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944A - 유전체 필터,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944A
KR19990082944A KR1019990011823A KR19990011823A KR19990082944A KR 19990082944 A KR19990082944 A KR 19990082944A KR 1019990011823 A KR1019990011823 A KR 1019990011823A KR 19990011823 A KR19990011823 A KR 19990011823A KR 19990082944 A KR19990082944 A KR 19990082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plate
dielectric
case
filter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166B1 (ko
Inventor
소노다도미야
히라츠카도시로
가나가와기요시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8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09Strip line filters with dielectric resonator
    • H01P1/20318Strip line filters with dielectric resonator with dielectric resonators as non-metallised opposite openings in the metallised surfaces of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를 구성하는 유전체판을 지지하는 케이스의 휘어짐을 억제하고, 유전체판에 인가되는 응력을 억제하여, 케이스에 대한 유전체판의 박리나 크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화가 용이한 유전체 필터와, 이것을 사용한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극 비형성부(4a, 4b, 4c)를 유전체 공진기부로 하는 유전체판(3)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유전체판(3)의 측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일체로 형성한 케이스(15)를 사용하고,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등을 형성한 기판(6)에 케이스(15)를 접합하고, 케이스(15)의 지지부에 유전체판(3)을 실장하고, 케이스(15)의 개구부에 금속 커버(8)를 피복함으로써 유전체 필터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Dielectric Filter, Transmitting/Receiving Sharing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대역 및 밀리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유전체 필터와, 이것을 사용한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대용량 및 고속의 통신 시스템이 요구됨에 따라서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밀리파 대역으로 사용 주파수 대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준밀리파 대역은 무선 LAN, 휴대 TV 전화, 차세대 위성 방송 등 여러가지 시스템에서의 이용이 검토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필터도 소형 및 저가이고 평면 회로 실장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원의 발명자들은 1996년 전자 정보 통신 학회 종합 대회 C-121 "평면 회로형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준밀리파 밴드 패스 필터"를 제안하였다.
여기서, 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분해사시도로서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참조번호 3은 유전체판이며, 그 양 주면에 소정 칫수를 갖는 원형의 전극 비형성부를 마주보게 하여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참조번호 1은 유전체판(3)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극이며, 참조번호 4a, 4b, 4c는 그 전극 비형성부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번호 6은 기판, 7은 프레임부이며, 모두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며, 기판(6)의 하면과 그 상면의 프레임부(7)로부터 돌출하는 부분 및 프레임부(7)의 주위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참조번호 8은 커버이며,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며, 전극(1)에 접하는 면 및 둘레면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기판(6)의 상면에는 프로브 및 입출력단자로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9, 10)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극 비형성부에 의해 끼여지는 유전체판(3)의 일부가 TE010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로서 작용하고, 이 인접하는 공진기 사이가 결합함과 아울러, 각각의 공진기가 마이크로스트립 선로(9, 10)와 결합한다.
그런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는, 유전체 공진기를 구성하는 유전체판(1)의 상하를 프레임부(7) 및 커버(8)에 의하여 끼워넣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7)를 기판(6)에 솔더링하였을 때에, 프레임부(7)와 기판(6)간의 선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프레임부(7)와 기판(6)의 접합체에 휘어짐이 생긴다. 이 휘어짐이 생기고 있는 프레임부(7)의 상부에, 프레임부(7) 및 커버(8)와 거의 동일한 영률(Young's modulus)을 갖는 유전체판(3)을, 커버(8)와 함께 도전성 접착제로 접합하는데, 그 접합후, 프레임부(7)와 커버(8)간의 선팽창계수의 차이 및 프레임부(7)의 휘어짐에 의하여, 유전체판(3)으로부터 프레임부(7) 또는 커버(8)를 떼내려는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응력에 의하여 유전체판(3)이 벗겨지거나,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적어도 통상의 환경하에서 박리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응력은 내환경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이었다.
