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058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058A
KR19990000058A KR1019970022700A KR19970022700A KR19990000058A KR 19990000058 A KR19990000058 A KR 19990000058A KR 1019970022700 A KR1019970022700 A KR 1019970022700A KR 19970022700 A KR19970022700 A KR 19970022700A KR 19990000058 A KR19990000058 A KR 19990000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detergent
holder
cleaner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8818B1 (ko
Inventor
송영소
Original Assignee
송영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소 filed Critical 송영소
Priority to KR101997002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818B1/ko
Publication of KR1999000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은 물론 벽면이나 유리의얼룩제거 및 욕실 타일의 물기 제거 등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모터(14)가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1)와 홀더(2)를 연결하는 호스(3)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1)의 중앙 상면부에 손잡이(10)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호스(3)가 연결되는 흡입구(11) 및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3)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모터(14)와 연결되는 팬(15)의 하부측에는 흡입구(11)와 연통되는 조립부(17)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부(17)에 오수를 받도록 된 오수받이통(18)이 조립되며, 상기 홀더(2)에는 오수흡입구(20)와 함께 오물을 닦고 긁어내도록 된 걸레(5)와 오수긁게(4)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오수긁게(4)로 긁어낸 오물을 홀더(2)에 형성시킨 오수흡입구(20)와 호스(30)를 통해 오수받이통(18)에 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Description

청소기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바퀴가 부설되는 본체의 흡입구에 호스를 연결하여 모터의 구동시 회전하는 팬의 흡입력으로 호스를 통해 공기와 함께 빨아 들여지는 오물과 먼지를 필터에 포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오물을 수거하는 크기 및 용량과, 휴대가 가능하도록 된 휴대용 및 충전용 배터리를 내장하여 전원 코드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충전식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상기한 진공청소기는 대부분이 먼지만을 포집하는 공기 청소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반면에 물 청소도 가능하도록 된 청소기는 대형이면서 가격이 고가일뿐만 아니라 주로 바닥 청소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처에 제한을 받는 등의 문제점을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진공청소기의 기능과 걸레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특히 크고 작은 유리창 및 욕실 타일 벽면에 묻어 있는 물기, 오물 제거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터(14)가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1)와 홀더(2)를 연결하는 호스(3)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홀더(2)에 오수흡입구(20)와 함께 오물을 닦고 긁어내도록 된 걸레(5)와 오수긁게(4)가 서로 상반되게 설치되며, 세제가 담겨지는 세제통(60)이 구비되는 세제분무장치(6)가 구비되어 이물질을 닦아 내고자 하는 표면으로 세제를 분무하여 걸레(5)로 이물질을 닦아 낸 후 오수긁게(4)로 긁어낸 오수(오물)는 홀더(2)에 형성시킨 오수흡입구(20)와 호스(3)를 통해 오수받이통(18)에 모으도록 구성하였는 바, 이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청소기 본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홀더에 설치되는 걸레와 오수긁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에 걸레와 오수긁게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조립 단면도,
도 5는 오수긁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6은 청소기 본체 손잡이에 홀더가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세제통에 세제를 보충하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세제분무장치를 이용하여 세제가 분출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청소기 본체2:홀더
3:호스4:오수긁게
5:걸레6:세제분무장치
7:멜빵8:고정구
11:흡입구13;배출구
14:모터15:팬
17:조립부18:오수받이통
20:오수흡입구21:홀드 손잡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를 묘사하고 있는 예시도로서, 모터(14)가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1)와 홀더(2)를 연결하는 호스(3)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1)의 중앙 상면부에 손잡이(10)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호스(3)가 연결되는 흡입구(11) 및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3)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모터(14)와 연결되는 팬(15)의 하부측에는 흡입구(11)와 연통되는 조립부(17)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부(17)에 오수를 받도록 된 오수받이통(18)이 조립되며, 상기 홀더(2)에는 오수흡입구(20)와 함께오물을 닦고 긁어내도록 된 걸레(5)와 오수긁게(4)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오수긁게(4)로 긁어낸 오물을 홀더(2)에 형성시킨 오수흡입구(20)와 호스(30)를 통해 오수받이통(18)에 받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청소기에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되는 멜빵(7)과 작업자의 허리벨트(B)에 걸어 고정시키도록 된 고정구(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상기 멜빵(7)을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1)를 어깨에 걸거나, 고정구(8)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1)를 허리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통해 청소기의 휴대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손잡이(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를 고정하도록 된 협지부(101)를 형성하여 이동 및 작업을 끝마친 후에는 호스(3)가 연결되는 홀더 손잡이(21)를 협지부(101)에 고정하고, 작업시에는 협지부(101)에서 홀더 손잡이(21)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고 있다.
