치된다.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은 고정 볼트(1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 볼트는 상기 하우징(5)과 단단히 결합되어 있으며, 하우징 밖으로 그 끝부분이 돌출된다. 이러한 끝부분은 상기 개구(18a)를 통해서 플라스틱 링체(16)와 결합된다. 상기 토크 컨버터 베어링(7)은 리테이너 링(retainer ring: 19)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리테이너 링은 볼트(18)에 형성된 방사상 너트(radial nut: 20)로 고정되고 미끄러져 나온 부분을 향하여 볼트(18)를 지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토크 컨버터 베어링은 조밀하게 형성되어 작은 공간에서도 조립이 가능하다.

Claims (7)

  1. 밖으로 통하는 구동축을 구비한 기어 하우징과 피동 유닛의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풀림이 가능하며 고정 부재에 의해 기어 하우징에 고정되는 평판형 기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피동 유닛의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서 적어도 두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고정 위치를 구비한 차륜체용 토크 컨버터 베어링에 있어서,
    플라스틱 링체(16)가 피동 유닛(2b)의 하우징을 향하는 전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넓어진 에지 영역(17)과 함께 각각의 관통공(15)에 일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에지 영역은 조립 과정에서 상기 피동 유닛의 하우징(5)과 토크 컨버터 베어링(7)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의 패킹부재를 형성하는 토크 컨버터 베어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체(10)의 중심에는 개구(13)가 형성되고, 조립 과정에서 상기 구동축(2a)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결합되며, 고정 부재(14a)는 상기 개구(13)에 대해 방사상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토크 컨버터 베어링.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5)이 중심 개구(13) 및 구동축(2a)에 대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토크 컨버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관통공(15)이 상기 피동 유닛의 하우징(5)을 향하는, 상기 기본체(10)의 계단형 돌기 또는 굴곡된 에지 영역(17)에 형성되는 토크 컨버터 베어링.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위치(15a)의 간격 각도가 90도와 150 도 사이에서 정해지는 토크 컨버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체(16)가 유리 섬유가 함유된 폴리아미드(polyamide) 보강재로 형성되는 토크 컨버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유닛(2b)의 하우징(5)은 볼트(18)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는 하우징(5)밖으로 돌출하고, 이 돌출된 부분이 조립 과정에서 항상 플라스틱 링체(16)를 통해서 결합되며 그 자유단은 항상 리테이너 링(retainer ring: 19)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리테이너 링은 상기 볼트(18)에 형성된 방사상 너트(radial nut:20)로 지지되는 토크 컨버터.
KR1019990013681A 1998-04-17 1999-04-17 토크 서포트 KR100554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7930A DE19817930A1 (de) 1998-04-17 1998-04-17 Drehmomentenstütze
DE19817930.8 1998-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285A true KR19990083285A (ko) 1999-11-25
KR100554363B1 KR100554363B1 (ko) 2006-02-24

