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614A - 청소 헤드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아답터 - Google Patents

청소 헤드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아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614A
KR19990082614A KR1019980706353A KR19980706353A KR19990082614A KR 19990082614 A KR19990082614 A KR 19990082614A KR 1019980706353 A KR1019980706353 A KR 1019980706353A KR 19980706353 A KR19980706353 A KR 19980706353A KR 19990082614 A KR19990082614 A KR 19990082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leaning
cleaning head
cover memb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제랄드 그레이
Original Assignee
백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백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8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09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with means mounted on the nozzle; 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overy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19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47L7/0038Recovery tanks with means for emptying the ta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42Gaskets; 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보통 진공 청소기의 방식으로 헤드가 건식 흡입 청소에 사용될 수 있도록 액체를 도포하고 제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비흡수성인 마루 표면을 청소하도록 구성된 종류의 청소 헤드(10)를 구성하기 위하여, 클립 온 아답터/커버 부재(50)가 제공된다. 아답터/커버 부재(50)는 청소 헤드의 흡입 구멍(37)과 일치하고 헤드 상에 제공된 스퀴지 블레이드(35)를 둘러싸도록 유입 슬롯을 한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아답터/커버 부재(50)는 청소 헤드 내의 도포기 조립체(40) 위에 연장하고 그를 둘러싸는 바닥벽(51)을 포함하여, 아답터/커버 부재의 부재 시에, 청소액은 청소할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 헤드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아답터
마루 또는 마루 덮개용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된 재료의 예 및 본 발명이 사용되려고 의도한 형태에 충분한 표면은 하부 지지 표면 상에 놓인 "타일"로 구성되는 대형 시트 또는 소형 부분의 형상인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면, 비닐, 유광 또는 무광 타일, 고무 재료, 또는 그 표면이 액체의 흡수를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도록 적절한 코팅으로 밀봉되어 있는 나무, 코르크 또는 콘크리트 등의 세라믹 재료를 포함한다.
표면에 청소액을 도포시키고 흡입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먼지와 함께 액체를 제거시킴으로써 표면을 청소하는 장치를 위해 많은 제안이 있어 왔다. 청소액은 적절한 청소제를 포함하는 물일 수도 있다. 흡입식 청소기("진공 청소기") 형태의 단일 목적 청소 설비의 부품 또는 다목적 청소 설비용 부속품(accessory)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는 청소 헤드는, 대개 청소할 표면 상으로 청소액을 분배시키기 위한 수단과, 흡입원에 접속되도록 배열되고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와, 표면에 접촉되어서 표면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작용을 도우면서 청소액을 교반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교반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brush)와, 예를 들어 적합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 폼 또는 셀룰러 재료로 구성된 스폰지 또는 몹(mop)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청소용 청소 헤드와, 헤드를 합체시킨 설비는 국제 공개 제94/06342호의 국제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청소 헤드는 청소액을 도포시킴 없이 특히 카페트 표면 또는 실내 장식품 표면으로부터 건식 재료를 픽업함으로써 표면을 청소하는 데 보통 사용될 수 없고, 설비가 습식 및 건식 청소용으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경우에, 개별적인 기능를 수행하도록 분리 및 교환가능한 헤드를 제공하는 것은 종래에 실용적이였다.
본 발명은 표면에 청소액을 도포시키고 흡입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청소액을 제거시킴으로써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장치와 함께 또는 그의 일부로서 사용하기 위한 청소 헤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비흡수성인 마루 표면의 청소에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청소 헤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커버 부재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2는 커버 부재가 적소에서 부분적으로 절단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청소 헤드의 저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선 III-III 상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헤드를 합체시킨 진공 청소기의 일 예가 습식 모드에서 작동 개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이러한 청소기가 건식 모드에서 작동 개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것은 자연적으로 전체 제조 단가에 부가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분리가능하고 교환가능한 부재, 즉 아답터에 의해 습식 또는 건식용으로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는 청소 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보통 본 발명에 따르는 청소 헤드가 청소할 표면 위에서 주로 왕복 운동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청소 헤드의 전방 및 후방, 그 길이의 인용 및, 유사한 표현은 사용 시에 그 왕복 운동의 의도된 방향으로 거리를 둔 청소 헤드의 부분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청소 헤드의 측방 및 폭이라는 표현이나 그와 유사한 표현은 보통 사용 시에 청소 헤드의 왕복 운동의 방향에 횡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헤드가 청소액을 표면에 도포하고 표면으로부터 픽업하는 습식 모드에서 작동가능하도록 청소액을 청소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기 수단 및 상기 표면으로부터 청소액을 수집하는 공기 통로 수단과, 청소 헤드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결합 시에는 상기 도포기 수단을 효과적으로 폐쇄시키면서 표면과 상기 공기 통로 수단 사이에서 연통을 유지하여 상기 표면으로부터 고체 물질을 픽업하는 건식 모드에서 헤드가 작동될 수 있게 하는 커버 수단으로 구성된 표면 청소용 청소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우징과, 표면과 결합하여 표면 상에서 청소액을 교반시키는 교반 수단과, 교반 수단의 영역에서 청소액을 표면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과, 흡입원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공기 통로 수단과, 흡입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표면과 결합될 수 있고 공기 통로 수단과 연통되는 수집 수단과, 헤드가 표면으로부터 건식 재료를 픽업하도록 표면과 상기 공기 통로 수단 사이의 연통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교반 수단을 결합 시에는 효과적으로 둘러싸는 분리가능한 커버 수단으로 구성된 표면 청소용 청소 헤드가 제공된다.
