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44Y1 - 유리 세척기 - Google Patents

유리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44Y1
KR200480944Y1 KR2020160001900U KR20160001900U KR200480944Y1 KR 200480944 Y1 KR200480944 Y1 KR 200480944Y1 KR 2020160001900 U KR2020160001900 U KR 2020160001900U KR 20160001900 U KR20160001900 U KR 20160001900U KR 200480944 Y1 KR200480944 Y1 KR 200480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brush head
tank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444220.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79773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444219.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79773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443695.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797739U/zh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4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plate glass, e.g. prior to manufacture of wind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8Hand implements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을 위한 유리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오수를 회수하는구조를 일체화시킨 것으로서, 그 구동가 컴팩트하고 단순하여 합리적이며, 조작이 간단하고 탈착이 편리하고, 사용수명이 길고, 오수와 공기의 분리 효과가 양호하다.
본 고안의 유리 세척기는 유리를 닦으면서 발생되는 오수를 회수하는 브러시 헤드; 본체 전방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물탱크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수직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측 내부에 배치되어 브러시 헤드를 통해 흡입되는 오수와 공기를 분리시키는 소켓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물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세척 유리면에 분사시키는 물 분사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브러시 헤드를 소켓부에 탈부착시키는 잠금부; 오수를 물탱크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흡입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압 발생부: 및 상기 부압 발생부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량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 세척기{WINDOW WASHING DEVICE}
본 고안은 청소도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 표면을 닦기 위한 물의 용이한 분사와, 세척 후 오수를 간편하게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일체화한 유리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유리 세척기는 유리 진공 세척 브러시라고도 칭하며, 유리를 세척하는 청소도구로서, 그 구조는 주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세척하는 브러시 헤드를 포함하며, 본체에 각각 물 분사장치와 부압 발생장치가 설치되어, 작동 시 물 분사장치로 물탱크 내의 정수를 유리 표면에 분사하고, 브러시 헤드를 이용하여 유리를 닦아내며, 부압 발생장치는 본체 내부에 부압 통로을 형성하여 유리를 닦은 오수를 브러시 헤드를 거쳐 본체의 물탱크 내로 환류시키기 위한 것이다.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브러시 헤드와 본체 사이는 통상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종래의 유리 세척기의 브러시 헤드와 본체 사이는 결합 구조의 설치가 불합리하여 탈착 조작이 비교적 번거롭고 불편하며, 탈착 난이도가 비교적 클 뿐만 아니라, 사용 수명이 비교적 짧다.
또한, 현재 시중의 유리 세척기는 통상적으로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오수를 물탱크 내에 체류시키고, 브러시 헤드 부근의 공기를 부압 통로로 유입시킨 후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 중의 유리 세척기는 아래의 특허문헌들과 같이 물의 공급을 수도관에 호스로 직결시키거나 물탱크의 물을 펌프로 공급시키는 구조들이고, 유리면 세척 오수와 공기의 분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구조가 길이가 긴 호스 및 부압 펌프 그리고 저수탱크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복잡하므로 작업 반경이 협소하고 제작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고, 오수를 수거한 후 분리하는 효과 역시 그다지 이상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물과 공기의 분리 효과가 양호하지 못하므로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것이 공기뿐만이 아니라 일부 오수가 더 섞여 있을 수 있어 사용자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8818호(1999.06.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9109호(2000.03.0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1248호(2008.08.0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9656호(2015.10.26. 공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결함과 부족에 대해, 물 분사장치 및 오수 회수를 위한 부압 발생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구조가 단순하고 합리적이며, 조작이 간단하고, 탈착이 편리하며, 사용수명이 길고, 물과 공기의 분리효과가 비교적 양호한 유리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하 기술방안을 채택하였다.