조립부(1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의 하부 일측으로 조금 돌출시킨 중공 원통체로 되어 상기 조립부(17)의 외주면으로 오수받이통(18)의 선단이 끼워지며 조립될 수 있도록 되고, 조립부(17)의 내주면 일측에는 흡입구(11)와 연통되는 구멍(170)과 조립부(17)의 중앙에 공기흡입공(172)을 뚫어 상부에 설치되는 팬(15) 구동시 청소기 내측으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작용하도록 되고, 공기흡입구 주변에는 하향 돌출되는 오수가이드(174)를 형성하여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오수가 오수가이드(174)에 부딪힌 후 오수받이통(18)으로 떨어지게 하여 공기만이 공기흡입공(172)을 통해 배출구(13)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공기흡입공(172)에는 필터(178)를 개제하여 진공 흡입시 팬(15)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팬(15)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수받이통(18)은 일정한 크기로 되는 용기로 되고 일측에는 청소기 본체(1)의 조립부(17)에 조립되는 조립부(182)가 형서되어 청소기 본체(1)와 조립시에는 내부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고, 분해시에는 청소기 본체(1)의 하부측으로부터 오수받이통(18)만이 부리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오수받이통(18)의 조립부(182)와 청소기 본체(1)에 형성된 조립부(17)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각각의 걸림돌기(186)와 고정돌기(176)를 설치하여 오수받이통(18)을 청소기 본체(1)에 조립한 상태에서 오수받이통(18)을 소정의 각도만큼 정/역방향(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오수받이통(18)의 걸림돌기(186)와 고정돌리(176)가 쾌·해정 되게하여 오수받이통(18)이 자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에는 양쪽으로 오물 닦고 긁어내는 걸레(5)와 오수긁게(4)가 착탈되는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마모시 이들을 고정하고 있는 덮개(22)를 분리하는 것으로 부분 교체가 가능하게하고, 그 상면에는 홀더손잡이(21)에 부설되는 세제분무장치(6)의 세제통(60)이 조립되고 있다.
상기 오수긁(4)가 조립되는 조립부에는 호스(3)와 연통되는 오수흡입구(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가공되어 공기 흡입력에 의해 오수를 흡입하도록 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오수긁게(4)에 의해 오수흡입구(20)가 덮여지고, 오수긁게(4)를 표면과 접촉시키며 오수를 긁어내는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수흡입구(20)를 덮고 있던 오수긁게(4)가 뒤로 젖혀지며 오수흡입구(20)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오수긁게(4)를 청소하고자 하는 표면으로 접촉시키면서 오수를 긁게되는 경우 오수긁게(4)에 의해 모여지는 오수는 오수흡입구(20)를 통해 전량 오수받이통(18)으로 흡입시킴으로서 오수긁게(4)로 오수를 긁어내더라도 주변이 더렵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덮개(22)에는 홀더(2)와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내측면에 조립돌기(23)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돌기(230)는 조절노브(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노브(23)가 덮개(20)에 형성되는 가이드(24)를 따라 이동되어지며 홀더(2)에 결합/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되고, 상기 홀더(2)에 조립되는 오수긁게(4) 걸레(5)가 유동됨이 없도록 홀더(2)에 다수의 고정부(21,21,…)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21,21,…)에 오수긁게(4)와 걸레(5)에 형성되는 조립부(40,50)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홀더(2)의 양쪽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오수긁게(4)와 걸레(5)가 압출되는 조립가이드를 형성하여 상기 홀더(2)의 조립가이드에 오수긁게(4)와 걸레(5)의 조립부(40,50)가 끼워지도록 밀어 넣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하여 덮개를 분리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홀더(2)의 양쪽 조립가이드에 오수긁게(4)와 걸레(5)를 직접 밀어 넣고 잡아 빼는 것만으로 손쉽게 분해/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호스(3)는 플렉시블한 비닐호스로 이루어져 자유롭게 구부리고 펼 수 있도록 되고 그 양끝단에 고정구(31,33)가 조립되는 흡입구(11) 및 홀더(2)에 상기 고정구(31,33)를 연결하여 팬(15) 구동시 오수와 함께 공기가 상기 홀더(2)와 호스(3)를 통해 청소기 본체(1)로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제분무장치(6)는 홀더(2)에 장착되는 세제통(60)과 세제통(60)의 세제를 노즐(64)에 이송 공급하여 분출시키도록 홀더 손잡이(20)에 설치되는 압축기(66)로 구성된다.