커버 수단은 커버 부재가 결합 상태에서 표면 위에서 헤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매끄러운 표면 결합 바닥벽을 갖는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노출된 수집 수단을 제외하고 헤드의 교반 수단만을 덮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커버 부재는 수집 수단도 덮고 헤드의 상기 공기 통로 수단과 연통하도록 배열된 유입 개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수집 수단은 공기를 청소 헤드의 공기 통로 수단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실질적으로 청소 헤드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지만 청소 헤드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이다. 개구의 이러한 구성은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싣기 위해 고속의 공기 흐름을 유지시킬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으로 액체를 수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수집 수단의 개구는 청소할 표면과 결합가능한 가요성 블레이드 또는 스퀴지 부품에 의해 개구의 전방 및 후방으로 제한된다. 청소 헤드가 왕복함에 따라 표면과의 결합이 국부적으로 증가된 필름 두께 내부로 표면 상의 액체를 닦아 내어서 공기 흐름에 의해 용이하게 보다 많이 실어내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고무 또는 고무 같은 재료로 제조된 그러한 블레이드 부품은 보다 효율적으로 흡입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게 된다.
수집 수단이 이러한 블레이드 또는 스퀴지 부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부품들이 청소할 표면과 결합하는 것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 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 수단은 실질적으로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개방 마우스를 한정하도록 이러한 부품의 하부 모서리들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 수단은 또한 상기 부품들 사이에서 헤드의 공기 통로 수단을 향해 연장하는 공기 유동 한정 채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널은 커버 부재의 바닥벽으로부터 직립하는 한 쌍의 평행 플랜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청소 헤드의 공기 통로 수단은 양호하게 수집 수단의 개구와 연통되고 상대적으로 길고 협소한 단면 형상이어서 수집 수단과 협동하는 마우스 부분과, 흡입원에의 접속을 위해 단면 형상을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단면으로 변화시킨 전이부를 가진다. 이러한 전이부에서, 양호하게는 단면 형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단면 형상 영역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유지시켜서, 통로 수단 및 수집 수단을 통한 공기 흐름을 고속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마우스 부분은 양호하게 대체로 그 중앙에서의 위치에서 그리고 헤드의 측방으로부터 격리되게 수집 수단의 개구에 접속되어서, 청소 헤드의 횡방향으로 즉, 수집 수단의 블레이드 부품에 평행으로 수집 수단의 최외곽 부분에서 공기 흐름을 성립시키게 된다. 이는 액체의 적재 능력 향상을 제공하고 이와 같이 청소할 표면을 보다 양호하게 건조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커버 부재 내의 채널은 배출 구멍을 헤드의 통로 수단의 마우스 부분과 일치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상부 측에서 폐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채널은 상기 블레이드 부품이 노출되지 않는 수집 수단의 상반부로 공기 및 먼지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부 측에서 개방될 수 있다.
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채널이 청소할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 확대 개방 마우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이 하단부에서 개방하는 횡단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교반 수단은 종래 형태일 수 있지만 편리하게는 청소할 표면을 향해 지지 부재로부터 연장되도록 지지된 일렬의 강모를 포함하여서, 청소 헤드가 사용 중일 때 표면 상에서 연마(scrubbing) 작용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강모는 청소 헤드의 폭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작은 술의 강모를 일렬로 또는 다수 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교반 수단은 파일 섬유에 의해 제공된 빽빽히 채워진 얇은 가요성 필라멘트의 작동 표면을 가지는 부품도 포함한다. 그러한 부품은 또한 청소 헤드의 폭을 횡단하여 그의 상대적으로 균일한 분배가 얻어지는 방법으로 청소액을 분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청소액을 분배하는 수단은 액체를 분배시키기 위해 배열되며, 상기 수단은 탄성을 주고 청소액의 분산을 돕기 위해 개방 세포형 고무 또는 플라스틱 폼 부품으로 보강될 수도 있다.