상기 프레임부(7)의 폭방향의 두께를 크게 하면, 프레임부의 강성 자체는 높아지지만, 전체적으로 대형화하게 된다. 또한, 높이 방향의 두께를 크게 하면, 프로브와 공진기간의 거리가 떨어지기 때문에, 필요한 외부 결합이 얻어지지 않고 소정의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한 유전체 필터와, 이것을 사용한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 1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유전체 필터의 조립 상태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유전체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2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제 3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제 4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제 5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2: 전극 3: 유전체판
4a, 4b, 4c: 전극 비형성부 5a, 5b, 5c: 전극 비형성부
6: 기판 7: 프레임부
8: 커버 9, 10: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11, 12: 전극 13: 관통 구멍
14a, 14b, 14c: 공진 영역 15: 케이스
16: 지지부 17: 측벽부
18a, 18b, 18c: 공간부 19: 파들어감부
41a, 41b, 41c, 42a, 42b: 전극 비형성부
본원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를 구성하는 유전체판과, 이것을 지지하는 케이스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응력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유전체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유전체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케이스로 하고, 이 케이스의 개구부를 커버로 피복함으로써 캐버티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유전체 공진기를 구성하는 유전체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유전체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케이스의 강성이 높아지고, 이 케이스를 기판에 접합한 상태에서의 휘어짐이 적어진다. 그 결과, 유전체판의 지지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이 억제된다. 또한 유전체판은 케이스의 지지부에 의해 그 일면만이 지지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유전체판의 상하면이 케이스와 커버에 의하여 끼워지는 구조에 비하여, 케이스 또는 커버와 유전체판간의 선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한 응력이 유전체판에 가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의 유전체판 지지부에, 유전체판의 모서리부의 접합을 피하는 파들어감부를 형성한다. 이 구조에 의하여, 본래 상기 선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응력이 가장 집중하는 유전체판의 모서리부에, 그 응력의 집중이 완화되기 때문에, 유전체판에 작용하는 응력이 전체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전체판의 모서리부를 잘라낸 형상 또는 라운딩을 부여한 형상으로 한다. 이 구조에 의하더라도, 유전체판의 모서리부에 대한 응력 집중이 분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전체 필터를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사용하고, 송신 필터를 송신 신호 입력 포트와 입출력 포트사이에 형성하고, 수신 필터를 수신 신호 출력 포트와 입출력 포트 사이에 형성하여 송수신 공용기를 구성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유전체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측벽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그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어지며, 유전체 필터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소형의 송수신 공용기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수신 공용기의 송신 신호 입력 포트에 송신 회로를 접속하고, 송수신 공용기의 수신 신호 출력 포트에 수신 회로를 접속하고, 송수신 공용기의 입출력 포트에 안테나를 접속하여 통신기를 구성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유전체 필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유전체 필터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3은 예를 들면 선팽창계수 11ppm/℃의 유전체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유전체판이며, 유전체판(3)의 상면에는 4a, 4b, 4c로 나타내는 전극 비형성부를 갖는 전극(1)을 형성하고 있다. 유전체판(3)의 하면에는 전극 비형성부(4a, 4b, 4c)와 각각 마주보는 동일 형상의 전극 비형성부(5a, 5b, 5c)를 갖는 전극(2)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마주보는 전극 비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14a, 14b, 14c)을 각각 TE010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로서 작용시킨다. 이들 유전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면 19GHz 대역이 된다.
참조번호 15는 유전체판(1)을 지지함과 아울러, 유전체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케이스이다. 이 케이스(15)에는, 유전체판(3)의 선팽창계수에 맞추기 위하여, S45C 등의 철계 재료를 사용하고, 그 표면에 은 또는 금 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참조번호 8은 케이스(15)의 상면을 피복하는 커버이며, 케이스(15)와 마찬가지로 철계 재료를 사용하며, 그 표면에 은 또는 금 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참조번호 6은 기판이며, 그 하면의 거의 전면에 전극(12)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면의 주위 부분에 전극(1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기판(6)의 상면에는 일부를 프로브(결합부재)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9, 10)를 형성하고 있다.