세제통(60)은 홀더(2)와 별개로 구성되어 손잡이(20)가 조립되는 홀더(2)의 상면으로 조립되는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기조의 청소기 홀더에도 장착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고, 그 일측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제주입구(61)를 형성하여 세제를 보충하도록 되고 세제통(60)의 중앙부에는 세제를 배출시키는 세제배출구(62)를 형성하여 상기 세제배출구(62)에 압축기(66)가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66)는 노즐(64)과 연결되어 압축기(66) 레버(67)의 조작에 의해 세제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되는 세제를 압축기(66)에 의해 압축된 후 노즐(64)의 구멍을 통해 외부 분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홀더(2)와 홀더 손잡이(20)는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 사용시에는 홀더(2)에 홀더 손잡이(20)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홀더 손잡이(20)에 연결되는 호스(3)를 분리하는 일이 없이 홀더(2)와 홀더 손잡이(20)를 분리시키는 것으로 보관이 가능하도록 되고, 홀더(2)에서 홀더 손잡이(20)를 분해/결합시 세제분무장치(6)의 세제배출구(62)와 연결되는 압축기(66)도 함께 분해/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에 오수받이통(18)을 조립하고, 흡입구(11)와 홀더(3)에 호스(3)의 양끝단이 고정되게 연결한 다음 홀더(2)를 이용하여 유리창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닦아 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제분무장치(6)의 레버(67)를 움켜쥐는 것을 여러번 반복하여 세제통(60)내의 세제는 노즐(64)을 통해 사용자가 닦고자 하는 표면으로 분무시킨 다음 세제가 분무된 표면을 걸레(5)로 닦게 되면 표면에 묻어 있는 얼룩을 쉽게 지울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걸레(5)를 이용하여 유리창에 묻어 있는 얼룩을 모두 지운 다음에는 이제까지 사용하던 홀더(2)를 반대쪽으로 180°회전시켜 얼룩이 지워진 표면을 오수긁게(4)로 서서히 긁게 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질이 지워진 유리창 표면의 오물을 오수긁게(5)에 의해 한곳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모터(14)의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시키면 모터(14)와 연결되는 팬(15)이 회전하고, 상기 팬(15)이 회전함에 따라 흡입구(11)와 연결되는 호스(3)의 내측으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해 홀더(2)에 형성시킨 오수흡입구(20)로 오수가 흡입되고, 오수흡입구(20)로 흡입된 오수는 홀더 손잡이(20) 및 호스(3), 흡입구(11), 조립부(17)의 구멍(170)을 통해 흡입된 후 오수가이드(174)에 부딪혀 오수받이통(18)으로 떨어지며 모이게 된다. 이때 오수와 함께 오수받이통(18)으로 흡입된 공기는 팬(15)의 흡입력에 의해 다시 공기흡입공(172)을 통해 배출구(13)로 배출시킴으로서 오수받이통(18)에는 오수만이 잔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수긁게(4)에 의해 긁게 되는 오수를 홀더(2)의 오수흡입구(20)를 통해 전량 오수받이통(18)으로 흡입시킴으로서 오수가 주변으로 튀거나 흘러내릴 염려가 없어 주변을 더럽히는 일이 없이 아주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표면이나 바닥에 떨어진 쓰레기 조각 등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수긁게(4)를 이용하여 바닥을 쓸어내듯이 긁게 되면 일반 진공청소기처럼 쓰레기 조각이나 먼지가 오수흡입구(20)를 통해 오수받이통(18)으로 유입된 후 필터(178)에 먼지 등이 포진된 후 공기만이 배출구(13)로 배출되게 되어 오수받이통(18)에는 오물과 같은 쓰레기만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은 청소를 마친 다음에는 청소기 본체에서 오수받이통을 분리하여 오수받이통에 담겨진 오수 및 쓰레기를 폐기하면서 지속적으로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분이나 습기를 제거하는 물기 제거 및 기존의 진공청소기의 기능을 겸하고 있어 바닥 청소는 물론 크고 작은 유리창, 욕실의 타일 벽면에 달라붙은 습기와 먼지 제거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어 사용 수명이 장구하다는 등의 작용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진공청소기의 기능은 물론 벽면이나 유리, 욕실 타일의 물기 제거 등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9)

  1. 모터(14)가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1)와 홀더(2)를 연결하는 호스(3)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1)의 중앙 상면부에 손잡이(10)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호스(3)가 연결되는 흡입구(11) 및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3)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모터(14)와 연결되는 팬(15)의 하부측에는 흡입구(11)와 연통되는 조립부(17)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부(17)에 오수를 받도록 된 오수받이통(18)이 조립되며, 상기 홀더(2)에는 오수흡입구(20)와 함께 오물을 닦고 긁어내도록 된 걸레(5)와 오수긁게(4)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오수긁게(4)로 긁어낸 오물을 홀더(2)에 형성시킨 오수흡입구(20)와 호스(3)를 통해 오수받이통(18)에 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에 