교반 수단과 수집 수단은 사용 시에 청소할 표면에 일반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헤드 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교반 수단과 수집 수단 중 하나는 표면과 적어도 우세하게 협력하지만, 본 발명이 교반 수단과 수집 수단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없는 청소 헤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청소 설비에서의 흡입 및 상기 설비로부터 흡입원까지의 공기 유동을 형성하도록 흡입원에 접속된 청소 헤드와, 공기 유동으로부터 유입된 물방울을 분리시키도록 작동하는 습식 모드 분리기 유닛 및 공기 유동으로 유입된 고체 물질을 분리시키도록 작동하는 건식 모드 분리기 유닛을 포함하는 교번적으로 작동가능한 분리기 유닛과, 사용 시에 상기 분리기에 의해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내의 수집 용기로 구성되고, 상기 청소 헤드는 액체가 표면에 도포되고 표면으로부터 픽업되는 습식 모드에서 청소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청소액을 청소할 표면에 도포시키기 위한 도포기 수단 및 상기 표면으로부터 액체의 수집에 적합한 공기 통로 수단과, 상기 청소 헤드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면으로부터 고체 물질을 픽업하는 건식 모드에서 청소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표면과 상기 공기 통로 수단 사이에서 연통을 유지하는 동안 결합 시에는 상기 도포기 수단을 효과적으로 폐쇄시키는 커버 수단으로 구성되는 종류의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 방법으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청소 헤드는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청소 헤드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94/06342호의 도면 중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비용 청소 헤드로서 주로 사용되고자 의도되지만, 청소 헤드가 예를 들어 도4 및 도5에 도시된 흡입 청소기 형태의 다목적 청소 설비와 관련하여 표면 청소용 청소 헤드로서 다른 설비의 일부 또는 그와 관련된 것으로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직립 또는 경사 배향으로 사용되는 설비의 하단부에 직접 장착되거나 또는 자유 직립 설비로부터 흡입 호스의 자유 단부에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헤드(10)는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의 주물이고 상부벽(12)과 전방, 측면 및 후방벽(13, 14, 15)을 구비한 반전된 얕은 홈통(inverted shallow trough)의 형태인 하우징(11)으로 구성된다. 본체의 상부벽(12) 위와 후방쪽에는 청소 헤드를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에 부착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흡입 청소기 설비의 호스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형상인 스피곳(spigot; 17)에서 종단하는 구성물(16)이 있다. 스피곳(17)은 하우징(11)이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축 주위를 스피곳에 대해 선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방벽(15) 아래에서, 본체는 스피곳(17)의 하나 내지 양측면에 배치된 연장부(18)를 갖고 연장부에는 표면에 대해 청소 헤드를 지지하는 데 보조하기 위하여 청소 헤드가 사용되고자 하는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지지 롤러(19)가 있다. 구조체(16)과 스피곳(17) 내에는 헤드의 전방벽(13)에 인접하여 하향으로 대면하는 마우스(21; 도3)와 연통하는 공기 유동 통로(20)가 한정된다.
청소 헤드의 하우징(11)은 청소할 표면과 공동 작동가능하고 흡입에 의해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통로(20)와 연통하는 수집 조립체(30)를 수용한다.
수집 조립체(30)는 마우스(21)의 형상과 일치하는 긴 구멍(32)을 갖는 역 U자형의 전환 본체(31)로 구성된다. 본체(31)는 다른 지지 롤러(34)가 청소 헤드의 측벽(14)에 인접하여 수반되는 양단부에 두개의 후방 연장부(33)(이들 중 단지 하나만이 도2에 도시됨)를 갖는다. 대안으로, 지지 롤러는 본체(31)의 전방측에 제공될 수 있다.
수집 조립체(30)의 본체(31)는 청소 헤드의 전방 및 후방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스크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착되고 구멍(32)과 일치하는 중앙 구멍(37)을 갖는 역 U자형의 보유 부재(36)에 의해 지지된 두개의 가요성 와이퍼 또는 스퀴지 블레이드(35)를 수용한다.
청소 헤드의 하우징(11)은 청소액을 청소할 표면에 이송하기 위한 수단과 청소 작동을 보조하도록 이러한 액체를 교반시키도록 구성된 교반 수단을 포함하는 도포기 조립체(40)를 더 수용한다.
도포기 조립체(40)는 파이버 파일 페이싱 레이어(fibre pile facing layer)를 갖는 개방 셀형 폼 플라스틱 블록(open-celled foam plastic block)을 포함하는 패드(42)로 구성된 교반 수단을 지지하는 본체(41)로 구성된다. 본체(41)는 또한 그의 후방부 상에 두 줄(row)의 강모(bristles; 44)의 술(tufts)을 지지한다. 그러나, 강모(44)는 생략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상당히 넓은 패드(42) 대신에 전후 방향으로 감소된 너비의 전환 도포기 스트립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포기 조립체(40)는 도포기 조립체(40)가 최하부 위치에 있을 때 패드(42) 및 강모(44)가 하우징(11)의 바닥 모서리의 실질적 아래로 돌출하고, 조립체(40)가 비작동 위치로 상승될 때 패드 및 강모가 실질적으로 하우징(11)으로 회수되도록 푸트 페달 및 링키지 기구에 의해 하우징(11)에 대해 상하 이동에 적합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도포기 조립체는 이러한 방식으로 회수될 필요는 없지만, 대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보통 적절한 합성 세제를 함유하는 물인 청소액을 교반 패드(42)로 이송한 후 청소할 표면으로 이송하기 위해, 하우징(11)은 공지된 방식으로 청소액의 저장소에 이어지는 가요성 튜브에 접속하기 위한 유입 스피곳(46)으로부터 도포기 조립체(40)의 본체(41)의 상부 측에 제공된 홈통 구조체(trough formation; 49)의 국부적 확장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일반적인 반구형 벽(48) 내에 배열된 배출 스피곳(47)까지 연장하는 액체 통로(45)를 갖는다. 홈통 구성물(49)은 도포기 조립체의 실질적인 전체 폭을 가로질러 측방으로 연장하고 본체(41)에는 홈통 구성물(49)로부터 본체(41)의 하부면으로 연통한 후 도포기의 교반 패드(42)까지 연통하는 다수의 이격된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통은 본체(41)의 양측면에 반전된 채널로서 형성될 수 있고 교반 패드(42)에 의해 수반된 밀폐판에 의해 하부면에서 닫혀질 수 있고, 채널의 일측벽에서 밀폐판에 의해 닫혀지지 않은 다수의 노치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이에 의해서 채널로부터 액체는 패드의 측면 상으로 유동하고 패드의 두께를 통과하기보다 측면 롤러의 하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0)는 도포기 조립체(40)를 사용하는 청소액의 도포에 의해 딱딱한 마루 표면을 청소한 후 수집 조립체(30)를 사용하는 흡입에 의해 건조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10)는 딱딱한 표면 또는 카페트면으로부터 건식 재료의 픽업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커버 부재(50)에 의해 구성된다.