본 고안의 상기 유리 세척기는 세척을 위한 유리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오수를 회수하는 것으로서, 결합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플러그가 형성되면서 이 플러그의 측벽에 체결구멍이 천공되고 유리를 닦으면서 발생되는 오수를 회수하는 흡입 통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브러시 헤드; 본체 전방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물탱크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수직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측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판과, 이 베이스 판의 둘레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저수 공간을 제공하는 포위벽과, 이 포위벽에 상기 브러시 헤드의 체결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되는 개구와, 상기 베이스 판의 일측에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보스와, 베이스 판의 타측에 오수를 회수시키도록 관통되는 배출구와, 상기 보스의 하측으로 상단이 끼워지면서 하단이 연장되어 본체의 부압 통로로 연결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배출구 및 물탱크의 오수 수용실에 양단이 상호 연결되는 환수관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소켓부; 상기 본체의 파지부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방아쇠와, 이 방아쇠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서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펌프와, 이 펌프의 입력단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된 물탱크의 정수 수용실에 양단이 연결되어 정수를 이동시키는 제1 수관과, 상기 펌프의 출력단과 본체의 상부 전방에 선단이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노즐에 양단이 연결되어 정수를 이동시키는 제2 수관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물 분사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축봉 상측으로 이어지면서 선단에 체결돌기를 형성한 상부레버 및 상기 축봉 하측으로 이어지는 하부레버로 이루어지는 핀치 플레이트와, 이 핀치 플레이트의 축봉을 감싸는 원호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의 포위벽에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장착구와, 상기 소켓부의 베이스 판으로부터 연장된 받침판에 일단이 접하고 상기 핀치 플레이트의 하부레버 저면에 접하면서 상부레버 선단에 있는 체결돌기가 상기 소켓부의 개구를 통과한 후 브러시 헤드의 체결구멍으로 끼워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과, 상기 핀치 플레이트의 하부레버 상부를 가압하여 상부레버 선단에 있는 체결돌기가 상기 브러시 헤드의 체결구멍으로부터 이탈될 때 브러시 헤드가 소켓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 일측 벽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잠금부; 오수를 물탱크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흡입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압 발생부: 및 상기 부압 발생부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량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부의 보스에는 오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측에 차단판이 형성되고 이 차단판의 주위 벽에 급기구멍이 다수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탱크 본체 및 탱크 벽체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탱크 본체는 격판을 기준으로 상측을 오수 수용실로 하측을 정수 수용실로 상호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시키며, 상기 탱크 벽체에 각각 상기 정수 수용실과 연통되는 출수공 및 상기 오수 수용실과 연통되는 흡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공 및 흡수공은 제1 수관(33) 및 환수관과 연결되며, 상기 탱크 벽체에 각각 정수 수용실과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마개 및 오수 수용실과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마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탱크 벽체에 형성된 흡수공에 단방향 밸브를 장착하고 이 단방향 밸브의 입력단은 환수관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탱크 벽체에 오수 수용실과 연통되는 환기공이 더 형성되고 이 환기공 및 소켓부의 베이스 판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환기관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기 부압 발생부는 본체 내에 소켓부의 가이드관과 연결되는 부압 통로를 형성하고, 이 부압 통로 하부에 위치한 본체의 벽 양측에 배기구를 천공하며, 상기 부압 통로의 공기를 모터의 회전력으로 배출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량 표시부는 본체 내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 스위치 및 리튬 배터리는 모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기량 디스플레이 회로모듈 및 충전회로 모듈 기능을 갖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적록 이중 색상의 표시등 및 다수의 녹색 표시등과, 상기 표시등을 보호하는 램프커버와, 상기 회로기판(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충전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제공하는 유리 세척기는 본체에 소켓부가 장착되고, 브러시 헤드에 소켓부와 일치하는 플러그가 형성되며, 그 중 소켓부는 베이스 판 주위에 설치되어 자수 공간을 제공하는 포위벽을 포함하고, 플러그의 측벽에 체결구멍이 천공되며, 포위벽에 체결구멍와 대응되는 개구가 설치되고, 본체의 내부에 핀치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핀치 플레이트에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본체의 벽에 핀치 플레이트를 작동시키도록 접하는 버튼이 장착되며, 본체 내에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어 플러그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면 체결돌기가 개구를 통해 체결구멍 내에 끼워지면서 플러그가 소켓부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브러시 헤드가 소켓부에 긴밀한 고정 결합이 효과적으로 보장되고, 또한 결합의 안정성이 비교적 높으며, 버튼을 누르면 핀치 플레이트가 체결돌기를 체결구멍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때 외부로 브러시 헤드를 당기면 플러그가 소켓부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서 브러시 헤드의 분리 동작이 완료되므로 브러시 헤드는 탈착 과정에서 쉽게 손상되지 않아 사용 수명이 비교적 긴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소켓부의 베이스 판 저면에 환수관이 연결되고, 환수관은 각각 저수 공간티 및 물탱크의 오수 수용실과 연통되며, 베이스 판에 중공의 보스가 설치되어 보스의 내부 공간이 본체의 부압 통로와 연통되고, 보스의 상부에 물막이 차단판 및 다수의 급기구멍이 형성되어 본체 내부의 부압 발생부가 작동 시 브러시 헤드 부근의 오수 및 공기가 브러시 헤드를 통해 소켓부 내부로 진입되며, 그 중 오수는 저수 공간 내에 모였다가 환수관을 거쳐 물탱크의 오수 수용실로 유입되고, 공기는 급기구멍을 통해 보스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된 후 최종적으로 본체의 부압 통로로 진입하여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언급해야 할 점으로, 급기구멍은 보스의 주위 벽에 설치되고, 보스의 상부에 물막이 차단판이 설치되므로 작동 과정에서 오수가 보스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지 못함으로써 물과 공기를 간편하게 분리하는 효과가 보장된다.
또한, 전기량 표시부는 본체 내에 회로기판이 장착되고, 회로기판에 전기량 디스플레이 회로모듈 및 충전회로 모듈이 포함되어 있고, 각각 전기량 디스플레이 회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적록 이중색상 표시등 및 약간의 녹색 표시등이 설치되며, 배터리의 전기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모든 녹색 표시등이 점등되고 적록 이중색상 표시등은 녹색등이 켜진 상태이며, 전기 사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배터리의 전기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우에는 녹색 표시등의 수량 역시 따라서 감소하면서 모든 녹색 표시등이 모두 꺼지거나 하나만 점등되면 적록 이중색상의 표시등이 적색으로 켜진 상태가 되므로 배터리가 전기량이 부족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배터리의 전기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구현하며, 구조가 단순하고 합리적이며, 사용자가 전기량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전기량을 주의하도록 환기시키는 효과가 있고,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비교적 낮아 가정용 또는 공업용으로 널리 응용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체의 저면에 부착되는 커버체와 이 커버체에 결합되는 고정체는 탈부착이 용이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고정체에 연결되는 자루를 통해 사다리 등이 필요한 높이의 유리 표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거나 자루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편리성이 있고, 유리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정수 및 세척하면서 발생하는 오수를 간편하게 물탱크에서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는 통합된 구성으로서 그 구조가 컴팩트하고 합리적이며, 조작이 간단하고 탈부착이 편리하며, 사용수명이 비교적 길고, 물과 공기의 분리 효과가 양호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본체와 브러시 헤드를 결합 장착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단면도.