이 기판(6)의 하면의 전극(12), 케이스(15) 및 커버(18)에 의하여 캐버티를 구성하고 있다.
기판(6)으로서는, 저비용화 및 양산성 향상을 위하여, 예를 들면 고주파용의 동박 부착 프린트 기판을 사용한다. 이 경우, 기판의 동박의 선팽창계수는 거의 17ppm/℃이며, 케이스(15)의 선팽창계수와 다르다. 이 때문에, 케이스와 기판을 220℃에서 솔더링 접합한 경우, 상온에서는 기판(동박)(11)이 케이스(15)보다 줄어들려고 하기 때문에, 응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케이스(15)는 유전체판(3)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유전체판(3)의 측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체적인 단면적이 크고, 또한 케이스(15)의 높이 칫수가 커지기 때문에, 굽힘 응력에 대한 강도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유전체 필터의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한다. 따라서, 케이스(15)의 휘어짐은 억제된다. 그 결과, 유전체판(3)을 케이스(15)의 지지부에 실장고정하였을 때에, 유전체판(3)의 4개의 모서리부에 작용하는 응력은 도 8에 나타낸 종래 구조에 비교하여 약 1/3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기판, 케이스 및 유전체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는 기판의 평면도, 도 2B는 기판에 케이스를 접합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2C는 유전체판을 지지시킨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6)의 상면에는 프로브로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9, 10)와 전극(1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기판(6)의 상면의 전극(11)과 하면의 전극을 접속하는 관통 구멍(13)을, 마이크로스트립 선로(9, 10)의 외부 인출부 부근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케이스(15)와의 접속부에도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관통 구멍은 기판(6)의 상하면의 전극사이에 생기는 불필요한 공진 모드와 마이크로스트립 선로(9, 10)와의 결합을 방지한다.
도 2A에 나타낸 상태에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의 상면에 케이스(15)를 솔더링 접합하고,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5)의 지지부(16)에 유전체판(3)의 하면을 도전성 접착제 등에 의하여 접합 고정한다. 여기서, 유전체판(3)의 외주 칫수는 케이스(15)의 측벽부(17)의 안칫수보다 한층 적고, 유전체판(3)의 외주면이 케이스(5)의 측벽부에 강하게 끼워맞춰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유전체판(3)은 그 하면의 주위에서 케이스(15)에 지지된다.
도 8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종래의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는, 유전체판(3)의 둘레가장자리부를 프레임부(7)와 커버(8)에 끼워넣은 후, 프레임부(7)와 커버(8)의 측면에 접지판을 접합함으로써 그 양자를 접지 접속함과 아울러, 유전체판을 전자(電磁)적으로 차폐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판은 캐버티내에 수납되므로, 상기 접지판의 접합은 불필요하며, 부품 갯수 및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실시 형태의 경우, 유전체판(3)의 단면 부분에 전극을 형성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면의 전극(1)은 접지로부터 뜨게 되는데, TE010모드와 같은 TE모드에서는 리턴 커런트가 측벽을 횡단하여 흐르지 않으므로, 유전체판의 상하면의 전극끼리를 반드시 직류적으로 접속해둘 필요는 없다. 단지, 상면의 전극(1)이 접지로부터 떠있는 것은 스퓨리어스의 점에서 불리하게 되지만, 실제로 특성 측정을 한 결과, 감쇠 특성 및 삽입 손실에 있어서 큰 열화는 없고, 요구되는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어서, 제 2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A는 기판(6)에 케이스(15)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4B는 거기에 유전체판(3)을 부착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5)의 지지부(16)의 네 모서리에, 유전체판을 지지하는 높이보다 한단 낮게 한 파들어감부(19)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판(3)을 부착하였을 때, 유전체판(3)의 네 모서리부가 지지부(16)로부터 뜬 상태가 되어, 케이스(15)의 휘어짐에 의한 유전체판(3)의 4개의 모서리에 대한 응력 집중이 완화된다.