커버 부재(50)는 청소할 표면 위에서 미끄럼 이동을 위해 일반적으로 매끄러운 하부면(52)을 갖는 바닥벽(51)과 전방, 측면, 및 후방벽(53, 54, 55)을 구비한 얇은 트레이형 본체로 구성된다. 부재(50)는 헤드(10)의 벽(13 내지 15) 주위에 끼워맞춤되기 위하여 치수화된다. 커버의 전방벽(53)에는 헤드의 전방(12)의 하부 모서리에 있는 림(12a) 위에 결합하는 한 쌍의 내측으로 전환된 립(lip; 56)이 형성되고, 커버 부재의 후방벽(55)에는 헤드의 후방벽(15)의 하부 모서리에 있는 립(15a) 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내측으로 전환된 립(57)이 형성된다. 립(57)의 배향인 핑거 탭(tab; 58)은 사용자가 청소 헤드의 하우징에 대해 커버 부재(50)의 조립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후방벽(55)을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벽(53)에 평행하게, 커버 부재의 바닥벽(51)에는 얇은 가로질러 연장하는 요홈(60)이 형성되고, 그의 중앙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를 둘러싸기 위하여 블레이드(35)들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은 거리 정도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직립 플랜지(61)가 있다. 플랜지(61)에 의해 한정된 슬롯(62)은 수집 조립체(30)의 본체(31) 내의 공간으로 개방한다. 흡입은 따라서 헤드의 하부면에 있는 마우스(24)로부터 요홈(60)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서, 헤드를 보통 진공 청소 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는 데다가, 도포기 조립체(40)가 커버 부재(50)에 의해 효과적으로 밀폐된다.
따라서, 동일한 픽업 헤드(10)는 커버 부재(50)의 적용 또는 제거에 의해 건식 및 습식 작업에 사용될 수 있고, 도4 및 도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및 건식 모드에 있는 청소기가 각각 도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청소 헤드를 합체시킨 전환가능한 흡입 청소기의 일 예가 예시의 목적으로 도4 및 도5에 도시된다. 이것은 흡입 덕트(130)를 통해 본체(100) 내에 제공된 요홈에서 하우징된 분리가능한 수집 용기(140)로 공기를 인출시키기 위해 흡입원을 제공하는 모터/임펠러 유닛(120)을 포함하는 다양한 작동 부품용 하우징을 한정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핸들 조립체(110)가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흡입 헤드(50)를 수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집 용기(140)는 용기(140)가 수용되는 본체 내의 요홈에 사용시 상대적으로 외부에 있는 벽 상에 일체형 핸들(142)을 갖는 일반적인 단지(jug)형 형태의 외부 본체(141)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40)의 외부 본체(141)는 외부 본체(141)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된 액체 이송 파이프(151)에 의해 흡입 헤드(50)에 이송될 수 있는 청정수(보통 세제 등을 포함함)용 저장 격실로서 작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중간 위치에 밸브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청소 헤드로의 액체의 유동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액체의 도포에 의한 청소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외부 본체(141)가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설비는 습식 모드에서 액체와 건식 모드에서 건식 물질을 픽업하도록 만 작용한다.
용기(140)는 외부 본체(141)의 상단부를 넘어 상향으로 연장하고 상단부에서 예를 들어 중간 위치된 밀폐링(122)에 의해 모터/임펠러 유닛(120)의 흡입 덕트(121)와 밀봉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내부 격실(145)을 더 포함한다.
내부 격실(145)은 흡입 헤드(50)에 의해 픽업되고 흡입 덕트(130)를 따라 이송된 건식 또는 습식 물질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용기(140)의 내부 격실(145)은 외부 본체(141)의 기부(143)로부터 내부 격실(145)의 기부를 통해 내부 격실(145)의 높이까지의 거의 1/3의 길이의 위치까지 내향으로 연장하는 중앙 흡입 튜브(146)로 구성되는 흡입 통로를 포함한다. 그의 하단부에서, 튜브(146)는 종래 방식으로 흡입 덕트(130)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수집 용기(140)의 내부 격실(145)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를 습식 픽업 모드 및 건식 픽업 모드에 설정하기 위하여 상호 교환가능한 두개의 분리기 유닛(160, 170)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습식 모드 분리기 유닛(160)은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흡입 튜브(146)의 상단부에서 분리가능하게 접속가능한 튜브(161)로 구성된다. 외단부(162)에서 튜브(161)는 배플로서 작용하도록 튜브의 외단부(162)와 일치하고 그로부터 이격된 튜브(161)보다 큰 직경의 단부벽(164)을 포함하는 캡(163)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격실(145)의 측벽으로부터도 이격되는 동안 그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튜브(161)의 단부 부분과 중첩하는 주연 스커트(165)를 수반한다. 따라서, 사용 시에 물방울과 함께 유입된 공기는 흡입 헤드(50)로부터 흡입 덕트(130)와 튜브(146, 161)를 통해 유인되고 공기 유동이 모터/임펠러 조립체(120)의 흡입 덕트(121)로 반전되어 다시 유인되기 전에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캡(163) 내에서 유동의 급격한 반전을 경험한다. 이 후에,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된 액체는 내부 격실(145)의 기부로 하향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부 격실(145)은 장치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때 내부 격실의 기부 내에 수집된 액체를 보유하는 데 조력하는 경사식으로 배치된 환형 배플판(166)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플판(166)은 내부 격실의 측벽의 내부면과 결합하는 외부로 지향된 플랜지(168) 내의 상단부에서 종단하는 상방 연장 관형벽(167)의 경사형 단부면에 제공되고, 방출 개구(169)는 액체가 내부 격실의 기저부로 방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벽(167)과 접합부에서 배플판(166)의 하부 포인트에 형성된다. 배플판은 설비가 사용될 때 최상부에 있는 내부 격실의 측면에 대향하여 개구(169)가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배플(166)은 설비가 떨어지는 경우에 배플판 위의 격실의 일부로 수집된 액체가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 시에 설비의 전후 이동에 기인한 수집된 액체의 튀어오름을 최소화시킨다. 상방으로 연장하는 방출 튜브(도시되지 않음)는 배플판 조립체를 분리시킴이 없이 내부 격실(145)의 내용물이 비워질 수 있도록 구멍(169)에 대각선 상으로 대향된 배플판(166)의 최상부 포인트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방출 튜브는 보통 적절한 분리가능한 스토퍼에 의해 상단부에서 닫혀진다.