도 4a 및 4b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소켓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소켓부, 환수관, 가이드관 및 환기관의 결합 장착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소켓부 내부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핀치 플레이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장착구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물탱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커버체 및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커버체 및 고정체가 본체에 장착되는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유리 세척기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수직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본체(1) 및 이 본체(1)와 고정 결합되는 브러시 헤드(2), 본체(1) 전방의 수용공간(15)에 장착되는 물탱크(7), 본체(1) 내에 각각 물 분사부(3)와 부압 발생부(4), 브러시 헤드(2)를 고정 및 해지시키는 잠금부(6), 모터 스위치(43), 배터리(44), 전원 충전잭(49)을 포함하는 전기량 표시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시 헤드(2)는 결합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플러그(21)가 형성되면서 이 플러그(21)의 측벽에 체결구멍(22)이 천공되고 유리를 닦으면서 발생되는 오수를 회수하는 흡입 통로(23)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 분사부(3)의 펌프(31) 입력단이 제1 수관(33)을 통해 본체(1)의 전면에 장착되는 물탱크(7)의 정수 수용실(75)에 연결되고, 본체(1) 내에 부압 통로(14)가 형성되며, 본체(1)의 벽에 부압 통로(14)와 연통하는 배기구(11)가 천공되어 부압 통로(14) 중의 공기가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소켓부(5)는 상기 브러시 헤드(2)를 탈부착할 수 있으면서 브러시 헤드(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및 오수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체(1) 상측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판(51)과, 이 베이스 판(51)의 둘레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저수 공간을 제공하는 포위벽(52)과, 이 포위벽(52)에 상기 브러시 헤드(2)의 체결구멍(22)과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되는 개구(521)와, 상기 베이스 판(51)의 일측에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보스(56)와, 베이스 판(51)의 타측에 오수를 회수시키도록 관통되는 배출구(512)와, 상기 보스(56)의 하측으로 상단이 끼워지면서 하단이 연장되어 본체(1)의 부압 통로(14)로 연결되는 가이드관(57)과, 상기 배출구(512) 및 물탱크(7)의 오수 수용실(76)에 양단이 상호 연결되는 환수관(55)이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소켓부(5)는 브러시 헤드(2)로부터 흡입되는 오수와 공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보스(56)의 상측에 차단판(561)을 형성하여 오수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공기를 부압 통로(14)로 안내할 수 있도록 차단판(561)의 주위 벽에 급기구멍(562)을 다수 천공하면서 하측은 부압 통로(14)와 연통되는 가이드관(57)이 결합도;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스(56)에 형성되는 차단판(561) 및 구멍(562)은 보스(14)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물 분사부(3)는 도 3 및 도 12에서와 같이 유리를 세척하기 위해 정수를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본체(1)의 파지부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방아쇠(35)와, 이 방아쇠(35)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서 본체(1) 내부에 장착되는 펌프(31)와, 이 펌프(31)의 입력단 및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장착된 물탱크(7)의 정수 수용실(75)에 양단이 연결되어 정수를 이동시키는 제1 수관(33)과, 상기 펌프(31)의 출력단과 본체(1)의 상부 전방에 선단이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노즐(32)에 양단이 연결되어 정수를 이동시키는 제2 수관(34)이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부압 발생부(4)는 도 3에서와 같이 브러시 헤드(2)의 흡입통로(23)으로 공기 및 오수를 흡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1) 내에 소켓부(5)의 가이드관(57)과 연결되는 부압 통로(14)와, 이 부압 통로(14) 하부에 위치한 본체(1)의 벽 양측에 천공되는 배기구(11) 및 이 배기구(11) 내측 본체(1)에 장착되어 모터(42)의 회전력으로 흡입 공기를 배출시키는 팬(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터(42)는 배터리(44)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1)의 파지부분의 상측에 장착되는 모터 스위치(43)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잠금부(6)는 도 4a,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브러시 헤드(2)를 고정 및 해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체(1)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축봉(63) 상측으로 이어지면서 선단에 체결돌기(64)를 형성한 상부레버(61) 및 상기 축봉(63) 하측으로 이어지는 하부레버(62)로 이루어지는 핀치 플레이트(60)와, 이 핀치 플레이트(60)의 축봉(63)을 감싸는 원호홈(531)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5)의 포위벽(52)에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장착구(53)와, 상기 소켓부(5)의 베이스 판(51)으로부터 연장된 받침판(511)에 일단이 접하고 상기 핀치 플레이트(60)의 하부레버(62) 저면에 접하면서 상부레버(61) 선단에 있는 체결돌기(64)가 상기 소켓부(5)의 개구(521)를 통과한 후 브러시 헤드(2)의 체결구멍(22)으로 끼워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13)과, 상기 핀치 플레이트(60)의 하부레버(62) 상부를 가압하여 상부레버(61) 선단에 있는 체결돌기(64)가 상기 브러시 헤드(2)의 체결구멍(22)으로부터 이탈될 때 브러시 헤드(2)가 소켓부(5)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본체(1)의 상부 일측 벽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버튼(12)으로 이루어진다.