또한, 도 4A에 있어서 18a, 18b, 18c는 유전체판(3)에 구성한 TE010모드의 유전체 공진기 부분과 마주보는 공간부이다. 이들 공간부(18a, 18b, 18c)는 그 공간을 공진 공간으로 하였을 때의 차단 주파수가 유전체판에 형성한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보다 높아지는 칫수로, 그리고 유전체판에 형성하는 전극 빙형성부의 외형보다 크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기판(6)과 유전체판(3) 사이의 공간에서의 불필요한 공진 모드를 억제하여 스퓨리어스 특성을 개선하고 있다. 이들 공간부(18a, 18b, 18c)는 케이스(15)를 성형할 때에, 파들어감부(19)와 함께 절삭가공에 의하여 형성하거나, 에칭 등에 의하여 형성한다.
이어서, 제 3실시 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2가지 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는 케이스(15)에 유전체판(3)을 실장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5A의 경우, 유전체판(3)의 모서리부를 잘라내어 이른바 C면을 형성한 예이다. 도 5B는 유전체판(3)의 모서리부에 라운딩을 부여하여 R코너를 형성한 예이다. 어느 경우에도, 케이스(15)에 실장한 상태에서의 유전체판(3)의 4개의 모서리부에 작용하는 응력집중이 분산되어,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제 4실시 형태에 따른 송수신 공용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기판(6)에 케이스(15)를 접합하고, 케이스(15)에 유전체판(3)을 부착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유전체판(3)의 상면에는 41a, 41b, 41c, 42a, 42b로 나타낸 5개의 전극 비형성부를 갖는 전극을 형성하고 있어서, 유전체판(3)의 하면에는 이들 전극 비형성부와 마주보는 위치를 전극 비형성부로 하는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5개의 TE010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전극 비형성부(41a, 41b, 41c)부분에 구성되는 3개의 유전체 공진기는 3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수신 필터로서 사용한다. 또한, 전극 비형성부(42a, 42b)부분에 구성되는 2개의 공진기는 2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송신 필터로서 사용한다.
케이스(15)에는 상기 수신 필터 부분과 송신 필터 부분간의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칸막이벽을 내부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케이스(15)의 상면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커버를 접합하는데, 이 커버의 내면측에는 하부 칸막이벽와 마주보며, 유전체판(3)을 하부 칸막이벽과 함께 끼워넣는 위치에 상부 칸막이벽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기판(6)의 하면의 전극, 케이스(15), 커버 및 상하의 칸막이벽에 의하여 유전체 공진기의 주위를 전자적으로 차폐함과 아울러,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의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하고 있다.
기판(6)에는 9r, 10r, 10t, 9t로 나타낸 4개의 프로브로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스트립 선로(9r, 9t)의 단부는 수신 신호 출력 포트, 송신 신호 입력 포트로서 각각 사용한다. 또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10r)과 (10t)의 단부는 분기용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서 결합하고, 입출력 포트로서 외부에 도출되고 있다. 2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10r, 10t)의 등가적 단락면에서 분기점까지의 전기적 길이는, 분기점으로부터 송신 주파수의 파장으로 수신 필터를 본 경우와, 수신 주파수의 파장으로 송신 필터를 본 경우에서, 각각 높은 임피던스로 보이도록 정한다.
이와 같이 단일 기판상에 다수의 공진기를 배열하는 경우에도, 본원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15)의 강성이 충분히 높아지기 때문에, 유전체판(3)의 크랙이 방지되어, 신뢰성이 높은 송수신 공용기가 얻어진다.