Family

ID=786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681A KR100554363B1 (ko) 1998-04-17 1999-04-17 토크 서포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58302A (ko)
EP (1) EP0950833B1 (ko)
JP (1) JP4320084B2 (ko)
KR (1) KR100554363B1 (ko)
DE (2) DE19817930A1 (ko)
ES (1) ES217959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2582B1 (en) * 2000-07-14 2003-09-23 Lexmark International, Inc. Assembly for limiting axial motion of shaft in an imaging apparatus
DE102008030192A1 (de) * 2008-06-25 2009-12-31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Drehmomentabstützung für einen Konverterkippantrieb
CN101450615B (zh) * 2008-12-29 2011-03-23 金言荣 一种液力传动变速箱
EP2493057A1 (de) 2011-02-28 2012-08-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Dynamoelektrische Maschine mit Metallbalg als Drehmomentstütze
DE102012006927B4 (de) * 2012-04-05 2024-02-01 Sew-Eurodrive Gmbh & Co Kg Getriebe mit Gehäuse
DE102012013321A1 (de) * 2012-07-06 2014-01-09 Andreas Stihl Ag & Co. Kg Tragbares, elektrisches Arbeitsgerät
DE102013207158B4 (de) * 2013-04-19 2022-08-11 Robert Bosch Gmbh Befestigungselement für ein Antriebsmodul sowie Antriebsmodul und Antriebssystem
JP7233614B2 (ja) 2019-09-03 2023-03-06 エスエル-テクニ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バイオマス暖房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構成要素
US20230279938A1 (en) * 2020-09-04 2023-09-07 Sl-Technik Gmbh 3-point torque support
US11953032B2 (en) * 2021-02-09 2024-04-09 Caterpillar Inc. Hydraulic pump or motor with mounting configuration for increased torqu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4183C (de) * 1942-03-31 1953-01-22 Mitteldeutsche Stahlwerke Ges Zwischen der treibenden und getriebenen Welle angeordnetes Differentialgetriebe
US3432705A (en) * 1967-01-13 1969-03-11 Sid Harvey Inc Adaptor for mounting replacement electric motors
US3591216A (en) * 1969-02-26 1971-07-06 Burdsall & Ward Co Bearing fastener and assembly
US3984191A (en) * 1974-12-09 1976-10-05 The Anderson Company Captive spring clip
JPS59102624A (ja) * 1982-12-03 1984-06-13 Nissan Motor Co Ltd デイフアレンシヤルギアハウジング支持装置
JPS6030488A (ja) * 1983-07-29 1985-02-16 Toshiba Corp 密閉型圧縮機
US4601378A (en) * 1983-11-03 1986-07-22 Pitts Industries, Inc. Supporting bracket for hydraulic pump and clutch
JPS6245413U (ko) * 1985-09-09 1987-03-19
DE3626015A1 (de) * 1986-07-31 1988-02-11 Julius Tielbuerger Kg Einachsmotormaeher
DE4021054A1 (de) * 1990-06-29 1992-01-09 Mannesmann Ag Drehmomentenstuetze
US5364062A (en) * 1993-08-02 1994-11-15 Controlair, Inc. Mounting apparatus for a railroad air brake cylinder
US5524860A (en) * 1994-09-29 1996-06-11 Ives; Lewis Universal mounting bracket and method
EP0847127B1 (de) * 1996-11-06 2000-03-15 SAIA-Burgess Electronics AG Elektroantrieb
DE29722631U1 (de) * 1997-12-22 1998-02-26 Antriebstechnik Und Service Gm Antriebseinheit für Walzen, mit teilbeweglicher Drehmomentstüt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902617D1 (de) 2002-10-17
ES2179596T3 (es) 2003-01-16
JPH11321210A (ja) 1999-11-24
KR100554363B1 (ko) 2006-02-24
EP0950833A2 (de) 1999-10-20
EP0950833B1 (de) 2002-09-11
JP4320084B2 (ja) 2009-08-26
DE19817930A1 (de) 1999-10-28
US6158302A (en) 2000-12-12
EP0950833A3 (de)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4833B1 (en) Mounting mechanism for compressor in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EP0584400B1 (en) Shaft coupling
EP0339682B1 (en) Mounting mechanism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compressor
KR19990067185A (ko) 냉각팬과 모터용 비틀림 잠금부착 시스템
KR19990083285A (ko) 토크컨버터베어링
US8544591B2 (en) Bearing device for the vibration-decoupled rotatable support of an intermediate shaft on the engine block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vibration-decoupled rotatable support of an intermediate shaft on the engine block of a motor vehicle
JPH0674835B2 (ja) 遊星歯車装置のケーシング取付構造
US4917573A (en) Cooling fan isolation mount
CN1148516C (zh) 多连接接合联轴节
US5797727A (en) Impeller mounting for electrically driven air pump to reduce vibration
CN112425046A (zh) 电动马达以及带有这种电动马达的泵
KR100304057B1 (ko) 평행오프셋기어박스와기어모터에대한유니버설마운트하우징구조
EP0457756A1 (en) IMPELLER DRIVE SHAFT MOUNTING DEVICE.
KR100594710B1 (ko) 튜브 플레이트 고정 장치
US20080283128A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 pedal force servomechanism on a vehicle structure
US5324234A (en) Shaft coupling
KR19990083284A (ko) 토크컨버터베어링
JP4067099B2 (ja) 軸継手
JP3724315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ケースとドライブプレートとの締結構造
CN214240637U (zh) 一种调节机构和车辆
CN210343501U (zh) 一种整体式空调压缩机支架
KR101952642B1 (ko) 시저스 기어의 장력 가변형 스프링 구조
KR200146973Y1 (ko) 자동 변속기용 아이들 기어 장착구조
KR200239466Y1 (ko) 가변식 자전거 페달구동장치의 조립관
KR100435967B1 (ko) 회전축에의 장착 위치 편차 보정 기능을 가지는 엔진보기류 벨트 풀리의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