즉, 잠금부(6)는 브러시 헤드(2)의 플러그(21)가 소켓부(5)에 삽입되면 도 4a에서와 같이 체결돌기(64)가 개구(521)를 통해 체결구멍(22) 내에 끼워지면서 플러그(21)가 소켓부(5)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이때 브러시 헤드(2)와 본체(1)의 긴밀한 고정 결합이 효과적으로 보장되고, 또한 결합의 안정성이 높다. 그리고 버튼(12)을 누르면 핀치 플레이트(60)가 체결돌기(64)을 체결구멍(22)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때 브러시 헤드(2)를 외부로 당기면 플러그(21)를 소켓부(5)과 분리시킬 수 있어 브러시 헤드(2)의 분리 동작이 완료된다. 브러시 헤드(2)는 탈착 과정에서 쉽게 손상되지 않아 사용 수명이 비교적 길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브러시 헤드(23)의 플러그(21)를 소켓부(5)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버튼(12)을 누를 필요 없이 장착이 편리하고 힘이 덜 들게 하기 위하여 체결돌기(64)에 플러그(21)가 순조롭게 삽입되도록 경사면(641)을 형성할 수 있다.
물탱크(7)는 도 3 및 도 10에서와 같이 유리 세척을 위한 정수를 수용하고, 부압 발생부(4)의 작동으로 브러시 헤드(2)의 흡입통로(23)로 흡입되고 소켓부(5)에서 공기와 분리된 오수를 수용하기 위하여 본체(1)의 전방에 위치한 수용공간(15)에 장착되는 용기로서, 탱크 본체(72) 및 탱크 벽체(71)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탱크 본체(72)의 중앙부분 내벽에 격판(74)이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이 격판(74)의 상측을 오수 수용실(76)로 하측을 정수 수용실(75)로 상호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시키며, 상기 탱크 벽체(71)에 각각 상기 정수 수용실(75)과 연통되는 출수공(711) 및 상기 오수 수용실(76)과 연통되는 흡수공(712)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공(711)은 제1 수관(33)과 연결되고, 상기 흡수공(712)은 환수관(55)과 연결되며, 상기 탱크 벽체(71)에 각각 정수 수용실(75)과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마개(713) 및 오수 수용실(76)과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마개(71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7)의 탱크 벽체(71)에 형성된 흡수공(711)에는 유입되는 오수가 오수 수용실(76)에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오수의 흡수만 이루어지는 단방향 밸브(751)가 마련되고, 상기 단방향 밸브(751)의 입력단은 소켓부(5)의 저수 공간으로 모이는 오수를 통과시키는 환수관(55)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환수관(55) 및 단방향 밸브(751)로 오수 이외에 유입된 공기의 배출을 위하여 탱크 벽체(71)에 오수 수용실(76)과 연통되는 환기공(761)이 더 형성되고, 이 환기공(761) 및 소켓부(5)의 저수 공간과 연통되도록 베이스 판(51)과 연결되는 환기관(58)을 마련하여 오수 수용실(76)에는 오수가 안정적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물탱크(7)의 상측 일단에 단턱홈(721)이 형성되며, 이 단턱홈(721)의 내부에 제1 체결부(722)가 설치되고, 본체(1)의 수용공간(15)의 상측 외벽에 상기 제1 체결부(222)가 끼워져 걸리는 제2 체결부(16)가 형성되며, 물탱크(7)의 저면에 돌기(723)가 형성되고, 본체(1)의 저면 외벽에 상기 돌기(723)와 정합되는 체결홈(17)이 설치되며, 본체(1)로부터 물탱크(7)를 분리시키기 위해 물탱크(7)의 상측 외벽 양쪽에 한 쌍의 당김판(724)이 대칭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물탱크(7)가 본체(1)의 수용공간(15) 내에 장착될 때, 먼저 물탱크(7)의 돌기(723)가 본체(1)의 체결홈(17) 내에 끼워지고 연이어 물탱크(7)의 제1 체결부(722)가 본체(1)의 제2 체결부(16)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물탱크(1)가 본체(1)에 안정적으로 밀착 결합된다. 그리고 오수를 배출하거나 정수를 공급해야 할 경우, 물탱크(1)의 당김판(724)을 물탱크(7) 바깥으로 당기면 물탱크(7)의 제1 체결부(722)가 본체(1)의 제2 체결부(16)와 분리되므로 물탱크(7)를 본체(1) 밖으로 빼낼 수 있으며, 조작이 비교적 편리하다.