도 7은 상기 송수신 공용기를 안테나 공용기로서 사용한 통신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이다. 여기서, 46a는 상기 수신 필터, 46b는 상기 송신 필터이며, 46은 안테나 공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공용기(46)의 수신 신호 출력 포트(46c)에 수신 회로(47)를 접속하고, 송신 신호 입력 포트(46d)에 송신 회로(48)를 접속하고, 안테나 포트(46e)에 안테나(49)를 접속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로 통신기(50)를 구성하고 있다. 이 통신기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등의 고주파 회로 부분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유전체 필터를 적용한 안테나 공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소형의 안테나 공용기를 사용한 소형의 통신기를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안테나 공용기(46)의 수신 필터(46a)와 송신 필터(46b)를,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일체의 유전체 필터로서 따로따로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전체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그 측부를 둘러싸는 케이스의 강성이 높아지므로, 이 케이스를 기판에 접합한 상태에서의 휘어짐이 적어지며, 게다가 유전체판이 케이스의 지지부에 의해 그 일면만이 지지되기 때문에, 케이스 또는 커버와 유전체판간의 선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한 응력이 유전체판에 전해지기 여려워진다. 그 결과, 유전체판의 박리나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유전체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측벽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그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어지며, 유전체 필터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유전체판 지지부에 파들어감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전체판의 모서리부의 접합이 회피되며, 유전체판의 모서리부로의 응력 집중이 회피된다. 그 결과, 유전체판의 박리나 크랙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판의 모서리부를 잘라낸 형상 또는 라운딩을 부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유전체판의 모서리부에 대한 응력 집중이 분산되어, 유전체판의 박리나 크랙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체 필터를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 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사용하고, 송신 필터를 송신 신호 입력 포트와 입출력 포트의 사이에 형성하고, 수신 필터를 수신 신호 출력 포트와 입출력 포트의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로 소형의 송수신 공용기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송수신 공용기의 송신 신호 입력 포트에 송신 회로를 접속하고, 송수신 공용기의 수신 신호 출력 포트에 수신 회로를 접속하고, 송수신 공용기의 일출력 포트에 안테나를 접속함으로써, 고주파 회로 부분을 소형화한 소형의 통신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서로 거의 동일한 형상의 전극 비형성부를 마주보게 하여 유전체판의 양 주면에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마주보는 전극 비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공진 영역으로 하고, 상기 공진 영역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공진 영역 및 상기 결합 부재의 주위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버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유전체 필터로서,
    상기 유전체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유전체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일체로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피복하는 커버;에 의하여 상기 캐버티의 일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상기 유전체판의 모서리부의 접합을 회피하는 파들어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판의 모서리부를 잘라낸 형상 또는 라운딩을 부여한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전체 필터를,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중의 한쪽 또는 양쪽에 사용하고, 상기 송신 필터를 수신 신호 입력 포트와 입출력 포트의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수신 필터를 수신 신호 출력 포트와 상기 입출력 포트의 사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공용기.
  5. 제 4항에 기재된 송수신 공용기의 송신 신호 입력 포트에 송신 회로를 접속하고, 상기 송수신 공용기의 수신 신호 출력 포트에 수신 회로를 접속하고, 상기 송수신 공용기의 입출력 포트에 안테나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
KR1019990011823A 1998-04-06 1999-04-06 유전체 필터,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 KR100337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3159 1998-04-06
JP10093159A JPH11289201A (ja) 1998-04-06 1998-04-06 誘電体フィルタ、送受共用器および通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944A true KR19990082944A (ko) 1999-11-25
KR100337166B1 KR100337166B1 (ko) 2002-05-18

Family

ID=1407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823A KR100337166B1 (ko) 1998-04-06 1999-04-06 유전체 필터,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36291B1 (ko)
EP (1) EP0949707A3 (ko)
JP (1) JPH11289201A (ko)
KR (1) KR100337166B1 (ko)
CN (1) CN1144316C (ko)
TW (1) TW4185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7113B2 (en) * 1998-06-09 2005-08-30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Branching filter package
US6222426B1 (en) * 1998-06-09 2001-04-2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Branching filter with a composite circuit of an LC circuit and a serial arm saw resonator