배플판(166)과, 관형벽(167)과 플랜지(168)의 조립은 사용 후에 내부 격실을 비우고 청소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 격실(145) 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플판(166)은 배플판(166) 아래의 내부 격실(145)의 유용한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시된 것보다 캡(163)에 더욱 밀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경우에 유효한 내구성 부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 유닛(160)의 튜브(161)에 고착되고 그에 의해 수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플판(166)은 튜브(161) 또는 수집 용기의 흡입 튜브(146)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다른 배열에서, 관형벽(167)과 플랜지(168)는 구멍(169)이 요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배플판(166)이 그의 주연 주위에서 내부 격실(145)의 내부면과 직접 결합하도록 생략될 수 있다.
건식 모드에서 작동의 경우, 커버 부재(50)는 헤드(10)와 조립되고 습식 모드 분리기 유닛(160)은 수집 용기(140)의 내부 격실(145)로부터 분리되고 건식 모드 분리기 유닛(17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격실(145)의 상단부에 삽입된다. 대안으로, 건식 모드 분리기 유닛(170)이 합체된 분리형 수집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분리형 수집 용기에는 외부 저장소와 내부 격실이 형성될 필요가 없고, 고체 물질의 수집에 유용한 부피는 그에 상응하여 증가될 것이다.
건식 모드 분리기 유닛(70)은 적절한 필터 부품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형 필터 부품(71)은 장착링(72)에 의해 수반되고, 필터 부품의 최하 단부는 배플판(73)에 의해 닫혀지고, 튜브(61)로부터 빠져나오는 공기는 유동 반전을 야기시키고 공기 흐름이 미세한 입자를 제거하는 필터 재료를 통과하기 전에 조잡한 입자의 분리를 조력하기 위하여 배플판 상에 충돌한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필터가 필요하다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분리된 먼지와 다른 물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격실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용기(40) 전체는 비우기 위하여 하우징 내의 요홈으로부터 측방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청소 헤드(10)는 도포기 조립체(40)에 의해 청소액을 도포시키도록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스퀴지 블레이드 및 관련된 흡입 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체(30)에 유사한 수집 조립체로 구성되어 액체만을 픽업하도록 구성된 종류의 청소 헤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커버 부재는 스퀴지 블레이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보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laims (32)

  1. 청소 헤드(10)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청소액을 표면에 도포하고 표면으로부터 픽업하는 습식 모드에서 작동가능하도록 청소액을 청소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기 수단(40) 및 상기 표면으로부터 청소액을 수집하는 공기 통로 수단(20)과,
    상기 청소 헤드(1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결합 시에는 상기 도포기 수단(40)을 효과적으로 폐쇄시키면서 상기 표면과 상기 공기 통로 수단(20) 사이에서 연통을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표면으로부터 고체 물질을 픽업하는 건식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게 하는 커버 수단(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2. 표면 청소용 청소 헤드(10)에 있어서,
    하우징(11)과,
    표면과 결합되어 표면 상에서 청소액을 교반시키는 교반 수단(40)과,
    교반 수단(40)의 영역에서 청소액을 표면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45 내지 49)과,
    흡입원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공기 통로 수단(20)과,
    흡입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청소액을 수집하도록 표면과 결합되고 공기 통로 수단(20)과 연통되는 수집 수단(30)과,
    결합 시에는 상기 교반 수단(40)을 효과적으로 둘러싸면서 상기 표면과 상기 공기 통로 수단(20) 사이의 연통을 유지하여 헤드가 표면으로부터 건식 재료를 픽업할 수 있게 하는 분리가능한 커버 수단(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커버 수단(50)은 커버 부재가 결합 상태에서 표면 위에서 헤드(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매끄러운 표면 결합 바닥벽(51)을 구비한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51)는 수집 수단(30)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고 헤드의 교반 수단(40) 만을 덮도록 형상화되고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51)는 교반 수단(40)과 수집 수단(30)을 덮도록 형상화되고 배열되며, 커버 부재에는 헤드의 상기 공기 통로 수단(20)과 연통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유입 개구(60 내지 6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수집 수단(30)은 청소 헤드의 공기 통로 수단(20) 쪽 공기의 유동에 적합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청소 헤드의 실질적인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지만 청소 헤드의 길이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수집 수단의 개구는 청소할 표면과 결합가능한 가요성 블레이드 또는 스퀴지 부품(35)에 의해 개구의 전방 및 후방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커버 수단(50)은 청소할 표면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 또는 스퀴지 부품(35)을 차폐하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9. 