전기량 표시부(40)는 도 3 및 도 11에서와 같이 배터리(44)의 잔여 전기량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의 하부 일측 개구(19) 부분의 삽입홈(18) 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45)과, 상기 모터(42)와 모터 스위치(43) 및 배터리(44)는 모두 상기 회로기판(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45)에 포함된 전기량 디스플레이 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1)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적록 이중 색상의 표시등(46) 및 다수의 녹색 표시등(47)과, 상기 적록 이중색상의 표시등(46) 및 다수의 녹색 표시등(47)이 투시되고 보호하도록 본체(1)의 삽입홈(18)에 장착되는 램프커버(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44)는 리튬 배터리이고, 상기 회로기판(45)에 통상적인 충전회로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잭(49)이 설치되고, 상기 리튬 배터리(44) 및 상기 충전잭(49)은 각각 상기 충전회로 모듈를 포함하는 회로기판(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유리 세척기는 손으로 파지하여 정수를 분사한 후 유리를 세척하면서 세척된 오수를 간편하게 수거하는 것으로 팔의 길이에 해당하는 부위의 유리 세척은 용이하나 높이가 높은 부분이나 길이가 긴 유리의 외부의 청소가 불가능하므로 이를 해소하게 위해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본체(1)의 저면에 체결되는 커버체(91) 및 이 커버체(91)에 착탈가능하고 길이가 긴 자루(94)를 결합한 고정체(93)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커버체(91)는 본체(1)의 저면에 다수의 나사못으로 체결되면서 중앙부분에 삽입홈(911)이 다수 형성되고, 이 삽입홈(911) 중 어느 한 곳으로 인위적으로 이동시키거나 스프링(921)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지지되는 고정레버(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체(93)는 커버체(91)의 다수의 삽입홈(911)으로 끼워지도록 다수의 날개편(931)이 둘레면에 형성되고, 이 날개편(931)의 가운데에 걸림턱(932)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932)에 고정레버(92)의 선단이 접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자루(94)를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리 세척기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브러시 헤드(2)의 플러그(21)가 소켓부(5)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잠금부(4)의 복귀 스프링(13)의 작용에 의해 핀치 플레이트(60)의 체결돌기(64)가 소켓부(5)의 개구(521)를 통해 브러시 헤드(2)의 체결구멍(22) 내로 삽입되면 도 4a에서와 같이 브러시 헤드(2)의 플러그(21)가 소켓부(5)에 삽입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초기 상태가 된다. 반대로 소켓부(5)로부터 브러시 헤드(2)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버튼(12)을 가압하여 누르면 핀치 플레이트(60)의 하부레버(62)가 하강하고, 이 하부레버(62)의 하강은 회전중심의 축봉(63)을 기준으로 상부레버(61)을 회전시켜 체결돌기(64)가 동기적으로 회전하여 브러시 헤드(2)의 체결구멍(2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때 플러그(21)를 소켓부(5)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어서 버튼(12)의 누름을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13)의 복원력 작용으로 하부레버(62)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상부레버(61) 및 체결돌기(64)를 동기적으로 원위치로 복귀시게 된다.
다음으로 유리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물 분사부(3)의 방사쇠(35)를 반복적으로 당기면 방아쇠(35)는 펌프(31)를 작동시켜 제1 수관(33) 및 이 제1 수관(33)과 연결된 물탱크(7)의 출수공(711)을 통해 정수 수용실(75)에 수용된 정수를 빨아올린 후 제2 수관(34)으로 이송시키고, 이 제2 수관(34)으로 이송되는 정수는 노즐(32)을 통해 세척을 위한 유리면에 분사된다.
상기 유리면에 분사된 정수를 이용하여 브러시 헤드(2)로 세척을 수행하게 되고, 세척과 동시 또는 세척 후에는 오수를 회수하기 위하여 모터 스위치(43)를 작동시켜 부압 발생부(4)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부압 발생부(4)의 작동은 모터 스위치(43)의 접속으로 배터리(44)의 전원을 공급받은 모터(42)의 작동으로 이어지고, 이 모터(42)의 작동은 팬(41)의 회전으로 이루어져 본체(1)의 부압 통로(14)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저기압상태가 된다.
상기 부압 발생부(4)의 팬(41)의 작동으로 부압 통로(14)가 저기압상태가 되면 상기 부압 통로(14)와 연통된 소켓부(5)의 가이드관(57), 보스(56) 및 브러시 헤드(2)로 이어지는 공간 역시 저기압 상태가 되면서 브러시 헤드(2)의 흡입통로(23)로 오수 및 공기를 용이하게 유입하여 소켓부(5) 내로 진입시키게 되며, 그 중 오수는 저수 공간(54) 내에 모였다가 환수관(55)을 거쳐 물탱크(7)의 오수 수용실(76)로 유입되며, 공기는 보스(56)의 급기구멍(562)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후 최종적으로 부압 통로(14)로 진입하여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언급해야 할 점으로, 상기 급기구멍(562)의 상측 차단판(561)이 오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낙하시키고 공기를 보스(56)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시키는 물과 공기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스(56)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는 공기는 유입 효과가 우수하며 보스(56)의 하부에 연결된 가이드관(57)으로 공기는 본체(1)의 부압 통로(14)로 이동된 후 본체(1)의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작동 과정을 통해 물탱크(7)의 수용된 정수 및 수집된 오수는 제1 마개(713)와 제2 마개(714)를 뽑으면 상응하는 정수 보충 및 오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비교적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과정 중 오수를 물탱크(7)의 오수 수용실(76)으로 유입시키기 위해서 흡수공(712) 내에 장착된 단방향 밸브(751)는 환수관(55)과 연결된 오수 수용실(76) 내의 오수가 환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므로 사용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다.