JP3632576B2 (ja) 2000-09-06 2005-03-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ィルタ、マルチ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6954124B2 (en) * 2001-01-19 2005-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frequency circuit device and high-frequency circuit module
JP3780417B2 (ja) * 2002-02-12 2006-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DE10243670B3 (de) * 2002-09-20 2004-02-12 Eads Deutschland Gmbh Hohlleiterfilter
CN1322629C (zh) * 2003-11-13 2007-06-20 京瓷株式会社 电介质共振器、电介质滤波器以及无线通信设备
KR100723865B1 (ko) 2005-11-17 2007-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집적화된 유전체 공진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클럭 추출장치
JP4519099B2 (ja) * 2006-03-30 2010-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周波モジュール
GB201222320D0 (en) * 2012-12-12 2013-01-23 Radio Design Ltd Filter assembly
JP6372413B2 (ja) * 2014-07-07 2018-08-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ィルタ装置
CN105514543B (zh) * 2015-12-22 2018-02-23 华南理工大学 一种金属腔双工器
CN105470618B (zh) * 2015-12-25 2019-03-12 广东晖速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腔体谐振抑制结构
GB2549276B (en) 2016-04-11 2019-04-17 Filtronic Broadband Ltd A mm wave circuit
WO2022239572A1 (ja) * 2021-05-13 2022-11-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基板及びアンテナ基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329A (en) * 1992-08-21 1994-06-07 Trw Inc. Miniature, high performance MMIC compatible filter
US5446729A (en) * 1993-11-01 1995-08-29 Allen Telecom Group, Inc. Compact, low-intermodulation multiplexer employing interdigital filters
JP2897678B2 (ja) * 1995-03-22 1999-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及び高周波帯域通過フィルタ装置
JP2897117B2 (ja) * 1995-09-19 1999-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周波数可変型誘電体共振器
JP3603453B2 (ja) * 1996-03-12 2004-12-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および帯域通過フィルタ
JP3087664B2 (ja) * 1996-11-06 2000-09-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装置及び高周波モジュール
EP0841714B1 (en) 1996-11-06 2002-03-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electric resonator apparatus and high-frequency module
JP3582350B2 (ja) * 1997-04-21 2004-10-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送受共用器および通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89201A (ja) 1999-10-19
CN1236196A (zh) 1999-11-24
EP0949707A2 (en) 1999-10-13
US6236291B1 (en) 2001-05-22
KR100337166B1 (ko) 2002-05-18
TW418552B (en) 2001-01-11
EP0949707A3 (en) 2000-08-09
CN1144316C (zh)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166B1 (ko) 유전체 필터, 송수신 공용기 및 통신기
JP3805206B2 (ja) 送受信機積層アセンブリ
FI114259B (fi) Radiotaajuisen etupään rakenne
US6313797B1 (en) Dielectric antenna including filter, dielectric antenna including duplexer, and radio apparatus
US8957820B2 (en) Antenna element-waveguide converter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6577211B1 (en) Transmission line,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44255A (ko) 유전체 도파관의 입출력 결합 구조
US6236288B1 (en) Dielectric filter having at least one stepped resonator hole with a recessed or protruding portion, the stepped resonator hole extending from a mounting surface
KR100276012B1 (ko) 유전체필터와 송수신듀플렉서 및 통신기기
KR20040071061A (ko) 컴팩트 도파관 필터
JP2003309404A (ja) 多層基板および衛星放送受信装置
US6563394B1 (en) Coaxial circulator with coplanar Y-shaped conductor and ground patterns
US7183878B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KR100337168B1 (ko) 유전체 공진기 장치, 유전체 필터, 발진기, 공유기 및 전자기기
CN210167487U (zh) 带通滤波器及具备该带通滤波器的高频装置
KR100352573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KR20050058477A (ko) 선로 변환기,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US6573809B1 (en) Dielectric resonator device,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0291765B1 (ko) 유전체 공진기,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WO2024040529A1 (en) Multiband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1197277A1 (en) Au and ru having cwg filters, and bs having the au or ru
JPH05191103A (ja) 積層型誘電体フィルタ
US6137382A (en) Dielectric duplexer and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uch dielectric duplexer
JP2002100912A (ja) 導波管回路の製造方法および導波管回路
JP3422059B2 (ja) 誘電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