제8항에 있어서, 커버 수단(50)은 상기 부품(35)의 하부 모서리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헤드의 실질적인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개방 마우스(62)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0. 제9항에 있어서, 커버 수단(50)은 상기 부품(35)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헤드 부재의 공기 통로 수단(20)을 향해 이어지는 공기 유동 채널(62)을 한정하는 플랜지(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통로 수단(20)은 수집 수단(30)의 개구(32)와 연통되고 수집 수단과 협동하도록 상대적으로 길고 협소한 단면 형상으로 된 마우스 부분과, 흡입원에의 접속을 위해 단면 형상을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단면으로 변화시킨 전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부에서 단면 형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단면 형상 영역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유지시켜서 통로 수단 및 수집 수단을 통한 공기 흐름을 고속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부분(21)은 대체로 그 중앙 위치에서 헤드의 측방으로부터 격리되게 수집 수단(30)의 개구에 접속되어 청소 헤드의 횡방향으로 수집 수단의 최외곽 부분에서 공기 흐름을 성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4. 제10항에 부속되는 제13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 내의 채널(62)은 헤드의 공기 통로 수단(20)의 마우스 부분(21)과 일치하는 방출 구멍을 제외하고는 상부측에서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5. 제10항에 부속되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 채널(62)은 상기 블레이드 부품(35)이 노출되지 않는 수집 수단(30)의 상단부로 공기와 먼지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부측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6. 제10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50)의 하부면에는 상기 채널(62)이 하단부에서 개방하는 횡단 요홈(60)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은 청소할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확대 개방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7. 제1항에 있어서, 교반 수단(40)은 청소할 표면을 향해 지지 부재(41)로부터 연장하도록 지지된 일렬의 강모(44)를 포함하여 청소 헤드가 사용 중일 때 표면 상에서 연마 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8. 제17항에 있어서, 교반 수단은 파일 섬유에 의해 제공된 빽빽히 채워진 얇은 가요성 필라멘트의 작동 표면을 가지는 부품(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19. 제18항에 있어서, 표면에 청소액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45 내지 49)은 청소액을 상기 부품(42)에 이송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42)은 탄성을 주고 청소액의 분산을 돕기 위해 개방 세포형 고무 또는 플라스틱 폼 부품으로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21. 제2항에 있어서, 교반 수단(40)과 수집 수단(30)은 사용 시에 청소할 표면에 일반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헤드 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여 교반 수단과 수집 수단 중 하나는 표면과 적어도 우세하게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22. 표면 청소용 청소 헤드(1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커버 부재(50)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청소액을 표면에 도포하고 표면으로부터 픽업하는 습식 모드에서 작동가능하도록 청소액을 청소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기 수단(40) 및 상기 표면으로부터 청소액을 수집하는 공기 통로 수단(20)과, 이들과 조합해서 상기 청소 헤드(1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결합 시에는 상기 도포기 수단(40)을 효과적으로 폐쇄시키면서 상기 표면과 상기 공기 통로 수단(20) 사이에서 연통을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표면으로부터 고체 물질을 픽업하는 건식 모드에서 작동가능하게 하는 커버 수단(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23. 표면 청소용 청소 헤드(1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커버 부재(50)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표면과 결합되어 표면 상에서 청소액을 교반시키는 교반 수단(40)과, 교반 수단(40)의 영역에서 청소액을 표면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45 내지 49)과, 흡입원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공기 통로 수단(20)과, 표면에 흡입을 적용하기 위해 헤드의 하부면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수집 수단(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50)는 상기 교반 수단(40)을 효과적으로 둘러싸면서 표면과 헤드의 공기 통로 수단(20) 사이의 연통을 유지하여 헤드(10)가 표면으로부터 건식 재료를 픽업하도록 헤드(10)의 하부면과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24. 제23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가 결합 시에는 청소할 표면 위에서 헤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매끄러운 표면 결합 바닥벽(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25. 제24항에 있어서, 청소 헤드(10)의 대응하는 측벽(14)과 결합하는 직립 측벽(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26. 제25항에 있어서, 바닥벽(51)은 노출된 수집 수단(30)을 제외하고 헤드의 교반 수단(40) 만을 덮도록 형상화되고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27. 제25항에 있어서, 바닥벽(51)은 교반 수단(40)과 수집 수단(30)을 덮도록 형상화되고 배열되며, 바닥벽에는 헤드의 상기 공기 통로 수단(20)과 연통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유입 개구(6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부재.