또한, 물탱크(7)의 오수 수용실(76)과 연통되는 탱크 벽체(71)의 환기공(716)은 오수 수용실(76)로 유입될 때 오수와 함께 유입된 공기가 압축되면 이 압축된 공기를 환기관(58)을 통해 소켓부(5)의 저수 공간(54)으로 돌려보내 보스(56)의 급기구(562)를 통해 부압 통로(14)로 진입시키고 최종적으로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오수 수용실(76) 내의 압력 균형이 효과적으로 보장되어 오수 수집효과가 비교적 우수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기량 표시부(40)는 배터리(44)의 방전 상태, 전기량 디스플레이 회로모듈의 모니터링 하에서 배터리(44)의 전기량이 충분한 경우, 다수의 녹색 표시등(47)이 모두 점등되고 적록 이중색상 표시등(46) 역시 녹색등이 켜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부압 발생부(4)의 전기 사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배터리(44)의 전기량이 점차 감소하면 녹색 표시등(47)의 점등 수량 역시 따라서 감소하면서 배터리(44)의 전기량이 모두 소모되면 모든 녹색 표시등(47)이 소등됨과 동시에 적록 이중색상의 표시등(46)이 적색등이 켜진 상태가 되면, 배터리(44)의 전기량이 부족함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게 배터리(44)의 전기량을 주의하도록 환기시켜 충전을 행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고, 리튬 배터리(44)에 충전 조작이 실시할 때, 초기 상태는 모든 녹색 표시등(47)이 점등되고 적록 이중 색상 표시등(46)이 깜빡이는 상태이며 일정 시간 충전된 후 리튬 배터리(44) 내의 전기량이 점차 증가하면 적록 이중색상 표시등(46)은 깜빡임 없이 녹색등이 계속 켜져 있는 상태로 변경되고, 충전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녹색 표시등(47) 수량 역시 따라서 증가하면서 점등되며, 모든 녹색 표시등(47)이 계속 켜져 있는 상태가 되면 이때는 충전이 이미 완료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그리고 적록 이중색상의 표시등(46) 및 다수의 녹색 표시등(47)이 모두 본체(1)의 개구(19) 내에 위치되며, 개구(12) 내에 투시용 램프커버(13)가 삽입홈(18)에 기워져 설치되므로 적록 이중색상의 표시등(46) 및 다수의 녹색 표시등(47)의 보호와 함께 사용자가 관찰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도 14에서와 같이 본체(1)의 저면에 커버체(91)를 나사못으로 체결한 후 고정체(93)의 날개편(931)을 커버체(91)의 삽입홈(911)으로 회전시켜 끼워넣으면 날개편(931)에 형성된 걸림턱(932)이 커버체(91)에 장착된 고정레버(92)의 선단이 스프링(921)의 탄성력으로 밀착되므로 걸려 이탈이 방지되면서 결합되고, 상기 고정체(93)에 결합된 자루(94)를 이용하여 높은 장소의 유리면 등으로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레버(92)를 도 4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인위적으로 밀어내면 날개편(931)에 형성된 걸림턱(932)으로부터 고정레버(92)의 선단이 이격되므로 고정체(93) 회전이 자유로워 고정체(93)를 커버체(9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조립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 본체 2: 브러시 헤드
3: 물 분사부 4: 부압 발생부
5: 소켓부 6: 잠금부
7: 물탱크 40: 전기량 표시부
11: 배기구 12: 버튼
13: 복귀 스프링 14: 부압 통로
15: 수용 공간 16: 제2 체결부
17: 체결홈 18: 삽입홈
19: 개구 21: 플러그
22: 체결구멍 31: 펌프
32: 노즐 33: 제1 수관
34: 제2 수관 35: 방아쇠
41: 팬 42: 모터
43: 모터 스위치 44: 배터리
45: 회로기판 46: 적록 이중 색상의 표시등
47: 녹색 표시등 48: 램프커버
51: 베이스 판 52: 포위벽
53: 장착구 54: 저수 공간
55: 환수관 56: 보스
57: 가이드관 58: 환기관
60: 핀치 플레이트 61: 상부레버
62: 하부레버 63: 축봉
64: 체결돌기 71: 탱크 벽체
72: 탱크 본체 74: 격판
75: 정수 수용실 76: 오수 수용실
91: 커버체 92: 고정레버
93: 고정체 94: 자루
511: 받침판 521: 개구
531: 원호홈 561: 차단판
562: 급기구멍 641: 경사면
711: 출수공 712: 흡수공
713: 제1 마개 714: 제2 마개
716: 환기공 721: 단턱홈
722: 제1 체결부 723: 돌기
724: 당김판 751: 단방향 밸브
911: 삽입홈 921: 스프링
931: 날개편 932: 걸림턱

Claims (9)

  1. 세척을 위한 유리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오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유리 세척기에 있어서,
    결합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플러그(21)가 형성되면서 이 플러그(21)의 측벽에 체결구멍(22)이 천공되고 유리를 닦으면서 발생되는 오수를 회수하는 흡입 통로(23)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브러시 헤드(2);
    본체 전방의 수용공간(15)에 장착되는 물탱크(7)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수직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 상측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판(51)과, 이 베이스 판(51)의 둘레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저수공간(54)을 제공하는 포위벽(52)과, 이 포위벽(52)에 상기 브러시 헤드(2)의 체결구멍(22)과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되는 개구(521)와, 상기 베이스 판(51)의 일측에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보스(56)와, 베이스 판(51)의 타측에 오수를 회수시키도록 관통되는 배출구(512)와, 상기 보스(56)의 하측으로 상단이 끼워지면서 하단이 연장되어 본체(1)의 부압 통로(14)로 연결되는 가이드관(57)과, 상기 배출구(512) 및 물탱크(7)의 오수 수용실(76)에 양단이 상호 연결되는 환수관(55)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소켓부(5);