세제를 분출시키도록 된 세제분무장치(6)가 부설되며, 상기 세제분무장치(6)는 세제통(60)과 세제통(60)의 세제를 노즐(64)에 이송 공급하여 분출시키도록 홀더 손잡이(20)에 설치되는 압축기(66)로 되고, 세제통(60)은 홀더(2)와 별개로 구성되어 홀더(2)에 조립되며 그 일측에는 세제주입구(61)를 형성하여 세제를 보충하도록 되고 세제통(60)의 중앙에는 세제를 배출시키는 세제배출구(62)를 형성하여 상기 세제배출구(62)에 압축기(66)가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66)는 노즐(64)과 연결되어 압축기(66) 레버(67)의 조작에 의해 세제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되는 세제를 압축기(66)에 의해 압축된 후 노즐(64)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1)에 청소기를 휴대할 수 있도록 된 멜빵(7) 또는 허리벨트(B)에 걸어 고정시키도록 된 고정구(8)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에는 홀더(2)를 고정하는 협지부(10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172) 주위에 하향 돌출되는 오수가이드(174)를 설치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오수가 오수가이드(174)에 의해 오수받이통(18)에 모이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받이통(18)은 일정한 크기로 되는 용기로 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고, 상기 오수받이통(18)과 청소기 본체(1)에는 서로 대향되는 각각의 걸림돌기(186)와 고정돌기(176)가 구비되어 오수받이통(18)을 소정의 각도만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오수받이통(18)의 걸림돌기(186)와 고정돌기(176)가 쾌·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홀더(2)에 부설되는 걸레(5)와 오수긁게(4)는 덮개(22)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홀더(2)에 형성되는 오수흡입구(20)는 평상시에는 오수긁게(4)에 의해 닫혀 있고, 오수긁게(4)로 표면을 긁게 되는 경우 오수긁게(4)가 뒤로 젖혀지며 오수흡입구(20)를 개방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에 오수긁게(4)와 걸레(5)가 끼워지는 것을 안내하는 조립가이드(26,26)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가이드를 따라 오수긁게(4)와 걸레(5)가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며 조립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19970022700A 1997-06-02 1997-06-02 청소기 KR10019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700A KR100198818B1 (ko) 1997-06-02 1997-06-02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700A KR100198818B1 (ko) 1997-06-02 1997-06-02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58A true KR19990000058A (ko) 1999-01-15
KR100198818B1 KR100198818B1 (ko) 1999-06-15

Family

ID=1950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700A KR100198818B1 (ko) 1997-06-02 1997-06-02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34Y1 (ko) * 2015-06-24 2016-07-26 주식회사 이노뷰 유리 세척기의 물 공기 분리구조
KR200480944Y1 (ko) * 2015-06-24 2016-07-27 주식회사 이노뷰 유리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55Y1 (ko) 2015-06-24 2016-06-21 주식회사 이노뷰 유리 세척기의 물탱크 및 그 장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34Y1 (ko) * 2015-06-24 2016-07-26 주식회사 이노뷰 유리 세척기의 물 공기 분리구조
KR200480944Y1 (ko) * 2015-06-24 2016-07-27 주식회사 이노뷰 유리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8818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370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tray
CN212140337U (zh) 表面清洁设备
KR20190001372U (ko) 표면 청소 장치
AU2004202941B2 (en) Complex type cleaner
KR100430041B1 (ko) 전기소제기
US4250592A (en) Vacuum cleaner
JP2004521690A (ja) 自動給排水により表面を清掃するための装置
KR100619754B1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KR100198818B1 (ko) 청소기
KR100595551B1 (ko) 복합 청소기
EP4059399A1 (en)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area of a surface to be cleaned
KR100539759B1 (ko) 복합 청소기
EP4059398A1 (en) Supplying liquid to at least one wheel of a suction head
KR920010684B1 (ko) 습건식 진공청소기의 회수세액 제거장치
KR100557595B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집진실 커버구조
KR920010681B1 (ko) 건식청소와 물청소가 가능한 습건식 진공청소기
KR100595582B1 (ko) 복합 청소기의 집수통
KR100595544B1 (ko) 급수통/집수통의 착,탈이 용이한 물청소기
KR20050077677A (ko) 욕실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