  28. 청소 헤드에서의 흡입 및 상기 헤드로부터 흡입원까지의 공기 유동을 형성하도록 흡입원(120)에 접속된 청소 헤드(10)와,
    공기 유동으로부터 유입된 물방울을 분리시키도록 작동하는 습식 모드 분리기 유닛(160) 및 공기 유동으로 유입된 고체 물질을 분리시키도록 작동하는 건식 모드 분리기 유닛(170)을 포함하는 교번적으로 작동가능한 분리기 유닛과,
    사용 시에 상기 분리기에 의해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수용하는 청소기의 본체 내의 수집 용기(140)로 구성되고,
    상기 습식 모드 분리기(160)가 작동되고 상기 청소 헤드(10)가 청소액을 표면에 도포하고 표면으로부터 픽업하는 습식 모드에서 작동가능하도록 청소액을 청소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기 수단(40) 및 상기 표면으로부터 청소액을 수집하는 공기 통로 수단(20), 상기 청소 헤드(1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건식 모드 분리기(170)가 작동되고 결합 시에는 상기 도포기 수단을 효과적으로 폐쇄시키면서 상기 표면과 상기 공기 통로 수단(20) 사이에서 연통을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표면으로부터 고체 물질을 픽업하는 건식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게 하는 커버 수단(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9. 헤드가 청소액을 표면에 도포하고 표면으로부터 픽업하는 습식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청소액을 청소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기 수단(40) 및 상기 도포기 수단에 인접하여 제공된 수집 수단(30)에서 흡입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으로부터 청소액을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퀴지 블레이드(35)를 포함하는 공기 통로 수단(20)과,
    상기 청소 헤드(1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결합하면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35)를 효과적으로 폐쇄시키면서 표면과 상기 수집 수단(30) 사이에서 연통을 유지하여 상기 표면으로부터 고체 물질을 픽업하는 건식 모드에서 헤드(10)가 작동될 수 있게 하는 커버 수단(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헤드.
  30. 청소 헤드에서의 흡입 및 상기 헤드로부터 흡입원까지의 공기 유동을 형성하도록 흡입원(120)에 접속된 청소 헤드(10)와,
    공기 유동으로부터 유입된 물방울을 분리시키도록 작동하는 습식 모드 분리기 유닛(160) 및 공기 유동으로 유입된 고체 물질을 분리시키도록 작동하는 건식 모드 분리기 유닛(170)을 포함하는 교번적으로 작동가능한 분리기 유닛과,
    사용 시에 상기 분리기에 의해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수용하는 청소기의 본체 내의 수집 용기(14)로 구성되고,
    상기 습식 모드 분리기(160)가 작동되고 상기 청소 헤드(10)가 청소액을 표면에 도포하고 표면으로부터 픽업하는 습식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청소액을 청소할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기 수단(40) 및 상기 표면으로부터 청소액을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퀴지 블레이드(35)를 포함하여 상기 도포기 수단(40)에 인접해서 제공된 수집 수단(30)에서의 흡입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통로 수단(20), 상기 청소 헤드(1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건식 모드 분리기(170)가 작동되고 결합 시에는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35)를 효과적으로 폐쇄시키면서 상기 표면과 상기 수집 수단(30) 사이에서 연통을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표면으로부터 고체 물질을 픽업하는 건식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게 하는 커버 수단(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1. 상기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합의 청소 헤드 및 커버 부재.
  32. 제22항에서 청구되고 실질적으로 상기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 부재.
KR1019980706353A 1996-02-16 1997-02-13 청소 헤드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아답터 KR19990082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603250.3A GB9603250D0 (en) 1996-02-16 1996-02-16 Cleaning heads and adaptors for the use therewith
GB9603250.3 1996-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614A true KR19990082614A (ko) 1999-11-25

Family

ID=1078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353A KR19990082614A (ko) 1996-02-16 1997-02-13 청소 헤드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아답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01668A (ko)
EP (1) EP0880335A1 (ko)
JP (1) JP2000505322A (ko)
KR (1) KR19990082614A (ko)
AU (1) AU710010B2 (ko)
BR (1) BR9707428A (ko)
CA (1) CA2246594A1 (ko)
GB (1) GB9603250D0 (ko)
WO (1) WO1997029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3616A (en) * 1998-11-11 2000-05-17 Vax Ltd Cleaning heads for suction cleaners, and adaptors for use therewith
IT1307839B1 (it) * 1999-02-03 2001-11-19 Douss Line S R L Uno spazzolone per la pulizia di pavimenti e/o di tappeti munito di undispositivo di aspirazione e di un dispositivo generatore ed
ITPD20010125A1 (it) * 2001-05-31 2002-12-01 Lindhaus Srl Utensile perfezionato multiuso per macchine di pulizia.