    상기 본체(1)의 파지부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방아쇠(35)와, 이 방아쇠(35)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서 본체(1) 내부에 장착되는 펌프(31)와, 이 펌프(31)의 입력단 및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장착된 물탱크(7)의 정수 수용실(75)에 양단이 연결되어 정수를 이동시키는 제1 수관(33)과, 상기 펌프(31)의 출력단과 본체(1)의 상부 전방에 선단이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노즐(32)에 양단이 연결되어 정수를 이동시키는 제2 수관(34)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물 분사부(3);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축봉(63) 상측으로 이어지면서 선단에 체결돌기(64)를 형성한 상부레버(61) 및 상기 축봉(63) 하측으로 이어지는 하부레버(62)로 이루어지는 핀치 플레이트(60)와, 이 핀치 플레이트(60)의 축봉(63)을 감싸는 원호홈(531)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5)의 포위벽(52)에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장착구(53)와, 상기 소켓부(5)의 베이스 판(51)으로부터 연장된 받침판(511)에 일단이 접하고 상기 핀치 플레이트(60)의 하부레버(62) 저면에 접하면서 상부레버(61) 선단에 있는 체결돌기(64)가 상기 소켓부(5)의 개구(521)를 통과한 후 브러시 헤드(2)의 체결구멍(22)으로 끼워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13)과, 상기 핀치 플레이트(60)의 하부레버(62) 상부를 가압하여 상부레버(61) 선단에 있는 체결돌기(64)가 상기 브러시 헤드(2)의 체결구멍(22)으로부터 이탈될 때 브러시 헤드(2)가 소켓부(5)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본체(1)의 상부 일측 벽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버튼(12)으로 이루어지는 잠금부(6);
    오수를 물탱크(7)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흡입공기를 본체(1)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압 발생부(4): 및
    상기 부압 발생부(4)의 모터(42)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43) 및 배터리(44)를 포함하는 전기량 표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5)의 보스(56)는 오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측에 차단판(561)이 형성되고 이 차단판(561)의 주위 벽에 급기구멍(562)이 다수 천공되며 하측은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7)는 탱크 본체(72) 및 탱크 벽체(71)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탱크 본체(72)의 중앙부분 내벽에 격판(74)이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이 격판(74)의 상측을 오수 수용실(76)로 하측을 정수 수용실(75)로 상호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시키며, 상기 탱크 벽체(71)에 각각 상기 정수 수용실(75)과 연통되는 출수공(711) 및 상기 오수 수용실(76)과 연통되는 흡수공(712)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공(711)은 제1 수관(33)과 연결되고, 상기 흡수공(712)은 환수관(55)과 연결되며, 상기 탱크 벽체(71)에 각각 정수 수용실(75)과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마개(713) 및 오수 수용실(76)과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마개(714)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7)의 탱크 벽체(71)에 형성된 흡수공(711)에 장착되어 흡수만 이루어지는 단방향 밸브(751)가 마련되고, 상기 단방향 밸브(751)의 입력단은 환수관(55)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벽체(71)에 오수 수용실(76)과 연통되는 환기공(761)이 더 형성되고, 이 환기공(761) 및 소켓부(5)의 저수공간(54)과 연통되도록 베이스 판(51)과 연결되는 환기관(58)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발생부(4)는,
    본체(1) 내에 소켓부(5)의 가이드관(57)과 연결되는 부압 통로(14)와, 이 부압 통로(14) 하부에 위치한 본체(1)의 벽 양측에 천공되는 배기구(11) 및 이 배기구(11) 내측 본체(1)에 장착되어 모터(42)의 회전력으로 흡입 공기를 배출시키는 팬(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량 표시부(40)는 본체(1)의 하부 일측 삽입홈(18) 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45)과, 상기 모터(42)와 모터 스위치(43) 및 배터리(44)는 모두 상기 회로기판(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45)에 포함된 전기량 디스플레이 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1)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적록 이중 색상의 표시등(46) 및 다수의 녹색 표시등(47)과, 상기 적록 이중색상의 표시등(46) 및 다수의 녹색 표시등(47)이 투시되고 보호하도록 본체(1)의 삽입홈(18)에 장착되는 램프커버(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44)는 리튬 배터리이고, 상기 회로기판(45)에 통상적인 충전회로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1)에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잭(49)이 설치되고, 상기 리튬 배터리(44) 및 상기 충전잭(49)은 각각 상기 충전회로 모듈를 포함하는 회로기판(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저면에 다수의 나사못으로 체결되면서 중앙부분에 삽입홈(911)이 다수 형성되고, 이 삽입홈(911) 중 어느 한 곳으로 인위적으로 이동시키거나 스프링(921)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레버(92)를 장착한 커버체(91); 및
    상기 커버체(91)의 다수의 삽입홈(911)으로 끼워지도록 다수의 날개편(931)이 둘레면에 형성되고, 이 날개편(931)의 가운데에 걸림턱(932)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932)에 상기 고정레버(92)의 선단이 접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자루(94)를 고정시킨 고정체(93)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척기.