US6832409B2 (en) * 2001-09-18 2004-12-21 The Hoover Company Wet/dry floor cleaning unit and method of cleaning
US7137169B2 (en) * 2003-01-10 2006-11-21 Royal Appliance Mfg. Co.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pad
US20040134016A1 (en) * 2003-01-10 2004-07-15 Royal Appliance Manufacturing Company Suction wet jet mop
JP3882191B2 (ja) * 2003-06-13 2007-02-14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P1658003B1 (en) * 2003-08-22 2011-07-13 Bissell Homecare, Inc. Wet/dry bare floor cleaner
US7823250B2 (en) * 2003-08-26 2010-11-02 Bissell Homecare, Inc. Bare floor cleaner
US7143471B2 (en) * 2003-10-06 2006-12-05 Oreck Holdings, Llc Vacuum cleaner attachment
US7293322B2 (en) * 2003-10-09 2007-11-13 Royal Appliance Mfg. Co. Cleaning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KR100551678B1 (ko) * 2003-12-05 2006-02-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US7254864B2 (en) * 2004-07-01 2007-08-14 Royal Appliance Mfg. Co. Hard floor cleaner
ITUD20040185A1 (it) * 2004-09-24 2004-12-24 De Longhi Spa Scopa elettrica multifunzionale
DE102004046383B4 (de) * 2004-09-24 2009-06-18 Stein & Co Gmbh Vorrichtung für Bürstwalze von Bodenpflegegeräten
KR100619754B1 (ko) * 2004-11-03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GB2422092A (en) 2005-01-18 2006-07-19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US20070113361A1 (en) * 2005-11-18 2007-05-24 Chad Rees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25540B2 (en) * 2006-03-10 2015-09-08 Bissell Homecare, Inc. Bare floor cleaner
JP5066966B2 (ja) * 2007-03-23 2012-11-07 ヤマハ株式会社 演奏支援装置、コントローラ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70059A1 (en) * 2009-01-06 2010-07-08 Euro-Pro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attachment
GB2486666B (en) 2010-12-22 2012-11-07 Grey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01306512D0 (en) 2013-04-10 2013-05-22 Grey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US10219671B2 (en) * 2013-05-15 2019-03-05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ing device
CN105263382B (zh) 2013-06-05 2018-08-07 格雷技术有限公司 手持真空吸尘器
ITUB20160903A1 (it) * 2016-02-19 2017-08-19 New Ermes Europe Srl Piastra di base per testa di aspirazione per aspirapolvere o simile
GB201603300D0 (en) 2016-02-25 2016-04-13 Grey Technology Ltd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01603302D0 (en) 2016-02-25 2016-04-13 Grey Technology Ltd Dirt-collection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WO2018032615A1 (zh) * 2016-08-15 2018-02-2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吸尘器地刷和吸尘器
GB201616598D0 (en) 2016-09-30 2016-11-16 Grey Technology Limited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01706357D0 (en) 2017-04-21 2017-06-07 Grey Tech Ltd Bagged vacuum cleaner
US11224319B2 (en) 2017-12-11 2022-01-18 New Ermes Europe S.R.L. Base plate for a vacuum cleaner suction head for the suction of fine dust and large debris
JP1641037S (ko) 2018-09-18 2019-09-09
EP3763270B1 (en) * 2019-07-08 2023-09-06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nozzle
IT202000001555A1 (it) 2020-01-28 2021-07-28 New Ermes Europe Srl Dispositivo adattatore per aspirapolvere elettrico senza filo
USD953673S1 (en) 2020-02-17 2022-05-31 New Ermes Europe S.R.L. Head of a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9371A (en) * 1940-12-05 1944-05-23 Sparks Withington Co Air cleaning device
US3079626A (en) * 1960-03-21 1963-03-05 Bissell Inc Combinatio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floor scrubber
US4413372A (en) * 1981-11-12 1983-11-08 Shop-Vac Corporation Shoe attachment for wet/dry electric vacuum cleaner
US4462137A (en) * 1983-01-03 1984-07-31 Shop-Vac Corporation Electric vacuum cleaner
US4549328A (en) * 1983-07-13 1985-10-29 Whirlpool Corporation Convertible vacuum and powder carpet cleaner
US4573235A (en) * 1984-10-26 1986-03-04 The Scott & Fetzer Company Rug cleaning attachment
GB2206478B (en) * 1987-07-10 1991-04-24 Vax Appliances Ltd Cleaning head
US5001806A (en) * 1989-12-13 1991-03-26 U.S. Products Inc. Kit for fabric cleaning device
FR2683443B1 (fr) * 1991-11-12 1994-11-04 Moulinex Sa Tete de nettoyage de surfaces planes.
AU4978493A (en) * 1992-09-15 1994-04-12 Vax Limited Cleaning head
US5398373A (en) * 1993-01-04 1995-03-21 Bissell Inc. Combination vacuum cleaner and water extractor power fo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0010B2 (en) 1999-09-09
AU1800997A (en) 1997-09-02
US6101668A (en) 2000-08-15
WO1997029675A1 (en) 1997-08-21
EP0880335A1 (en) 1998-12-02
JP2000505322A (ja) 2000-05-09
BR9707428A (pt) 1999-07-20
GB9603250D0 (en) 1996-04-17
CA2246594A1 (en) 199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2614A (ko) 청소 헤드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아답터
CN103565356B (zh) 用于真空清洁器具的地面工具
US3117337A (en) Unitary floor scrubbing and drying appliance
EP0300637B1 (en) Cleaning head
US7137169B2 (en)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pad
CN103565354B (zh) 用于真空清洁器具的地面工具
US7784137B2 (en) Vacuum duster with flexible fibers
KR100430041B1 (ko) 전기소제기
PL180134B1 (pl) Koncówka odkurzacza do czyszczenia powierzchni na mokro PL PL PL PL PL PL
US4250592A (en) Vacuum cleaner
WO1994006344A1 (en) Cleaning head
GB2322065A (en) Wet or dry vacuum cleaner
WO2024116233A1 (ja) 清掃ローラおよび掃除機
JP7356656B1 (ja) 清掃ローラおよび掃除機
EP4059399A1 (en)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a surface to be cleaned
US20240148205A1 (en)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wheel of a suction head
CN116671821A (zh) 表面清洁装置
AU600153C (en) Cleaning head
KR19990000058A (ko) 청소기
GB2343616A (en) Cleaning heads for suction cleaners, and adaptors for use therewith
JP200414769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