KR2020160001900U 2015-06-24 2016-04-07 유리 세척기 KR2004809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444219.0 2015-06-24
CN201520444220.3U CN204797738U (zh) 2015-06-24 2015-06-24 一种带电量指示装置的玻璃清洗器
CN201520444220.3 2015-06-24
CN201520444219.0U CN204797733U (zh) 2015-06-24 2015-06-24 一种玻璃清洗器的刷头可拆卸连接结构
CN201520443695.0U CN204797739U (zh) 2015-06-24 2015-06-24 一种玻璃清洗器
CN201520443695.0 2015-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44Y1 true KR200480944Y1 (ko) 2016-07-27

Family

ID=5661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00U KR200480944Y1 (ko) 2015-06-24 2016-04-07 유리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7593A (zh) * 2019-05-24 2019-07-23 慈溪市佳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负压水洗净脸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8433A (ja) * 1989-12-07 1991-08-02 Shin Etsu Chem Co Ltd シリコーン一体成形物及びその製造法
KR19990000058A (ko) * 1997-06-02 1999-01-15 송영소 청소기
KR200169109Y1 (ko) 1997-12-24 2000-03-02 남광우 고소 자동 세척장치
US7159275B2 (en) * 2001-07-13 2007-01-09 Marshall Chang Glass surface cleaning machine
KR200441248Y1 (ko) 2006-12-20 2008-08-01 김국진 다기능 청소기
KR100864697B1 (ko) * 2007-10-30 2008-10-23 안봉주 물걸레 청소기
KR20150119656A (ko) 2014-04-16 2015-10-26 손세정 청소기 헤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8433A (ja) * 1989-12-07 1991-08-02 Shin Etsu Chem Co Ltd シリコーン一体成形物及びその製造法
KR19990000058A (ko) * 1997-06-02 1999-01-15 송영소 청소기
KR100198818B1 (ko) 1997-06-02 1999-06-15 송영소 청소기
KR200169109Y1 (ko) 1997-12-24 2000-03-02 남광우 고소 자동 세척장치
US7159275B2 (en) * 2001-07-13 2007-01-09 Marshall Chang Glass surface cleaning machine
KR200441248Y1 (ko) 2006-12-20 2008-08-01 김국진 다기능 청소기
KR100864697B1 (ko) * 2007-10-30 2008-10-23 안봉주 물걸레 청소기
KR20150119656A (ko) 2014-04-16 2015-10-26 손세정 청소기 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7593A (zh) * 2019-05-24 2019-07-23 慈溪市佳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负压水洗净脸机
CN110037593B (zh) * 2019-05-24 2024-04-16 慈溪市佳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负压水洗净脸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03783B (zh) 干湿两用吸尘器
KR100583680B1 (ko) 전기청소기
CN108478300B (zh) 一种冲牙器
CN109077662B (zh) 干湿两用吸尘器
CN211187034U (zh) 手持式清洁装置
KR200480944Y1 (ko) 유리 세척기
KR200480934Y1 (ko) 유리 세척기의 물 공기 분리구조
CN216324044U (zh) 一种用于清洗机的供能系统及清洗机
CN216297258U (zh) 一种清洗机
CN113560257A (zh) 一种清洗机
CN113413099A (zh) 洗地机
CN113546903A (zh) 一种用于清洗机的驱动组件及清洗机
KR200480655Y1 (ko) 유리 세척기의 물탱크 및 그 장착구조
CN111772533A (zh) 一种水机可拆卸手柄结构
CN216323629U (zh) 一种用于清洗机的多通道转接装置及清洗机
CN210478151U (zh) 一种吸墨装置
CN216985251U (zh) 一种冲牙器喷嘴安装结构及冲牙器
CN116807322B (zh) 一种洗地机
KR100934738B1 (ko) 음식물처리기
CN216985252U (zh) 一种便捷拆装水箱的冲牙器
CN219089728U (zh) 具有负载保护的冲牙器
CN215613549U (zh) 一种清洗机
CN219921251U (zh) 一种手持冲牙器
CN216962691U (zh) 一种冲牙器手柄及冲牙器
CN220876629U (zh) 一种便携式电动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